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 | 2018 | 증감률('18/'17) |
- | 총액 | 1,580 | 2,058 | 2,047 | -0.5 |
1 | 베트남 | 1,045 | 1,546 | 1,610 | 4.1 |
2 | 필리핀 | 37 | 32 | 32 | 2.0 |
3 | 태국 | 16 | 18 | 19 | 2.9 |
4 | 미국 | 6 | 6 | 10 | 56.8 |
5 | 독일 | 5 | 5 | 9 | 90.5 |
6 | 말레이시아 | 7 | 13 | 9 | -27.4 |
7 | 일본 | 7 | 6 | 5 | -20.0 |
8 | 멕시코 | 4 | 5 | 5 | -10.1 |
9 | 미얀마 | 10 | 9 | 5 | -45.4 |
10 | 인도네시아 | 2 | 2 | 4 | 80.8 |
자료: KITA
○ 무선이어폰 수입동향
중국 무선이어폰 (HS Code 85176294 기준) 주요 수입국현황
(단위: 천 불, %)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 | 2018 | 증감률('18/'17) |
- | 총액 | 87,248 | 196,585 | 348,424 | 77.2 |
1 | 말레이시아 | 16,424 | 59,601 | 105,124 | 76.4 |
2 | 베트남 | 5,948 | 8,851 | 16,611 | 87.7 |
3 | 멕시코 | 327 | 522 | 12,226 | 2,243.3 |
4 | 홍콩 | 70 | 48 | 3,179 | 6,586.6 |
5 | 태국 | 0 | 2 | 2,492 | 131,152.9 |
6 | 덴마크 | 9 | 46 | 1,897 | 4,008.7 |
7 | 미국 | 696 | 364 | 1,691 | 364 |
8 | 대만 | 152 | 194 | 1,409 | 625.2 |
9 | 일본 | 4 | 64 | 543 | 747.2 |
10 | 한국 | 200 | 670 | 539 | -19.6 |
자료: KITA
○ 유선이어폰 대한국 수입액 추이
중국 유선이어폰 (HS Code 85183000 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천 불, %)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수입액 | 1,341 | 731 | 1,054 | 1,155 | 588 |
증감률 | -18.3 | -45.5 | 44.1 | 9.6 | -49.1 |
자료: KITA
○ 무선이어폰 대한국 수입액 추이
중국 무선이어폰 (HS Code 85176294 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천 불, %)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수입액 | 354 | 93 | 200 | 670 | 539 |
증감률 | 83.6 | -73.8 | 115.7 | 235.6 | -19.6 |
자료: KITA
□ 경쟁동향
○ 소니, 2018년 중국 이어폰시장에서 점유율 1위 차지
- ZDC에 따르면 2018년 중국 이어폰시장의 경쟁구도는 변화가 적은 편이며, 소니가 13.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함.
- 젠하이저는 그 뒤를 이어 11.0%로 2위를 차지, AKG는 7.3%의 비율로 3위를 차지함.
2018년 이어폰 브랜드별 중국시장 점유율
자료: 前瞻网
○ AirPods, 중국 무선 이어폰시장 장악
- 에어팟의 출시와 동시에 빠른 속도로 전 세계시장을 점령하였으며, 전세계의 스마트 이어폰의 발전을 촉진함.
- 에어팟은 중국시장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2018년 중국 이어폰 순위와 블루투스 이어폰 순위 모두 1위를 차지함.
2018년 중국 인기 이어폰 순위
순위 | 브랜드 및 제품명 | 가격(위안) |
1 | 애플 AirPods | 1,099 |
2 | 소니 WI-1000X | 2,199 |
3 | BeatsX | 899 |
4 | 젠하이저 HE1 | 52 |
5 | SOMIC G936 | 399 |
6 | SOMIC G951 | 359 |
7 | 소니 WF-1000X | 1,299 |
8 | BeatsSolo3Wireless | 1,566 |
9 | EdifierW288BT | 189 |
10 | AKGK450 | 249 |
11 | HUAWEI | 129 |
12 | 소니 WH-100XMS | 2,304 |
13 | 1MORESpearheadVR | 699 |
14 | Edifier | 899 |
15 | BOSEQuietComfortQC35 | 2,888 |
16 | JBLFREE | 1,599 |
17 | 젠하이저 IE80 | 1,899 |
18 | BOSEQuietCorntrol30 | 2,498 |
19 | Audio-technica ATH-MSR7 | 1,580 |
20 | EdifierW800BT | 199 |
자료: ZDC
□ 유통구조
○ 주요 유통경로는 대형마트, 전자제품 전문점, 온라인 플랫폼
○ 중국의 전국적인 가전제품 오프라인 매장인 쑤닝(苏宁),궈메이(国美)는 이제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도 진출하고 있음.
○ 온라인에서는 주로 티몰(天猫),징동(京东)등 플랫폼을 통해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 관세율
○ 유선이어폰(HS Code 85183000 기준)
관세 | 0% |
증치세 | 13% |
자료: 중국해관
○ 무선이어폰(HS Code 85176294 기준)
관세 | 0% |
증치세 | 13% |
자료: 중국해관
○ 수입규제
- 이어폰 대 중국 수출 시 별도로 중국 CCC인증을 받을 필요 없음.
□ 시사점
○ 무선화
- 블루투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블루투스는 와이파이에 이어 단거리 통신의 전송방식이 되어, 현재 많은 상황에서 무선이어폰이 이용되고 있음. 예로 가정용HIFI, 인터뷰, 관광가이드 등에 많이 쓰임.
○ 소형화
- 이어폰의 휴대는 갈수록 편리해질 것이며, 향후 더 많은 이어폰들이 높은 휴대성을 자랑할 것으로 전망됨.
- 높은 수신능력, 이어폰 케이스 등 요소가 추가되어 개인맞춤형의 개성화 방향으로 발전할 것임.
○ 트렌디화
- 일부 소비자는 이어폰을 외출 필수 패션아이템으로 사용함. 음질보다 외관 디자인을 더 고려하여 이어폰을 구매하기 때문에 이어폰 생산기업은 음질뿐만 아니라 디자인에도 신경써야 함.
○ 칭다오 현지 전자제품 판매업체 담당자 인터뷰에 따르면 무선이어폰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관심은 커지고 있으며, 현재 소비자가 이어폰 구매 시 가장 관심을 갖는 요소는 음질, 무선전송능력 및 배터리 지속력이라고 함. 현재 이어폰의 무선전송능력은 대부분의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며, 음질과 배터리 지속력은 향상이 필요함. 관련기업은 이 두 가지 방면에서 제품을 업그레이드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답하였음.
자료: ZDC, 前瞻网, KITA 및 칭다오무역관 자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