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학교정원 가꾸기

ArdenBucklin-Sporer 외 공저 ㅣ 최영애 외 공역 ㅣ 국배판변형 ㅣ 239면 ㅣ 23,000원

왜 학교 정원인가?
학교정원은 학생들과 학교 공동체를 포함하는 생태계의 한 부분이다. 선생님, 학부모, 학생, 토양 미생물, 식물 재료, 배유, 찌르레기, 꼽등이, 오뚝이, 기상 시스템 등은 학교정원이란 무대의 주연배우이며, 서로 영향을 주고, 서로 자리를 차지하려 경쟁하기도 한다. 물론 모든 정원은 다르며, 학교 공동체의 노력이라는 뿌리를 기반으로 자라는 것이다. 학부모는 학교 운동장을 변화시키는 동력이기 때문에 이 책은 직접적으로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 선생님 역시 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 책이 교육자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어 선생님들로 하여금 학교정원을 수업에 끌어들이고, 학부모들로 하여금 학교정원 프로젝트에의 의미 있는 참여와 더 나은 학교 공동체로 이끌도록 도와줄 것이라 희망한다. 학교정원은 많은 사람들에 의한 집약적인 노력으로 가꾸어진다.
'학교정원 가꾸기'는 진정한 통합교육, 과정 지향적 태도, 종합적 이해를 도와 창조적 사고가 가능한 신르네상스인을 양성할 수 있는 미래형 교수 전략이다. 자연과 학문을, 삶과 지식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주는 '학교정원'이 우리의 정체성을 다시 회복시키고, 통합적인 시각으로 수많은 창의적인 산물을 만들어 낸 다산 정약용 선생과 같은 훌륭한 인물을 길러 내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는 역할을 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이 책을 추천한다.
책속에서
# 학생의 참여
의견을 모아야만 하는 가장 중요한 그룹은 당연히 학생들이다. 야외 교실의 모든 측면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의견에 대한 조사는 교과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교사들에게 학생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할 것을 권고하라.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무엇이 완벽한 학교정원인지를 미술 숙제로 그려 오거나 쓰기 숙제로 서술해 오라고 할 것이다. 학생들은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내놓을 것이다. 그들은 개구리 연못이나 나비 정원 외에 로켓 발사대나 염소 또는 말 (또는 당신은 모르는 유니콘)을 위한 목초지를 원하고 가장 흔하게는 수영장을 원할 것이다. 학생들을 이 과정에 참여시키면 프로젝트에 열광과 흥미를 더할 것이다.
# 기능적인 야외 교실의 형태
우리는 한 학급 전체가 모여 앉는 야외 좌석이 정원을 단번에 야외 교실로 변화시키는 것을 보아 왔다. 그것은 교사가 학생들 앞에 서서 학급의 활동에 대해 설명하거나 야외용 칠판에 강의 내용을 적거나 하는 기초 교육 공간을 제공한다. 어떤 정원은 강당식 좌석을 갖춘 반면, 어떤 정원은 값싼 짚 더미 위에 학생들을 앉게 하는 곳도 있다. 재료가 무엇이든 모두가 앞을 바라보고 강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성하라. 또한 학생들을 햇볕이나 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그늘막이나 비가림 시설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편안하지 못하면 집중을 하기 어려우므로 즐겁게 앉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도록 하라.
값 싼 좌석을 만들 수 있는 또 다른 재료는 원형 나무판이다. 수액이 스며 나오지 않는 것으로 찾아야 한다. 지역의 산림관리 부서에서 나무를 제거하기 위해 절단한 것을 구하면 되는데, 요구하면 원형으로 잘라 줄 것이다. 이동용 좌석이 필요하면 옮길 수 있는 아동용 사이즈의 플라스틱 의자가 쓸 만하다.
중앙에 자리 잡은 작업대는 학생들이 손으로 씨앗 채취나 자르기, 그리기 또는 돋보기를 쥐고 관찰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에 아주 좋은 장소다. 이상적인 작업대의 크기는 한 학급의 학생들이 둘러앉아도, 각자 작업을 해도 다투는 일이 없을 만큼 크면 좋다....(중략)
정원 설계도의 예 : Alice Fong yu대안학교

차 례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 론
1.왜 학교정원인가
2.준비 작업 구상하기
3.땅에서 최대한 얻기
4.땅파기와 예산편성 및 모금활동
5.학교정원 프로그램의 개발
6. 건강한 야외 교실
7. 학교정원 운영 요령
8.정원에서 식물 심기, 수확하기, 요리하기
9.연중 정원 수업과 활동
10.학교정원에서의 10년
학교정원 레시피
캘리포니아 주 표준교육 내용 사례
관련 자료
참고문헌
저자소개
‣ Arden Bucklin-Sporer
샌프란시스코 녹색학교운동장연합회 전무이사
샌프란시스코 교육청 학교정원 이사
Bay Tree 디자인 회사 공동 설립자
‣ Rachel Kathleen Pringle
보전생물학 석사
샌프란시스코 녹색학교운동장연합회 프로그램 매니저
역자소개
‣ 최영애
숙명여자대학교 가정대학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유아교육 전공)
미국 Chicago DePaul University, Montessori teacher basic training course 수료
미국 Houston University, Constructive Education course 수료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농학석사(원예조경 전공)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예치료학박사(원예치료 전공)
전) 문경유치원장
현) 최영애 원예치료연구소장
서울여자대학교 플로라 아카데미 원예치료 전공과정 교수
- 주요 저서 및 역서 -
원예치료(학지사, 2003)
자연과의 만남으로 나와 세상을 치유하는 도시농업(공저, 학지사, 2006)
치유의 풍경(공역, 학지사, 2010)
원예치료 방법(역, 학지사, 2010)
‣ 권혜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원 원예학과 농학석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원 원예학과 농학박사
현) 천안연암대학 화훼장식계열 교수
- 주요 역서 -
쉽게 기르는 실내식물 140(역, J&P, 2007)
화분 안에 담긴 정원(공역, J&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