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기획 취지>
- 청소년 단행본 출판에서 교과서 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흐름은 책의 기획은 물론 마케팅에도 많은 영향을 줍니다.
- 특히 역사 과목을 비롯한 교과서의 국정화에 대한 의견들이 언론에 보이고 있고,
디지털 교과서는 이미 현재화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
- 이에 상황에서 청소년 단행본 출판사들이 교과서 변화 추이에 대한 궁금함을 여기저기에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이번 청출협의 강연을 <교과서의 변화와 단행본의 모색>이란 주제로 잡아 보았습니다.
- 창비 출판사의 교과서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김종곤 본부장을 모시고,
- 교과서 출판에 대한 기본 상식에서부터
교과서 출판 시장의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예상되는 변화 추이에 대하여 강연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 그동안 교과서 시장을 주무대로 하여 고민해 오셨고,
단행본 출판에 대해서도 경험이 있으신 김종곤 본부장님으로부터
눈높이를 맞춘 교육의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예상 질문>
1. 교과서는 어떻게 차례를 구성하는가 (창비의 국어교과서로 예를 든다면)
2. 교과 목표에 맞는 소재(기존 단행본 책의 내용)는 어떻게 선택하게 되는가. (보편성, 시대성 등등의 기준이 있을 듯합니다.)
3. 교과서 관련 정책은 어떻게 결정되며 그 흐름은 현재 어떻게 가고 있나?
4. 교과서의 흐름은 청소년 단행본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5. 교과서 시장과 청소년 단행본 시장의 차이점은? (주요 매출 발생 지점의 차이점)
6. 교과서의 디지털화는 가능한가? (교과서 디지털화의 진행 속도를 추측해 본다면?)
7. 기타
청출협-교과서 출판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ppt
[2009 개정_2011]국어과 교육 과정.pdf
창비-중학교 국어① 1단원.pdf
첫댓글 배움에 목마른 제게 단비 같은 강연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두요~!!
많이 배웠습니다. 기획, 소스 얻기, 통계 활용, 마케팅의 핵심 요소 등등 여러 가지 정보를 구조적으로 짜서 연구하고 응용하는 방식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정가제가 자기 출판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분석과 대응은 여러 출판사의 예들을 살펴보게 하는 동기가 되었습니다. 생퀴~~ 김종곤 본부장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