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누스 토발즈는 미닉스를 수정하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가 리눅스를 만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미닉스와 리눅스는 닮은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미닉스 소스의 장점
드라이버 크기가 작은거 같다.
vi나 압축 알고리즘도 들어있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고 테스트 파일도 들었있다.
멀티미디어가 없다.
가상 메모리가 없다.
vm도 있고
main.c가 여러군데 있다.
mdb는 미닉스 디버거이다.
크론은 리스케줄링 기능이다.
minix-master/drivers/hello/hello.c
미닉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예제파일이다.
minix-master/drivers/tty/arch/i386/keyboard.c키보드 드라이버
minix-master/kernel/system/do_schedule.c
앞에 do가 붙는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무척 짧다.
unix bench mark 디렉토리
minix-master/servers/vm/alloc.c
미닉스 가상머신
minix-master/sys/arch/i386/stand/boot/boot2.c
부팅
네덜란드에서 많은 미닉스 유저가 있다.그중 한명이다.
네덜란드는 1인 개발자가 많다.
http://www.nieklinnenbank.nl/download/e1000.pdf
keyboard.c
730 라인 scode 중요(스캔 코드)
749라인
컨트롤+알트+델키 sysabort(시스템 중지)
217 message
446 scode keymap
ede
minix gui
C++로 되어 있다.
FL 디렉토리 다이얼로그 이미지(박스나 버튼같은)
windowmanager.cc 중요(아이콘과 별도의 윈도우 매니저)
handler를 유의해서 볼것.
95라인 시그널 핸들러.
302 setup windows
376 scanwindow
722 이벤트 루프
840라인 키 이벤트
frame 을 다룬다.
edelib gui 라이브러리
ede-deskto.cpp
에서 각종 시그널 수행
아이콘 매니저
ede-launch.cpp
ede 시작 파일(main)
소스보기
미닉스 컴파일 방법
버추얼박스에서 미닉스를 실행하고 미닉스 안에서 재컴파일링 가능하다.
커널 크기는 180메가로 아주 작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