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스터디에서 후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과목이 한문이기 때문에....
한문이나 한자에 대해서 강조를 하고 있습니다.
중어중문과인만큼 중국어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한자의 필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누구나 알고 있지만 도전해볼 용기를 내기란 어려운
또한 학과시간 외의 시간을 내서 공부하기란 더욱 어려운 일이기에
이를 망설이고 있을 후배들에게 격려를 해주고 싶군요.
우선 '졸업논문 인정제도'가 도입이 되어서
중국어에서는 HSK 6급에 합격한 경우와
한자급수시험에서는 1급에 합격한 경우에
졸업논문을 제출하지 않아도 졸업이 인정되는 특혜가 주어진다는 것은 아시죠?
HSK는 많은 선배들이 추천할 것이고, 특별반도 운영하고 있으니까 언급을 생략하기로 하고
저는 한자급수시험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급 합격을 목표로 1년 또는 2년 동안 준비를 하기를 권합니다.
1~2학년은 2년을 목표로 하고, 3학년은 1년(당해년도)을 목표로 해야 하겠습니다.
시험은 4개 공인기관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보아야 어디에서나 인정을 받습니다.
한자급수 4개 공인기관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단, 우리 학교에서 졸업인증에 필요한 자격은
어느 기관에서 시행하는 급수인지를 먼저 알아야 하겠네요.)
또한 1년에 각 기관마다 3차례 정도의 시험이 시행되기 때문에
모두 따져보면 12회 정도의 시험 기회가 부여되겠군요.
그러므로 2년을 계획해서 3급이나 4급부터 시험을 보아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
게다가 보너스도 있습니다.
9~10월에 시행되는 어학경시대회의 한자부문 시험문제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어경 한자부문의 시험문제는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해
최근에는 까다로운 문제들이 출제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군요.
예를 들면, 한국어문회의 1급시험에 합격할 정도의 실력이 있어야
어경에서 최우수상이나 우수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학교의 어경 한자부문의 난이도가 한국어문회 1급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군요.
모든 문제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1등 2등을 가리기 위해서
대략 10문제 정도만 어렵게 출제한다는 것이죠.
장려상을 노린다면 한국어문회의 2급 수준보다는 좀 높게 잡아야 할 것 같구요.
다른 3개 기관의 시험이라면 1급에 합격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어경에서 우수상이나 장려상 정도를 수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준비를 잘 한다면 다른 3개 기관의 1급 실력이어도 최우수상을 받을 수도 있겠지요.
참고로 최우수상의 부상이 생각보다 크다는 것입니다.
제가 정확히 기억을 못해서 이렇게만 표현할 수밖에 없음이 안타깝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한자급수시험을 시행하는 기관에 따라서
시험문제의 난이도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어문회에서 시행하는 시험이 다른 3개 기관의 문제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게다가 1급의 경우에는 어문회만 80% 이상의 득점을 합격으로 인정합니다.
그러나 공인 받는 것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망설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어문회 자격은 누구든지 실력을 인정해준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구요.
또 글이 길어지는군요.
정리를 하지요.... 한자급수시험 1급에 도전하여 합격하면
졸업논문 대체인정을 받는 혜택과 더불어
어학경시대회에 응시해서 수상도 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는 것입니다.
자, 그럼 1석3조의 효과를 노려봄이 어떨까요?
후배들의 '쨔요~!'를 기대합니다.
--------------------------------------------------------
아래는 한자급수 공인기관에 대한 안내입니다.
정부로부터 공인을 받은 한자급수시험 시행기관은 4개 기관이며
기관마다 공인급수(1~4급)과 교육급수(5~8급)으로 나누어집니다.
공인급수는 시행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 1~4급이며
어떤 기관은 사범~3급까지만 공인급수로 인정하는 곳(교육진흥회)도 있습니다.
급수마다 배정된 한자 수도 시행기관마다 조금씩 다르네요.
기관마다 급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각 기관의 급수에 따른 배정한자가 다른 것이죠.
1급, 2급, 3급... 으로 구분하는 기관도 있고,
1급, 준1급, 2급, 준2급...으로 구분하는 기관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개 다음과 같습니다.
- 1급 ; 3500자 (이중 쓰기는 2급 한자)
- 2급 ; 2200~2300자 (이중 쓰기는 3급 한자)
- 3급 ; 1800~1850자 (이중 쓰기는 3급 한자)
- 4급 ; 900~1000자 (이중 쓰기는 5급 한자)
참고로 사범 급수가 있는 데 여기에 배정된 한자는 5000자입니다.
주관하는 기관과 시행하는 기관이 다를뿐만 아니라
이름도 비슷비슷하기 때문에 많이 헷갈릴 것입니다.
그래서 시행기관의 명칭으로 구분하지 않고
주관하는 기관의 명칭으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답니다.
한국어문회, 한국외국어평가원, 한국한자교육진흥회,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약칭으로 <어문회, 외국어평가원, 교육진흥회, 교육연구회>로 구분하죠.
한국어문회 www.klls.or.kr (한국한자능력검정회 www.hanja.re.kr)
한국외국어평가원 www.ehanja.or.kr
한국한자교육진흥회 www.hanja114.org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www.hanja.net
첫댓글 위 첨부파일은 어문회 1,2급 기출문제 견본이구요. 평가원이나 검정회의 기출문제는 통합자료실에 따로 올리겠습니다. 또한 어문회 등의 다른 기출문제도 계속해서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