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설명
현대 여성들의 미백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미백 성분이 들어간 화장품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피부는 피부를 보호하기위해서 멜라닌색소의 분비를 증가 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색이 검어지는데
알부틴은 티로시나제에 직접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성분이다.
1) 시세이도(일본)에서 개발한 월귤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분으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미백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2) 한국 식약청에서도 승인하였다. 미백제로 가장 유명한 하이드로퀴논과 구조는 비슷하나
부작용이 거의 없어 화장품 업계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3) 이에 알부틴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자.
알부틴은 건조한 상태에서 오래 생존할 수 있는 일부 식물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하이드로퀴논의 유도체로 기미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연구결과가 있다.
1. 세포 증식의 관찰
A. 멜라닌세포의 수적변화의 측정
6 well 배양용기에서 배양된 세포를 실험시작 각각 2일후와 7일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 well에 0.05% trypsin- 0.02% EDTA 용액을 가하여 각 well에서 분리한 다음, 이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혈구계산판을 이용하여 각 well당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의 세포 수는 대조군의 세포 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B. SulforhodamineB(SRB) 검사
96 well 배양용기 각 well에 4℃의 50% TCA 용액 50㎕를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1시간동안 4℃에 보관하였다. 이를 흐르는 물로 5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건조
시켰다. 여기에 1% 초산에 녹인 0.4% SRB(Sigma Chemical Co.)를 넣고 30분간 실온에 방치한 다음 SRB를 제거하고 1% 초산으로 4회 세척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다시 건조시킨 후 10 mM unbuffered Tris base(pH 10.5)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이를 ELISA reader(ELISA processor II. Behring,Germany)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군의 결과는 대조군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세포 증식 의 변화
A. 멜라닌세포 수의 변화
멜라닌세포 수는 실험시작 2일째 알부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p<0.05), 실험시작 7일째 알부틴 대조군에 비해 10- 4M과 10- 3M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Fig 1).
B. SRB 검사
실험시작 2일째 알부틴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5) 7일째 알부틴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Fig 2).
2. 티로시나제 활성도의 측정
96 well 배양용기의 각 well에서 배양액을 버린 후 1%의 triton X-100을 함유하고 있는 0.1 M 인산염 용액(pH6.8)을 225㎕씩 첨가하였으며 이를 -80℃에서 30분간 얼린 후 실온에서 녹이는 과정을 통하여 멜라닌세포를 완전히 파괴 시켰다. 녹은 배양용기를 37℃에서 15분간 방치한 다음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배경(background) 흡광도로 사용하였다. 다음에는 10mM L-dihydroxyphenylalanine
용액 25㎕를 모든 well에 첨가하여 37℃의 배양기에서 80분간 방치한 후 40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흡광도 값에서 배경 흡광도를 제거하였으며 티로시나제 활성도는 mushroom tyrosinase(Sigma Chemical Co.)를 사용하여 작성된 표준직선에서 구하였다. 실험군의 결과는 대조군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도의 변화
실험시작 2일째 알부틴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5) 실험시작 7일째 알부틴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p<0.05)(Fig 3).
3. 멜라닌 양의 측정
6 well 배양용기에서 배양한 멜라닌세포를 0.05% trypsin-0.02% EDTA로 분리 수거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만들었다. 이 침전물에 1N NaOH 0.5ml과 증류수 0.5ml을 넣고 1일동안 방치하여 멜라닌세포로부터 멜라닌을 유리시킨 후 이것을 분광분도계(Ultraspec 2000, Pharmacia Biotec, Cambridge, UK)의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양은 합성 멜라닌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 직선에서 구하였으며 이를 well당 세포수로 나누어 세포 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고 실험군의 멜라닌 양은 대조군의 멜라닌 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 하였다
멜라닌 양의 변화
멜라닌 양은 실험 2일째 알부틴 첨가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 7일째 10-3M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5)(Fig 4).
4.임상 연구
기미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전신질환이 있거나 임신중인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최근 1개월간 약물 복용이나 국소제제 도포의 과거력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포 방법
3% 알부틴 용액을 병변부위에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2회씩 도포하게 하고 외출시 에는 SPF 15-20의 자외선 차단제을 도포하게 하였다. 치료기간동안에 치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약제의 병용은 금지시켰다.
효과 및 부작용 판정
도포 2주, 4주, 6주, 8주에 환자를 내원하도록 하여 환자가 느끼는 효과를 악화(worse), 효과없음(no change), 경미한(mild) 호전, 중등도(moderate) 호전, 뚜렷한(marked)호전으로 평가하였으며 부작용 여부를 함께 조사하였다.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치료시작전과 매 2주마다 8주까지 같은 거리에서 사진을 찍어 임상호전 정도를 MASI(MelasamaArea and Severity Index) score1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알부틴의 효과 및 부작용의 판정은 도포 8주후 최종 평가하였다.
결과
총 6명의 기미환자의 연령분포는 33세-55세(평균40.2세)였으며 모두 여성이었다. 6명의 환자 모두 우드등 검사시 기미의 임상형태 중 표피형에 속하였다. 환자자신의 주관적인 평가상 6명의 환자중 1명의 환자에서 경미한 호전을 보였으며, 다른 1명의 환자에서 중등도의 호전을 보였다. 나머지 4명은 효과가 없었으며 병변이 악화된 환자는 없었다. MASI score 상 1명의 환자에서 9.3%의 호전을 보인 것 이외에는 나머지 환자 모두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6명의 환자모두에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찰
알부틴은 건조한 상태 에서 오래 생존할 수 있는 일부식물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hydroquinone(p -dihydroxybenzene)에 glucopyranoside가 결합된 형태의 hydroquinone 유도체이다.7)
이는 그 성분상 피부 과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hydroquinone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hydroquinone과 Fig5.ext.의 광방어효과 . UVB로 손상된 세포에 대한 보호효과 유사한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배양된 B16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8) UVB에 의한 색소형성을 억제한다고(Fig5) 보고 되었다.9) 위 연구에 의하면 멜라닌 세포 수와 양, 티로시나제의 활성은 감소하여 효과가 있는 것 같지만 실제 임상 연구에서 123연구의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이에 더욱 많은 대상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 된다.
결론
123연구의 결과는 알부틴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며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임상 연구에서는 인체에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록 임상연구에서 기미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없었지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알부틴에 비타민C, 닥나무 추출물등을 첨가하여 제품을 만든다면 맬라닌 생성 억제뿐만아니라 미백에 더욱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알부틴에 대한 더욱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알부틴이 부작용이 없는지 어떤 물질과 상호작용을 하며 장기적으로 어떤 효능을 보이는지 등의 결과가 발표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