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재정동향」 2024년 12월호 발간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1730&menuNo=4010100
1월~10월 총수입 498.7조원, 총지출 529.1조원 |
-「월간 재정동향」 12월호(’24.10월말 기준 누계) 발간 |
’24.10월말 누계 총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6.2조원 증가한 498.7조원,
총지출은 전년동기 대비 26.3조원 증가한 529.1조원이다.
그 결과 통합재정수지 △30.5조원 적자, 사회보장성기금수지 45.2조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75.7조원 적자이다.
한편, 10월말 중앙정부 채무는 1,155.5조원으로 전월 대비 6.8조원 증가하였다.
<붙임> 월간 재정동향 2024년 12월호
담당 부서 <총괄> | 재정정책국 재정건전성과 | 책임자 | 과 장 | 김완수 | (044-215-5740) |
담당자 | 사무관 | 박원준 | (parkwj777@korea.kr) |
사무관 | 이대권 | (daekwon@korea.kr) |
<국세수입> | 세제실 조세분석과 | 책임자 | 과 장 | 윤수현 | (044-215-4120) |
담당자 | 사무관 | 김태경 | (grog200@korea.kr) |
<국채시장> | 국고국 국채과 | 책임자 | 과 장 | 곽상현 | (044-215-2410) |
담당자 | 사무관 | 김청윤 | (luckykcy@korea.kr) |
참 고 | | 재정동향 12월호(’24.10월말 기준) 주요내용 |
□ 총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6.2조원 증가한 498.7조원이다.
ㅇ 국세수입은 293.6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7조원 감소*하였다.
* 법인세 △17.9조원, 소득세 +0.2조원, 부가세 +6.1조원 등
ㅇ 세외수입은 24.1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5조원 증가했으며,
ㅇ 기금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16.4조원 증가한 180.9조원이다.
(단위: 조원, %, %p)
| ’23년 | ’24년(잠정) | 전년동기 대비 |
본예산 (A) | 결산 (B) | 10월 (C) | 10월 (누계, D) | 진도율 | 본예산 (G) | 10월 (H) | 10월 (누계, I) | 진도율 (J=I/G) | 10월 (H-C) | 누계 (I-D) | 진도율 |
예산 (E=D/A) | 결산 (F=D/B) | 예산 (J-E) | 결산 (J-F) |
□ 총수입 | 625.7 | 573.9 | 56.1 | 492.5 | 78.7 | 85.8 | 612.2 | 59.3 | 498.7 | 81.5 | 3.2 | 6.2 | 2.7 | △4.3 |
◇ 국세수입 | 400.5 | 344.1 | 38.6 | 305.2 | 76.2 | 88.7 | 367.3 | 38.3 | 293.6 | 79.9 | △0.3 | △11.7 | 3.7 | △8.8 |
◇ 세외수입 | 25.0 | 28.5 | 1.8 | 22.6 | 90.6 | 79.4 | 28.2 | 1.7 | 24.1 | 85.6 | △0.1 | 1.5 | △5.0 | 6.3 |
◇ 기금수입 | 200.3 | 201.1 | 15.8 | 164.5 | 82.2 | 81.8 | 216.7 | 19.3 | 180.9 | 83.5 | 3.6 | 16.4 | 1.3 | 1.7 |
◇ (사보기금*) | 114.6 | 122.3 | 8.2 | 102.5 | 89.4 | 83.8 | 123.8 | 13.1 | 110.5 | 89.2 | 4.9 | 8.0 | △0.1 | 5.4 |
◇ 세입세출 외 | - | 0.3 | - | 0.1 | - | - | - | - | 0.1 | - | - | △0.0 | - | - |
* 국민연금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기금, 고용보험기금,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기금
□ 총지출은 전년동기 대비 26.3조원 증가한 529.1조원이다.
* 국민연금급여지급(+3.6조), 국고채이자상환(+2.9조), 건강보험가입자지원(+1.8조) 등
(단위: 조원, %, %p)
| ’23년 | ’24년(잠정) | 전년동기 대비 |
본예산 (A) | 결산 (B) | 10월 (C) | 10월 (누계, D) | 진도율 | 본예산 (G) | 10월 (H) | 10월 (누계, I) | 진도율 (J=I/G) | 10월 (H-C) | 누계 (I-D) | 진도율 |
예산 (E=D/A) | 결산 (F=D/B) | 예산 (J-E) | 결산 (J-F) |
□ 총지출(B) | 638.7 | 610.7 | 35.4 | 502.9 | 78.7 | 82.3 | 656.6 | 36.9 | 529.1 | 80.6 | 1.4 | 26.3 | 1.9 | △1.8 |
◇ 예산 | 441.1 | 413.1 | 24.1 | 343.9 | 78.0 | 83.2 | 438.3 | 23.8 | 360.6 | 82.3 | △0.2 | 16.6 | 4.3 | △1.0 |
ㅇ 일반회계 | 369.4 | 343.5 | 20.5 | 284.6 | 77.0 | 82.8 | 356.5 | 20.3 | 291.5 | 81.8 | △0.2 | 6.9 | 4.7 | △1.1 |
ㅇ 특별회계 | 71.6 | 69.6 | 3.6 | 59.4 | 82.9 | 85.2 | 81.7 | 3.5 | 69.1 | 84.5 | △0.1 | 9.7 | 1.7 | △0.7 |
◇ 기금 | 197.7 | 196.5 | 11.3 | 158.2 | 80.0 | 80.5 | 218.4 | 13.0 | 168.3 | 77.1 | 1.7 | 10.1 | △3.0 | △3.4 |
◇ (사보기금*) | 69.5 | 72.0 | 5.9 | 60.7 | 87.3 | 84.3 | 76.6 | 6.5 | 65.3 | 85.2 | 0.6 | 4.6 | △2.1 | 0.9 |
◇ 세입세출 외 | - | 1.0 | 0.1 | 0.8 | - | 76.4 | - | - | 0.3 | - | △0.1 | △0.5 | - | - |
□ 그 결과, 10월 누계 통합재정수지는 △30.5조원 적자이며, 사회보장성기금수지 45.2조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75.7조원 적자이다.
(단위: 조원, %, %p)
| ’23년 | ’24년(잠정) | 전년동기 대비 |
본예산 (A) | 결산 (B) | 10월 (C) | 10월 (누계, D) | 진도율 | 본예산 (G) | 10월 (H) | 10월 (누계, I) | 진도율 (J=I/G) | 10월 (H-C) | 누계 (I-D) | 진도율 |
예산 (E=D/A) | 결산 (F=D/B) | 예산 (J-E) | 결산 (J-F) |
□ 총수입(A) | 625.7 | 573.9 | 56.1 | 492.5 | 78.7 | 85.8 | 612.2 | 59.3 | 498.7 | 81.5 | 3.1 | 6.2 | 2.7 | △4.3 |
□ 총지출(B) | 638.7 | 610.7 | 35.4 | 502.9 | 78.7 | 82.3 | 656.6 | 36.9 | 529.1 | 80.6 | 1.4 | 26.3 | 1.9 | △1.8 |
□ 통합재정수지 (C=A-B) | △13.1 | △36.8 | 20.7 | △10.4 | - | - | △44.4 | 22.4 | △30.5 | - | 1.7 | △20.0 | - | - |
□ 사보기금수지(D) | 45.1 | 50.3 | 2.3 | 41.8 | - | - | 47.2 | 11.3 | 45.2 | - | 9.0 | 3.4 | - | - |
□ 관리재정수지 (E=C-D) | △58.2 | △87.0 | 18.4 | △52.2 | - | - | △91.6 | 11.1 | △75.7 | - | △7.3 | △23.5 | - | - |
□ 10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전월 대비 6.8조원 증가한 1,155.5조원이다.
(단위: 조원)
| ’23년 | ʼ24년(잠정) |
결산 | 본예산 | 9월 | 10월 | 전월대비 | 전년말대비 |
□ 중앙정부 채무* | 1,092.5 | 1,163.0 | 1,148.6 | 1,155.5 | 6.8 | 63.0 |
◇ 국채 | 1,091.1 | 1,161.7 | 1,147.2 | 1,154.1 | 6.8 | 63.0 |
(국고채권) | (998.0) | (1,046.0) | (1,056.0) | (1,062.4) | (6.4) | (64.4) |
(국민주택채권) | (81.6) | (83.7) | (79.9) | (79.9) | (△0.0) | (△1.8) |
(외평채권) | (11.5) | (32.0) | (11.3) | (11.8) | (0.4) | (0.3) |
◇ 차입금 | 1.2 | 1.2 | 1.2 | 1.2 | - | - |
◇ 국고채무부담행위 | 0.2 | 0.2 | 0.2 | 0.2 | - | - |
* 지방정부 채무는 연 1회 산출, 월간 재정동향에는 중앙정부 채무만을 산출·공개
□ ’24. 11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7.8조원이다.(경쟁입찰 기준 6.1조원)
ㅇ 11월 국고채 금리*는 美 대선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의 되돌림, 우리나라 내년 경기전망에 대한 우려, 11월 금통위에서 한은의 깜짝 금리인하 등 영향으로 전월 대비 △30bp이상 하락하였다.
* 3년물(%, 기말): (’24.5) 3.452 (6) 3.182 (7) 3.004 (8) 2.953 (9) 2.811 (10) 2.936 (11) 2.607
10년물(%, 기말): (’24.5) 3.578 (6) 3.266 (7) 3.064 (8) 3.088 (9) 2.904 (10) 3.100 (11) 2.751
ㅇ 1~11월 국고채 발행량은 156.2조원으로 연간 총 발행한도의 98.6%
- 11월 조달금리는 2.90%로 전월(2.93%) 대비 하락,
응찰률은 332%로 전월(337%) 대비 하락
ㅇ 한편, 11월 외국인 국고채 순투자는 △0.0조원으로 소폭 순유출되었다.
(단위: 조원, %)
| ’22년 | ’23년 | ’24년 | | | | | | |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 발행잔액 | 937.5 | 998.0 | 1,066.7 | 1053.3 | 1,052.9 | 1,066.2 | 1,074.6 | 1,056.0 | 1,062.4 | 1,066.7 |
□ 발행액 | 168.6 | 165.7 | 156.2 | 18.5 | 18.3 | 15.8 | 11.8 | 10.8 | 9.9 | 7.8 |
□ 평균 조달금리 | 3.17 | 3.57 | 3.23 | 3.48 | 3.30 | 3.15 | 2.89 | 2.93 | 2.93 | 2.90 |
□ 평균 응찰률 | 275 | 271 | 321 | 324 | 310 | 300 | 312 | 318 | 337 | 332 |
외국인 국고채 | 보유잔액 (순투자) | 192.9 (+28.9) | 219.5 (+26.5) | 241.8 (+22.1) | 226.9 (+4.5) | 227.0 (+0.1) | 231.7 (+4.6) | 235.3 (+3.6) | 238.0 (+2.7) | 241.9 (+3.9) | 241.8 (△0.0) |
보유비중 | 20.5 | 22.0 | 22.7 | 21.5 | 21.6 | 21.7 | 21.9 | 22.6 | 22.8 | 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