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일 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라는 단체의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특강을 했는데 메시지에 울림이 담겼다.
그는 3·1운동을 3·1혁명으로 이름을 바꾸자고 주장했다. 제헌절, 광복절, 한글날, 開天節은 이름이 확연한 의미를 지니는 반면에 왜 3·1절만 의미가 거세되어 단순한 숫자로만 표현되느냐는 것이다. 1919년 3~4월에 일어난 세계사적으로 위대한 혁명적 거사를 ‘3.1운동=스리 콤마 원 스포츠’로, 외국인이나 어린이가 오인하도록 만들 이유가 없다는 문제제기였다.
3·1혁명은 중국 신해혁명, 러시아혁명과 함께 유라시아의 3대 혁명으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겠다.
무엇보다 기본가치로 볼 때 체제를 완전히 변혁하고자 했다.
첫째로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일제 식민지배를 거부하였으며,
둘째로 4000년 동안 내려온 봉건왕조를 거부하고 민주공화주의를 주창했다.
셋째, 여성이 역사 현장에 주체적으로 등장하여 신분, 세대를 넘는 범민족적 항쟁을 벌였다. 당시 피검자 1만9525명 중 학생과 교원이 2355명인데, 이 가운데 여성이 218명이었다. 여성의 취학률이 남성의 100분의 1도 안 될 때이니 대단한 숫자다. 넷째, 전근대적 신민의식이 근대적 시민의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3·1혁명은 역사의 여러 흐름이 유입되었다가, 새로운 흐름을 발생시키는 발원지이며, 거대한 호수로 비유되기도 한다.
실제로 동학혁명, 갑오개혁, 만민공동회, 의병전쟁, 의열투쟁 등의 흐름이 3·1혁명으로 만나, 무장투쟁, 임시정부, 조선의용대, 광복군 등의 독립전쟁 흐름을 만들어냈다. 대한민국의 정체가 된 민주공화주의는 3·1혁명에서 發芽했다.
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가들은 대부분 3·1혁명이라 불렀다고 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1941년 조소앙이 기초한 건국강령 제정 이후 3·1혁명 또는 3·1대혁명을 공식 호칭으로 썼다.
중국 역사가와 언론매체들도 모두 혁명이라 하였다. 다만, 일본 언론이 소요, 폭동 따위로 불온시하다 간혹 ‘운동’이란 말을 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