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증시 동향]
-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전일 델타 변이 확산과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인한 과도한 낙폭에 대한 반발매수가 유입되면서 3대 지수가 모두 역사상 최고치 경신
- 지난주 다우지수는 +0.24%, S&P500지수는 0.40%, 나스닥지수는 +0.43% 상승
- 국채금리 주시, 최근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로 전일 1.30%를 하향 돌파하여 1.25%까지 하락하였던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성장 우려 완화로 재차 반등하여 1.35%에서 마감
- 델타변이 바이럭스 확산, 전날 도쿄는 올림픽을 무관중으로 치르기로 결정한데 이어 미국에서도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가을에 크게 확산할 것이라는 전망, 19일부터 마스크 의무화 등 방역 조치를 완전 해제하기로 했던 영국도 방역지침 재검토 조짐
- 中 지준율 인하, 중국 인민은행이 지난해 4월 이후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오는 15일부터 0.5%포인트 인하, 1조 위안에 달하는 장기 자금이 은행 시스템에 방출되면서 자산시장 전반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 조성
- 경기지표는 양호, 美 5월 도매재고 지표 1.3% 증가하면서 시장전망치 1.1% 상회
- 섹터별로는 전 업종 상승한 가운데 금융, 에너지, 소재업종 강세, 종목별로는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던 아마존(AMZN)의 주가는 이날 0.32% 하락, 애플(APPL)은 1.31%, 테슬라(TSLA)는 0.63% 상승, 민간 우주항공 업체 버진갤럭틱(SPCE)의 회장이자 英 억만장자 리차드 브랜슨은 11일(현지시간) 민간이 최초 우주비행 성공
- WTI는 2.2% 급등, OPEC+ 합의 불발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일 발표된 美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2일로 기준 주간 원유재고는 686만6000배럴 줄어든 4억4547만6000배럴로 7주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원유수요 증가가 상승 요인
_
* 주요 지수
다우존스: 34870.16 (1.30%)
S&P500: 4369.55 (1.13%)
나스닥: 14701.92 (0.98%)
유로Stoxx: 4068.09 (1.91%)
FTSE100: 7121.88 (1.30%)
CAC40: 6529.42 (2.07%)
DAX30: 15687.93 (1.73%)
닛케이225: 27940.42 (-0.63%)
상해종합: 3524.088 (-0.04%)
항셍: 27344.54 (0.70%)
VIX: 16.18 (-14.84%)
_
S&P 500 은행 인덱스: 398.56 (3.46%)
유로Stoxx 은행 인덱스: 91.97 (2.76%)
닛케이 은행 인덱스: 138.28 (-0.14%)
LIBOR-OIS 스프레드: 0.0366 (3.10%)
_
* 주요 지표 (서베이, 발표치 or 발표시간, 이전치)
전거래일 ( 9일)
폴란드 7/8 기준율 발표 ( 0.10%, 0.10%, 0.10%)
중국 6월 CPI YoY ( 1.2%, 1.1%, 1.3%)
중국 6월 PPI YoY ( 8.8%, 8.8%, 9.0%)
미국 5월 도매 재고 MoM ( 1.1%, 1.3%, 1.1%)
금일 ( 12일)
일본 5월 핵심기계수주 MoM ( 2.4%, 08:30, 0.6%)
_
* 환율
파운드달러: 1.39 (-0.03%)
아시아통화 인덱스: 107.72 (-0.04%)
달러인덱스: 92.13 (-0.31%)
원달러: 1148.3 (0.43%)
원엔: 10.4 (0.03%)
원위안: 177 (-0.11%)
엔달러: 110.15 (-0.01%)
달러유로: 1.19 (-0.02%)
위안달러: 6.48 (0.18%)
_
* 상품
WTI: 74.56 (2.22%)
현물 금: 1808.32 (0.30%)
LME 3개월 구리: 9519.5 (2.11%)
BDI: 3300 (0.58%)
_
* 채권
미국10y: 1.36 (6.668bp)
미국2y: 0.213 (1.822bp)
독일10y: -0.29 (1.38bp)
그리스10y: 0.73 (-0.02bp)
스페인10y: 0.35 (0.57bp)
이탈리아10y: 0.76 (0.03bp)
포르투갈10y: 0.33 (0.72bp)
SHIBOR 1w: 2.22 (0.106)
중국 CDS 5y: 38.02 (-0.760)
한국 CDS 5y: 18.19 (-0.087)
브라질 CDS 5y: 174.42 (-0.036)
_
* S&P500 섹터별
자유소비재: (0.79%)
필수소비재: (0.58%)
에너지: (2.01%)
금융: (2.87%)
헬스케어: (0.36%)
산업재: (1.62%)
IT: (0.95%)
커뮤니케이션: (0.81%)
소재: (2.01%)
유틸리티: (0.16%)
_
* S&P500 Winners & Losers
UP
디스커버 파이낸셜 서비시스 (6.19%)
NOV (5.99%)
스테이트 스트리트 (5.68%)
SVB 파이낸셜 그룹 (5.57%)
캐피털 원 파이낸셜 (5.31%)
DOWN
덱스컴 (-1.40%)
레스메드 (-1.22%)
박스터 인터내셔널 (-1.11%)
이퀴닉스 (-0.95%)
$$$ S&P 500 섹터별 주요종목 등락
[주요종목]: 페이스북 (1.38%), 아마존 (-0.32%), 애플 (1.31%), 넷플릭스 (0.98%), 구글 (0.31%), 엔비디아 (0.74%), AMD (1.29%), 마이크론 (2.11%), 테슬라 (0.63%)
[IT]: 인텔 (1.08%), 시스코 (0.90%), 어도비 (-0.24%), 페이팔 (1.75%), 오라클 (2.54%), 세일즈포스 (-0.30%), 브로드컴 (2.06%), IBM (0.55%), 텍사스인스트루먼트 (1.08%), 퀄컴 (2.27%),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1.79%), 램리서치 (1.13%), 마이크로칩 (2.13%)
[커뮤니케이션]: 버라이존 (0.70%), 디즈니 (2.45%), AT&T (0.96%), 컴캐스트 (-0.34%), 액티비전 블리자드 (0.22%), EA (0.38%), 트위터 (3.20%)
[자유소비재]: 홈디포 (1.11%), 나이키 (0.23%), 스타벅스 (1.28%), 로우스 (1.31%), 부킹홀딩스 (1.44%), 타겟 (0.00%), 샌즈 (2.15%), GM (4.82%), 이베이 (1.18%), 메리어트 (3.52%), 베스트바이 (2.50%), 포드 (2.99%), 익스피디아 (3.83%)
[필수소비재]: 월마트 (0.51%), P&G (0.04%), 코카콜라 (0.61%), 코스트코 (1.28%), 필립모리스 (1.05%), 에스티로더 (1.37%), 크래프트 하인즈 (0.88%), 월그린스 (1.48%)
[에너지]: 엑슨모빌 (1.81%), 쉐브론 (1.43%), EOG 리소시스 (3.38%), 파이어니어 (0.48%)
[금융]: JP 모건 체이스 (3.20%), BofA (3.25%), 웰스파고 (3.76%), 씨티그룹 (2.58%), 골드만삭스 (3.57%), 모건 스탠리 (3.07%)
[헬스케어]: 존슨앤드존슨 (0.40%), 유나이티드헬스 (0.53%), 화이자 (0.92%), 머크 (-0.17%), 애브비 (0.20%), 일라이 릴리 (-0.90%), 길리어드 (0.78%), CVS 헬스 (1.37%), 암젠 (0.38%), 바이오젠 (-2.95%)
[산업재]: 유니온 퍼시픽 (1.53%), 록히드 마틴 (0.84%), UPS (0.87%), 보잉 (1.19%), 캐터필러 (2.50%)
[리츠]: 아메리칸 타워 (0.19%), 이퀴닉스 (-0.95%), 프로로지스 (1.85%), 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 (2.16%), 에쿼티 레지덴셜 (1.68%)
# 주요종목신고가신저가
기간별 거래소 신고가 종목
-60일 : 미원에스씨
-52주 : 코스모신소재
-역사적 : 효성첨단소재
기간별 거래소 신저가 종목
-60일 : 삼성물산, KB금융, 엔씨소프트, LG, 삼성생명, 아모레퍼시픽, 한국조선해양,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미래에셋증권
-52주 : 오뚜기
-역사적 : 없음기간별 코스닥 신고가 종목
-60일 : 레고켐바이오, 알서포트, 유비케어, 랩지노믹스
-52주 : 시너지이노베이션, 우리기술, 덕산하이메탈
-역사적 : 사람인에이치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