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두시
이서우(李瑞雨) 창 밖의 오동나무(悼亡室) _10
김민자의 붓 끝으로 읽는 시 도종환, 「님은 더 깊이 사랑하는데」_12
시에 시
김성태 바람을 동경하는 산책 외 1편 _14
성은주 포말하우트 외 1편 _18
이만섭 저녁 길 외 1편 _22
이은화 수미산 똥바다 외 1편 _25
김기홍 긴 말 외 1편 _28
이수진 소심한 가족 외 1편 _30
정이향 비닐하우스 외 1편 _33
주영헌 춘지서(春至書) 외 1편 _36
천화선 4월의 눈보라 외 1편 _40
해 림 길 위에서 길을 묻다 외 1편 _43
방인자 멜론 외 1편 _47
정미경 등, 나무 그늘 외 1편 _50
고우란 처절한 거짓 2 외 1편 _54
김지순 헤파이스토스 공방 외 1편 _59
김혁분 고물의 재발견 외 1편 _63
이정모 관계에게 외 1편 _65
이주희 감나무 외 1편 _69
임 윤 까레이스키 연어 외 1편 _71
정재분 배꽃 외 1편 _75
김연종 다한증 소녀 외 1편 _78
원무현 방패연 외 1편 _81
유미애 종을 훔친 여자 외 1편 _83
강태규 세 무덤 외 1편 _86
유현숙 별궁지에서 기다리다 외 1편 _89
안차애 붉은 염주 외 1편 _92
하재연 웨딩드레스 외 1편 _96
신영배 물로 외 1편 _100
우원호 섬진강 축제 외 1편 _103
정선호 GHOST, GHOST 외 1편 _106
조 숙 선물 외 1편 _109
송시월 점 6 외 1편 _113
박해림 빈집 외 1편 _116
신옥철 엄마가 가벼워진다 외 1편 _119
강미정 덩굴장미꽃담 정류소 외 1편 _122
심보선 소년 자문자답하다 외 1편 _126
최서림 지와타네호 외 1편 _130
김유석 발우(鉢盂) 외 1편 _132
이윤학 내 기억 속에서 외 1편 _134
윤중목 반 평 외 1편 _137
조 은 길을 바꾼 꽃 외 1편 _140
홍일표 모란 날다 외 1편 _143
임영석 받아쓰기 외 1편 _146
김백겸 계백 장군묘 외 1편 _149
강신용 씨앗의 힘 외 1편 _153
문충성 어째서 몰랐을까 외 1편 _155
이수익 수도(修道) 외 1편 _159
시에 산문연재
양문규 如如山房에서 보내는 편지⑦
진짜 중노릇 _164
시에 시인
이강산 아카시아 외 4편 _172
김효은 일상, 비루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위하여 _178
시에 신예 시인
김선미 노을이 부푸는 이유 외 2편 _186
서주영 호룡곡산에서 외 2편 _191
이종섶 바람의 이메일 외 2편 _195
정 훈 신예 시인들의 시 쓰기 _199
시에 신인상 ― 시
김민호 당선소감 _208
아카시아 암자 외 2편 _209
한경용 당선소감 _212
아침과 이별을 하다 외 2편 _213
신인상 심사평 _218
시에 신인상 ― 수필
민순혜 당선소감 _220
옌타이 부채 _221
신인상 심사평 _223
시에 신인상 ― 소설
이연수 당선소감 _224
나비 _225
신인상 심사평 _241
시에 추억에세이
이원규 뒷집 할머니와 가을소풍 _244
시에 소설
한상준 그의 블로그(Blog)! _252
시에 문학에세이
한원균 고은과 헤겔 _276
시에 에세이
이대흠 인연의 틈, 인연의 꽃밭 _284
설영신 한밤중의 소동 _288
이승희 누군가 우리를 보고 있다면 _292
박혜영 바다로 간 사람과 남아 있는 사람들 _296
임매자 사이코패스 _299
신경옥 들국화 우체국 _303
윤남석 첩첩(疊疊) _307
시에 자작시집 엿보기
이영주 답장 _315
고완수 이(李) 시인께 _317
문정영 낮은 소리로 다가가기 _322
박부민 작은 손바닥에 받아든 서늘한 등불 _327
조연호 광녀(狂女) 메나데스의 웅변 _331
이규배 나도 설사하듯이 사람을 버렸다 _334
첫댓글 무더운 여름에 날아든 가을 소식 하나, 더욱 소중한 문학지로 사랑받기를 바랍니다.
이종섶 카페운영위원장님께 늘 감사합니다. 책을 곧 받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가을 강가에 가을 시공(詩空)으로 쏫아지며 질러 오르는 청둥오리떼에 가슴이 먹먹해집니다. 너무 수고 많으셨습니다!
잘 지내시지요. 8월 28일, 영동 강가에서 가을을 불러오도록 합시다.
계간 『시에』2010년 가을호, 발송 완료하였습니다. 큰 관심과 애정 부탁드립니다.
가을을 몰고 올 '시에' 가을호,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가을빛 시에, 즐거이 기다립니다.
이제 가을입니다. 겨울도 또 가까이 있겠지요.
그 뜨겁던 여름날의 열기와 시인, 작가들의 열정이 빚어낸 시에19호의 탄생을 시에식구들 모두와 함께 축하드립니다.
나문석 회장님, 시에 반딧불이 문학학교, 풍성한 가을이 되겠지요.
염천에 애 낳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이제 한숨 돌리나 싶은데, 시에 반딧불이문학행사로 이만저만한 고생을 또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바쁘시더라도 늘 건강은 챙겨가며 하시길 바랍니다.
하루하루가 그러네요. 매미소리 힘찹니다.
무더위 물러가는 소리가 들립니다..고생 만땅 하셨습니다..
바람은 가을 닮아 있네요. 곧 만산홍엽이겠지요.
책을 발간하는 일이 얼마나 힘든 작업인지 아는 까닭에 이런 소식을 접하면 박수를 치고 싶습니다.
어떤 시들이 빛고운 가을을 앞서 물들였을지 궁금해집니다 받아보도록 해야겠습니다^^
수고하셨어요~~~
반딧불이 작은 불빛들이 만들어가는 시에, 함께 하는 문학입니다.
마지막 더위를 식혀줄 좋은 선물이 기다리고 있군요. 늘 수고한 사람 따로 누리는 사람 따로 있으니 염치없어 감사할 뿐.
보리밭 너머 녹음이 있었지요. 그 자락 언저리 고개를 숙이는 또 가을, 행복합니다.
옷가게 가면 계절이 앞서가서 옷장정리를 뒤따라 하게 되지요. 여름이 가기전 가을호를 받아보는 느낌이 좋습니다. 계절마다 제철과일처럼 맛보는 책이 있어 행복하고 기쁩니다. 수고의 손길에 감사드립니다^^
계절을 비껴 또 계절이 있는 게지요. 낙엽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가을이 확, 당겨진 느낌입니다. 무더위 속에서 가을호 준비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더위와 무더위, 그 속에 뭇 생명이 삶을 키워가는 소리를 들으며 하루 하루 살아냈지요.
아 ! 가을을 일찍 몰고 오셨네요. 아침 저녁으로 피부에 닿는 가을바람 넘 좋습니다.
더위 뚝, 곧 시원한 바람과 함께 높은 하늘을 볼 수 있겠지요.
더위에 고생하시었지만 보물 만드셨으니 벼가 익어가는 가을바람 더욱 시원하시겠습니다. 거듭 사랑과 존경 보내옵니다.
시에 식구로 함께 가는 문학의 길, 작가로 훌룡한 작가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귀뚜라미도 울지 않았는데 가을을, <시에>에서 앞당겼네요. 더운 날씨에 수고 많으셨습니다.^^*
가을은 멀고도 가까이 있지요. 늦반딧불이도 곧 하늘을 날겠지요.
더위에 수고 많으셨습니다 얼른 받아보고 싶네요...^^
늦어도 월요일 도착할 것입니다. 오는 8월 28일 행사에서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월요일엔 저의 동정이 공개되는 날, 얼굴이 발게지며 가슴이 콩닥 거립니다
좋은 시인으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유난히도 더운 올 여름...입추는 지났지만 정말 덥습니다^^ 이 더위에 <시에>가을호를 빚으셨군요...수고 많으셨습니다!! 새떼 날아가는 가을 풍경의 겉표지가 굿입니다^^ 내용은 더 알찬 알곡이지만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