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2일 박상준의 잡글모음...(구글에서 haarp location이라고 검색을 해보면.)
구글에서 haarp location이라고 검색을 해보면..
다음과 같은 구글 맵이 검색된다. haarp가 과연 알래스카에만 있을까?
이 구글 정보는 어떤 사용자가 2015년 6월 3일에 퍼블리싱한 것으로 표시되고 있다...
(Published on June 3, 2015)...그런데..지금은..2023년..8월이지?
아무튼..이 구글 haarp location 이라는 정보를 364만명 정도 (3,647,951 views) 가
검색해서 봤다고 나오는군. 하프와 관련된 ELF 수신기 VLF 수신기 등에 대한 정보도 대충 검색해보면
알수 있겠지.. 아무튼, HAARP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는 철저히 구글에서 삭제되었는지 별로 검색되는 것이 없다.
-------------------------------
https://apps.dtic.mil/sti/tr/pdf/ADA399992.pdf
08.02 09:16:36
하프와 사드..인공위성 등의 전자기파 빔포밍 기술의 조합으로...하늘의 구름과 켐트레일을 거시적으로..미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겠지. 5천만궁민들이 알기 쉽게 이 아자씨가 대충 설명해주마. 너거들이...구름과 켐트레일로 만들어진 하얀 도화지에다가 붓이나 연필로 그림을 그린다고 해보자. 그때... 대충 큰 그림을 그릴때는...거대한 붓으로 대충 그리지.. 그리고..미세한.. 눈썹을 하나하나씩 그릴때는..아주...연필심이 가는 연필이나 가는 붓으로 그림을 그리겠지. 즉, 기후를 조작하고..지진을일으키고..산불과 화재를 일으키고...특정 지역을 솥가마로 만들고 그러기 위해서는..광범위한 전자기파 빔포밍 도구가 필요하겠지. 켐트레일을 무차별 살포한다음에..광범위하게 퍼진 켐트레일을 포집할때는 하프 등을
08.02 09:21:24
이 사이트 ( https://twn.my/title/twr125k.htm
Climate change - an integral part of US 'Star Wars' programme
Climate change - an integral part of US ‘Star Wars’ programme While world attention and concern have been focussed on the need to prevent climate change by the control of carbon emissions, the dangers of ‘weather warfare’ have been ignored. Michel Chossudovsky dra...
twn.my
)에 적시 되어 있듯이..하프는 미국의 스타워즈 전략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하프는 5천만궁민과 80억 인류를 해할 수 있는 대량살상군사 무기로 전환되어 왔다라는 것이지. 하프는 홍수..가뭄..허리케인..지진 등을
일으킬 수 있고..완전히 작동한다는 것이지.
In the US, the technology is being perfected under the High-frequency Active Auroral Research Programme (HAARP) as part of the (‘Star Wars’) Strategic Defence Initiative (SDI)
Recent scientific evidence suggests that HAARP is fully operational and has the ability to potentially trigger floods, droughts, hurricanes and earthquakes. From a military standpoint, HAARP is a weapon of mass destruction. Potentially, it constitutes an instrument of conquest capable of selectively destabilising agricultural and ecological systems of entire regions.
08.02 09:49:26
첫댓글 https://rumble.com/v35aovk--5g-.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