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컴퓨터로 DivX를 보다가 좀 더 큰 TV화면에서 보고 싶어 합니다.
: 알아본 바로 그래픽카드를 TV OUT되는 걸로 바꾸던지 아님 TV인코더를 달아야 하는 것 같습니다.(틀리면 답글 부탁합니다.)
: 그래서 그래픽카드 바꾸느니 카드를 더 달기로 했습니다.
: 제컴은 펜3 800EB이고 128MB이고 슈마 지포스2 엠엑스 파워업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이 사양에서 어떤 인코더 카드가 좋은 지요.
: 대충 알아보니 1024*768지원되는 것과 800*600인가 640*480이 지원되는 것이 있더군요.
: 두가지가 화질차이가 있는지 어느 회사 제품이 좋은지 답글부탁합니다.
제가 제글에 답글을 쓰는 군요
이렇게 답글을 쓰게 된 이유는 저와 같은 이유로 인코더를 사실려고 하거나 그래픽카드를 바꾸실 분이 많을 것 같아 글을 올립니다.(아님 적거나 없을려나)
우선 돈이 많아서 쓸 데가 없다거나 화질을 중요시 하지 않거나 하신 분들은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사시지 마십시요.
전 슈마 티비 인코더 2를 어제 사서 집에서 써봤습니다.
그리곤 가슴을 치며 후회했습니다. ㅠ.ㅠ
해상도의 차이는 없더군요.
용산에서 5만원 안팎에 파는 인코더는 640*480밖에 지원 안되지만 슈마건 1024*768까지 지원합니다.
그러나 영화볼경우 전혀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전 전체화면으로 해서 보는데 두경우의 차이가 없더군요.
있다면 주파수차이에 의한 화면떨림이 차이나는 정도밖에요
그러나 이것도 어떤 경우로 해도 정도차이만 있을 뿐 떨리기는 매한가지더군요.
둔감한 제가 느낄 정도라면 민감하신 분들은 짱날겁니다.
뭔가 튜닝을 해야 안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시간관계상 그걸 못해봐서 그럴 수도 있지만 암튼 넘 실망입니다.
그리고 1024에서는 바탕화면의 아이콘의 글자는 완죤히 깨알같아서 뭔 글자인지 알 수 없더군요.
그리고 작기만 하면 괜찮은데 꼭 640*480그림을 1024*768등으로 늘렸을 때 처럼 여기저기 뭉쳐 있더군요.
그래서 글자가 매끄럽지 못합니다.
결국 1024를 지원해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던지 뭐 다른 걸 볼려면 어쩔 수 없이 640으로 낮춰야 합니다.
여기서 싼 5만워짜리와 차이가 없어지더군요.(동영상의 차이는 없고)
이삼십만원하는 고가장비를 써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그런 것을 살정도로 매니아나 돈 있으신 분이 없을 것 같은데) 인코더 사서 쓰신다면 엄청 실망할 겁니다.
화면 떨림과 화질에서요.
ㅠ.ㅠ 돈이 아까비....
돈 돌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