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립 (Grip) |
(1) 라켓의 손잡이 부분. (2) 라켓을 잡는 방법. |
펜홀더 그립 (Penholder Grip) |
라켓을 잡는 방법의 하나로서 펜을 쥐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잡는 것. |
셰이크핸드 그립 (Shakehand Grip) |
라켓을 잡는 방법 중 하나로서 악수하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잡는 것. |
전형 (戰形, Playstyle) |
경기를 할 때 자신이 주로 플레이하는 방법. 공격형과 수비형으로 크게 구분됨. |
속공 (Fast Attack) |
빠른 타이밍에 공격하는 것을 말함. 주로 공이 바운드된 후 정점에 도달하기 전의 구간을 노려서 침. |
드라이브 (Drive = Topspin) |
공에 전진회전을 거는 공격 기술. 다른 말로 탑스핀(topspin)이라고도 함. |
커트 (Cut = Chop) |
상대방이 공격해 온 공을 탁구대에서 멀리 떨어져서 아래로 자르듯이 치는 수비 기술. |
블록 (Block) |
상대방이 공격해 온 공을 탁구대에 붙어서 가볍게 튕겨내는 수비 기술. |
로브 (Rob) |
상대방이 공격해 온 공을 탁구대에서 멀리 떨어져서 전진회전을 걸어서 높이 띄워올리는 수비 기술. |
피슈 (Fish) |
상대방이 공격해 온 공을 탁구대에서 멀리 떨어져서 회전을 걸지 않고 높이 띄워올리는 수비 기술. |
이면 (裏面, Backface) |
펜홀더 라켓의 뒷면. |
이면타법 (裏面打法) |
펜홀더 라켓의 뒷면으로 공을 치는 타법. |
양핸드 공격 (Both Side Attack) |
포핸드와 백핸드를 모두 주 공격 무기로 쓰면서 플레이하는 것. |
블레이드 (Blade) |
탁구 라켓의 목판 부분. 혹은 목판과 그립 부분을 합쳐서 블레이드라고 하기도 함. |
러버 (Rubber) |
탁구 라켓의 목판 부분을 덮는 고무와 스폰지로 만들어진 부분. |
프리핸드 (Freehand) |
라켓을 잡지 않은 손과 그 팔 전체를 말함. 손이 비어 있다고 하여 프리핸드라고 한다. |
라켓핸드 (Rackethand) |
라켓을 잡고 있는 손과 그 팔 전체. |
스탠스 (Stance) |
1. 양 발 사이의 폭. 2. 탁구대에 대한 두 발의 위치 관계. 포핸드 스탠스, 평행 스탠스, 백핸드 스탠스 등으로 나누어짐. |
포핸드 스탠스 (Forehand Stance) |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발이 뒤에 있고 왼발이 앞에 있는 스탠스. 주로 포핸드 타구를 하기에 좋음. |
백핸드 스탠스(Backhand Stance) |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발이 뒤에 있고 오른발이 앞에 있는 스탠스. 백핸드 타구에는 가장 이상적인 스탠스이지만 실제로는 사용할 기회가 많지 않음. |
평행 스탠스 (Parallel Stance) |
탁구대의 엔드라인에서 양발이 같은 거리에 있는 스탠스. |
풋웍 (Footwork) |
탁구에서 효과적으로 위치를 옮기기 위하여 발을 움직이는 기술. |
포사이드 (Foreside) |
탁구대 한가운데를 기준으로 할 때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쪽 영역. |
백사이드 (Backside) |
탁구대 한가운데를 기준으로 할 때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 영역. |
롱 (Long) |
회전을 걸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공을 쳐서 공격하는 타법 |
드라이브 (Drive) |
전진회전을 걸어서 공격하는 타법. "탑스핀(topspin)"이라고도 부름. |
탑스핀 (Topspin) |
1. 전진회전, 즉 진행 방향으로 굴러가는 회전.
2. 전진회전을 걸어서 공격하는 타법, 즉 드라이브와 같은 말.
|
스매시 (Smash) |
회전을 걸지 않고 강타하는 기술, 한발로 끝내기 위한 결정타로 사용됨. 기본은 포핸드 롱이며 포핸드 롱을 강하게 하는 것이 스매시임. |
푸시 (Push) |
공을 때리지 않고 밀어서 넘기는 기술. 라켓면이 위를 보게 하여 후퇴회전을 걸어서 넘기는 것과 라켓면이 앞을 보게 하여 강하게 밀어넘기는 공격적인 기술의 두 종류가 있음. 후퇴회전을 거는 기술은 보스커트(both-cut)라고도 부름. |
보스커트 (Both-cut) |
후퇴회전이 걸려서 넘어온 공을 탁구대 위에서 마찬가지로 후퇴회전을 걸어서 돌려보내는 기술. "푸시(push)"라고도 부름. |
롱 타법 (Long) 1. 상대방의 공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백스윙을 잡아서 자신의 힘으로 치는 타법.
2. 회전을 걸지 않고 타구하는 공격 타법 백스윙 (Backswing) 날아오는 공에 맞추어 라켓을 뒤로 빼는 동작. 포워드 스윙 (Foreward Swing) 뒤로 뺐던 라켓을 공을 치기 위하여 다시 앞으로 보내는 동작. 스트로크 (Stroke) 1. 라켓이 앞으로 나가는 동작. 포워드 스윙과 임팩트, 폴로스루로 이어지는 과정 전체를 말함.
2. "타구"라는 뜻으로서 탁구의 각종 기술을 의미함. 폴로스루
(Followthrough) 앞으로 나가는 스윙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진 후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점점 스피드를 줄여 가는 단계의 동작. 네트미스 (Net Miss) 공이 네트를 넘기지 못하는 미스. 오버미스 (Over Miss) 공이 상대방 코트의 엔드라인 뒤로 넘어가 버리는 미스. 크로스 (Cross) 공이 날아가는 코스를 나타내는 단어의 하나로서, 탁구대의 대각선 방향으로 공이 움직이는 것을 말함. 스트레이트 (Straight) 공이 날아가는 코스를 나타내는 단어의 하나로서, 탁구대의 사이드라인(옆줄)과 평행하게 공이 움직이는 것을 말함. 닫힌 라켓면 (Closed Face) 공을 덮어씌우는 형태의 라켓면. 열린 라켓면 (Open Face) 공을 밑에서 받치는 형태의 라켓면. 중립적인 라켓면 (neutral Face) 공의 뒷부분을 똑바로 때리는 형태의 라켓면. 스위트스팟 (Sweet Spot) 라켓면에서 공을 쳤을 때에 기분좋은 소리가 나는 부분. 라켓면의 중심부 근처의 타원형의 작은 부분임.
하프발리 (Halfvolley) 셰이크핸드의 백핸드 기본타법. 아래팔 (Forearm) 팔꿈치에서 손목까지의 부분. "하완(下腕)"이라고도 부름. 위팔 (Upperarm) 어깨 아래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 "상완(上腕)"이라고도 부름. 백핸드 블록
(Backhand Block) 백핸드로 상대방의 공격구를 튕겨내는 수비 기술. 펜홀더의 경우는 "블록성 쇼트"라고도 부름.
커트 (Cut) |
1. 위에서 아래로 내려치는 스윙으로 공이 날아오는 경로를 자르는 타법. 주로 탁구대에서 떨어져서 드라이브를 받아내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됨 이 타법을 중심으로 플레이하는 전형을 "수비전형"이라고 부름. 2. 푸시를 이 타법과 혼동하여 잘못 부르는 말로서 이런 잘못된 표현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
보쓰커트 (Both-cut) |
수비선수가 커트로 넘겨온 공을 같은 구질로 돌려보낸다는 의미에서 유래됨. 후퇴회전 공을 후퇴회전으로 넘겨보내는 기술로서 "푸시"와 같은 의미의 기술 명칭으로 쓰임. |
카운터 커트 (Counter Cut) |
커트에 대항하는 기술이라는 의미로서 보쓰커트와 같은 뜻. |
커트성 블록 (Backspin Block) |
상대방의 공격구를 막아내는 기술인 블록의 일종으로서, 순간적으로 라켓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여서 후퇴회전을 거는 기술. |
스톱
(stop) |
공을 네트 너머로 가볍게 굴러떨어뜨리는 기술. 푸시의 변형 기술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함. |
플릭
(flick) |
탁구대 위의 짧은 공을 손목의 스냅을 사용하여 강타하는 기술. 흔히 "스냅 스트로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으나 바람직한 표현이라고 보기는 곤란함.
다른 말로는 "플립(flip)"이라고 함. |
준비타 (Perparatory stroke) |
(상황에 따른 타법의 분류에 속함) 후퇴회전이 걸린 공격적이지 않은 공을 주고받다가 먼저 공격적인 타법으로 선제공격을 가하는 것. |
결정타 (Final stroke) |
(상황에 따른 타법의 분류에 속함) 한 번의 타구로 랠리를 끝내기 위하여 100%의 힘으로 타구하는 것. 찬스볼이 날아왔을 때에 사용함. |
카운터 공격 (Counter stroke) |
(상황에 따른 타법의 분류에 속함) 상대방의 공격성 타구를 공격성 타구로 받아치는 것. |
드라이브
(Topspin) |
전진회전을 걸어서 공격하는 기술. |
블록
(Block) |
상대방이 공격해 온 공을 벽을 만들어 튕겨내듯이 받아내는 수비 기술.
주로 공격 전형 선수의 수비 기술로 많이 사용됨. |
쇼트 (Short) |
펜홀더의 앞면을 사용한 백핸드 기본타법. 몸 중심에서 정면을 향하여 타구한다. 주로 방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공격력은 낮다. |
푸시
(push) |
1. (기술의 명칭) 후퇴회전이 걸린 공을 후퇴회전을 걸어서 받아내는 기술.
라켓면이 위를 향하며 앞으로 밀어내는 듯한 동작으로 타구함. 2. (동작에 의한 분류) 공을 때리지 않고 밀어내는 식으로 타구하는 방법. 백스윙이 부족하여 스윙 스피드를 높이기 어려운 상황에서 강하게 타구하고 싶을 때에 주로 사용됨. |
푸시성 쇼트
|
펜홀더의 앞면을 사용한 백핸드 기본기술인 쇼트(short) 타법의 변형의 하나로서 공을 강하게 앞으로 밀어내는 타법. |
어택 (Attack) |
1. (올바른 의미) "공격"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로서 모든 공격 기술을 일컫는 말. 2. (그릇된 의미) "후퇴회전에 대한 포핸드 스매시"를 잘못 부르는 용어. |
미트타법 (meet stroke) |
라켓을 수평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여서 날아오는 공과 정면충돌하도록 하는 느낌으로 치는 타법을 말함. 기술의 명칭이라기보다는 공을 맞추는 방법의 일종임. 셰이크핸드나 펜홀더 뒷면의 백핸드 강타를 미트타법이라고 하는 일이 많으나 포핸드로도 빠른 타이밍에 스매시하는 것은 미트타법이라고 볼 수 있다. |
하프발리 (halfvolley) |
셰이크핸드나 펜홀더 뒷면의 백핸드 기본타법의 명칭. |
드라이브 (Topspin) |
전진회전(탑스핀)을 거는 공격 타법 |
탑스핀
(Topspin) |
1. 전진회전, 즉 공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구르는 회전.
2. (기술 명칭) 전진회전을 거는 공격 타법. "드라이브"라고도 부름.
3. (파생기술 명칭) 드라이브 중 강한 전진회전을 중심으로 한 기술을 이렇게도 부름. 이 경우 "루프 드라이브"와 동일한 의미가 됨. |
탑스핀 드라이브 (???) |
"탑스핀"이라는 말을 높은 타점에서 치는 것이라고 잘못 이해하여 생겨난 그릇된 용어.
"탑드라이브"라고도 불리는 엉뚱한 기술용어로서 추방해야 할 용어임. |
루프 드라이브 (High Topspin) |
올려치는 느낌의 스윙으로 공에 전진회전을 거는 기술. 스피드보다는 강한 회전을 위주로 하는 경우가 많음. 고전적인 드라이브의 형태. |
스피드 드라이브 (Quick Topspin) |
수평에 가까운 스윙으로 공에 전진회전을 거는 기술.
흔이 이 기술을 "탑스핀 드라이브"라는 그릇된 표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
횡회전 드라이브 (Sidespin Attack) | 드라이브의 일종으로, 공의 옆을 맞추어 횡회전을 거는 기술. 공의 바깥쪽을 감아들이는 커브 드라이브와 공의 안쪽을 훑어내는 슈트 드라이브로 나뉜다. |
백핸드 드라이브 (Backhand Topspin) |
몸 중심에서 앞으로,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라켓이 움직이면서 공에 전진회전(탑스핀)을 거는 기술. |
카운터드라이브 (Counter Spin) |
상대방의 드라이브를 전진에서 빠른 타이밍을 잡아서 전진회전을 걸어 받아치는 기술. |
롱 (Long) |
회전을 걸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공을 쳐서 공격하는 타법 |
스매시 (Smash) |
1. (좁은 의미) 약간 높이 떠올라서 날아오는 찬스볼을 강하게 때려넣는 기술.
미국에서는 이를 "킬(kill)"이라는 용어로 부름. 2. (넓은 의미) 포핸드 롱의 응용 기술로서 회전을 걸지 않고 강타하는 기술의 총칭. |
포핸드 롱 (Forehand Long) | 포핸드를 사용한 회전을 걸지 않는 공격 기술의 기본타법. (강좌 3회 참조) |
포핸드 스매시 (Forehand Smash) | 포핸드 롱의 변형 기술로서, 랠리를 끝내는 결정타로 사용하는 기술. 어깨 높이에서의 수평 스윙으로 공을 강타한다. (강좌 7회 참조) |
백핸드 롱 (Backhand Long) |
백핸드를 사용하며 회전을 걸지 않는 공격 타법. 오른손잡이라면 몸 왼쪽에서 치게 된다. 셰이크핸드는 몸 중심에서 치는 하프발리가 이 백핸드 롱을 대신한다. |
백핸드 스매시 (Backhand Smash) |
백핸드 롱을 응용하여 결정타로 사용하는 기술. 몸을 크게 비틀어서 타구한다는 것이 "전진 백핸드 강타"와의 차이점이다. |
일본식 펜홀더 (Japanese Penholder) |
일본에서 발전되어 온 펜홀더의 형태. 그립의 폭이 좁고 한쪽으로 튀어나와서 검지손가락을 걸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말함. 자유롭게 움직이기 쉬운 것이 특징. |
중국식 펜홀더 (Chinese Penholder) |
중국에서 발전되어 온 펜홀더의 형태. 그립의 폭이 넓으며 양쪽으로 조금씩 튀어나와 있으며 검지손가락은 걸치기 곤란하도록 되어 있음. 손에 고정되어 안정성이 높은 것이 특징. |
반전형 펜홀더
(Rotary Penholder) |
일본식 펜홀더의 일종으로서 양면에 러버를 붙일 자리가 마련되어 있음.
라켓을 돌려 가며 두 종류의 러버를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
스냅 스트로크 (Snap Stroke) |
방송 등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용어로서 탁구 용어에 무지한 중계진이 "플릭"이라는 용어를 모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잘못된 용어. |
카운터 (Counter) |
상대방의 공격을 되받아친다는 뜻의 단어. |
대상기술 (On-table technic) |
짧은 공을 탁구대 위에서 처리하는 기술의 총칭 |
롱 타법 (long stroke) |
공격적 타법. 백스윙을 크게 잡아서 자신의 힘으로 치는 타법. |
쇼트 타법 (short stroke) |
수비적 타법. 백스윙을 작게 잡고 상대방의 공의 힘을 이용하는 타법. |
수동적 블록 (passive block) |
공을 멈추듯 잘 받아내는 것에 치중한 블록. |
능동적 블록
(active block) |
공을 강하게 밀어내는 공격적인 블록. 공격과 수비가 융합된 기술이다. |
현대적 올라운드 스타일
(modern allround style) |
전진을 고수하며 공격적인 블록을 활용하여 공격과 수비를 하나로 융합하는 현대적인 공격전형의 플레이스타일. |
너클성 블록 (dead block) 회전이 거의 걸리지 않은 느린 공으로 만들어 튕겨내는 기술.
임팩트 (impact) |
라켓이 공을 맞추는 것 |
폴로스루 (followthrough) |
임팩트 후 갑자기 동작을 멈추지 않고 끌고 나가는 것 |
폴로스로우 |
"폴로스루"를 잘못 부르는 말. through를 throw와 혼동하여 만들어진 단어 |
팔로우스윙 |
"폴로스루"를 잘못 부르는 말. 역시 "스루"를 다른 말과 혼동한 것임 |
돌출러버 (pimple out rubber) |
돌기가 스폰지와 반대편이므로 밖으로 나와 있으며, 짧고 굵으므로 변형되기 어려운 러버. 수비전형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음 |
롱핌플 러버 (long pimple rubber) |
돌출러버와 유사하나 돌기가 가늘고 길며 쓰러지기 쉬운 러버. 수비전형이 백핸드면에 주로 사용하는 러버임 |
수비용 블레이드 (defensive blade) |
커트 기술로 수비하는 것을 주된 플레이스타일로 삼는 선수들이 사용하기 편하도록 특별히 만들어진 블레이드. 주로 셰이크핸드가 많으며 라켓면이 크다. 반발력이 낮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임 |
첫댓글 정상우가 입질할만도 한데 .. 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