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유동화증권의 투자수익은 기초자산 보유자와는 분리되어 기초자산 자체의 현금 흐름에 좌우된다. 따라서, 유동화증권의 신용은 자산보유자보다 신용이 높게 형성된다.
나. 자산보유자는 자체신용에 의한 자금조달보다 조달비용을 줄이므로 재무구조의 개선이 가능하다.
다. 투자자는 채권 이외의 다양한 투자자산을 성택할 수 있어 유리한 투자기회를 가질 수 있다.
3. 유동화증권의 기초자산과 발행형태
가. CBO : 기 발행된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한 ABS는 Secondary CBOI, 신규 발행한 회사채는 Primary CBO라고 한다.
나. CLO : 은행 등 금융기관의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ABS이다. 그리고 CDO는 CBO와 CLO를 포함한 개념이다.
다. MBS : 주택저당채권(모기지)이 기초자산인 ABS로 2004년부터 주택금융공사의 출현으로 활성화되었다.
라. SLBS : 학자금 대출을 기초로 한 ABS이다.
마. 장래채권 ABS : 운송 요금 등 장래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할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이다,
바. Credit Card ABS : 카드매출채권, 현금서비스채권 및 카드론을 기초로 한 ABS이다.
사. 부동산 PF ABS : 부동산 개발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기초로 한 ABS이다.
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나온 연구들을 보면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구조(채권순위의 문제)와 과세문제, 가격결정 등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다. 또한, 기업가치에 도움을 준다고 하더라도 발행되는 증권의 형태나 자산보유자의 성격 또는 발행규모 등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사실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이 기업가치변화(주가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문제와 자산유동화증권의 개념과 구조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자산유동화증권의 실정을 살펴보고, 자산유동화의 경제적 동기가 미국과 우리나라가 서로 다른 것을 본 연구의 실증분석과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비교분석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