2025년 제1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차관·중앙은행부총재 회의 참석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1689&menuNo=4010100
2025년 제1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차관·중앙은행부총재 회의 참석 |
- 2025년 G20 의장국인 남아공 주최 첫 번째 회의(12.11~12일 요하네스버그) - 내년도 G20 주요 의제 및 G20 회의 운영방안 등 논의 - 국제금융심의관, 주요 세션 발언을 통해 세계경제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성장을 위한 협력방안 적극 개진 예정 |
2025년도 주요 20개국(G20) 재무분야 첫 번째 회의로서 제1차 G20 재무차관·중앙은행부총재 회의가 12.11(수)~12(목),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의는 남아공이 G20 의장국*으로서 개최하는 첫 회의로 ‘연대, 평등 그리고 지속가능성’이라는 목표 하에서 내년 G20의 주요 의제 및 G20 회의 운영방안 등을 논의한다.
* 의장국은 직전년도 12월부터 1년간 G20 회의 주관(’24년: 브라질, ‘25년: 남아공, ’26년: 미국)
기획재정부 대표단(수석대표: 최지영 국제금융심의관)은 이번 회의에 참석하여 주요 세션별 발언을 통해 우리 의견을 적극 개진할 계획이다.
최 심의관은 「세계경제」 세션에서 세계경제의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인구구조변화 등을 고려한 AI 중심의 기술혁신과 협력방안 모색 등을 제안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이 프랑스와 실무회의 공동의장직을 수임중인 「국제금융체제」 세션에서는 올해 재무트랙의 핵심 성과인 다자개발은행(MDB) 개혁 로드맵의 차질 없는 이행을 촉구하고, 개도국 부채문제 해결, 금융안정 등을 위한 G20의 역할을 강조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속가능금융」 세션에서는 탄소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인프라」세션에서는 통합적인 공공투자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을 언급할 예정이다. 이어,「국제조세」 세션에서는 디지털세 개혁과 국제조세 협력의 중요성을, 「재무보건」 세션에서는 팬데믹 리스크 평가와 대응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한편, 2025년도 G20 회의는 이번 재무차관회의를 시작으로 총 네 차례의 재무차관·장관회의*(2, 4, 7, 10월)와 한 차례 정상회의(11.22~23일, 요하네스버그)가 예정되어 있으며, 세계경제·국제금융체제 등 분야별 각 실무회의도 개최될 전망이다.
* 이 외에 부처 합동회의로서, 재무·보건합동장관회의(11월) 등 예정
※ (참고) 2025년 G20 주요 회의 일정(잠정)
구 분 | 회 의 명 | 일 자 | 장 소 |
‘24.12월 | G20 재무차관회의 | 12.11(목)~12(금) |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
‘25.2월 | G20 재무차관회의 | 2.24(월)~25(화) | 남아공 케이프타운 |
G20 재무장관회의 | 2.26(수)~27(목) | 남아공 케이프타운 |
4월 | G20 재무차관회의 | 4.10(목)~11(금) | 화상 |
G20 재무장관회의 | 4.23(수)~24(목) | 미국 워싱턴 D.C |
7월 | G20 재무차관회의 | 7.14(월)~15(화) | 남아공 콰줄루나탈 |
G20 재무장관회의 | 7.17(목)~18(금) | 남아공 콰줄루나탈 |
10월 | G20 재무차관회의 | 10.7(화)~8(수) | 화상 |
G20 재무장관회의 | 10.15(수)~16(목) | 미국 워싱턴 D.C |
11월 | G20 재무·보건합동 장관회의 | 11.7(금) | 화상 |
G20 정상회의 | 11.22(토)~23(일) |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
담당 부서 | 국제금융국 다자금융과 | 책임자 | 과 장 | 이재우 | (044-215-4810) |
담당자 | 사무관 | 박세웅 | (loneilia@korea.kr) |
사무관 | 하다애 | (daae0517@korea.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