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을 끼고 있는 경남도내 각 지자체가 산업용지 확충을 위해 세운 공유수면 매립 계획과 관련 지난 8일 중앙연안관리심의위원회가 선별 승인을 결정하면서 각 지자체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도내의 경우 마산과 사천, 남해, 하동 등 9개지역에 공유수면을 매립하기 위한 기본계획이 제출됐었다.
남해군의 경우 서면 정포, 노구, 중현 일원의 육지부 56만8000㎡와 해역부 99만9000㎡인 총 156만7000㎡(47만4000평)에 대한 매립 승인이 나면서 약 6274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오는 2012년 12월까지 조선산업단지 등이 준공될 예정으로 있다.
남해군은 “매립면적이 당초보다는 줄어들기는 했으나 지역경제를 회생시켜 부자남해의 꿈을 이룰 희망조선소를 만들겠다”는 꿈에 부풀어 있다.
하동군도 갈사만 조선특구 개발을 위해 제출한 317만4000㎡(96만평)의 갈사만 공유수면 매립계획안에 대한 매립 승인을 확정받았다.
당초 396만4000㎡(120만평)에서 317만4000㎡(96만평)으로 축소 확정됐지만 군은 내년 1월부터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하동지구 갈사만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돼 ‘뉴-하동시’건설이 빨라지게 됐다며 반색하고 있다.
이에반해 사천시가 부족한 공장용지를 확보하고 낙후된 서부지역 개발을 위해 추진해 온 광포일반산업단지조성사업이 연안관리심의를 통과하지 못해 결국 물거품으로 사라질 위기를 맞았다.
당초 시는 사천 제1, 2일반산업단지 조성을 계기로 한국항공우주산업(주)과 SPP해양조선 등 국내외 기업들이 입주해 본격 가동에 들어가면서 공장 창업이나 이전을 희망하는 업체가 갈수록 늘어나는데다 서포면과 곤양면 등 사천시 서부지역의 발전을 위해 오는 2012년까지 사업비 3912억여원을 들여 서포면 조도리와 곤양면 대진리 일대 197만6256㎡의 공유수면과 육지 등 259만8270㎡의 공단을 조성해 조선관련 기업들을 유치키로 했었다.
광포만 매립 부결 사실이 알려지자 그동안 사활을 걸고 추진했던 곤양, 서포지역발전협의회와 지역주민들은 “사해나 다름없는 바다를 매립해 공장을 유치하고 이를 통해 지역발전을 이루려는 주민들의 노력이 공염불이 됐다”며“지역실정을 전혀 감안하지 않고 일부 반대세력들의 주장이 그대로 반영돼 이같은 결과를 가져왔기 때문에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주민들은 “지역발전에 가장 앞장서 뛰어야 할 국회의원이 오히려 매립을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환경단체와 일부 지역민들이 여기에 합세하다보니 이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며“이번 사태에 대해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마산시가 마산만 양덕지구 공유수면 6만4900㎡의 마산만 매립 승인 신청건도 선박의 항로 지장과 안전문제 등 이유로 부결됐다.
이에따라 마산조선소가 선박 신조시설을 갖추어 연간 26척의 선박건조로 1조6000억원 매출과 700명 고용창출, 중·소 부품업체 생산유발효과 증대 등 구상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유수면 매립 부결은 시와 관련 회사로서는 엄청난 손실을 보게 됐다”며 “오는 12월이나 내년 1월께 또 다시 재심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첫댓글 하동군 금성면 갈사만 지역과 남해군 지역의 지역발전에 따른 지가 상승이 기대 되네요.. 또한 사천 지역은.. 정치논리가 개입된듯한데.. 명박이 실세인 이방호 떨어지고 민주노동당 강기갑이 국회의원이 되니~ 좌우간.. 앞으로도 주시해야 하는 지역이지요~
참나...경제개념에 희소성이라는 게 있을 건데..전국적으로 너무 개발되니까 거꾸로 흥미가 떨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