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큐슈에서 목공방을 하시는 분의 홈피에서 퍼온 글입니다. 참고할만 하다 싶어 옮겨봅니다. 일본인이 쓴 글이기에 우리실정과 다소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 )
* 목공 Q&A < 수공구에 대해서 > *
1. 똑바로 톱질하는 비결은 ?
톱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마음 먹은대로 곧게 사용하기는 쉽지않습니다.
곧게 당기기 위해서는, 우선 서는 위치를 결정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자르는 부분에의 톱날이 곧게 맞추는 것은 물론입니다만, 팔이 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서도록 해 주세요.
이 때, 겨드랑이는 옆구리쪽에 바짝 붙여야 합니다. 겨드랑이가 옆구리쪽 사이에 공간이 있으면, 절대로 정확한 직선으로 자를 수 없습니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시선입니다만, 이것이 꽤 중요합니다. 자신의 오른쪽(오른손잡이) 또는 왼쪽(왼손잡이)의 시선이 톱 바로 위에 오도록(듯이) 합니다. 당연한 톱날은 나무에 그어 놓은 선의 직각에 서있을 것이기 때문에, 한쪽 눈을 감고 보았을 때 재단선이 톱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위치와 시선이 정해지면, 드디어 톱을 끌어 당기면서 내려갑니다. 시작 할 때는 손잡이에 가까운 부분을 이용하여 시작
단계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몇 번 인가의 톱질 이후 부터는 톱날 전체를 이용합니다. 이때부터 주의해야 할 것이 톱을 힘주어 부재에 밀착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톱은 힘주어 당기면서 자르는 것이 아니라 톱 자체의 무게로 부재를 자르는 형식으로 움직입니다. 톱날만 잘 듣는다면 힘주지 않아도 슬슬 잘립니다. 잘 안잘린다면 힘을 줄 것이 아니라 톱날을 손봐야 합니다.
교환식 톱날이라면 톱날을 교환해야하구요.
가장 중요한 것은, 몇번이나 반복해 자신 나름의 요령을 찾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를 트라이 해 보세요
2. 잘드는 끌 셋팅 비결은 ?
끌은 뒷면(우라)이 소중합니다. 끌은 뒷면을 부재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일이 많아서, 뒷면이 자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때문에, 뒤를 정확한 평면으로 하고 있지 않으면 좀처럼 잘드는 끌이 될 수 없습니다.
뒤를 평면으로 만드는 것을, 우라다시 또는 우라오시라고 부릅니다. 끌도 대패도 뒷면은 미묘하게 凹凸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필요한 부분만을 평면으로 만들면 됩니다만, 기준으로서 칼끝으로부터 3미리 정도까지만 평면이 되어 있으면 충분합니다. 평면이 폭이 연필의 선 정도의 가느다란 두께로 줄게 되면 재차 우라다시, 혹은 우라오시를 해 다시 평면을 만드는 작업을 반복하게 됩니다.

< 우라다시 : 우치다시 > < 우라오시 >
“우라다시(우치다시)”란, 끌의 뒤를 금속판에 대고 윗면 날의 아래로부터 3분의 2정도의 부분을 곳을 작은 쇠망치로 두두려서 필요한 분만큼을 우라(뒷면)으로 밀어내 주는 작업입니다. 끌은 연철과 강철을 단조해 만들어져 있습니다만, 두드리는 것은 연철의 부분입니다. 두드려 굽히는 것이 아니라, 두드리는 것에 의해서 연철이 눌러 늘려져 그것이 강철을 밀어 냅니다. 결코 땅땅 두드리지 말아 주세요. 최악의 경우는 강철에 균열이 들어가는 일이 있습니다.
우라다시가 끝나면, 숫돌 위에 금강사로 불리는 금속가루를 뿌려, 물을 몇방울 떨어뜨려 끌의 뒤면을 가볍게 비비면서 금강사를 전체에 넓혀 세세하게 연마합니다. 8없어져 뒷면 전체가 평면이 되어 버립니다. 가끔 이러한 끌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끌을 사용할 때에 뒷면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커져, 몹시 사용하기 어려워져 버리기 때문에 주의 !
뒤가 완성되면, 칼날을 연마합니다. 연마 포인트는, 곧은 숫돌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숫돌을 곧게 하기 위해서, 저는 큰 금속 숫돌 위에 금강사를 뿌리고, 다른 숫돌을 비벼 면을 평평하게 하고 있습니다. 시멘트 블록에 모래를 뿌려도 좋습니다만, 이 방법이라면 아무래도 숫돌의 면이 거칠어져 버리기 때문에 최근에는 하지 있지 않습니다.
아주 거친 숫돌 및 중간 거칠기 숫돌은 이 방법으로 가고 있습니다만, 마무리 숫돌은 평면이 나온 중간 거칠기 숫돌에 비비어 맞춰 평면을 만들고 있습니다. 붙여서 중간 거칠기 숫돌은 킹(숫돌 제조사)의 1000번, 마무리는 6000번입니다.
연마 요령입니다만, 윗면을 제대로 왼손으로 억누르고, 손목을 고정해, 겨드랑이를 붙이고 세세한 스트로크로 조금씩 숫돌 위를 이동하면서 갈도록 합니다. 이미지로서 자신의 체중이 윗면 날에 집중하는 기분으로 연마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가지 써 왔습니다만, 끌이나 대패의 교육은 단시간에 할 수 없고, 또 독학도 곤란하다고 생각합니다. 빨리 신뢰할 수 있는 연마전문점을 찾아내 사이가 좋아져, 꼬치꼬치 물으면서, 몇번이나 스스로 반복해 보는 것이 소중합니다.
3. 좋은 그무개 (게비키)는 ?

독단과 편견입니다만, 그무개는 날이 하나인 그무개이면서, 나사 고정식이 가장 사용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두날식은 다른 한쪽의 날이 방해가 됩니다. 2날식이 필요하다면 사용한다면, 1날식 그무개를 2개 준비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또, 이것도 기호의 문제일지도 모릅니다만, 날&쇠막대(장대) 일체형 보다는 날&나무막대(장대) 분리형이 사용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분리형의 경우 약간의 충격으로 미세한 치수 조정이 가능하지만 일체형은 불가합니다.
또한 분리형의 경우에도 쐐기 멈춤은 아니고 나사 고정식을 추천합니다. 쐐기의 경우는, 쐐기를 고정하다가 미묘하게 치수가 어긋나는 경향이 있으나 나사식은 이러한 결점이 없고, 편리하게 치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 장대와 본체가 작은 것을 선택하도록 해 주세요. 그리고, 칼날방향이 본체와 평행선으로 되어있는 것 보다는 약간 바깥쪽으로 셋팅되어 있는 것이 좋습니다.
칼날이 평행일경우 나무의 결방향(섬유)에 따라서는 그무개의 선이 어긋나는 일이 있습니다.
이 때에, 칼날이 바깤쪽으로 비스듬히 세팅되어 있으면, 칼날의 힘이 그무개 본체를 나무에 붙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무개가 항상 나무에 접하고 있게 되어, 정확한 선긋기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그무개가 많지는 않습니다.
4. 연필과 시라가키(마킹 나이프)의 사용법 ?
연필과 시라가키의 사용법중에서 시라가키가 연필보다는 세밀한 선을 그을 수 있지만 연필이나 0.3mm샤프로도 세밀한 선긋기가 가능합니다. 시라가키를 사용하는 것은 아주 정확한 선을 그어야 할 경우와 끌작업과 병행해서 사용할경우입니다.
특히 침엽수의 접합(집성)이나 장부구멍 등을 가공할 때 유용합니다. (섬유질을 절개하여 보풀이 일어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