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on(Eng.,Fr.)[카논, 카농]canone(It.) Kanon(Ger.)
1. 카논은 원래 <규칙>, <표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중세 이래의 음악에 있어서는 가장 엄격한 모방에 의한 대위법 악곡의 일종을 가르킵니다. 14세기에는 단선 성가(Mono phonic)에서 취해진 정선율(cantus firmus)이 다른 성부에 의해서 시종 엄격하게 모방되는 카논풍의 푸가(fuga per canonem)라고 불리는 악곡이 있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카논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카논의 특징을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주제라고 불리는 제1성부가 선율을 시작하고 이것이 응답이라고 불리는 다른 성부에 의해서 어떤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정확하게 모방되는 형식입니다. 그리고 역시 모방 수법에 의한 푸가에 있어서는 모방이 주제에만 국한되는데 반하여 카논에 있어서는 시종 모방이 행하여집니다. 카논의 역사는 매우 오래며 로타(rota), 론델루스(rondellus), 캇치아(caccia)등은 이미 14세기에 나타나 있습니다. 1320년경에 영국에서 만들어졌다고 하는 <Sumer is icumen in>(여름은 왔도다)는 6성부의 로타로 가장 오래된 카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카논은 다시 네덜란드 악파에서 발달하여 바로크 시대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20세기에 이르러 선적(線的) 다성음악(poly phonic)의 재발견과 아울러 다시 중요시되기에 이르렀습니다.
2. 로마의 전례에 있어서 미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문(典文)>을 카논이라 부릅니다.(canon missa<Lat.>). 사제에 의해서 디 이지투르라는 말로 부르기 시작합니다. 비잔틴 성가에 있어서의 kanon은 보통 9개의 코드(code)로 된 장대한 시적(詩的)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