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 하나증권 자산배분 이영주
[6월 자산배분의 창(窓)] 모나리자 착시효과 (Mona Lisa Effect)
▶ 자료: https://bit.ly/3J4aE5g
1. 전형적 Money illusion, 주식시장 경계감 상승
상반기 주가 상승은 지난해 말부터 나타난 물가 피크아웃에 따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과 하반기 피봇 가능성을 앞당겨 반영하면서 나타남. 현재 금리 인상은 Skip과 Pause 사이에서 불확실성이 여전. 게다가 연준 위원들의 지속된 매파적 뉘앙스를 통해 HFL 기조가 확인되면서 실질금리가 재차 상승하는 그림. S&P500과 S&P500 동일가중평균 지수의 상대강도를 비교했을 때 격차는 올해 연초 이래 지속적으로 확대. S&P500 상승세 대비 중소형 기업이 집중되어 있는 Russell 2000의 흐름 또한 2022년 하락 이후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 대형주가 견인한 주식시장 강세의 중소형주 전반으로의 확산은 어려울 수 있으며 당분간 지수 추가 상승 제한
2. 모나리자 착시효과: 매크로 Vs. 마이크로
매크로 지표는 경기 둔화를 향하고, 마이크로 지표는 경기 회복을 가리키며 시장 혼란 야기. 재무부 대규모 채권 발행 및 제한적 재정지출, 연준 피봇 시점 지연, 하반기 은행 대출 축소 등 매크로 유동성 펀더멘털 약화 가능성 확대. 그럼에도 양호한 고용(서비스/건설 등)이 지속되며 소비 타격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기대가 기업 실적 전망에 반영. 또한 소비 행태 변화에 업종별/기업별 이익 차별화를 가능하게 만들 것이라는 인식 전환 형성
3. 미국 부동산, 차분한 거품 해소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
댈러스 연은, 이자율과 성장률 고려한 PRR(Price-to-Rent Ratio)를 통해 부동산 버블 상태 측정하여 실제 관측치와 펀더멘털 추정치 간 괴리 확대 지적. 현재 전 고점 돌파한 상태이며, 부족한 신규 매매 수요에 향후 축소 국면 전환 및 거품 해소 가능성 시사(통상 5~7년 소요). 주택시장은 타이트한 수급 여건에 가격 급락 가능성 낮음(낮은 주택매매 수요와 공급 절벽). 상업용 부동산은 수요의 손바뀜 과정이라는 새로운 국면. 전반적 부동산 둔화 사이클 가운데 스무딩한 가격 조정 예상
4. Strategy
- 추천 ETF: XLK, QUAL, BTAL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하였음)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