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편 최근에 삼베는 우리가 알고 있는 줄기를 가늘게 분리시켜(째어서) 전통적인 베틀로만 직물의 생산이 가능한 그 거칠고 딱딱한 직물이아닌 면처럼 부드러운 직물로 생산되고 있는데 이는 이제 삼베도 면과 같이 방적된 실로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예컨데 최근의 삼베는 면으로 가능한 모든 제품이 가능함은 물론 삼베 knit 그리고 삼베 sweater까지 생산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세계최고의 jean바지로 알려져 있는 levis청바지도 최초에는 이 삼베로 만들어 졌다 하며 초기의 성조기도 삼베로 만들어졌다 합니다.
2. 종이펄프로써의 삼
삼줄기에서 직물용으로 사용되는 껍질(bark)와 껍질을 벗겨낸후 막대( stalk )는 종이의 재료가 되는 펄프의 원료로 사용되는데 중국에서는 2000년전에 이미 삼종이를 사용 했음이 밝혀졌고 19세기까지도 세게종이 생산의 75%정도는 삼 펄프를 사용했다 합니 다. 물론 현재에도 이러한 삼펄프는 종이를 만드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그양은 단지 전체 종이생산의 0.05%에 불과한 양이지만 최근에와서 삼펄프는 환경보호차원에서 새롭게 검토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삼펄프 종이가 목재펄프 종이에 비하여 품질의 우수성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환경보호차원에서 그렇습니다.
즉, 종이 1톤을 생산하는데 목재펄프를 활용한다면 20년이상자란 커다란 나무 12그루 정도가 필요하지만 삼펄프를 활용한다면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종이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은 경작후 100일정도면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1에이커당 목재펄프보다 는 4배정도 생산효율을 가져올수 있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삼은 환경친화적인 작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삼펄프 종이는 7-8번의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목재펄프 종이는 불과 3-4번 정도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합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삼펄프가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있고 삼펄프의 중요원료가 되는 삼줄기의 80%를 차지하는 삼막대 (stalk)도 직물용의 껍질을 수확한후 버려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참고로 미국의 독립선언문이 이 삼종이에 기초되었다 하며 18세기에는 성서도 삼종이로 만들어 졌다 합니다.
3. 화장품 재료로써의 삼
일반인들은 삼의 잎은 물론 줄기와 씨앗에도 마약성분인 THC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사실은 삼의 줄기나 씨앗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고 THC성분은 삼의 잎이나 꽃잎에만 극소량(약 0.03% 정도)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삼의 씨앗은 콩이상의 많은 단백질과 철 그리고 비타민 E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그 씨앗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삼베 오일에는 화장품의 원료를 추출하는데 활용되는 달맞이꽃 보다 4배나 많은 풍부한 감마산 ( Gamma Linolenic Acid - GLA )과 지방산 (특히 Omega-3, Omega-6)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지방산과 감마산(GLA)은 피부노화를 방지와 건성피부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삼베 씨앗은 로숀, 스킨, 삼퓨, 마사지 크림, 헤어젤등의 화장품 재료로 매우 폭 넓게 활용되고 있고 최고의 자영화장품으로써 연구개발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삼베씨앗의 폭 넓은 활용가치 때문에 미국등지에서는 삼을 단지 직물이나 펄프를 활용하기 위하여 재배한다고 하기 보다는 씨앗을 수확하기 위하여 재배한다고 할 정도입니다.
4. 타이어나 프라스틱 재료로써의 삼
알려진 바와 같이 삼은 자연섬유중 최고의 섬유장을 갗추고 있어 가장 내구성이 뛰어난 직물이며 매우잘 썩는다는 점에서 타이어나 프라스틱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어 썩는 프라스틱의 개념과 환경보호 차원에서 활발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데 이는 삼은 직물용의 내피(bark)는 물론 표피(hurds)에도 각각 70% 와 40%의 셀룰로오스 ( cellulose )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가볍고 내구성 있는 산업자제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ford자동차 창업주인 henry ford도 1941년도에 자신의 자동차 도어와 팬더에 삼을 원료로한 합성수지를 사용한바 있으며 와싱턴 주립대의 연구에 의하면 삼을 원료로한 판넬은 목재판넬보다 2배이상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합니다.
5. 의약품 으로서의 삼
삼(hemp)는 영문명으로 " canabis sativa"로 불리며 우리가 대마초라 부르는 "marijuana"의 동의어로써 라틴어의 " useful hemp" ( 유용한 삼 )의 뜻이라 합니다.
삼은 이런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마약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유해한 작물이기도한 극과 극의 양면적인 작물입니다. 예컨데 삼의 줄기나 씨앗은 인간에 양질의 섬유와 콩이상의 매우 특별한 영양분으로 인간의 건강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삼의 잎으로 생산되는 마리화나(대마초)는 인간에게 유해함을 가져다 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한편 대마초는 또다시 그런 매우 위험스럽고 유해한점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의약품으로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합니다.
이런 의학적인 요소 때문에 대마초는 1937년까지도 미국에서는 합법적인 의약품의 일종이었고 영국에서도 1971년까지는 합법적인 의약품이었다 하며 그런 의학적인 활용의 사실은 이미 중국에서 4000년 전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합니다. 예컨데 대마초는 진통환자, 구토나 구역질 환자, 불면증환자, 녹내장환자, 암환자, 식욕저하증 환자 그리고 AIDS환자에 이르기 까지 매우 폭?“? 그 효능이 입증되었다 하는데 미국의 일부주에서는 이런환자들에게 의사의 처방에 따라 비공식적으로 환자치료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합니다.특히 이런 의학적인 활용의 예로써 대마초는 구토증치료에 매우 탁월한 효능이 있는데 이런 효능이 간접적으로 암환자나 AIDS환자에게 도움을 준다 합니다.
즉, 암환자나 AIDS환자는 대부분 식사때 구토증세로 식욕이 저하되어 죽음 직전에는 몸이 말라 사망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대마초는 구토증세를 저하시키고 식욕을 왕성하게해주어 생명 연장에 도움을 준다합니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대마초는 불법적이기 때문에 켈리포니아시의 "BUYERS CLUB"이라는 비공식 단체등은 이런 환자들에게 비공식적으로 대마초를 공급하여 환자들을 돕고 있으며 시정부 또한 그들의 불법적인 활동을 묵인하여 주고 있는 실정이라 합니다.
기타 삼은 그줄기등이 건축자재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삼씨앗은 페인트나 대체연료로써 활용되기도 합니다.
출처 : 닥터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