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사[infinitive], to가 내 얼굴이다
1. 개념
부정사[in[不]finite[定]ive[詞]]란 영어를 그대로 옮겨 만든 말입니다. 정해진 모습이 없는 말이란 뜻입니다. 동사는 주어, 수[number-단수,복수], 인칭[person], 시제[tense]가 다르면, 어미가 달라지거나 형태가 바뀌는데, 동사의 핏줄을 가진 부정사는 그런 규제를 받지 않은데서 붙여진 이름이지요.
다시 말하면 부정사는 주어로 누가 오건 태어난 모습 그대로 문장 속에 들어가 제 일을 묵묵히 해내는 충직한 일꾼이며. 동사의 피가 흐를 뿐 부정사는 동사가 아닙니다.
부정사 종류는 'to 부정사[to-infinitive]'와 'to 없는 부정사[bare infinitive/root infinitive]' 두 가지다
부정사는 문장에 들어가 명사, 형용사, 부사로 탈바꿈한다.
부정사는 동사가 아니므로 끝에 -s, -es, -ed, 혹은 -ing를 붙이지 않는다.
부정사는 동사에서 비롯되었으므로 동사처럼 보어, 목적어 수식어를 동반한다.
부정사구와 전치사구
부정사구는 to+ 원형동사 형태이지만,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s]는 to + 명사 상당어[명사/대명사]가 붙어 서로 다릅니다.
부정사구: to fly, to draw, to become, to enter, to stand, to catch, to belong
전치사구: to him, to the committee, to my house, to the mountains, to us, to this address
동사의 사촌, 준동사
영문법엔 동사출신들이 셋 있는데 이 셋을 가리켜 준동사[準[평평할 준]動詞/verbals]라고합니다.
부정사
| 동명사
| 현재분사
| 과거분사 |
to play
| playing
| playing
| played |
to chose
| choosing
| choosing
| chosen |
to build
| building
| building
| built |
to grow
| growing
| growing
| grown |
명사/형용사/부사
| 명사
| 형용사/부사
| 형용사/부사 |
원형동사 앞에 -to를 불러와, 명사, 형용사, 부사 노릇을 하는 부정사- infinitive,-ing와 -ed[규칙적으로 변하는 동사]와 여러가지 꼬리[불규칙적 변하는 동사]를 붙여, 형용사, 부사로 탈바꿈하는 분사-participle, 그리고-ing 꼬리를 붙여 명사로 둔갑하는동명사-gerund가 그들입니다.
동사는 주어, 보어 목적어 그리고 꾸밈말 등을 이끌고 다니는데 이들도 동사에서 왔으므로 비록 모습이 바뀌었지만 주어, 보어, 목적어 그리고 꾸밈말 등을 이끌며 동사의 기본적 기능을 유지한 채 다른 임무를 수행한답니다.
♦부정사의 속성
부정사의 속성을 비현실성, 추상성, 미래성으로 설명하는 사람도 있어요. 동사이지만 누가 언제 무엇을 실행하는가를 분명히 밝히지 않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붙여진 거지요.
I wanted to see her.
'난 그녀를 만나고 싶었다.'에서 아직 만난게 아니므로 미래성이며, 그녀를 구체적으로 만났다는 게 아니므로 추상성/비현실성이라고 따질 수있겠지요.
더나가기
문법 책에 원형동사[the root of a verb]/동사의 기본형(원형)[the bare(base) form of a verb]/원형부정사란 말이 쓰이고 있습니다. 원형동사는 동사의 원형과 같은 말이며, 원형부정사란 'to없는 부정사'이므로 원형동사라 할 수 있으므로 셋의 형태는 같다고할 수 있답니다. 그러나 부정사는 목적어나 수식어를 동반하는데 반하여, 동사의 기본형/동사의 원형은 그들과는 상관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2. 부정사의 종류
2.1 to있는 부정사
to 있는 부정사는 바로 이 부정사 편에서 다루고있죠?
2.2 to없는 부정사[원형부정사]
지각동사/사역동사 +목적어+ to없는 부정사
동사편의 불완전 타동사를 참고 하세요.
I saw her sing a song.
She was seen to sing a song by me. 수동태로 전환되면 to가 살아만.
She made him get out.
He was made to get out by her. 그녀는 그를 밖으로 내 쫓았다.
Let me do it.
I wanted him to come. Tell him to come immediately. 같은 형태의 구문에서 want/tell은 동사가 올 때 'to있는 부정사가 온다.
다음과 관용어엔 언제나 to없는 부정사를 사용합니다.
I'd throw it away rather than give it to him. 그걸 그에게 주기보다는 버리겠다.
This machine can do everything but talk. 이 기계는 말만 못하지 다 한다.
My parents do nothing but complain. 내 부모님은 으례 불평만 하신다.
You had better go home. 집에 가거라.
She cannot but laugh. 웃지 않을 수 없다.
There was nothing to do but (to) wait. 기다리는 수 밖에 없었다.
3. 부정사의 용법
3.1 명사적용법-noun infinitive
부정사가 주어자리, 보어자리, 전치사/동사의 목적어자리, 동격자리-appositive에 들어가 명사처럼 쓰이는 걸 말합니다. 거꾸로 말하면 주어자리, 보어자리, 전치사/동사의 목적어자리, 동격자리는 명사가 가능하다는 말이죠.
3.11 주어 자리
To go overseas on your own is very brave.너 혼자 해외여행하는 일은 용기있는 일이다.
To save money for a rainy day is a good idea. 어려운 날을 대비해서 저축하는 일이야 좋은 생각이지.
To eat solid foods is hard for babies.아기들이 딱딱한 음식을 먹는 건 힘들다.
Not to be swayed by rumors can be a good way of investment in stocks. 소문 따위에 흔들리지 않는 게 주식투자의 훌륭한 방법이다.
3.12 보어 자리
A fun thing is to play.주격 보어자리. 노는 건 즐거운 일이다.
I know her to be honest.목적격 보어자리. 내가 알기론 그녀는 정직하다.
The authorities know him to be (= know that he is) a cocaine dealer.당국은 그가 코캐인을 파는 녀석인 걸 알고있다. 목적격 보어자리
Your theory appears to be sound.너의 이론은 적절한 것 같다.
Jane's ambition is to pass the state bar exam. 제인의 야망은 사법고시에 합격하는 일이다.
Danny and she invited her to go to the hockey game.
The salesperson advised us to buy right away.
He forced them to flee.
3.13 목적어 자리
I like to play baseball.
I want to eat and [to]sleep. 난 먹고 자고 싶다. 두 번째 'to'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Small children like to play in sand piles and eat goodies.꼬맹이들은 모래더미에서 놀며 과자 먹는걸 즐긴다.
Never try to tangle with an angry policeman.화난 경찰과 죽어도 다투지 않도록 해
I can't wait to see you. 널 무척 만나고 싶다.
3.14 동격 자리
to 부정사가 주어, 보어, 목적어 다음에 컴머를 찍고, 주어, 보어, 목적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일을 합니다. 동격이므로 앞 말을 없애도 문장의 자격엔 이상이 없습니다.
My dream, to travel, never happened. 내 꿈,여행하는것은, 결코 이뤄지지 않았다. '내 소원' 다음에 '여행하기'를 두었는데, 'to travel'이 없으면, 'My dream'이 무엇인지 알 수없겠지요? 이렇게 동격은 주어,보어, 목적어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요.
I only desired one thing, to forgive you and to forget our differences.내가 바라는 건 한 가지, 너를 용서하고 우리의 다른 점을 잊는 거다.
My wish, to visit the Grand Canyon, has happened.그랜드 캐년을 방문해야겠다는 내 소원이 이뤄졌노라.
3.15 전치사 목적어자리
전치사 목적어 자리에 부정사는극소수의 관용적-idiomatic인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 들어올 수 없답니다. 명사적으로 쓰이면 다 들어갈 수가 있어야하는데 이상하지요.
관용어란 다른 말로 숙어라고도하는데, 사람사이에서 습관적으로 익숙해진 말이며 문법에서 벗어난 경우가 흔하고 낱말 자체로는 그 뜻을 헤아릴 수 없는게 특징입니다.
I want nothing but to save. 전치사 'but'의 목적어 자리.
The government has few options except to keep interest rates high.정부는 고이자율 유지 이외의 다른 방도가 없었다.
She knows better than to believe him.그 여자는 영리해서 그를 믿지 않았다.
She has no choice/alternative but to accept the offer.그녀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There is nothing for it but to apologize to her. 그녀에게 사과할 수밖에 없었다.
3.16 의문사(question-words)+ to + do, 명사적 용법
영어에 충고나 조언을 요청할 때 이런 3가지 표현방법이 있답니다.
How should I fix it? 이걸 어떻게 고치지? 직접 묻는 경우로 직접 화법이라한다.
He wanted to know how he should fix it. 그는 어떻게 고치는지 알고 싶어했다. 그의 이야기를 전하는 경우로 간접화법이라합니다.
He wanted to know how to fix it. 그는 어떻게 고치는지 알고 싶어했다. 위의 문장을 '의문사+to+do'의 형태로 바꾼 경우입니다.
'know how to fix it'에서, 'know'는 '~을 알다'의 뜻으로 '~'자리에 대상(목적어)이 있어야 의미가 통하느데 이렇게 대상이 있어야 비로소 뜻이 살아나는 동사를 타동사라 합니다.
그 자리에 'how to fix it'가 들어가 있지요? 곧 명사만이 가능한 목적어 자리에 있으므로 명사로 쓰였다고 할 수 있죠? 이 게 'to fix'라는 부정사가 들어 있으니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라는 겁니다.
이렇게 쓰이는 동사무리는 tell, ask, know, understand, show, wonder, decide, forget, explain, wonder등입니다.
Do you understand what to do? = Do you understand what you should do?
Show me how to change the flat tire. =Show me how I should change the flat tire.
I don't know whether to go to the party or not
Have you decide where to go for your holidays?
3.17 가주어/가목적어 -introductory it
가주어란 영어로 'introductory it[서두의 it/도입의 it]' 이라하는데, 인칭 대명사'it'을 부르는 말이며 'it'의 용법 가운데 하나 입니다.
가주어란 결국 일종의 허수아비이며, 진짜주어는 'to 부정사' '~ing' 'that혹은 의문사 절'의 형태로 문장 뒤에 나오게 됩니다.
물론 'it'은 우리말로 그것이라하지 않고 It을 세워두고 뒤로 옮긴 말-진주어로 풀이해야 됩니다.
이 게 왜 생겨났을까요? 주어는 긴 걸 꺼린 경향이 있다라고 추측해 볼 수 있겠지요.
3.18 가주어-it+ 동사 + 보어 +to inf. /wh-/that~/~ing
It was kind to help us.←To help us was kind.부정사를 대신 한 'it'. 친절하게도 그는 우릴 도왔다.
It is nice meeting you ←Meeting you is nice.동명사를 대신 한 'it'.
It's a shame that he didn't come.← That he didn't come was a shame. that절을 대신 한 'it'.그가 오지 않았다니 부끄런 일이다
It's clear why the unions distrust the law.←Why the unions distrust the law was clear. 의문사절을 대신 한 'it'.노조가 그 법안을 불신한 이유는 명백하다.
아래 예문은 it 다음에 나오는 여러 동사들입니다. It 쓰임새가 여러가지이고 그 가운데 가주어를 식별해내는 일은 퍽 중요하므로 이런 구문을 익혀두는 게 도움이 됩니다.
It shocked me that he had a car accident. 이 그가 교통사고를 당해서 난 충격 받았다.
It always pleases him to think of his father.아빠 생각만하면 그는 기쁘다.
It seemed that he would keep his promise.그는 약속을 지키는 사람 같다.
It hurts to breathe. 숨 쉬는 게 아프다.
It was not known who was behind the attack. 그 공격의 배후가 누구인지 알려진게 없다.
It used to be a crime to help a slave escape. 노예 탈출을 도운건 범죄 였었지.
It sounds to me as though you've tried your best.내겐 네가 최선을 다한 것같다.
It takes courage to face the unknown. 알지 못하는 자들과 맞부디치는 건 용기가 필요하다.
It's no use asking him.
3.19 가목적어
동사+it+ that/wh-/to inf./ +as
Rumors has it that he is still alive. 그가 생존한다는 소문이 있다.
I really hate it when you cry like that. 니가 그렇게 우는 게 증말 싫다.
I can't stand it when you expect me to give up my friends for you.너 때문에 친구를 저버리라는 걸 견딜 수없어.
I owe it to my country to fight for what's right.정의를 위해 싸우는 건 조국 덕이다
I regard it as a compliment when people call me aggressive. 내가 적극적이라는 건 칭찬으로 간주한다.
I make it a rule to jog early in the morning. 난 규칙적으로 아침 일찌기 달리기를 한다.
I'll see to it that it never happens again. 그런 일이 다신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 하겠어요.
You will find it very nice taking a walk in the morning.
동사+it+형용사/명사+/that/wh-/to inf./
I found it disheartening when the dogs were sold.개를 팔고 난 가슴이 아팠다.
I think it best if you leave at once.
I believe it possible to negotiate with them for the matter.
They took it for granted that I would follow her.
He had made it clear that he did not have marriage in mind.
I did not feel it necessary to tell him about that.
I would consider it a favor if you would ask me home again next weekend.
더나가기
목적어가 긴 명사구는 가목적어 'it'을 사용하지 않고 목적어를 뒤로 옮긴다.
즉 부정사구, 절, 동명사구 등이 목적어로 오지 않았으나 목적어가 길면 가목적어 'it'을 사용하지 않으며 균형상 목적어를 보어 뒤로 옮깁니다.
They found peculiar his method of teaching arithmetic. =They found his method of teaching arithmetic peculiar.
Her careful effort made possible the healthy recovery of the orphans .= Her effort made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orphans possible
Her effort made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orphans possible.
♠ 부정사구[infinitive phrase]
To eat solid foods is hard for babies. 두 낱말이 어우러진 'To eat solid foods'은 부정사구라 부르겠지요? 그런데 'to eat'는 제 자신의 목적어 'foods'와 함께 문장의 주어로써 봉사하고있지요?
3.2 형용사적 용법-adjective infinitive
형용사란 명사를 꾸미는 일을 하는데 부정사가 마치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면 이를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라합니다.
3.21 한정적[제한적 /꾸미는]용법
형용사가 명사 앞에서 명사를 설명하는 것처럼, to-inf.가 명사 뒤에서 명사를 설명할 때 이를 형용사 용법이라합니다.예문을 살핍니다.
I have nothing to lose.
아무것도 잃을 것 없다. 붉은 카핏 'a red carpet'의 형용사 'red'이 카핏을 구체적으로 설명 해주듯, 부정사 'to lose'는 'nothing'이라는 명사를 '잃어버릴 어떤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형용사와는 달리 뒤 쪽에 붙어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She has three children to baby-sit.
그 여자는 애들 셋을 돌봐준다. 어떤 아기들인가? '돌봐줘야하는' 애기들이다라는 거죠.'to baby-sit'라는 부정사가 'three children'이 어떤 애들인가를 뒤에서 해설해주고 있는데, 이런 경우를 한정적[제한적]용법이라합니다. 한정적 용법이라는 것은 여러 아이들 가운데, '돌봐 주는 애들'만이라고 제한을 해버린다는 겁니다.
He hasn't the experience to handle the job.
I couldn't find a drop to drink.
한정용법의 수동형
대부분 수동 능동 두 가지 형태로 쓰이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그 읨가 변함 없습니다.
There are cards to send. → There are cards to be sent.
I have/want/have got letters to write.→능동만 가능하다.
아래 두 동사는 주로 수동으로 쓰입니다.
You are to blame. 니 책임이다
This house is to let. 이 집은 세 놓습니다.
명사+ to inf.의 4 가지 관계
명사 바로 뒤에 오는 부정사의 관계는 3 가지로 구분됩니다. 형태가 같지만 동일하게 쓰이고 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명사가 부정사의 주어가 될 때
의미상의 주어[sense subject]란 으뜸주어와는 달리 주어는 아니지만 뜻을 헤아릴 때 주어처럼 행동한다고 붙여진 명칭입니다. 의미상의 주어는 뒤에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I told the boy to go home. 난 그 애가 집에 가라고 말했다.'boy'와 'go' 관계는 'the boy가 집에 가는 것'이므로, 'boy'가 'go'의 주어 노릇을 하고있습니다. 이 때 'to go' 의 의미상 주어가 'boy'라고 합니다.
'to go home'은 형용사구이므로 절로 바꾸면 형용사절이 되며 형용사절을 이끄는 것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꿔 쓸 수있습니다.
I told the boy who should go home.
He has no relatives to help him. 그는 그를 도와줄 친척이 없다.
'relatives'와 'help' 관계는 '친척이 도우는 것'이므로, 'relatives'가 'help'의 주어 노릇을 하고있습니다. 이 때 'to help' 의 의미상 주어가 'relatives '라고 합니다.
'to help him'은 'relatives'라는 명사를 설명해주므로 형용사구이며, 이를 절로 바꾸면 형용사절이 되고, 형용사절을 이끄는 것은 관계대명사이므로,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꿔 쓸 수있습니다.
He has no relative to help him.→He has no relatives that will help him.
또 다른 예문들입니다.
She doesn't have a man to love her.→She doesn't have a man who love her.
She is not a woman to leave us behind.→She is not a woman who would leave us behind.
명사가 부정사의 목적어일 때
She doesn't have a man to love her.→She doesn't have a man who love her.그녀를 사랑해 줄 남자가 없다.
She doesn't have a man to love.→She doesn't have a man who(m) she loves.그녀가 사랑할 남자가 없다.
위 아래 문장의 형식상 차이점은 'love'의 목적어가 있음 과 없음의 차이입니다. 그러나 위문장 '사랑하다'의 의미 주어는 '한 남자'이지만, 아래 문장은 'love'의 의미 주어는 멀리 떨어진 'she'입니다. 아래의 'a man'은 'have'와 'love' 두 동사의 공통목적어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뒷 문장은 설명 받는 명사 a man이 부정사의 의미 주어 역할을 하는게 아니라 부정사의 목적어 역을 하고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두 문장으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a) She doesn't have a man.
b) She loves a man. 따라서 다음 문장이 가능하게됩니다.
→ She doesn't have a man who(m) she loves.그녀가 사랑할 남자가 없다.
I have homework to do this afternoon. 나는 오늘 오후에 숙제할 게 있다. →I have homework which I will do this afternoon.
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때
We need the chairs to sit on.
위 문장을 보면 'chairs'와 'sit'의 관계는 '의자가 앉다'는 건 어색하나, '의자에 앉다'라는 의미가 통하는 걸 보면 'chairs'와 'sit'관계는 '주어와 동사의 관계'가 아니라 '동사와 목적어의 관계'라 할 수있습니다.
그런데, sit은 자동사이므로 'to sit chairs'는 불가능하여, '전치사가 따라야 목적어 'chairs'를 가져올 수 있는데, '~에' 알맞는 장소 전치사는 'on'이므로 'to sit on the chairs'라 할 수 있습니다.
곧 부정사의 형용사 용법은 형용사구이며, 형용사구는 관계대명사를 이용해 형용사 절로 바꾸어 확인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We need the chairs. We will sit on the chairs.
→We need the chairs which we will sit on
→We need the chairs on which we will sit.
→We need the chairs we will sit on
전치사 목적격은 생략이 가능해서 다음처럼 바꿔쓸 수 있음
→We need the chairs to sit on.
→We need the chairs on which to sit.
전치사 목적격을 생략하지 않았을 대의 문장임.
He has a sick uncle. He should wait on him.→ He has a sick uncle whom he should wait on.→He has a sick uncle to wait on.
She has not a house to live in. 살아갈 집이 없다.
The house has a room with nothing in it except a hammock to sleep on.그 집엔 잠잘곳이란 끈침대 하나 놓인 방이하나 있었다.
She needs someone to rely on.믿을 사람이 필요하다.
I don't have a saw to cut the log with. 그 통나무 자를 톱이 없다.
This skirt has no pocket to put things in. 치마엔 뭘 넣어둘 호주머니가 없다.
She has a lot of friends with whom to go shopping.
The children need more space in which to play.
This is a boring place in which to work.
I lacked the words with which to express her beauty.그녀의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었다.
→ I lacked the words with which I would express her beauty.→I lacked the words I would express her with beauty.
←I lacked the words to express her beauty with .
두번 째는 관계대명사로 다시 쓴 문장 이고, 세번 째는 관계대명사를 생략한 문장 입니다. 첫번째 문장과 마지막 문장을 비교해서 살피기바랍니다.
You have nothing of which to complain.불평할 것이 없다.
→You have nothing to complain of.
←You have nothing of which you will complain. 관계대명사 which는 목적격이므로 목적격을 생략하면 전치사는 뒤로 와서 두번 째 문장이 됩니다.
동격일 때
Keep your promise never to drink 술을 다신 마시지 않겠다는 네 약속을 지키라.
Keep your promise, never to drink →Keep your promise that you will never drink.
'promise'와 'to drink'의 관계를 따지면 '약속이 마시다'란 말은 있을 수 없으므로 주어와 동사관계가 아니며, '약속을 마시다'란 말도 있을 수 없으므로 동사와 목적어 관계가 아닙니다. 이런 관계를 동격-appositive 관계라 하는데, 동격은 그 앞 말-여기선 'promise'-의 불분명한 내용을 to-inf.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말을 덧붙인 것입니다.
표현 방법을 셋 보였는데, 첫번 째 건 형용사 용법이며, ','가 찍힌 두번 째는 명사적 용법이며, 세번 째 건 that 아래 문장이 완전하므로, 관계대명사가 아닌 접속사'that'으로 표현 한 경우입니다.
We do not have the moral right to impose our will on others.다른 사람에게 우리 의지를 강요할 도덕적 권리가 없다.
Sarah and Pete lacked the will to survive.새러와 피트는 살고픈 의지가 없었다.
3.22 서술적 용법
보어자리에 to-inf. 가 쓰이는 경우를 서술적 용법이라하는데 명사를 설명하는 일을 하는게 아니라 주어나 목적어가 '누구인가, 어떠한가, 무슨 일을 하는가'를 설명합니다.
이렇게 쓰이는 동사는 appear/seem/turn out (to be)/chance/happen /prove/pretend/tend/come /get/grow 등입니다. 그 예문을 익혀둬야합니다.
She appeared/seemed to hesitate.그 여잔 주저하는 듯 했다.
The diagnosis turned out/prove (to be) her worst nightmare. 진찰이 그 녀 최악의 악몽으로 판명났다.
I happened/chanced to look out the window. 문득 창밖을 내다보았다. *chanced to 문어적 표현입니다
Fruits tends to decay. 과일은 곧잘 썩는다.
He'd only pretended to be sleeping.그 사람만이 잠든 척 했다.
아래 문장은 to inf. 가 목적격 보어로 쓰인 경우입니다.
I knew her to be honest.
I told him to do his best.
Danny invited her to go to the hockey game.데니는 그녀를 하키 게임가자고 초대했다.
The salesperson advised us to buy right away.판매원은 즉각 사라고 추언했다.
He forced them to flee. 그는 그들을 도망치도록 강요했다.
come to/ get to /grew to do 가 모두 'become'의미로 쓰입니다.
How did you come to hear of it? 그거 어떻게 소식 들었어?
I never get to see her now that she's left the company. 그녀가 떠나서 결코 몰 수없겠군.
We grew to realize the situation.우린 그 상황을 깨닫게 되었다.
3.221 독해가 까다로운 be+ to do로 쓰일 때
구문을 익혀 당황하지 않도록해야 합니다.
He is to see her here.그는 그 여자를 이 곳에서 만나기로 되어있다.예정
Nothing was to be seen in the village except stray dogs.그 마을엔 길잃은 개 몇 마리외에는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가능
This medal is to honor the winner.이 메달은 이긴자를 위한 것이다.목적
You are not to speak in this room.이 방에선 말을 해선 안된다명령/의무
The young boy was never to see his home again.그 어린 소년은 두번 다시 고향에 돌아오지 못할 운명이었다.운명
If you are to win the race, you have to exercise hard.경주에 이기고 싶으면 더욱 연습해라.의도
3.3. 부사적 용법[adverb infinitive]
부정사가 동사의 동작이나 상태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어떤 조건으로, 어느정도로, 일어났으며, 존재했었는지를 설명할 때 이를 부사적용법이라합니다.
부사적 용법은 형용사적 용법보다 이해가 까다로운 건 없습니다. 여러 예문의 명칭은 독해할 때 어떻게 하느냐하는 지침일 뿐 기억할 필요는 없습니다. 문장을 읽고 그 뜻을 알면 그 뿐, 더 할일은 없는 거니까요.
3.31 문장 속에서 부사처럼 쓰일 때
The tiger tensed his muscles(in order/so as) to spring upon the goat.(목적) 호랑이는 염소에게 달겨들기 위하여 근육에 힘을 줬다.
I occasionally review my textbooks to sharpen my grammar skills. (목적)난 문법 실력을 갈고닦으려고 교과서를 가끔 다시본다.
I came not to destroy, but to fulfil. (목적)난 완수하러 온 거지 파괴하러 온 거 아니다We nailed plywood to the store windows to prepare for the storm.(목적)I am glad to have you here.(원인) 이 곳에 모셔서 기뻐요
I am sorry to hear that.(원인)듣고보니 안됬군요.→참, 안됬네요. (남의 불행에 대한 동정의 표현임)
아래의 구문들은 조심해야할 구문입니다.
우리에게 가장 귀익은 '~하려고/~할 목적으로'처럼 풀이를 하면 뜻이 이상하게 됩니다. 결과의 예문으로 등장하는 동사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He awoke early to find her disappear.
→He awoke and found her disappear.(결과)난 잠에서 깨어나 그리고 그여자가 없어진 걸 알았다.≠그녀가 없어진 걸 발견하러 일찍 일어났다.
She tried hard only to fail.
→ She tried hard, but failed.(결과) 정성으로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 오직 실패하기위해열심히 일했다.
My grandfather lived to be 88.(결과)할아버지는 88세가지 생존하셨다.
His son grew to be a engineer.(결과) 그의 아들은 성장해서 기술자가 되었다.
They parted never to see each other again.(결과)
We got home to find that the house had been burgled.(결과)
He lived to see his grandchildren happily married(결과).
He is stupid to say that.(이유) 그런 말을 하다니 어리석은 놈이다.다음과 같은 경우는 문장에서 만나면 무척 까다로운 경우입니다.
I would be happy to go with you.(조건) 너와 함께 간다면 기쁘겠다.
To do her best, she failed.(양보) 최선을 다했지만 그녀는 떨어졌다.
3.32 문장 속에서 형용사를 설명할 때
This program is very easy to use. 이 프로그램은 쓰기에 쉽다.
These old grammar books are very boring to read. 이 옛 문법책은 읽기 따분하다.
I find her amusing company to be with. 난 그녀가 함께 어울리기에 즐거운 사람으란 걸 알았다.
He's a very difficult person to get on with. 그는 어울리기 어려운 사람이다.
He was able to charm anyone. 그는 누구나 기쁨을 줄 수있는 사람이다
The problem was impossible to solve. 그 문제는 풀 수 없다.
I'm anxious to meet him 그가 무척 만나고 싶다.
3.33 문장 속에서 부사(구)를 설명할 때
He was too drunk to walk straight. 그는 너무 취해 똑바로 걸을 수 없었다.
←He was so drunk that he could not walk straight.
She was too intelligent a person to be taken in by that trick. 그 여잔 아주 영리해서 그 따위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았다
←She was so intelligent a person that she could not be taken by that trick.
← She was such a intelligent person that she could not be taken by that trick.
It's too early to give a definite answer. 분명한 대답을 하기엔 너무 이르다.
The ice was thick enough to walk on (it).
the ice 를 받는 on의 목적어는 생략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주어가 멀리 떨어져 있을 땐 it을 넣을 수도 있음.
←The ice was so thick that we could walk on it.
4. 독립 부정사
다른 동사에 구속됨이 없이 홀로 문장속에 떠돌아 다니며 독특한 의미를 지닌 일종의 부정사구를 말합니다.
to begin with. 우선 무엇보다도
What do scientists you've spoken with think about that?--Well, to begin with, they doubt it's goint ot work.
to be sure 분명히
to be honest . 솔직히 말해서
to tell the truth. 사실을 털어놓자면
to be short. 간단히 말해서
not to speak of/not to mention/to say nothing of~은 말할 필요도 없이[let alone]
to cut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말해서
so to speak 말하자면
strange/sad to say 이상한/슬픈 얘기지만
to say the least of it 기껏해야
5.부정사의 주어[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부정사는 동사의 혈통을 지녔으므로, 그 기능을 하려면 주어가 있어야합니다. 으뜸주어[본주어]가 으뜸동사의 동작을 실행하듯, 부정사의 주어는 부정사에 포함된 동사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으뜸주어와 구별해서 부정사의 주어 혹은 의미상의 주어라고 부릅니다. 의미상의 주어란 뜻으로 본 주어란 뜻이구요. 실제 주어는 따로 존재한다는 함춛ㄱ적 의미도 지니고있어요.
부정사의 주어는 for+목적격 형태로 바로 부정사 앞에 놓아 표시합니다.
For Apple to stay at the forefront of computer innovation it had to team up with a company able to deliver high powered performance in laptop computers. 애플 컴퓨터가 컴퓨터 혁신의 선두주자로 머물려면 휴대용 컴퓨터에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회사와 함께 일해야했다.
Notice that in the first sentence, we had to drop the "at" in order for the sentence to be grammatically correct. 첫 문장의 that을 눈여겨 보세요, 문장이 문법이 옳아야한다면 at을 없애야 합니다.
5.1 으뜸주어와 부정사의 주어가 같을 때
I wanted to see you. 난 널 만나고싶다. want나 부정사 see의 주어가 동일할 때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즉 I wanted for me to see you라 하지 않습니다.
I'll have to finish this report by tonight. 난 오늘 저녁까지 이 보고서를 끝내야한다.have와 finish 주어가 같으므로 to finish의 동작실행자를 표시하지 않았죠?
5.2 부정사의 주어가 목적어와 같을 때
I wanted them to wait.난 그들이 기다리길 원했다. want하는 사람은 I 이고 wait하는 사람은 they-want의 목적어입니다. for them하지 않고 목적어 그대로 wait의 주어가 표시됩니다.
I told her not to return the book. told하는 사람은 I 이고 return하는 사람은her, told의 목적어입니다. for her하지 않고 목적어 그대로 return의 주어가 표시됩니다.
5.3 for+ 목적격
For him to say that would mean instant dismissal. 그가 그런 얘길 한다면 즉각 해고의 사유가 될거다. to say 하는 사람은 he이죠?
To say that would mean instant dismissal. 이 문장에 to say부정사의 주어가 없는 건 왜그럴까요? 주어가 일반인 일 경우겠죠? 일반적인 논지를 펼 때는, 다시 말해 주어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거라면 표시하지 않습니다.
When you send files over to your server, for them to be seen by the entire Internet community, you send the files to a directory.
To swim in this reservoir is extremely dangerous.(누구라도) 이 저수지에서 수영하는 건 지극히 위험함. 저수지가 퍽 위험한 곳은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므로 부정사 to swim의 주어기 생략된 거랍니다.
That was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him to do. 그 일은 그가 하긴 가장 어려운 거다.
She had some sherry for us to drink.그 여자는 우리가 마시도록 셰리 포도주를 가자고있었다
It was too late for us to do anything about it.그 일에 우리가 뭘 한다는 건 늦었다
They argue that it is a great advantage for people to know more than one language.
5.4 of+목적격 부정사 주어 →판단의 of [judgment of]
kind rude cruel nice brave foolish silly stupid clever wise good bad careless polite mean[비열한] childish sensible intelligent sweet wicked[사악한] 등의 사람의 성질형용사가 it+be~와 결합하면 of+목적격으로 부정사주어를 표시합니다.
It was cruel of her to leave her sick husband. 잔인하게도 그녀는 남편을 떠났다.
→She was cruel to leave her sick husband. 위 문장을 of her 를 없애고 her의 주격she를 주어로 앞으로 옮겨놓은 문장입니다.
It was careless of you to say such a thing.
→You were careless to say such a thing.위 문장을of you 를 없애고 you의 주격you를 주어로 앞으로 옮겨놓은 문장입니다.
of+목적격 부정사 주어 이처럼 문장 전환이 가능합니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죠. It was careless of you to say such a thing.를 보면 careless한 사람이나 to say 한 사람이 모두 you입니다. 그래서 주어로 of you 를 you로 바꿔도 의미는 변하지 않스니다.
5.5 for+목적격 부정사 주어 구문변환
이번엔 for+목적격을 생각해보지요. 동일한 구문은 다음처럼 사용할 수 있겠죠?
It is hard for you to solve this math quiz. 너로서 수학문젤 푸는 건 어렵다
→This math quiz is hard to solve.
It is important for you to choose a major field of study carefully.전공분야를 신중히 선택하믐게 중요하다.
→A major field of study carefully is important for you to choose.
이 구문은 for you를 앞으로 빼내지 않습니다. It is important for you to choose a major field of study carefully 문장을 보면, choose하는 건 you이지만 important한 건 선택하는 일(to choose a major field of study carefully)이지 you가 아니므로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 구문은 부정사의 목적어나 부정사와 함께오는 전치사의 목적어가 주어로 빠져나올 수있게 됩니다.
티끌
For me to call her yesterday was a blunder.(×)
My calling her yesterday was a blunder.(Ο) 실제 일어났던 일은 부정사를 사용하지 않고 동명사를 사용함.
6.부정사의 시제
동명사
단순 부정사는 으뜸동사와 시점이 같고 완료부정사는 으뜸동사 시점보다 앞 섭니다.
대부정사와 분리부정사
대(代)부정사
부정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to 만 남긴 것입니다.
She would not let him shake hands with her, when he offered to (kiss her)
분리 부정사
to와 원형동사 사이에 부사가 올 때 이를 분리 부정사[split infinitive]라 하는데 으뜸동사를 꾸미는 게 아니고 부정사 속 동사를 꾸민다는 걸 확실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점과 일종의 강조 용법입니다.
To better understand the miners’ plight, he went to live in their district . To understand the miners’ plight better, he went to live in their district. 광부의 고통을 더 잘 이해하기위해 그들 지역에 기거하러 갔다.
We may also want to boldly? go where no one has gone before. We may also want to go boldly where no one has gone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