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강원도 평창군 봉평이라는 곳이 <메밀꽃 필 무렵>의 무대이다.
현재 봉평에는 이효석 문학관이 있고, 이효석 생가도 있다. 다만, 이효석의 묘는 현재 파주시 실향민 묘역인 동화경묘공원에 묻혀 있다. 그 이유는 평창에 묻혔다가 도로공사로 인해 옮겨야 했는데 부친이 함흥이라는 이유에서 파주로 이장을 했다.
이효석(1907.2.23~1942.5.25)은 36세 나이로 짧은 생을 마쳤다. 남긴 작품으로는 <노령근해>, <수탉>, <분녀>, <산>, <메밀꽃 필 무렵> 등이 있다. 경성제대를 졸업하고 유진오와 함께 꼬마수재라고 불리어졌으며 동반자 작가 활동과 구인회 활동도 하였다. 동반자 작가는 공산주의 혁명운동에는 직접 참가하지 않으면서 혁명운동에 동조적인 입장을 취하는 문학경향을 가진 모임이고, 유진오, 이무영, 채만식, 조벽암 등이 활동했다.
구인회는 계급주의, 공리주의 문학을 배격하고 순수문학을 쓰자는 의미에서 9명의 작가들이 조직한 동인회이다.
<메밀꽃 필 무렵>은 한국단편 작품 중 백미로 손꼽이고 있다.
이유는 한국적인 자연의 아름다움, 달밤의 메밀밭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순박한 본성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주인공 허생원은 봉평장, 대화장, 충주 제천, 영남지방 등 장에서 장으로 떠도는 장돌뱅이다. 달이 너무나 밝았던 봉평, 곳마다 모밀밭이어서 산허리가 왼통 꽃이 소금을 뿌린 듯히 숨이 막힐 정도였던 그날, 허생원과 가난한 성서방네 딸은 물레방앗간에서 하룻밤을 보낸 후 헤어진다. 그 다음날 성서방 집안은 제천으로 떠났고, 제천을 찾아 헤맸으나 첫날 밤 사랑을 찾을 수 없었다. 그때부터 평생 잊지 못하고 봉평장을 다니게 되었다.
그런데 장터에서 만난 젊은 장돌뱅이 동이도 고향이 제천이고 아비얼굴도 모르고 왼손잡이다. 허생원과 둘 사이가 혈육이라는 암시가 드러난다.
<메밀꽃 필 무렵> 자식이 있는지도 모른 채 평생을 산 허생원의 하룻밤의 사랑도 그려지지만 소설의 시간적 배경도 겨우 하룻밤의 이야기다. 하룻밤동안 하얀 메밀밭을 지나면서 아들을 찾는 과정, 평생 잊지 못하는 하루를 기억하며 장돌뱅이로 살았던 순박함이 처연하다.
몇 장 안 되는 짧은 소설 속에 깊은 사건과 한 인간의 역사가 그려져 있다.
떠돌이 장돌뱅이의 마지막 삶은 다행이다.
혈육을 찾았고, 평생 잊지 못할 하룻밤의 사랑을 찾았기 때문이다.
허생원의 몸과 마음이 둥실둥실 가벼워졌으리라...
만남과 헤어짐, 그리움의 세월은 이렇게 애처럽다.
<포토일기 100-78>
첫댓글 메밀꽃 직접보셨나요? 궁금해서요. 전 못봤지만 참 예쁠것 같아요. 글이란 넘 신기해요 직접 보지 못한 것들에 대해 상상하게 만들어 주잖아요. 우리도 메밀꽃 핀 들을 달을 보며 걸어봤으면 좋겠어요!!
이효석 문학관 같이 가봐요. 참 좋다네요.
메밀꽃은 본 기억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