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
지름과 원주율과의 관계, 원주와 원 넓이와의 관계, 반지름과 원기둥의 부피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특징을 서술하시오 6이은진 |
서론 |
오늘은 특별하게 수학으로 쓰려고 한다. 평소에 수학을 써보지 않고, 다른 과목만 써서 잘 쓸 수 있을지 걱정부터 앞선다. 이 단원에서는 원에 대한 중요한 내용이 많기 때문에 수업시간이나 시험을 보기 전에도 선생님께서 많이 강조를 해서 설명하셨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
본론 |
원에 대해서 알아보자. 원의 정의는 한 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점들의 집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유는 수많은 점이 모여서 선이 되기 때문이다. 원의 중심은 말 그대로 원의 중심이다. 또 원의 둘레를 ‘원주’ 라고 한다. 지름과 반지름이 있는데 반지름은 지름의 반 이라는 뜻이고, 원의 일부분을 ‘호’ 라고 한다. 호 중에서는 반원과 부채꼴 등이 있다. 지름과 원주율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원주율은 ‘파이’ 이다. 우리는 그냥 반올림해서 3.14로 계산을 한다. 지름과 원주율의 관계는 원의 원주, 즉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이라고 볼 수 있다. 지름×원주율(3.14)=원주이기 때문이다. 원은 정말 신기한 것 같다. 어느 수학자가 원을 연구하다가 원주를 지름으로 나누었더니 모두 3.14였다고 한다. 원주와 원 넓이와의 관계는 정확하게 말 할 수 는 없지만 원주×반지름×1/2 이다. 이렇게 원주나, 원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한 가지가 아니고 여러 가지로 만들 수 있다. 원의 넓이를 구하는 식은 (반지름)×(반지름)3.14 이다. 원의 넓이를 이렇게 구하는 까닭은 원을 한 없이 등분하여 서로 엇갈리게 붙이면 직사각형 가까운 도형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의 넓이를 구하는 식은 (원의 넓이)=(원주의1/2)×(반지름)=(지름)×3.14×1/2×(반지름)=(반지름)×(반지름)×3.14 이다. 나는 원을 한없이 등분하여 서로 엇갈리게 붙이면 직사각형이 된다는 점에서 신기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왜? 그렇게 될까 생각도 해보았다. 저번에 내가 말했듯이 이렇게 수학이라는 과목에서도 흥미를 느껴서 좋은 것 같다. 반지름과 원기둥의 부피, 넓이와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원기둥의 넓이를 구하려면 원의 둘레와 넓이 구하는 공식을 알아야 한다. 원기둥을 펼치면 밑면 2개와 직사각형의 옆면이 생기는데.. 밑면의 원은 반지름×반지름×3.14×2 이다. 원의 넓이를 구해서 밑면 2개를 곱해주면 밑면의 넓이는 쉽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옆면의 경우는 가로의 길이가 원주이기 때문에.. 간혹 가다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다. 직사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은 가로×세로 인데 가로의 길이를 원주를 이용해 구한 후에 옆면의 넓이를 구해서 더하면 원기둥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원기둥의 부피는 한 밑면의 넓이를 구해서 옆면의 세로의 길이를 곱하면 부피를 구할 수 있다. (한 밑면의 넓이×옆면의 세로의 길이) 원기둥의 부피, 넓이는 원주와 원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사용하여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지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다. |
결론 |
다른 과목이라면 몰라도 수학은 나를 배신하지 않는 것 같다. 한번 배운 내용은 절대 잊혀지지 않기 때문이다. 지름과 원주율과의 관계, 원주와 원 넓이와의 관계, 반지름과 원기둥의 부피와의 관계 등을 설명했는데.. 내과 봐도 아직 미흡한 것 같다. 하지만 수학에 흥미가 생겨서 기분이 좋다. 내가 계속 발전해 갔으면 좋겠다. |
첫댓글 글씨를 조금 크게 해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원의 정의를 잘 살려서 말해주었다.
글씨가 작아서 잘 보지 못 할 수도 있어서 글씨를 조금 크게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듬.
글씨가 작아서 잘 안보이고 문단을 잘 못나눈 것 같다.
문단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글씨를 좀크게하고 이해를 하기 좀 어렵다.
글씨가 너무 작아서 머리가 아프긴 하지만 그점만 빼면 잘 쓴것 같다.
수학에 대해 자신은 잘 이해하지만 우리는 잘 못하니 풀어서 쓰면 좋겠다.
(세연엄마): 원에 대해서 상관관계를 지어 잘 나타낸것 같다.
글 읽는사람의 배려가 조금은 필요할듯^^..
관계 설명이 쉽게 눈에 들어오지 않네요.
논제를 잘 알고 있으나, 표현 방법이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