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고민중에 인터넷검색하다 알게 되어 상담차 글올립니다.
외아들이라 어릴 때부터 비교적 친밀하게 잘 지내왔는데요
중1쯤부터 슬슬 핸드폰 감추고 반항기가 보여 가급적 잔소리 줄이고 스스로 알아서 하게끔 자유시간을 많이 준 편입니다. 알아서 잘하니 공부 압박도 많이 안하구요.
그러나 고1인 지금은 아예 집에 오면 인사없이 바로 방문닫고 들어가 눈도 안마주치고 모든 대화 거부, 밥도 따로 먹습니다. 대화 좀 하려하면 목소리도 듣기싫고 엄마아빠랑 얘기가 안통한다며 무조건 자기방에서 나가라고만 하고 용돈주고 선물줘도 시큰둥, 칭찬하고 맛있는거 사준대도 필요없다하고 무조건 혼자있고만 싶다네요.
자기는 감정도 눈물도 없으니 감성팔이하지 말라며 어찌나 무심하고 냉정한지.. 엄마아빠한테 바라는거 전혀 없고 20살되면 나가서 혼자 살거라고만 합니다. 학교 성적표나 알림지 같은게 있어도 보여주지 않고 자기 일에 관심 끄라네요.
사실 생활면에서는 지금도 나무랄데가 없습니다. 집중력좋고 성실한 아이라 성적도 우수하고
스스로 인강 들으며 학교에서도 말썽 한번 없이 조용히 자기 할일만 하는 아이라 선생님들이 칭찬하는 모범생인데 (단 묻는 말에 대답만 하고 곁을 안준다고 하는 샘도 계셨습니다.)
이런 아이를 어떻게 계속 대해야할지? 앞으로 변할 수 있을까요?
간단하게라도 답변 꼭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A.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 심리상담센터입니다.
아들이 사춘기 나이에 접어들어서인지 의욕없고 컴퓨터와만 친하게 지내며, 대답도 않는 식의 행동으로 많이 답답하고 걱정이 앞서시겠습니다. 사실상 사춘기 이전엔 어떻게 지냈을지 궁금한데요, 특히 부모님께서 아이들과의 관계가 어떠신지, 가족과 상호작용은 친밀하고 원만했는지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이 어떠한지 잘 모르기 때문에 분명한 제안이나 말씀을 드리긴 어렵습니다.
사춘기 특성이 워낙 반항이나 저항, 짧은 응답이 주 특징이긴 하지만, 만약 자녀 아동기 때 모자 애착이 안정되고 친밀하게 형성되지 않았다면 사춘기 때에 빗나가거나 우울감이나 무기력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잘 모르시겠다 한다면, 전반적인 애착관계를 바탕으로 한 정서적 안정감, 대인관계의 양상 등에 대해 종합 심리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인지기능이나 정서적 발달 수준을 체크하는 것이 이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중요 과업점검 일 뿐 아니라, 부모님과의 관계를 재검토 해보시므로써, 어릴 때 잘 형성되지 못한 관계에 대한 부분을 체크해 주시므로써 새롭고도 건강한 관계로 만들려는 시도를 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모자 관계에서 안심과 가치를 느낄 수 있고, 자신에 대한 이미지와 자신감을 새롭게 한다면 아동은 훨씬 의욕과 동기를 북돋아 지니게 될 것이라 여겨집니다.
기다리는 것만이 답은 아니므로, 아이의 상태를 알게 되면, 기다려야 할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어 주어야할지, 알 수 있게 되므로 앞서 기술한 검사를 통해 내 자녀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사춘기 시기를 부모님이 보다 값지게 이용하므로써, 좋은 부모자녀관계를 회복하고 아동이 자기 스스로를 찾는 고민시기가 되기를 진심 바랍니다.
#부모자녀 갈등을 줄이기 위한 Tip
⑴ 자녀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한다.
- 자녀와 기분 좋게 의사소통하기 위한 첫 단계는 먼저 잘 들어주는 것입니다. 자녀가 이야기 하는 것을 귀 담아 듣고 자녀의 행동이 탐탁지 않더라도 최대한 이해하려고 노력해 주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형제들 사이에 다툼이 생겼을 때 차별을 받고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중재를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대신 각자의 입장을 잘 들어주고 감정을 수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로써 자녀는 부모님이 자신에게 얼마나 관심과 사랑이 있으며 자신의 문제를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느낄 수 있어요.
⑵ 자녀의 발달 단계를 이해하라
- 어른들과 싸운다는 것은 대등한 위치임을 말하는 것인데 그렇다고 어른을 무시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경험부족과 서툰 자기 표현 방식으로 인해 자신의 견해나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강한 표현이 대드는 행동으로 표현 될 뿐입니다.
⑶ 자신의 양육태도를 점검하라.
- 자신이 너무 권위주의적이지는 않았는지 또는 가부장적이지는 않았는지 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부모-자녀 관계에서 걸림돌이 되는 양육태도는 바꾸면서 아이와도 관계 재정립을 한다면, 아이는 심맂거으로 억압되어 있던 분노감정이 다른 것으로 승화가 되어 대드는 습관이 사라질 것입니다.
⑷ 자녀를 동등한 위치에서 대우한다.
- 아직까지 자녀가 마냥 어린아이인 것처럼 느껴지겠지만 이제 자녀는 부모로부터 벗어나 자립하려는 수준에 도달했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를 동등한 입장에서 생각하고 그들의 의견을 존중하며 개방적으로 수용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합니다.
⑸ 상호주체성을 인정하라.
- 자녀는 성장하며 부모로부터 독립하기를 원하지만 한편으로는 계속하여 부모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랍니다. 이 때 부모는 자녀의 요구와 욕구를 존중하면서 부모-자녀 사이에 갈등을 조율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기회가 됩니다. 인격적으로 주체성도 서로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면서 가족 전체가 연결되는 경험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가족상담,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을 진행하는 심리치료센터입니다. 또한 10년이상의 경력을 가진 치료사가 배치되어 전문적이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 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1) 방학 동안 부모-자녀 관계 회복: 갈등 'No' 사랑 'Yes' , 해법수학, 이향숙소장님 칼럼, 2015.12.
사진출처 : pixabay(재사용 가능)
작성자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해니
온라인 상담 하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