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Corinthians 고린도후서 5장 (내가 본 예수님께 대한 시각은 예수님의 시각이 아니다)
NLT 읽기 https://www.bible.com/bible/116/2CO.5.NLT ( YouVersion )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2%20Corinthians%205&version=NLT;KLB
NLT 듣기 ( YouVersion )
무료 성경 앱 https://www.youversion.com/the-bible-app/ (한글/영어/다양한 외국어 읽기/듣기, 오프라인 읽기)
개역개정 http://kcm.co.kr/bible/kor/2co5.html
1 For we know that when [this earthly tent () we live in] is taken down
(that is, when we die and leave this earthly body),
we will have [a house /in heaven],
an eternal body /made for us by God himself and not by human hands.
1 For 왜냐면 we 우리는 know 알기에 that절 내용을 즉 when 그때 this earthly tent 이런 땅의 장막이
(that) 그 안에 we 우리가 live in 살고 있는] is taken down 철거된다면
(that is 말하자면, when 그때 we 우리가 die 죽고 and leave 떠날 때 this earthly body 이런 땅에 속한 육체를 ),
we 우린 will have 가질 것이다 a house 집을 in heaven 하늘에서,
an eternal body 영원한 육체 made 만들어진 for us 우리를 위해 by God himself 하나님 자신에 의해
and not by human hands 인간 손에 의해서가 아니고.
* 목적인 that 절+(종속절 내의 부사절) (삽입절) (종속절의 본절)
* when절의 주어인 명사구 [this earthly tent (that) we live /in]
* (that) we live /in (this earthly tent) ; 관계사 that = 선행사 this earthly tent = 종절 전치사의 목적
* appositive 동격 명사구; 형역
an eternal body /made /for us /by God himself and not by human hand = a home,
a home, (which is) an eternal body /made /for us /by God himself and not by human hand
* 형역 과분사구 /made /for us /by God himself and not by human hand ; 과분사의 수동 주체인 body 수식
* "만일 땅에 있는 우리의 장막 집이 무너지면 하나님께서 지으신 집 곧 (사람)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에서
"손으로 "라는 말이 누구의 손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영어는 not by human hands로 사람 손임을 확실해서 좋다
* 불신 진화론자는 자기 생각과 손이 만든 제품이 진화했다고 사기 치지만 어쨋든 인간 수준의 창조성 발휘이며
그들의 창조적 특성은 창조주 하나님을 증명하며 세상의 어떤 인공 조형물이나 작품도 창작자 없이는 불가하고
권력자는 말 한 마디로 없던 걸 있게 만들어 생각/말로 시작된 창작성이 말씀만의 천지창조를 사실로 증명하며
흙으로 인간을 지으신 하나님께서 구원의 방주를 보내사 자녀들을 천국으로 이사시키시는데 집이 없을 수 없고
영혼이 거주하는 퇴락한 육체가 죽으면 구천을 떠돌지 않고 더 좋은 천국집에 가지만 무서운 죽음을 통해야 하나
불신자는 RSVP 천국 초대장을 거부하여 천국입성도 불가하니 사후에 갈 집은 생전에 살던 거짓애비 마귀 집이다
(인간이 만든 컴조차도 컴맹에게는 이해불능인 과학적 창조인데 인증번호 없이는 컴 본사 서버에도 못 들어간다)
2 We grow weary in our present bodies, and we long /to put on our heavenly bodies like new clothing.
2 We 우린 grow 되어 weary 지쳐 빠진 상태로 in our present bodies 우리의 현존하는 육체에서,
and we 우린 long 염원한다 to put on 입고 싶어서 our heavenly bodies 우리의 천상의 몸을 like new clothing 새 옷처럼.
* 불자 grow ; become, * 형용사 weary ; exhausted in strength, endurance, vigor, or freshness
* Long suggests a strong and persistent desire for something that does not seem likely to happen soon. 간절한 기다림
* 비교 Yearn suggests a strong desire for something or someone that is hard to get. 어려운 일에 대한 강한 열망
* 부역 부정사구 to put on our heavenly bodies like new clothing.
영영 사전에서 long이 자동사라고 하므로 부정사구는 이유 설명인 부사역할로 이해하나
long 대신 want로 쓰면 부정사구는 목적인 명사역할로 된다 ; want to put on ~
* 타동사구 PUT ON (phrasal verb): start wearing something;
* 일회용 육체가 헌 옷처럼 닳아빠져 찬 바람이 뼈에 사무치니 새 옷을 염원하듯 병과 고장으로 만신창된 노신자도
병 없고 고장도 안 날 부활의 몸을 소원함이 마땅하나 누더기 옷이 정들어서 벗기를 무서워하면 믿음 부족이 빤하다
3 For we will put on [heavenly bodies]; we will not be spirits without bodies.
3 For 왜냐면 we 우린 will put on 입을 것이다 heavenly bodies 천상의 몸을;
we 우란 will not be spirits 영혼이 되지 않을 것이다 without bodies 몸이 없는.
* 타동사구 put on, 목적인 명사구 heavenly bodies, 보어인 명사구 ; spirits without bodies
* 인간의 영은 몸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기에 거할 육체가 있어야 하나 마비된 육체는 생각을 구현하지 못하는데
마귀 영조차 사람에게 기생하다가 쫓겨나면 돼지 떼에게라도 들어가려 하듯 육체가 죽으면 영도 거할 집이 없으므로
꿈에서 물을 마셔도 갈증나니 물 찾아 구천을 떠돌다가 꿈 깨서 물 마시면 갈증이 가듯 몸 없는 영은 꿈만 있는 것 같아
기가막힌 꿈과 이상을 가졌더라도 현실부재 몽상관념으로 끝나니 허무하듯 꿈만 믿고 사는 불신자는 공중누각 살다가
죽으면 참 현실을 발견하게 되지만 믿음으로 예복을 준비 못 했기에 문전박대라 갈 곳은 세상에서 친하던 마귀 집이다
4 While we live /in these earthly bodies, we groan and sigh,
but it’s not that we want [to die and get rid of these bodies //that clothe us].
Rather, we want [to put on our new bodies] /so that [these dying bodies] will be swallowed up /by life.
4 While 비록 we 우리가 live 살동안 in these earthly bodies 이런 땅에 속한 육체 안에,
we 우린 groan 신음하고 and sigh 한숨 쉬지만,
but it’s not 그건 아니다 that절 내용이 즉 we 우리가 want 원하는 건 to die 죽어서 and get rid of 제거하기를
these bodies 이런 육체를 that 그건 clothe 옷 입혀주는 us 우리를.
Rather 오히려, we 우린 want 원한다 to put on 입기를 our new bodies 새로운 육체를
/so that 그래서 these dying bodies 이런 죽어가는 몸이 will be swallowed up 삼켜지도록 by life 삶/생명에 의해.
* while ; 2. In spite of the fact that; although, * 동사인 clothe /klōT͟H/ (명사는 cloth /klôTH,kläTH로 발음이 유사함)
* (to) get rid of something : to remove something that you do not want any longer
* 관용어 it's not that~ ; used to say you do not think something is important, you're not suggesting sth: 그건 아니다
* 목적인 명사구 these bodies that clothe us.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형역 현분사 dying 현분사의 능동 주체인 bodies 수식
* 의도 설명인 부사절 접속사 so that
* 영이 갈 곳도 없이 무작정 죽으면 곤란하니 죽기를 소원함이 아니고 죽어가는 몸으로 살되 부활의 복음으로 살면
예수님의 생명에 묶이게 되므로 죽음이 생명을 삼키는 게 아니고 생명이신 예수님께서 부활로 사망을 삼키셨기에
우리의 죽을 육체도 부활 복음에 삼키고 부활의 몸체를 염원하며 낡은 몸 고쳐가며 남은 육체의 경주를 계속한다
5 God himself has prepared us for this, and as a guarantee he has given us his Holy Spirit.
5 God himself 하나님 자신께서 has prepared 준비시키셨다 us 우리를 for this 이일을 위해서,
and as a guarantee 보증으로 he 그분께서 has given 주셨다 us 우리에게 his Holy Spirit 그분의 성령을.
* 강조사로 쓰인 재귀 대명사 himself
* 제품을 사면 보증서를 주며 고장수리는 물론 신품대체도 보장하듯 예수님의 복음을 믿음으로 구매한 신자들에게
복음이 사실진실 현실실체임을 보증하시고 증명도 하시는 성령 하나님을 보내서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시니
사람들에게 미련한 듯 보이는 복음이 하나님의 능력이 되어 표범의 반점을 지우는 기적의 변화를 보니 믿는 것이다
6 So we are always confident,
even though we know that as long as we live in these bodies we are not at home with the Lord.
6 So 그러므로 we 우리는 are always 항상 confident 자신감 있다,
even though 비록 we 우린 know 알지만 that절 내용을 as long as 하는 한 we 우리가 live 사는 한
in these bodies 이런 육체에 we 우린 are not 있지 않다는 것을 at home 집에 with the Lord 주님과 함께.
* 부사로 쓰인 so ; In the condition or manner expressed or indicated; thus: 주절에 쓰였으므로 부사 역할
* as long as 전체를 접속사로 봄 ; : provided that, inasmuch as, since
* know의 목적인 that절 ; that (as long as we live in these bodies) we are not at home with the Lord.
* 명사절 내의 부사절 (as long as we live in these bodies)
* 예수님께서 신자와 항상 같이 하신다는 말씀은 성령님의 임재를 통한 것이고 예수님은 천국에 계시므로
신자가 예수님과 집/천국에 함께 안 있고 세상에 살지만 자신감 있는 것은 성령님께서 함께 하심 때문인데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 세 분이 한분으로 연합되셨기에 한 분 언급은 세 분 언급이 되고
예수님께서 성육신 하시고 십자가 죽음과 부활과 성령을 보내심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천하에 알리시며
신약신자에게 주신 하나님의 이름은 "예수"이므로 일반적인 神의 명칭인 하나님 대신 "예수님"이 좋은 건
만왕의 왕 만주의 주 예수님 이름으로 귀신도 나가고 앉은뱅이도 서고 성령님도 임하는 귀하신 이름이니
사랑하는 애인, 부모, 사람에게 '님'자 쓰는 것보다 더 경외해야 하는데 함부로 부르면 망령망발 중죄 된다
7 For we live /by believing and not by seeing.
7 For 왜냐면 we 우리는 live 살기에 by believing 믿음으로 and not by seeing 눈으로 보기 때문이 아니고.
* 부역 전치사구 ; by believing, by seeing 전치사+동명사
* 믿음으로 살면 믿음의 눈으로 불가시적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어린아이들이 부모의 약속만으로도 기뻐하는 것은
약속의 실상/증거가 육체의 눈에 안 보이지만 약속을 이행할 것을 믿음의 마음의 눈으로 받을 것을 보는 때문인데
믿음의 눈을 열어 달라고 마시고 바울처럼 예수님의 마음을 가지면 예수님의 눈으로 세상을 보기에 눈이 뜨인거다
8 Yes, we are fully confident, and we would rather be away from these earthly bodies,
for then we will be at home with the Lord.
8 Yes 맞다, we 우린 are fully 완전히 confident 자신한다,
and we 우린 would rather 차라리 be away 떠나기를 선호한다 from these earthly bodies 이런 땅에 속한 몸에서,
for 왜냐면 then 그러면 we 우린 will be 있게 될 것이기에 at home 집/천국에 with the Lord 주님과 함께.
* rather ; used to indicate one's preference in a particular matter.
* away from it ; not in it. 떠나 있는,
* 형용사와 부사 보어 비교
we are fully confident. 형용사
we would be away from these earthly bodies. 부사 (위치)
we will be at home. 부사 (위치), we are late. 부사 (때)
* 누구나 천국은 좋아하지만 선호하는 건 아닌 것이 약/보약 먹고 세상에 더 오래 살려고 아등바등하기 때문이고
선과 정의 용서와 화해 진리와 진실 지혜와 평강의 천국 왕이신 예수님은 싫어하며 자기방식을 고집하며 살다가
정해진 운명의 죽음과 심판을 피할 부자나 천하장사나 권력자도 없기에 다들 죽었으나 신자는 부활소망이 있다
9 So whether we are here in this body or away from this body, our goal is [to please him].
9 So 그래서 whether we 우리가 are here 여기에 있든지 in this body 이 육체 안에
or 아니면 away 떠나 있든지 from this body 이 육체로부터,
our goal 우리의 목표는 is이다 to please him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 것.
* 보어로 쓰인 명역 부정사구; [to please him always] 주어의 역할 설명
숙어 be to~ 가 적용되지 않는 이유는 주어가 보어의 동작자가 아닌 때문임 ;
* 불신자들이야 가진 게 몸뚱이 하나뿐이니 죽으면 헛 것이기에 기를 쓰고 살려고 온갖 짓을 다 하겠지만
신자는 육체 장막집 말고도 부활되어 거할 천국집 약속과 보증이 있기에 잃지 않으려 온갗 고난을 참는다
10 For we must all stand /before Christ /to be judged.
We will each receive [whatever we deserve /for the good or evil () we have done in this earthly body].
10 For 왜냐면 we must all 우리 모두 stand 서야 하기에 before Christ 그리스도 앞에 to be judged 심판받기 위하여.
We will each 우리 각자는 receive 받을 것이다 whatever 어떤 것이든 we 우리가 deserve 응당 받아야 하는 걸
for the good 선이나 or evil 악의 대가로 (that) 그건 we 우리가 have done 행했던 in this earthly body 이런 땅에 속한 몸에서.
* 조동사 뒤에 쓰인 한정사 all/each 는 주어 수식 (be 동사 뒤에도 쓰임 We are all created by God.)
* whatever는 의문대명사 ; 종속 접속사 및 종절의 목적 역할 ; we deserve (whatever) /for the good or evil~
의문사절은 receive의 목적절로 쓰였고 종속절인 의문사절 안에 종속절인 형절이 포함됨 whatever we~ (that) we~
* 정해진 죽음 후에는 심판이 있는데 신자라면 죄의 심판은 면하지만 공력 심판은 받아야 한다
11 Because we understand our fearful responsibility to the Lord, we work hard to persuade others.
God knows () we are sincere, and I hope () you know this, too.
11 Because 왜냐면 we 우린 understand 이해하기에 our fearful responsibility 우리의 무섭기도 한 책임을
to the Lord 주님께, we 우린 work 일한다 hard 열심히 to persuade 설득하려고 others 다른 이들을.
God 하나님께서 knows 아신다 (that) 절 내용을 즉 we 우리가 are sincere 진실하다는 것을,
and I 나는 hope 희망한다 (that) 절 내용을 즉 you 너희는 know 안다 this 이것을, too 역시.
* 부역 부정사구 /to persuade others
* PERSUADE : make someone agree to something; make someone believe something is true.
* 사람의 마음은 이기적 동기를 감추고 미사여구로 기만할 수 있기에 겉만 봐서는 진실여부를 모르나 열매로 알고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마음을 읽으시기에 감출 수 없고 마음의 동기와 행위대로 공정하게 심판하시니 못 피하므로
모든 생각과 일을 성령님께서 인도하시는 대로 따르면 심판의 두려움은커녕 기쁨과 평화가 신자 삶에 넘칠 것이다
12 Are we commending [ourselves] /to you again?
No, we are giving [you] [a reason to be proud of us],
so you can answer [those //who brag about having a spectacular ministry /rather than having a sincere heart].
12 Are we 우린 commending 추천하느냐 ourselves 우리 자신을 to you 너희에게 again 다시?
No 아니다, we 우린 are giving 준다 you 너희에게 a reason 이유를 to be proud of us 우리를 자랑스러워할,
so 그래서 you 너희가 can answer 답변할 수 있도록 those 그들에게 //who brag 자랑하는
about having 가진 것에 대해 a spectacular 굉장한 ministry 사역을 rather than having 갖는 것 대신에
a sincere heart 신실한 마음을.
* 목적으로 쓰인 재귀 대명사 ourselves (주어와 목적이 동일인인 경우에 씀)
* 직목인 명사구 a reason /to be proud of us (us = Paul and his coworkers) 명+형역 부정사구
* 전목인 동명사구 having a spectacular ministry, having a sincere heart before God
* RATHER THAN (phrase): when one thing is preferred to another. ~ 대신에
*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서 사람이 무슨 대단한 일을 한다고 자랑하는 것은 한심한 어린애 짓에 불과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소자에게 물 한 컵 주며 고아와 과부를 위하는 사소한 일들을 대단하게 보시니 상도 주신다
13 If it seems () we are crazy, it is to bring glory to God.
And if we are in our right minds, it is for your benefit.
13 If 만약 it 그래 seems 보이면 (that) we 우리가 are crazy 미친 상태로,
it 그건 is이다 to bring 가져오기 glory 영광을 to God 하나님께.
And if 만약 we 우리가 are in our right minds 올바른 정신 상태에 있다면,
it 그건 is 이다 for your benefit 너희 유익을 위한.
* seem 은 일반동사 형태로 be 동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불완전 자동사 linking verb라 칭함
* 보어인 부정사구 to bring glory to God 미친것 같은 일이 하나님께 영광을 가져오는 일이다
보어로는 명사/구, 형용사/구, 분사구/부정사구/동명사구 및 종속절도 쓰임
And if we are in our right minds, it is for your benefit.
전치사구도 보어로 쓰이는 이유는 전치사구가 형용사나 부사 대용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전치사구가 때나 장소 설명이면 부사 역할로 존재 상태 설명이면 형용사 역할로 이해한다
* CEV 번역 If we seem out of our minds, it is between God and us.
우리가 정신 나간 것처럼 보이면 그건 하나님과 우리 사이 일이고
But if we are in our right minds, it is for your good. 바른 정신이면 그건 너희 유익을 위한 것이다
사람 눈으로 보면 하나님의 일이 미친? 일로 보이나 하나님 눈으로 보면 사람들이 헛것에 미쳐 돌아가는 건
전 인생을 쏟아부어 잡고자 했던 것들을 잡았다 생각하나 여전히 손은 빈손이요 몸에 걸친 수의조차 탈 거고
산 자들이 죽을 걸 잊고 재물을 모아 쌓고 희희낙락하다 한 방에 사라질 안개인 것을 모르고 설치는 때문이다
14 Either way, Christ’s love controls us.
Since we believe that Christ died for all, we also believe that we have all died /to our old life.
14 Either way 이러나저러나, Christ’s love 그리스도의 사랑이 controls 통제한다 us 우리를.
Since 때문에 we 우리가 believe 믿는 that절 내용을 즉 Christ 그리스도께서 died 죽으셨다는 것 for all 모든 이를 위해,
we 우린 also 또한 believe 믿는다 that절 내용을 즉 we have all 우리 모두가 died 죽었다 to our old life 우리 옛 삶에 대해.
* either way ; a) used to say that something will be the same whichever of two things happens or is true
* 조동사 뒤에 쓰인 한정사 all은 주어 수식
* 인간은 이기적 본능과 욕심이나 자기 생각에서 나온 꿈/계획/사상/신념 등과 악한 양심의 교만과 감정에 좌우되어
나온 말이 행동의 원천/동기/의도/의미/가치/목적이 되어 생의 바퀴를 굴리나 다른 이들의 다른 것이 진로 방해하고
자기방어와 성취욕이 정의의 사제로 둔갑하여 정의의 칼을 휘두르니 온갖 불의가 자행되어 쌈질과 전쟁이 발발하여
온 세상을 진동진창 만드나 예수님을 믿어 십자가에서 욕정과 욕심이 죽은 신자는 사랑법으로 살면 싸울 일이 없다
15 He died for everyone /so that [those //who receive his new life] will no longer live for themselves.
Instead, they will live /for Christ, who died and was raised /for them.
15 He 그분은 died 죽으셨다 for everyone 모든 이를 위해
so that 그래서 [those 그들이 //who receive 영접하는 his new life 그분의 새 생명/삶을]
will no longer 더 이상 live 살지 않도록 하시려고 for themselves 그들 자신을 위해서.
Instead 대신에, they 그들은 will live 살 것이다 for Christ 그리스도를 위해,
who 그분은 died 죽으시고 and was raised 살아나셨다 for them 그들을 위해.
* 종절의 주어인 명사구 those who receive his new life 명+형절/관대절 (who = those = 주어)
* 의도 설명의 부사절 접속사 so that, * no longer ; Not now as formerly; not any more
* 타동사인 raise, raised, raised, * 비교 ; 자동사인 rise, rose, rizen
* 삽입절/형절/관대절/계속용법 who died and was raised for them. 설명 추가 역할
* 예수님께서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지만 믿고 영접한 신자에게만 유효한 건 사실이라도 안 믿으면 소용없고
당첨된 복권도 당첨을 안 믿고 버리면 억대 상금도 날아가는 이치와 똑같기에 진리도 믿어야 신자에게 유익되며
본인이 죄인이고 심판받을 걸 알아야 십자가의 대속이 유효하여 예수님 위해 살지만 모른다면 유효할 리 만무다
16 So we have stopped [evaluating others /from a human point of view].
At one time we thought of Christ /merely from a human point of view.
How differently we know him now!
16 So 그래서 we 우리는 have stopped 중단했다 evaluating 평가하던 것을 others 다른 이를
from a human point of view 인간적인 시각/관점으로부터.
At one time 한때 we 우린 thought 생각했었다 of Christ 그리스도에 대해
merely 단지 from a human point of vie 인간적인 시각/관점으로부터.
How 얼마나 differently 달리 we 우리는 know 생각하는가 him 그분을 now 이제는!
* 목적인 동명사구 evaluating others /from a human point of view
이미 진행 중인 것을 멈출 수 있기에 동명사가 목적으로 쓰이나 부정사는 시작도 안 한 일이라 못 씀
* at one time: at a time in the past but not now:
* 타동사구 think of ; 잠시 생각하다, think about ; 곰곰 생각하다
* 예수님을 human point of view 인간적인 관점/견해/시각/주관에서 한 인간으로만 본 사울이 날벼락을 맞은 후에
예수님의 실상/실체/현실/진실에 눈을 떠서 구약의 예언대로 성육신하여 메시야로 오신 성자 하나님으로 알게되니
예수님의 진리의 말씀 때문에 사람을 보는 시각도 달라진 것은 예수님의 마음/시각으로 만사를 보게 되는 때문이고
예수님께서만 길-진리-생명이시기에 다른 모든 인간의 견해/시각/생각/사상/말은 길-진리-생명이 아닌 걸 깨닫기에
예수님의 십자가 복음 이외 다른 모든 것들은 '똥'으로 버리고 단지 성령님의 능력으로 예수님께 예속되길 자원한다
개역개정은 '육신을 따라 알다'라는 표현이라 겉만 보았다는 말이지만 그게 인간의 시각적 한계인 것이 분명하고
새번역은 '육신의 잣대'로 하여 판단기준이 육체에 있다는 의미가 되고 현대인의 성경은 '세상적인 관점 '이라 하여
세상에 안 속한 기독인은 예외로 보이지만 신자/불신자 막론하고 가진 주관적 "인간의 시각"이 더 현실적 표현이고
각자의 바다 중심에서 보는 시각/관점이라 예수님을 자기 눈에 보이는 것 이상 못 본다는 것이 정상적인 한계지만
사울의 눈 비늘/들보 콩깍지가 날벼락으로 벗겨진 후에 성령님의 임재로 예수님의 마음을 품어 새 피조물이 되니
그제야 예수님의 가치관이 바울의 것이 된 것이라 변화된 신자라면 자기시각 말고 예수님의 시각을 가져야 하나
성령님께서 예수님의 마음을 주셔서 하나되기 전에는 예수님은 여전히 타인외인이니 객체의 시각으로 볼 수 없고
흔히들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라는 말은 상대의 시각에서 보는 것인데 상대와 내 시각이 일체가 안 되면 못 하는 건
나의 주체적 위치적 시각이 상대방의 것과 다른 때문인데 상대의 입장에서 보려해도 여전히 주체와 객체로 다르듯
신자의 예수님께 대한 시각도 주체와 객체라는 상관관계상 예수님의 시각은 아니나 영접으로 두 시각이 하나된다
17 This means that [anyone //who belongs to Christ] has become a new person.
The old life is gone; a new life has begun!
17 This 이것은 means 의미한다 that절 내용을 즉 [anyone 누구든지 who belongs 속한 to Christ 그리스도께]
has become 되었다 a new person 새 사람이.
The old life 옛 삶은 is gone 가고 없는 상태다; a new life 새 삶이 has begun 시작했다!
* 종절의 주어인 명사구 anyone who belongs to Chris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새 사람이란 결국 시각/관점이 변한 사람을 의미한다 보이며 그 시각의 변화는 인간적인 것에서 하나님 생각으로
전환되는 것이라 생각이 바뀌어야 새 사람이 된다는 것이지만 성령님의 임재로 시작된 중생 없이 생각만 바뀐다면
새 사람이 될 수 없는 건 새 포도주+헌 가죽부대 조합이기에 마치 완전한 율법+연약한 육신조합=파탄이 된 것처럼
이기적인 신자가 예수님의 사랑법을 구약 율법식으로 해보려다 못하고 믿음과 양심이 파탄나는 불행이 연출되므로
예수님의 시각을 품기 위해서는 성령으로 거듭난 새 사람 새 가죽부대가 되어야 성령님의 매는 줄로 안 터지고 사니
신자가 예수님을 영접하여 예수님께서 신자 안에 계셔야 신자가 예수님께 속하여 성령님의 능력으로 새롭게 변한다
18 And all of this is a gift from God, who brought us back /to himself /through Christ.
And God has given us [this task of reconciling people to him].
18 And all of this 이 모든 것이 is a gift 선물이다 from God 하나님께로부터 온,
who 그분은 brought 되돌려 주셨다 us back 우리를 to himself 그분 자신께 through Christ 그리스도를 통해.
And God 하나님께서 has given 주셨다 us 우리에게 this task 이 일을 of reconciling 화목하게 하는
people 사람들을 to him 그분께.
* 대명사로 쓰인 all, this, * 전목인 재귀 대명사 himself, * 전목인 동명사구 reconciling people to him
* 삽입절/형절/관대절/계속용법, who brought us back to himself through Christ. 컴마로 설명을 추가함
* 직목인 명사구 this task of reconciling people to him 형+명+형/전구
* 되돌림을 받았다는 말은 떠났었다는 걸 암시하는데 애초에 하나님을 알았던 유대인 아닌 이방인에게는 생소하나
이방인도 대 홍수를 격은 셈-함-야벳의 후손이나 해를 거듭할수록 창조주 하나님과 멀어져서 자기가 만든 우상과
악법으로 악하게 살면서 하나님께서 택하신 아브라함의 후손들이나 자기들끼리 전쟁하며 불신 세상의 주역으로
자기들이 신노름하기에 하나님을 아는 유대족이 멀어진 것과 유사하며 자神이 神인 가인의 후예로 떠나서 살았다
19 For God was in Christ, reconciling the world to himself, no longer counting people’s sins against them.
And he gave us [this wonderful message of reconciliation].
19 For 왜냐면 God 하나님께서는 was 계시기에 in Christ 그리스도 안에,
reconciling 화해시키시며 the world 이 세상을 to himself 그분 자신께,
no longer 더 이상 counting 치부하시지 않으시며 people’s sins 사람들의 죄를 against them 그들에게 불리하게.
And he 그분께서는 gave 주셨다 us 우리에게 this 이런 wonderful 경이로운 message 말씀을 of reconciliation 화해의.
* 분사구 participle phrase; 분사+수식어 구조로 명사/대명사를 수식하며 본동사와 동시적 관계를 설명한다
reconciling the world /to himself, not counting people's sins /against them. 수식받는 명사 즉 분사의 주체는 God
분사는 분사의 동작자인 명사와의 능동/수동적 수식 관계를 설명하므로 형용사 역할로 정의되는데
주어 수식의 경우 주어 앞이나 뒤에 쓰일 수 있지만 본동사가 있는 관계로 컴마로 주절에서 분리하여 쓰며
본동사와 동시/전후/인과 등의 관계 설명을 주절에 추가하는 역할이므로 문맥에 적당한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 화해는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보상하거나 용사를 구하고 악감을 제거하여 원수에서 친한 사이로 되는 것인데
하나님의 명령 불순종으로 저주를 자초한 죄인은 하나님과 원수가 된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이 두려워 피하거나
적반하장으로 하나님께 반항도 하는데 불순종의 피해자이신 하나님께서 죄인에게 양보하시고 용서를 하시려고
하나님 자신의 율법의 요구를 성자 하나님의 피로 대신 갚고 화해를 요청하신 것이 축복의 소리/소식인 복음이다
20 So we are Christ’s ambassadors; God is making his appeal through us.
We speak /for Christ /when we plead, “Come back to God!”
20 So 그러므로 we 우린 are Christ’s ambassadors 그리스도의 외교관/대사이다;
God 하나님께서 is making 만드신다 his appeal 그분의 청원을 through us 우리를 통해.
We 우린 speak 말한다 for Christ 그리스도를 위해 when 그때 we 우리가 plead 청원할 때,
“Come back 돌아오라 to God 하나님께!”
* 부사로 쓰인 so ; In the condition or manner expressed or indicated; thus:
* ambassador ; highest rank of diplomatic representative sent by one national government to another. 대사
* 대사는 다른 나라에서 자기 나라의 왕을 대리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이므로 대사의 말은 곧 왕의 명령이 되듯이
예수님을 왕으로 모신 신자도 예수님의 명령을 전하는 대사이므로 예수님의 마음/말씀을 가감없이 전해야 하나
대사가 왕의 뜻이나 명령에 반대하는 자기의 사견을 왕의 명령으로 갈음한다면 오만방자 대역죄인이 될 것이다
21 For God made [Christ], who never sinned, [to be the offering for our sin],
so that we could be made right with God /through Christ.
21 For 왜냐면 God 하나님께서 made 만드셨기에 Christ 그리스도를, who never sinned 죄 없으신 그분,
to be 되도록 the offering 제물이 for our sin 우리의 죄에 관련한,
so that 그래서 we 우리가 could be made 만들어지도록 right 올바르게 with God 하나님께 through Christ 그리스도를 통해서.
* 5 형식 made Christ to be the offering for our sin
강제로 시킨 것이 아니고 자발적으로 하신 일이기에 원형이 아닌 to 부정사로 썼다 봄
* 5 형식 수동태 be made right with God /through Christ
* so that ~ 앞절의 의도 설명 부사절
* 예수님은 성부 하나님과 일체이시므로 하나님께서 예수님께 고난의 잔을 주신 것은 하나님 자신께서 마신 것이며
하나님께서 주신 거룩한 율법을 십자가에서 폐지하셔서 의로운 명령을 무효화하시고 용서와 사랑의 새 법을 주시니
율법을 깬 죄인이 십자가 복음을 믿기만 해도 용서에 더해 의인칭호+자녀칭호를 주신 것을 안 믿는 그것이 대역죄며
복음에 율법성수나 다른 불/시각이 추가된 불법 복음 전달자에겐 저주가 걸려서 십자가의 원수로 행하는 패악질이고
예수님을 믿노라 하면서 고귀한 예수님 이름을 망령되이 지껄이는 무경외 무지무도자는 은혜를 짓밟는 배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