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교수란 무엇인가?
성경교수를 정의한다면 성경을 가르치는 활동이다. 성경교수는 그와 비교할 수 있는 개념들이 설교 및 주해와는 다르다. 주해는 주로 성경원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저술 당시의 문화적, 언어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의미를 규명하는 작업이다. 설교는 주해라는 이론적 해석을 설교자가 참고 하여 본문말씀이 저술 당시의 특정한 시대에, 특정한 지역에서 살았던 성도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의미와 교훈을 먼저 찾고 그리고 그 교훈을 오늘의 성도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하나님의 뜻을 꺠닫게 하고 결단하게 하는 것이다.
성경교수는 어원에 대한 연구, 용법연구, 배경 그리고 문맥 안에서의 해석 등에 초점을 두는 주해처럼 이론적인 성격만을 띠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성경교수는 주해와 다르다.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적용에 초점을 두어 실제적인 삶의 정황만을 다루어서도 안된다. 성경교수는 제한된 몇 구절의 핵심적인 의미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현대의 삶의 정황에 적용하여 가르치는 것이다.
성경교사는 성경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먼저는 가르칠 성경에 대하여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성경에는 서신, 역사서, 이야기, 예언서, 시가서, 그리고 비유 등이 있는데 교사는 이러한 각 장르에 대한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으로, 가르칠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를 위해서 몇 가지 즉, "이 성경구절에서 핵심 강조점과 주제는 무엇인가? 어떤 주제가 우리에게 흥미가 있을까? 이 구절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욕구와 흥미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왜 그들이 이 내용을 배워야 하는가? 이 구절을 가르칠 때 어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등을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교수원리를 생각할 때 효과적인 성경 교수를 할 수 있게 된다.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2장 성경교사
3장 성경의 주제와 의미파악
4장 성경해석
5장 성경 교수원리
6장 어린이 성경교수
7장 청소년 성경교수
8장 청장년 성경교수
9장 서신서 교수
10장 이야기 교수
11장 복음서 교수
12장 예언서의 교수
13장 시서의 교수
14장 비유의 교수
내용출처. 생명의 말씀사 lifeboo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