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은 용서의 날입니다.
"성령을 받아라.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용서해 주면 그가 용서를 받을 것이고 그대로 두면 그대로 남아있을 것이다."
요한 20,22-23
나와 반하는 이, 상대가 되는 이를 거리를 두고 봅니다. 나를 좋아하거나 나를 나쁘게 하지 않은 이는 대화하고 만나는 것은 꺼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나에게 불편함과 부담을 주고, 피해를 주거나 나를 공격하는 사람은 만남을 꺼리고 따돌리고 싶습니다. 더욱이 내게 고통과 좌절을 안긴 사람에 대해서는 내가 그를 역으로 가격하고 공격하고 싶습니다. 내가 절제절명의 위기에 놓여지면 나도 결코 물러설 수 없습니다.
원수라는 말이 있습니다. '웬수'라는 말도 있습니다. 이 두 명칭 다 나를 반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원수와 웬수'의 뜻은 다릅니다. 원수는 나를 반역하는 사람이고, 웬수는 나를 배신한 사람입니다. 원수는 내가 수용하지 않거나 사랑하지 않았던 사람으로 나를 위기와 절망에 몰아넣는 사람으로, 내가 배척하는, 배척 해야할 사람입니다. 웬수는 그동안 수용하고 사랑했던 사람으로, 나를 고통속에 곤경 속에 몰아넣은 사람으로 가족 등 그동안 관계와 만남이 있었던 사람입니다.
말하자면 그가 나의 원수든, 웬수든 결국 내가 이기고 극복해 나가야 합니다. 그것을 극복해야 행복합니다. 나와 그 사이에 원수나 웬수로 남아있을 때, 그 사람보다도 내가 먼저 자유를 잃고 행복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원수든 웬수를 만나든 만나지 않았던, 이에 상관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만나도, 그리고 만나지 않아도 그에 대해, 굳건히 자유를 얻고 해방되기 바랍니다. 자유와 해방의 길이 더디고 어려우면 기도하기 바랍니다. 그것을 떨쳐 버리기 바랍니다. 그를 굳이 다시 만날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굳이 못만날 것도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자유로워야 합니다. 문제는 나, 나 스스로의 자유를 위해서 기도하고 용기가 있고 용감해 지며 그것에 더 넉넉해지기 바랍니다.
나는 하느님 앞에서 자유롭고 해방된 자녀로서 행복을 누리는 '유일한 존재" 하느님 앞에서 선 '가장 사랑받은 자녀'입니다. 하느님은 내가 그런 묶임과 눌림 그 억압에 머물러 있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런 상태를 바라지도 원하지 않으십니다. 그렇게 되는 것을 그분은 혐오하십니다. 내가 기쁘고 즐겁고 행복하기를 바라십니다. 오늘 부터 그런 하느님의 사랑받은 자녀가 되기를 바랍니다.
내가 자유와 해방의, 용서에서 누리는 그 은혜를 누리기 위해서는 몇가지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말씀을 화두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는 생명의 진리의 말씀입니다. 어제 어떤 일과 만남이 있더라도, 곤경과 절망감이 있더라도 오늘 말씀으로 시작합니다. 단 한 글자의 말씀이라도 나를 새롭게 희망을 갖게 합니다.
둘째, 오늘 선함으로 시작합니다. 좋은 말씀과 행위로 시작합니다. 나 자신에게 선함의 일꾼이라는 자신감을 북돋우고, 일과 만남에서 선함으로 대하고 이끌기 바랍니다. 곧 자선은 죄를 없앤다.는 말씀 그대로 입니다. 회개는 악을 이기고 선을 행하는 것이다. 해방과 자유는 지금 바로 선을 행하는 것입니다.
셋째,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기 바랍니다. 예수님을 전하기 바랍니다. 예수님의 마음이 담겨야 합니다. 그 말씀의 뜻이, 그 가치가 담겨야 합니다. 말씀과 선의에 하느님의 언어가 담길 때 용서가 비로소 이루어집니다.
목요일은 용서의 날입니다. 웬수와 원수를 극복하는 기도와 용기와 용덕을 갖기를 바랍니다. 그런 마음에서 용서의 길로 들어섭니다. 말씀, 자선 그리고 그 말씀을 담는 삶을 살기를 바랍니다.
주님, 오늘 당신 앞에서서 반하고 반역하는 이 앞에서도 자유를 얻고 해방을 맞는 당신 제자가 되게하소서. 당신의 고귀한 자녀로서 그 은혜와 복을 누리게 하소서.
이재을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