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붕 세 가족 코카서스 3국
유럽의 동쪽 끝 흑해와 아시아의 서쪽 카스피해 사이에 있는 세 나라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아르메니아를 가리켜서 ‘코카서스 3국’이라고 부른다.
코카서스산맥을 공유화면서 서로 이웃하고 있지만 역사와 문화에는 차이가 많다,
마치 서양 사람들의 눈으로 바라보는 ‘동북아 3국’이라는 틀 속의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형국과 비슷하다. 유럽에서 가장 높은 코카서스산맥을 한 지붕으로 살아가는 세 가족이지만 각국의 문화와 역사, 종교가 차이가 많고 특히 볼거리에서도 그 맛과 색이 다르다.
러시아의 문호들이 반한 코카서스
셀 수 없는 외침으로 바람 잘 날 없던 코카서스 지역이 러시아 땅으로 편입된 시기는 예카테리나 여제 때였다.
미국이 서부를 개척하듯 러시아는 남부를 개척하기 위해 험난한 코카서스 산맥을 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새로운 땅 코카서스에는 아른다운 자연경관과 용감한 전사들, 소박하면서도 인정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의 열정적인 춤과 아름다운 노래, 거기에 맛있는 음식까지 무엇 하나 매력적이지 않은 것이 없었다. 19세기 러시아 작가들에게 코카서스는 미지의 세계이자 새로운 천국이었고, 반체제 문인들에게는 유배지가 되기도 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코카서스와 인연을 맺은 러시아의 작가들이 손가락으로는 다 꼽지 못할 정도로 많다. 그중에서도 1822년 ‘카프카스의 포로들’이란 시를 쓴 푸시킨, 1972년 동명의 단편소설을 쓴 톨스토이가 가장 눈에 띈다. 러시아 현대 영화의 명작 보도로프는 1996년 이를 각색해 동명의 영화를 찍기도 했다. 푸시킨은 그리 길지 않은 생을 사는 동안데도 여러 차례 코카서스를 방문해 흔적을 남겼다. 1829년에 방문했을 때는 ‘그로지아 언덕에서’라는 시를 쓰기도 했다. ‘그루지아’는 조지아의 예전 이름이다. 톨스토이 역시 작가 지방 시절 타플리스(트빌리시의 옛이름)를 여행한 적이 있으며 4년 동안 군인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코카서스 이야기들’이란 작품을 남겼다.
러시아의 혼이라고 불리는 작가 레르모토프는 코카서스에서 두 차례에 걸친 유배 생활은 한 경험으로 코카서스를 외부에 알린 최초의 작가이기도 하다.
그가 남긴 작품으로는 ‘우리 시대의 영웅’‘수사’ ‘즈바이 성당이 있는 언덕에서 바라본 므츠헤타’등이 있다. 구 소련이 프롤레타리아 작가이자 레닌의 혁명 동지인 막심 고리키는 티플리스 철도 기지창에서 페인트공으로 일한 적이 있다.
그는 1892년 집시 이야기를 다룬 자신의 처녀작 ‘마카르 푸드라’를 발표했다.
이때 그는 ‘알렉산드로 페츠코프’라는 본명 대신 ‘막심 고리키’라는 필명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2년간의 코카서스 체류 기간에 웅장한 코카서스산맥과 그 자락에서 살아가는 낭만적인 코카스스인들을 보고 글을 쓰기로 마음먹었다고 고백했다.
불의 나라, 아제르 바이잔
아제르 바이잔은 흔히 ‘불의 나라’라고 부른다.
과반수의 국민이 불을 숭배하는 조르아스터교 신자다, 조로아스터교가 아제르바이잔에 유입된 시기는 기원전 2세기에서 1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당시 코카서스 지역에 있던 코카서스 알바니아 제국과 페르시아 지역의 사산니드 왕국이 정치, 군사적 동맹을 맺음으로써 조로아스터 교도들의 유입이 시작됐다. 어떤 학자는 ‘아제르 바이잔’이라는 말이 중세 페르시아어로 꺼지지 않는 불의 땅이라는 뜻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아제르바이잔에서 가볼 만한 곳은 고부스탄의 암감화와 진흙화산이다. 고부스탄에는 기원전 4000년에서 2000년에 걸쳐 형성됐을 암각화에는 그 시기에 살았던 사람들의 수준 높은 생활상이 잘 나타나 있다.
2. 볼수록 매력 있는 나라, 조지아
조지아는 코카서스 3국 여행의 핵심이 되는 나라다. 오래 숙성된 포도주처럼 단맛과 쓴맛을 함께 간직하고 있다. 조지아 사람들은 그들의 역사가 8000년전 시작됐다고 자랑한다. 스탈린의 고향으로도 유명한 고리의 우플리스치혜 지역에는 최초의 원시인이 살았던 흔적이 있다. 원주민들은 이곳에 수도원을 세우과 그들의 신앙을 지켜왔다. 수도원 주변에는 포도를 심어 일용할 먹거리를 마련했다. 조지아 여행은 이런 역사 아래 세워진 수도원과 주변 마을 중심으로 둘러보는 것이며, 그 배경이 되는 코카서스산맥의 웅장하고 현란한 경관을 덤으로 볼 수 있다.
3. 첫 번째 기독교의 나라,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는 AD301년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최초의 나라다. 로마제국이 313년 국교를 정했으니 이보다 12년이나 앞선다. 인구 300만 명의 95%가 기독교 신자다, 아르메니아 교회는 기독교의 3대축인 개신교, 로마 카돌릭, 그리스 정교회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며 ‘아르메니아 사도회’라는 그들만의 교회다. 그래서 아르메니아를 여행할 때는 성지 순례와 같은 신성한 마음가짐으로 해야 한다고도 한다. 조지아를 떠나 아르메니아 국경을 통과한 뒤 만나는 관광지는 모두 수도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늘과 땅을 잇는 독특한 십자가 하치카르, 자연 채광으로 교회 내부를 밝히는 예르크, 예수를 찌른 창, 노아의 방주, 13년간 지하 감옥에 갇혀 있던 성 그레고리, 이렇듯 아르메니아 수도원의 역사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후에 쓰게 되는 여행후기에는 성경의 내용이 많이 소개될 것으로 보아, 조금은 거부감을 느끼게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첫댓글 양선생님,
소식 주셔서 반갑고 코카서스 여행후기 잘 읽고 있습니다.
여행 중 어느 수도원에서 신화와 얽힌 이야기를 재미있게 해 주셔서 사전에 공부를 많이 해 오셨구나 느낀 적이 있었습니다.
대상포진으로 편찮으신데 후기의 분량이 얼마나 될지 모르지만 무리 하지 마시고
조금씩 쉬엄 쉬엄 하셨으면 합니다~^^
양교장님 글 잘 보았습니다.
건강에 유의하시며 다음 글도 쓰세요.
여행하는 동안 양교장님이 계셔서 즐겁게 한 점도 밝혀드립니다
해박하신 선생님덕에
공부
많이 합니다.
건강 회복하셔서
다음글도 부탁드립니다.
대상포진 와중에도 해맑은 웃음 선사해 주신 모습이 아직도 선한데,
후기 읽고나니 아하 그랬구나 하면서 머리가 밝아지는 듯 합니다.
한편으로 한 쪽 저 멀리서 웃음발사총 겨누시는 모습 속에서 고뇌에 찬 다음 후기 욕심 내어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