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은 최근 SK텔레콤을 한국 최고의 혁신 기업으로 선정했다. 지난 2006년에는 비즈니스위크가 SK텔레콤을 세계 100대 혁신기업으로 꼽았다. 지난 주 서울 을지로 본사 사무실에서 만난 SK텔레콤 김신배(54.)사장은 SK텔레콤이 해외에서 혁신기업으로 인정 받기 시작한 데 대해 고무된 표정이었다.
그는 "무언가를 남보다 앞서서 창조하고 혁신하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리더의 책무라고 생각한다"면서 (그런 관점에서)당장 수익이 안 난다고 해외 사업을 중간에 포기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해외이든 새로운서비스든 30%성공의 가능성만 있어도 과감하게 도전해야 하며, 실패를 통한 교훈도 훌륭한 자산이 된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창의적 혁신이라는 인터뷰 주제가 마음에 든다"며 A4용지 크기의 대학노트 석장에 펜으로 자신이 할 이야기를 미리 적어 나왔다. 또 인터뷰 예정 시간을 1시간이나 넘기면서 기자의 질문에 성의껏 답해줬다.
-평소에 직원들에게 창조적 혁신을 강조한다고 들었다. 배경은 뭔가.
"어디를 가든 창조적 혁신이 가장 중효한 화두다. FTA와 글로벌M&A,각종 컨버젼스(융.복합)서비스의 등장으로 국경이나 산업간 경계가 무너져가고 있다. 예를 들어 통신과 미디어, 엔터테인먼트는 이제 하나의 비즈니스로 간주되고 있다. 요즘엔 세계 최대의 휴재폰 제조업체인 노키아가 전자지도 비즈니스를 한다. 게다가 IT기술리 급속히 발달하면서 일하는 방식까지 통째로 바뀌고 있다."
-통신업계에는 어떤 변화의 요인이 있나.
"통신업계가 맞을 큰 위기 요인은 대략 다섯 가지다. 먼저 네트워크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기술간 오버랩(overlap.중첩)이 심화되고 있다. 3 세대 투자를 채 끝내기도 전에 LTE(Long termEvolution)같은 4세대 기술이 나왔다. LTE가 2010년부터 상용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칫 잘못하면 엄청난 중복투자를 할 수 있다. 또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통신요금의 하락세가 가속화되고, 무선 VoLP(인터넷전화)같은 파괴적인 기술도 계속 생겨나고 있다. 구글같은 포털업체들이 통신 분야로 진출하고 글로벌 M&A도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패러다임의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해외사업에 심혈을 쏟는 것도 이런 배경인가.
"SK텔레콤의해외 진출은 한국IT산업의 도전이기도 하다. 제조업은 수출을 통한 글로벌화에 성공했지만 쥰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제조업만으로는 안 된다. IT서비스의 해외 진출잉 성공을 한다면 콘텐츠나 소프트웨어 등 많은 연관 분야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모멘텀을 갖게 된다. SK 텔레콤이 해외로 진출하면 콘텐츠. 장비 등 많은 국내업체들도 함께 나갈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IT서비스는 해외에서 성공하기가 정말 힘들다.
"힘들다고 포기하면 앉아서 죽는 것이다. 애당초 이 길이 쉽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미래를 위해서는 이 길 밖에 없고 SK텔레콤은 그런일을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고 생각한다. 네트워크 기술과 운영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구글의 창업자 에릭 슈미트는 '한국은 전세계 디지털 시대의 실험실'이라고 이야기했는데, 그런 첨단 서비스가 국내에만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SK텔레콤의 해외 사업실적이 별로 좋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미국 통신 서비스인 힐리오는 가입자가 벌써 20만명이다. 힐리오 서비스를 하면서 미국 시장에 대해 많이 배웠고 사업을 잘 할 수 있는 노하우도 많이 축적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하기 위해서는 미국 시장에서 성공해야 한다. 미국이 전진기지가 되어야 한다. 미국 사업을 중간에 포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최근에는 모토로라의 재품 개발담당 부사장을 SK텔레콤의 미국 지주회사 대표로 영입했다"
-중국이나 베트남 사업은 어떤가.
"베트남 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베트남은 8000만명이나 되는 국민의 60%가 30세이하이며, 잠재성장률이 연12%다. 베트남은 현재 3세대 서비스로 전환 중인데 우리에게 더 좋은 기회가 생길 것이다. 중국 차이나유니콤에 대한 투자는 평가이익만 2배가 넘는다. 물론 투자 수익을 내는 게 우리의 목표는 아니지만, 위치기반서비스나 엔터테인먼트 등 콘텐츠 사업을 중심을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SK텔레콤 내부로 화제를 돌려보자. 최근 CIC(Company in Company)제도를 도입한 것도 혁신을 위해선가.
"자율 책임 경영을 통해 스피드와 유연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4개의 CIC는 각각 별개의 회계단위로 운영되고 직원에 대한 성과 보상도 따로 한다. 사업 지향점이나 사고는 공유하더라도 구체적인 비즈니스는 부문별로 다 따로 하자는 취지다. 또 부사장.전무 같은 직급이 없어지고 모구 직책으로 부른다. 직원들은 전부 매니저다. 수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역량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하자는 취지다. 당장 팀장와 매니저로 보고 체계가 확 줄었다는 게 성과다. 과거에는 프로젝트 팀장과 과장급이 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지만 지금은 누구나 역량만 있으면 누구나 다 할 수 있다. 상급자라고 도장이나 찍고 있으면 역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CIC체제에서 대표 이사는 어떤 역할을 하나.
"전체적인 방향성과 개별 CIC 에서 독자적으로 하기 힘든 큰 프로젝트만 챙긴다. 또 하나 중요한 역할은 최고역량책임자로 직원들의 역량을 축적하고 안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많은 성공과 실패를 경험해 봤지만 더 큰 성공을 위해 우리의 역량을 자산화시켜야 한다. 실패를 하더라도 실패에서 교훈을 얻고 앞으로더 큰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면 시도를 해야 한다. 90%의 성공 가능성이 있다면 누군가가 그 사업을 하고 있을 것이다. 남이 보면 30~40%의 가능성밖에 없더라도 이를 잘 관리해 90%의 가능성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게 직원들의 역량이다. 경영 환경은 살아있는 생물이다. 여기에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결국 우리의 역량에 달려있다."
-김 사장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인재 육성 전략은 .
"글로벌 MBA(경영학석사)제도를 8년째 운영하고 있다. 한해 60~70명이 미국.중국 등에서 공부한다. 이와는 별개로 글로벌 상비군을 운영하는데, 당장 해외 근무를 하지 않더라도 미래의 글로벌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 직원들이 1년간 해외에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글로벌 인재 스카우트도 더 많이 할 것이다.이를 위해 프랑스.스페인.중국.인도 등 다양한 국적의 인재들이 이 팀에서 근무하면서 해외의 리더급 인재들을 스카으트하고 있다."
-조직 구성원들이 갖춰야 할 덕목은 어떤 것인가.
"아무리 졿은 시스템도 계속 진화해야 한다. 이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것이 기업 문화이다. 구성원들의 잠재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조직 문화다. 조직 문화의 핵심은 도전과 창의력, 팀워크다.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비즈니스로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하나로텔레콤 인수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언제쯤 가시화되나.
"6월쯤이면 결합상품이 나올 것이다. 그 동안 유,무선 통합이라는 말을 여러 번 아야기했지만 별로 눈에 띄는 진전은 없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스리 스크린 플레이., 즉 PC 휴대폰,TV의 세 화면을 넘나드는 서비스가 본격화 될 것이다. 플랫폼 발전과 모바일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활성화로 유선이든 무선이든 구분없이 같은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됐다. 진정한 유무선 총합이 가능해진 셈이다. 한편으로는 이런 융합 서비스가 더 많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게 정부의 역할이다. 그래야 이를 기반으로 해외로 나갈 수 있다. 국제 경쟁력이 없으면 내수시장에서도 결코 안전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