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中 헤어드라이기시장 '열풍'…韓 제품 '냉풍' | ||||||||||||||||||||||||||||||||||||||||||||||
---|---|---|---|---|---|---|---|---|---|---|---|---|---|---|---|---|---|---|---|---|---|---|---|---|---|---|---|---|---|---|---|---|---|---|---|---|---|---|---|---|---|---|---|---|---|---|---|
게시일 | 2015-07-08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주리(다롄무역관) | ||||||||||||||||||||||||||||||||||||||||||
--> -->
中 헤어드라이기시장 '열풍'…韓 제품 '냉풍'
□ 시장규모 및 전망
○ 시장규모 - 2011년 중국의 전체 미용기기 판매량은 2201만 대이며, 판매량은 19억 위안을 기록함. 그 중 드라이기의 판매량은 18억 위안으로 가장 많이 차지함. - 2009년 기준 14억5000만 위안에서 2012년 20억5000만 위안으로 증가했고, 2016년은 37억 위안이 소비될 것으로 추정됨.
자료원: 소비연구중심 (消費硏究中心)
○ 시장전망 - 2013~2014년 중국 헤어드라이어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을 보이면서, 헤어케어를 비롯해 미용시장에도 활기를 불어넣고 있음. - AC닐슨에 따르면 40% 이상의 여성이 값비싼 헤어제품을 살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됨. - 주로 해외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 중 PHILIPS(飞利浦)가 헤어드라이기 시장에서 절반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또한 50~200위안 가격대의 제품이 시장에서 주로 선호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
□ 현지업체 및 해외업체 동향
○ 경쟁제품 현황 - 주로 해외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PHILIPS(飞利浦)와 松下(PANASONIC)가 각각 44%, 12.9%의 시장 점유율로 헤어드라이기 시장의 약 57%를 차지하고 있음. - 중국산 브랜드로는 페이커(飛科), 캉푸(康夫), 벙텅(奔騰)등이 있으며, 각각 19.8% 10.7% 4.7%를 차지함. 이들 기업이 헤어드라이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적으며, 약 35.2%임.
2013~2014년 중국 드라이기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현황 자료원: 바이두(百度)
- PHILIPS(飞利浦))와 松下(Panasonic)는 2014년 기준 전년대비 각각 1%씩 감소한 반면, 중국 제품 페이커(飛科)는 5.3%가량 늘어남.
○ 선호 브랜드 - PHILIPS HP8203은 수요가 가장 높은 상품이며, 5대 주요 상품 중 4대가 PHILIPS 상품으로, 시장점유율이 절반에 육박함.
자료원: 소비연구중심(消費硏究中心)
□ 중국 시장 대표 브랜드 및 가격
자료원: 바이두
○ 음이온 기능의 유무 - 대부분의 제품들이 음이온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제품 간 큰 차이가 없음. - 음이온의 경우 머릿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며 두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음.
○ 온도 조절버튼 - 풍량과 온도를 따로 조정할 수 있도록 버튼을 2중 또는 3중으로 장착함.
○ 소비전력 - 해외제품은 1200W에서 1600W로 소비전력이 높은 편임. - 중국 제품은 850W에서 2100W로 제품 간 큰 차이를 보임.
○ 飞利浦(PHILIPS), 松下(Panasonic)는 중국 상품과 비교했을 때, 약간 고가의 가격이긴 하나 품질이 월등히 좋아 그 정도의 가격은 감수하는 소비자들이 다수
○ 소비자들은 헤어드라이기 구매 시 소비전력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 제품 인지도
○ 중국의 대표매장을 방문 조사한 결과, 한국 제품에 대한 호감도는 높은 편임.
○ 네덜란드(PHILIPS)와 일본(Panasonic) 등 경쟁제품과 비교했을 때, 인지도가 떨어지며 시장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지 않음.
□ 관련 전시회 정보
자료원: 네이버
자료원: 네이버
□ 연령대별 시장 진출 전략
○ 10~20대 여성 10~20대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해 언제든지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한 초소형 제품 개발이 필요함.
○ 중·장년층 여성 개인 건강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 여성들이 다른 소비재 구매 시 쉽게 동반 구매할 수 있도록 대형마트의 제품 진열 및 광고 판촉 중점연구 중산층 소비자들은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브랜드를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높은 품질을 검증받은 글로벌 브랜드라는 인식을 지속적으로 각인하는 참신한 마케팅 활동이 필요할 것임.
○ 남성 시장조사업체 칸타르에 의하면, 중국 대도시 남성 73%가 남녀 출세에 ‘호감 가는 외모’가 필수라고 생각한 것으로 조사되면서, 최근 중국에서 남성을 겨냥한 미용제품 매출이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남성들이 간단하게 헤어 연출을 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시사점
○ 기존 해외브랜드와 기능상 차별성 부족
○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차별화된 마케팅이 필요함.
○ 최근 중국 제조사들 중 값이 저렴하며 괜찮은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기업들이 많아졌다는 인식이 늘어남.
○ 한국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혁신적인 광고와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 단순히 물건만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매장의 분위기, 점원의 서비스 등 한국식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호하는 중국인이 늘고 있음.
○ 매장 앞에 스타의 실제 모습을 담은 입간판을 설치해 고객이 스타와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기회 제공 및 젊은 여성 고객층 공략을 위한 무료 샘플 배포
자료원: sohu, baidu, naver, 중국소비연구중심 등 가전제품 관련 홈페이지 및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