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e: 영어에서는 be 동사의 불규칙 활용 중 한 형태, 일본어에서는 '저것'을 뜻한다.
ate: 영어로는 '먹었다'의 의미이며, 일본어로는 '닿음', '목표', '방법'을 뜻하고, 타갈로그어로는 '누나', '언니'를 뜻한다.
bane: 영어로는 골칫거리, 일본어로는 스프링을 뜻한다.
dame: 영어, 프랑스어로는 여사 또는 부인을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안돼', '영 좋지 않음'을 뜻한다. 스페인어로 dame(일본어와 비슷하게 다메라고 읽는다)은 '나에게 주어라'라는 2인칭 명령형이다.
dare: 영어로는 엄두를 내다는 뜻이나 일본어로는 누구라는 뜻이다.
hare: 영어로는 토끼, 일본어로는 맑음.
made: 영어로는 make의 과거·과거분사 형태이며, 일본어는 '~까지'의 의미이다.
make: 영어로는 '만들다'지만, 일본어로는 패배를 뜻한다.
mane: 영어로는 갈기, 일본어로는 흉내를 뜻한다.
mare: 영어로는 말 암컷, 다른 행성의 바다를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드물다는 뜻.
mase: 영어로는 '전파를 내뿜다'를 의미하며, 일본어로는 울타리를 뜻한다.
name: 영어로는 이름, 일본어로는 미끄러움을 뜻한다.
sage: 영어로는 '슬기롭다', 샐비어를 뜻하고 일본어로는 '내려감'을 뜻한다.
same: 영어로는 '같다'라는 의미이나, 일본어에서는 상어를 뜻한다.
sane: 영어로는 제정신이라는 의미이며, 일본어로는 중심부를 뜻한다. 한국어로는 가수의 이름으로 쓰인다.
take it easy: 영어로는 진정하란 뜻이지만, 일본어로는...
tame: 영어로는 '길들이다', 일본어로는 '~ 때문', '~를 위한 것', '모아 두는 곳'의 의미.
tare: 영어로는 중량을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늘어트리다라는 의미이다.
ware: 일본어에서는 1인칭 표현의 일종이지만, 영어에서는 의복 또는 제품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어밴던웨어, 베이퍼웨어등).
역시 영어-일본어 사이에서 볼 수 있는 가짜동족어. 일본어로는 -이-에 식으로 발음하며, 영어는 위처럼 자음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ire: 영어로는 분노, 일본어로는 '넣는 것'. 한국어로는 7일을 뜻한다.
hire: 영어로는 '빌리다'를 뜻하며 일본어로는 지느러미를 뜻한다.
mime: 영어로는 무언극, 일본어로는 외모, 체면이라는 의미이다.
mine: 영어로는 '나의 것', '광산'이라는 뜻이나 일본어로는 '봉우리' 또는 '칼등'을 뜻한다.
mise: 영어로는 '협약', 일본어로는 가게.
shine: 영어로는 '빛나다', 혹은 '빛', 일본어로는 '죽어라'(!!)라는 의미이다. 명탐정 코난에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다.
이도 역시 영어-일본어 사이에서 볼 수 있는 가짜동족어. 일본어로는 -오-에 식으로 발음하며, 영어는 여기서도 자음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dore: 영어로는 금색, 일본어로는 '어느 것'를 뜻한다.
hone: 영어로는 연마하다, 일본어로는 뼈를 뜻한다.
more: 영어로는 '더 많은', 일본어로는 '빠짐', '물이 샘' 등을 뜻하고, 한국어로는 이틀 뒤를 나타내는 말이다.
some: 영어로는 '약간', '조금의'를 뜻하나 일본어로는 염색을 뜻한다.
sore: 영어로는 고통 또는 질환, 일본어로는 '그것'을 뜻한다.
tome: 영어로는 책, 일본어로는 '멈춤'을 뜻한다.
고미: 한국어는 반자의 일종이지만, 일본어 ごみ는 '쓰레기'라는 뜻이다.
고어: 한국어는 '옛말(古語)'이라는 뜻이지만, 영어 gore는 잔인성과 그에 따른 공포감 및 혐오감을 뜻한다.
네가: 한국어는 2인칭에 주격조사가 들어간 단어이지만, 영어와 스페인어 nigga는 흑인 밖의 다른 인종이 쓰면 인종차별 단어가 된다.
노루: 한국어로는 사슴과의 동물을 의미하지만, 일본어 のる는 '자동차나 버스 등을 타다'라는 의미이다.
니가와: 한국어는 '니가 오라'라는 뜻이고, 일본어 にがわ는 하천 이름이다.
더미: 한국어는 뭔가가 쌓인 것을 가리키고, 영어 dummy는 모조품 등의 뜻이 있다.
동글: 한국어는 동그라미나 공처럼 생긴 것을 나타내는 형용사처럼 쓰이지만, 영어 dongle은 USB 메모리 같은 하드웨어의 일종을 가리킨다.
미르: 한국어는 '용'의 순우리말이고, 러시아어 мир는 '평화, 세계'를 의미한다.
바다: 한국어는 육지 밖에 물로 이루어진 부분(海)을 뜻하지만, 러시아어 Вода는 단순히 '물(水)'이란 뜻이다. 참고로 술 '보드카'의 어원으로, 러시아인의 술사랑을 알 수 있다.
빈둥: 한국어는 '빈둥거리다'의 어근이지만, 중국어 宾东(bīndōng)은 손님과 주인이라는 뜻이고, 독일어 bindung은 영어 binding(바인딩)과 같은 뜻이다.
사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로는 탄산음료를 의미하지만, 영어로는 사과주라는 뜻이 있고, 아랍어로는 행복을 뜻한다.
사이코: 한국어에는 영어의 psycho와 같이 '정신병자'라는 뜻이 있지만, 일본어 さいこう는 최고, 채광 등의 뜻이 있다.
상가: 한국어는 '물건을 사서 파는 집', '장례를 치르는 집' 등의 뜻이 있고, 스페인어 zanga는 카드놀이의 한 종류를 가리킨다.
섰다: 한국어는 도박의 일종이지만, 우즈베크어 sodda는 '쉬운', '단순한'이라는 뜻이다.
시치미: 한국어는 이름 또는 주소를 적어 매의 꽁지나 발목에 매는 것이지만, 일본어 しちみ는 향신료이다.
씨발: 한국어는 심한 욕으로 쓰이지만, 프랑스어 scybales는 설사를 뜻한다.
아뇨: 한국어는 '아니오'의 준말이지만, 스페인어 año는 1년을 뜻한다.
어필: 영어 appeal은 '흥미를 불러일으키거나 마음을 끄는 것' 또는 '선수가 심판에게 판정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는 일(어필 플레이)'을 의미하지만, 한국어는 '임금의 글씨(御筆)'라는 뜻이다.
위치: 한국어는 location/position 같은 장소의 뜻이고, 영어로는 which(관계대명사)나 witch(마녀)를 가리킨다.
자위: 한국어는 '스스로를 위로함' 또는 '성기를 자극해 성적 쾌감을 얻는 행위' 등의 뜻이 있지만, 중국어 驾驭(jiàyù)는 다스리는 것을 의미한다.
제일: 한국어는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第一)'이라는 뜻이지만, 영어 jail은 '범죄자를 가두는 곳(교도소)'이라는 뜻이다.
짱: 한국어는 '제일', '최고'의 뜻으로 쓰이지만, 일본어 'ちゃん'은 인명 뒤에 쓰는 친근감을 주는 호칭이다.
하나: 한국어는 '수효를 세는 첫 수'를 의미하지만, 일본어 はな는 '꽃' 또는 '코'라는 뜻이다.
하루: 한국어는 '한 낮과 한 밤이 지나는 동안'을 의미하지만, 일본어 はる는 첫째 철인 '봄'을 가리킨다.
일본어에는 훈독이란 게 있다보니 일본어의 고유명사가 한국어나 중국어의 한자어 명칭과 우연히 한자가 같아 가짜동족어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어원, 글자가 같더라도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는데, 이는 조금 다른 경우에 해당하므로 여기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아래 경우는 일본어 고유명사의 한자 표기가 다른 한자 명칭과 우연히 일치하는 경우이다.
甘田: 한국어는 부산광역시의 지명 '감전'이지만, 일본어는 시카 정의 지명 '아마다'이다.
金谷: 한국어는 지명 '금곡'. 일본어는 일본의 성씨나 지명을 의미하는데, 읽는 방법이 다양하다. 보통은 '카나야'로 가장 많이 읽히며, 카나타니, 카네야, 카네타니, 킨야, 킨타니로도 읽힌다.
金玉: 한국어는 '김옥'이라는 남북한의 인명 또는 '금옥'이라는 북한의 철도 이름이지만, 중국어는 명나라 군사 장교 이름 '찐위'이고, 일본어는 '카나다마'나 '카네다마'라는 일본의 요괴 이름 또는 '콘교쿠'라는 일본의 포크 그룹 이름이다. 보통명사 金玉은 금구슬여기 참조.
大谷 : 한국어는 경기도나 대구광역시의 지명 '대곡'(경기도 고양시 대곡,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이지만, 일본어는 '오타니'라는 성씨 및 지명이다.
氷上: '히카미'라는 일본의 성씨이자 지명인데 얼음 위를 뜻하는 '빙상'과 한자가 같다. 이 때는 '효죠'라고 읽는다.
山本: 한국어는 경기도의 지명 '산본'이지만, 일본어는 '야마모토'라는 성씨이다. 그래서 산본신도시 건설 당시부터 가끔가다 뭘 모르는 시민단체들한테 항의가 들어온 적이 있으나, 문헌 판독 결과 조선 정조 때에도 있던 지명이다.
安平: 한국어는 한국의 지명 '안평'이며, 중국어는 중국의 지명 '안핑'이다. 일본어 역시 일본의 지명을 의미하기는 하는데, '아비라', '야스히라'로 읽힌다.
元山: 한국어는 북한 강원도의 지명 '원산'이지만, 일본어로는 시코쿠 카가와현 다카마쓰시의 정 이름이다. 복거일의 소설 비명을 찾아서에서는 원산을 '모토야마'로 훈독하는 장면이 나온다.
仁川: 한국어는 지명 '인천'이지만, 일본어는 '니가와'라는 하천 이름이다.
竹田: 한국어는 경기도나 대구광역시의 지명 '죽전'이지만, 일본어는 일본의 지명 '타케타', '타케다'이다. 참고로, '대밭'이라는 의미일 때는 '타케야부'라고 읽으며, '타케타'와 '타케다'는 그대로 번역하면 '대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