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도사 종주 산행 길라잡이
ㅡ들뫼날뫼(더불어 걷는 길,더불어 함께,다물)-2024.12.29
북도사 종주 산행
사도북 종주 산행
북한산+도봉산+사패산 종주 산행
사패산+도봉산+북한산 종주 산행
북한산국립공원 종주 산행 길라잡이
#####개요
*총 종주산행 거리 : 28.15킬로미터.
*총 연결구간 거리 : 5.19킬로미터.
*총 이동거리 및 총 소요시간 : 33.34킬로미터 19시간 30분(산행시간13시간46분+연결구간1시간44분+휴식 4시간).
1. 총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28.15킬로미터, 13시간 46분.
1). 삼각산(북한산) 구간 : 16.55킬로미터, 8시간 17분.
2). 도봉산 구간 : 8.48킬로미터, 04시간 14분.
3). 사패산 구간 : 3.12킬로미터, 01시간 15분.
2. 총 연결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5.19킬로미터, 01시간 44분.
1). 불광역 연결 구간 : 660미터, 0시간13분.
2). 우이동 연결 구간 : 1500미터, 0시간30분.
3). 흥선역(안골) 연결 구간 : 3030미터, 01시간01분.
*총 휴식시간 : 4시간.
#보기
* 산행 속도 : 북한산-시속 2.0킬로미터, 도봉산-시속2.0킬로미터, 사패산-시속2.5킬로미터, 연결구간-시속3.0킬로미터 속도로 계산함, 분이하 소요시간:반올림.
* 구간거리 표기(단위:미터,실거리 표기를 기본으로 함) : 대호지킴터---0000---향로봉---
* 해발고도 표기(단위 : 미터) : ---백운대(000)---
* 식수공급: 산에 있는 샘이나 사찰의 샘은 대부분 수질이 나쁘거나 말라 있어 이용이 어려움.
산행중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곳이 없으므로 들뫼전 또는 연결구간에서 미리 넉넉하게 준비해야 함.
* 작성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
~~~흥선역~안골입구~안골천변길~사패산~도봉산~우이동~육모정길~육모정지킴터입구~안다래골길~우이능선~하루재~백운대~북한산성~비봉능선~수리봉능선(구기-불광능선,족두리봉능선)~대호아파트~불광역~~~
#####연결구간: 흥선역~~~3030~~~성불교 앞.
---흥선역(의정부 경전철,<전철1호선 회룡역 연결>)---<서쪽으로><흥선광장교차로>900---호국로길-안골 버스정류장---<남쪽으로>---안골입구(70)---
---*****세븐일레븐편의점(의정부가능3호점,안골버스정류장앞-경기 의정부시 호국로 1117)*****---
---<안골계곡교>---<의정부 롯대캐슬골드포레아파트>---<북한산국립공원 안골지구>---600---서부로 교각 아래,화장실---<안골유원지>---<북한산둘레길 안골길구간 입구>---700---안골둘레길 관리물품보관소(100,구-안골공원 지킴터) >---<사패산2.2KM-사패능선2.05KM-안골입구0.1KM-안골 버스 타는 곳1.3KM 이정표>---150---화장실,(타래사 입구(구-자연암))---<성불사700m안내판>---<안골교>---<사방댐>---<사패산1.9KM-사패능선1.75KM-안골입구0.4KM 이정표>---<쉼터>---<다리>---<샘터(남쪽 계곡)>---<폐가>---340---북한산둘레길 산너미길 입구(150,서쪽으로,북한산둘레길 울대리-원각사입구2.3KM-북한산 둘레길 의정부동-회룡탐방지원센터4.7KM 이정표)---<성불사400m안내판>---340---성불사교(180,(성불사(남쪽방향)까지 300m),사패산1.5KM-사패능선1.35KM-안골입구0.8KM 이정표,탐방로 안내판)---들뫼(서쪽 숲길로)---
#####사패산 구간 : 3120미터(성불교~~~1770~~~사패산~~~1350~~~회룡안부 갈림길 사거리).
-----사패산 들뫼-----
#성불교~안골능선(사패동북능선)길 : 성불교~~~1770~~~사패산.
---성불교(180)---<약수터(관리 안됨),쉼터>---<사패산1.0KM-사패능선0.85KM-안골입구1.3KM 이정표>---<사패산0.9KM-사패능선0.75KM-안골입구1.4KM 이정표>---<큰바위지대>---<사패산0.7KM-사패능선0.55KM-안골입구1.5KM 이정표,원도봉40-01말뚝,334m>---<돌계단>---1050---사패동북능선(안골능선)위(410,사패산0.55KM-사패능선0.4KM-안골입구1.75KM 이정표)---<원도봉40-02말뚝(427m)>---<사패산0.4KM-사패능선0.25KM-안골입구1.9KM 이정표>---<데크 계단>---<철봉안전대>---450---갓바위 하단(갓바위,525)---<돌계단>---150---사패능선 위,안골입구 갈림길(524,사패산0.15-KM-자운봉3.5KM-안골입구2.15KM 이정표,국립공원 안전 구급함,원도봉41-06말뚝,낙뢰위험지역 안내판,산불진화장비함)---<철봉안전대>---<데크 계단>---120---사패산(552,전파탑,조망점)---
#사패능선길 : 사패산~~~1350~~~회룡안부 사거리.
---되돌이길---
---사패산(552)---120---안골입구 갈림길(524)---
---안골입구 갈림길(524)---<돌계단>---<철봉안전대>---<철봉안전대>---170---원각사 갈림길(480,자운봉3.1KM-원각사1.0KM-사패산0.25KM 이정표)---<나무계단>---<119구급함>---360---범골입구 갈림길(490자운봉2.9,KM-의정부시청2.7KM-범골입구2.5KM-성불사1.55KM-호암사1.6KM-사패산0.6KM 이정표)---<회룡바위(500)>---<원도봉41-05말뚝>---<자운봉2.6KM-사패산0.9KM 이정표>---<송추북능선(탐방금지구역) 갈림길ㅡ출입금지 푯말>---700---회룡안부 갈림길 사거리(448,회룡사거리쉼터,구급함,자운봉2.3KM-회룡탐방지원센터2.4KM-회룡사1.5KM-송추주차장3.7KM-사패산1.2KM 이정표,원도봉41-04말뚝,산불진화장비함)---
---사패산 날뫼---
&&&&&
참고 : -----사패산 안골능선길 들뫼를 서부로 안골교 아래에서 할 경우-----
#####연결구간 :안골입구~~~600~~~서부로 안골교 교각 아래.
---사패산 안골입구---<안골계곡교>---<의정부 롯대캐슬골드포레아파트>---<북한산국립공원 안골지구>---600---서부로 안골교 교각 아래,화장실---
#####안골능선길 : 서부로 안골교 교각 아래~~~3570~~~사패산.
------서부로 안골교 교각 아래,화장실(약수배드민턴클럽(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 1114번길 136))---<약수배드민턴클럽 건물 뒤쪽으로>---데크계단---<서쪽으로>---
-----들뫼-----
---산객의 발길이 뜸한 묵은길 능선길을 따라서---남서쪽으로---폐참호길---1500---
---북한산둘레길 산너미길 이정표(북한산둘레길 울대리 방향 원각사입구2.2-KM-북한산둘레길 의정부동 방향 안골계곡0.3KM), 샛길 탐방금지 나무난간---<북한산둘레길 울대리 방향 원각사입구2.2-KM-방향으로>---침목계단---밧줄난간계단---침목계단---침목계단---북한산둘레길114-09말뚝이정표(258, 국가지점번호 다사5738 7041), 쉼터---침목계단---밧줄난간계단---조망점---북한산둘레길114-08말뚝이정표(297, 국가지점번호 다사5720 7026)---밧줄난간계단---조망점---밧줄난간계단---조망바위 쉼터,포토존---침목계단---북한산둘레길114-07말뚝이정표(356, 국가지점번호 다사5704 7011)---침목계단---나무난간+둘레길 안내판---밧줄난간---1100---
---북한산둘레길 산너미길 이정표(북한산둘레길 울대리 방향 원각사입구1.8-KM-북한산둘레길 의정부동 방향 안골계곡0.5KM), 샛길 탐방금지 나무난간---<나무난간을 넘어 남쪽방향으로>---
---<치배기 비알길>---샛길 탐방금지 나무난간---250---
---사패동북능선(안골능선)위(410,사패산0.55KM-사패능선0.4KM-안골입구1.75KM 이정표)---<원도봉40-02말뚝(427m)>---<사패산0.4KM-사패능선0.25KM-안골입구1.9KM 이정표>---<데크 계단>---<철봉안전대>---450---갓바위 하단(갓바위,525)---<돌계단>---150---사패능선 위,안골입구 갈림길(524,사패산0.15-KM-자운봉3.5KM-안골입구2.15KM 이정표,국립공원 안전 구급함,원도봉41-06말뚝,낙뢰위험지역 안내판,산불진화장비함)---<철봉안전대>---<데크 계단>---120---사패산(552,사패마당바위,사통팔달 조망점,전파탑)---
&&&&&
=================================
=================================
#참고 : 회룡역을 거쳐 범골능선으로 일주 산행을 할 경우 :
###연결구간 : 동막골~~~3200~~~범골입구.
---동막골(70,장암주공삼거리 기점)---굴다리---화장실---1300---롯데마트---중랑천인도교---400---회룡역---1500------*****편의점(CU 호원빌리지점,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35번길36)*****---호원실내테니스장---굴다리---범골입구---
###범골능선길 : 2800미터.
---범골능선갈림길삼거리(456,사패능선 위 회룡바위사거리기점,사패산0.6KM-자운봉2.9KM-의정부시청2.7KM-범골입구2.5KM-성불사1.55KM-호암사1.6KM이정표, 119구급함,원도봉35-06말뚝이정표(456))---***의정부시청 방향(동쪽) 범골능선으로***---<토사유출방지벽>---<원도봉39-05말뚝 이정표(394)>---<쇠줄안전난간>---<철봉안전난간>---<나무계단>---<119구급함,탐방안내도>---<사패산1.5KM-사패능선0.9KM-의정부시청1.8KM-범골입구1.6KM-성불사0.65KM-호암사0.7KM이정표---범봉(395,조망바위봉)>---<나무계단>---1150---
---성불사 갈림길 삼거리(365,사패산1.55KM-사패능선0.95KM-성불사0.6KM-의정부시청1.75KM-범골입구1.55KM-호암사0.65KM 이정표)---<데크계단>---<철봉안전난간>---<밧줄안전난간>---<샛길출입금지표지판>---<나무계단>---<토사유출방지벽>---<조망바위>---<나무계단,원도봉39-4말뚝이정표(317)>---<철봉안전난간>---<조망바위>---<나무계단>---<토사유출방지벽,나무계단>---<나무계단>---<기상특보시 입산통제+입산시간 지정제 시행 안내목>---550---
---호암사 갈림길 삼거리(산악구급함,사패산2.0KM-사패능선1.4KM-의정부시청1.3KM-범골입구1.1KM-호암사0.2KM 이정표, 원도봉39-03 말뚝이정표(261))---***호암사 방향(동쪽)으로***---<나무계단>---100---
---백인굴(260)---<박석계단>---150---
---호암사(220)---<호암사에서 범골입구까지는 내리막길 아스팔트 포장도로임,950미터>---<화장실>---<범골공원지킴터(90)>---*****사패산샘터(100,식수보충)*****---950---
---범골입구(60)---<굴다리>---
###범골능선길 : 2800미터.
---<굴다리>---범골입구(60)---<범골입구에서 호암사까지는 오르막길 아스팔트 포장도로임,950미터>---*****사패산샘터(100,식수보충)*****---<범골공원지킴터(90)>---<화장실>---950---
---호암사(220)---***호암사 일주문앞에서 북서방향 산길(계단)으로 들뫼***---<박석계단>---150---
---백인굴(260)---<나무계단>---100------호암사 갈림길 삼거리(산악구급함,사패산2.0KM-사패능선1.4KM-의정부시청1.3KM-범골입구1.1KM-호암사0.2KM 이정표, 원도봉39-03 말뚝이정표(261))---***사패산 방향(남쪽)으로***---<기상특보시 입산통제+입산시간 지정제 시행 안내목>---<나무계단>---<토사유출방지벽,나무계단>---<나무계단>---<조망바위>---<철봉안전난간>---<나무계단,원도봉39-4말뚝이정표(317)>---<조망바위>---<토사유출방지벽>---<샛길출입금지표지판>---<밧줄안전난간>---<철봉안전난간>---<데크계단>---550---
---성불사 갈림길 삼거리(365,사패산1.55KM-사패능선0.95KM-성불사0.6KM-의정부시청1.75KM-범골입구1.55KM-호암사0.65KM 이정표)---<나무계단>---<사패산1.5KM-사패능선0.9KM-의정부시청1.8KM-범골입구1.6KM-성불사0.65KM-호암사0.7KM이정표---범봉(395,조망바위봉)>---<119구급함,탐방안내도>---<나무계단>---<철봉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원도봉39-05말뚝 이정표(394)>---<토사유철방지벽>---1150---
---범골능선갈림길삼거리(456,사패능선 위 회룡바위사거리기점,사패산0.6KM-자운봉2.9KM-의정부시청2.7KM-범골입구2.5KM-성불사1.55KM-호암사1.6KM이정표, 119구급함,원도봉35-06말뚝이정표(456))---***사패산 방향(북쪽) 사패능선으로***---
================================
###사패능선길 : 2000미터.
---범골능선갈림길삼거리(456,사패능선 위 회룡바위사거리기점,사패산0.6KM-자운봉2.9KM-의정부시청2.7KM-범골입구2.5KM-성불사1.55KM-호암사1.6KM이정표, 119구급함,원도봉35-06말뚝이정표(456))---안골입구 갈림길-사패능선 위(524,사패산0.15-KM-자운봉3.5KM-안골입구2.15KM 이정표,국립공원 안전 구급함,원도봉41-06말뚝,낙뢰위험지역 안내판,산불진화장비함)---360---
---원각사계곡(서남쪽) 갈림길 삼거리(사패산0.25KM-자운봉3.1KM-원각사1.0KM이정표)---170---
---안골능선(동북쪽) 갈림길 삼거리---120---
---사패산(552,사패마당바위,사통팔달 조망점, 전파탑)---
#되돌이길 : 사패산<되돌이길-남동쪽으로>---650---범골갈림길삼거리---
---범골능선갈림길삼거리(456)---회룡바위(500)---송추북능선 갈림길(,비탐방구역)---700---
---회룡안부 사거리---
==============================
==============================
=============================
=============================
#####도봉산 구간 : 회룡안부 사거리~~~8480~~~우이동 한일교.
---도봉산 들뫼---
#포대능선길 : 회룡안부 사거리~~~2750~~~신선대.
---회룡안부 갈림길 사거리(448,회룡사거리쉼터,구급함,자운봉2.3KM-회룡탐방지원센터2.4KM-회룡사1.5KM-송추주차장3.7KM-사패산1.2KM 이정표,원도봉41-04말뚝,산불진화장비함)---<철봉안전대>---<조망점>---<철봉안전대>---400 ---500아라한계단 하단---<오백아라한계단(500,돌계단+목계단,비탈이 심한 길이 아님에도 왠지 힘든 곳.>---250---오백아라한계단 위 능선(590)---<610봉>---<원효사 갈림길(640)>---<포대능선 쉼터,구급함>---<원효사 갈림길(640)>---400---산불감시초소(649,조망점)---<철봉안전대>---100---망월사 갈림길 삼거리(620,망월사자운봉1.4KM-0.5KM-원도봉지원센터2.4KM-사패산2.3KM 이정표,포대능선 안내판)---<계단>---<조망점>---<철봉안전대>---<조망점>---<철봉안전대>---<철봉안전대>---<돌계단>---<돌계단>---<철봉안전대>---<원도봉41-02말뚝(650m),>---<돌계단>---<원도봉41-01말뚝(653m),구급함,공터>---850---민초샘 갈림길 오거리(660,자운봉0.7KM-민초샘0.1KM-원도봉탐방지원센터2.4KM-사패산3.0KM 이정표)---<쐐기골(Y자곡)우회로 갈림길,우회탐방로 안내판>---<돌계단>---<데크 계단>---<포대능선(사패산3.4KM)방향-다락능선방향갈림길 이정표,전파탑>---250---포대정상전망대(720,<망자운봉,망연기봉,망수락산>,전망대아래에 긴급피난처가 있음(군사용벙커),송수신탑)---<남쪽으로>---<암릉길-신선대까지>---<조망점>---<철봉안전대>---<쐐기골(680,Y자곡)하단>---
---<철봉안전대>---<철봉안전대 암릉길(720,조망점)---<조망바위-망자운봉,망연기봉,망신선대,망수락산>---<철안전봉>---쐐기골(Y계곡)우회로안내 이정표(710,우회로(포대정상서사면우회길,민초샘갈림길오거리까지450미터))---<Y자곡안전통제초소>---<도봉34-01말뚝(711m)>---<바위쉼터>---<탐방안내지도>---350---신선대-도봉주능선-포대능선 갈림길 삼거리(705)---<데크 계단,안전철망>---<도봉산역방향갈림길삼거리,도봉산안내판>---<철봉안전대>---150---도봉산(신선대(726,정상목,사방팔방조망대,망자운봉(740),망만장봉(716),망선인봉(693),망무릉도원(685,에덴동산),망뜀바위(720),망백운대(839)...)---
#도봉주능선길 : 신선대~~~2700~~~우이남봉.
---되돌이길---
---신선대(726)---<철봉안전대>---<데크 계단>---150---신선대-도봉주능선-포대능선 갈림길 삼거리(705)---<서남쪽으로>
---<돌계단>---<나무계단>---<돌계단>---<데크 계단>---<돌계단>---<도봉34-02말뚝(670m)출입위험지역 경고판>---<탐방객의 발걸음에 깊게 패여 아슬아슬하게 생존하고 있는 나무>---<나무계단>---<뜀바위봉(720)북사면우회길>---<뜀바위봉폐쇄출입금지대나무장애물>---<주봉(675)북사면길>---<돌계단>---<도봉29-03말뚝(649m)>---330---마당바위-관음암 갈림길 삼거리(649,우이암2.3KM-마당바위0.7KM-도봉탐방지원센터3.0KM-자운봉0.3KM 이정표)---<주의:암릉길>---<철봉안전대>---<조망점>---<철봉안전대>---<철봉안전대>---<조망점>---<철봉안전대>---<철봉안전대>---<데크 계단>---<도봉34-03말뚝(640m)>---<데크 계단>---<나무계단>---<관음봉(칼바위,715)북사면허리길>---<소나무 쉼터>---<도봉27-03말뚝(676m)>---<우이암1.8KM-자운봉0.8KM 이정표>---<나무계단>---<추락주의 표지판>---460---오봉 갈림길 삼거리(670,우이암1.8KM-오봉1.0KM-여성봉2.1KM-자운봉0.8KM 이정표)---<데크 계단>---<물개바위봉(700)-705봉 사잇길>---150---오봉탐방지원센터 갈림길(,우이암1.7KM-오봉탐방지원센터4.1KM-오봉1.1KM-자운봉0.9KM 이정표)---<탐방안내지도>---<도봉26-05말뚝(635m)>---<쇠줄안전대>---<조망점>---<쇠줄안전대>---<안전대>---<도봉34-04말뚝(583m)>---<돌계단>---700---도봉탐방지원센터-오봉 갈림길 사거리(510,우이암0.5KM-도봉탐방지원센터2.9KM-오봉1.4KM-자운봉2.0KM 이정표)---<돌계단>---<구급함>---330---헬기장---<돌계단>---<낙뢰위험지역 안내판>---<탐방안내지도>---<도봉34-05말뚝(490m)>---170---도봉탐방지원센터(거북골길-보문능선길) 갈림길 삼거리(490,우이암0.4KM-도봉탐방지원센터3.0KM-4휴식처0.8KM 이정표)---<돌계단>---<철봉안전대>---<조망점>---160---보문능선길 갈림길 삼거리(510,우이암0.2KM-도봉탐방지원센터3.0KM-자원봉2.3KM 이정표)---<데크 계단>---<조망점-망우이암>---
---<철봉안전대>---<통천문,계단>---<조망점>---250---원통사 방향 이정표(530,온도계,원통사0.5KM-무수골입구2.1KM-자운봉2.5KM-오봉1.9KM 이정표,<우이남봉(542) 방향 출입금지 대나무장애물(한북정맥 우이령 구간은 비탐구역임)>)---
***주의 : 우이남능선길의 우이남봉에서 원통사 하단 갈림길 삼거리까지의 능선길구간(기기묘묘한 여러 바위들을 만날 수 있지만...)은 암릉길로 위험하여 비탐방구간으로 지정되어 원통사길로 산행함.---
============================
###참고 : 쇠귀바위(우이암)는 우이남봉에서 동쪽으로 100여미터 거리에 있음.
###참고 : 우이남봉(542)에서 쇠귀고개(327,우이령)와 상장 지능선을 거쳐서 육모정고개로 가는 한북정맥구간은 현재 폐쇄(비탐구간)되어 산행할 수 없음.
###참고 : 한북정맥 쇠귀고개길(우이령길) 구간(우이암봉~우이령~육모정,비탐방구간)
1. 우이암봉(542)---<서쪽으로><우이남봉서능선길>---<내리배기길>---1500---<도봉산 날뫼>---쇠귀고개(325,우이령)---<북쪽으로>---100---우이령길(320)---<북한산 들뫼>---***상장8봉지능선길***---왼쪽(서쪽으로)깔딱배기길---1000---상장8봉(550)---600---상장9봉(525,왕관봉,관모봉)---상장봉능선 진입---<서남쪽으로>---600---육모정고개(390)===3800미터.
2. 우이남봉(542)---<서쪽으로><우이남봉서능선길>---내리배기길---1500---<도봉산 날뫼>---쇠귀고개(325,우이령)---<북쪽으로>---300---<오봉조망점>---우이령길(300)---<북한산 들뫼>---<서쪽으로>***<상장7봉지능선길>***---1000---상장7봉(540)---600---상장6봉(550)---상장8봉(550)---600---상장9봉(525,왕관봉,관모봉)---600---육모정고개(390)===4600미터.
======================================
#우이남능선길 : 우이남봉~~~3030~~~한일교.
---원통사 방향 이정표(530,온도계)---<우이암 하단 길 험함>---<데크 계단>---100---우이암(쇠귀바위) 하단(500)---<철봉안전대>---<쉼터,공터,무수골입구1.8KM-원통사0.2KM 이정표>---<돌-나무계단>---<철봉안전대>---<도봉24-04말뚝(428m)>---<데크 길>----<데크 계단>---<화장실 안내 이정표>---300---*****원통사(390,신라시대에 창건한 전통사찰(주소:도봉로169길520),식수보충 안됨,전망 쉼터)*****---<돌계단>---<나무안전대>---50---무수골(동북방향) 갈림길 삼거리(,북한산우이역2.5KM-무수골입구1.6KM-우이암0.5KM 이정표,산불진화장비함)---<우이암 쉼터,구급함>---<데크 계단>---<데크 계단>---<나무계단>---<나무계단>---550---우이남능선(우이남봉 하단과 원통사 갈림길 삼거리)위(312,북한산우이역2.2KM-원통사0.6KM-우이암0.8KM 이정표,도봉23-3말뚝(312),샛길출입금지 표지판,쉼터)---<철봉안전대>---600---방학동 방향 갈림길 삼거리(255,북한산우이역1.4KM-방학동 방향-우이암1.6KM 이정표,공터,소화기함)---<철봉안전대>---<나무계단>---<산불진화용장비함>---<송전철탑>---<산불진화용장비함>---<나무계단>---<북한산우이역0.8KM-우이암2.2KM 이정표>---<나무계단>---1130---탐방객계수기(110,우이암지킴터)---<서울 강북구 삼양로181길 40-46 주택>---<북한산우이역0.7KM-우이암2.3KM-원통사2.1KM 이정표>---<원불교 봉도청소년수련원 옆>---<삼양로181길>---300---한일교(85,북한산우이역0.4KM-우이령탐방지원센터1.9KM-우이암2.6KM-원통사2.4KM 이정표)---
도봉산 날뫼
###연결구간 : 한일교~~~1500~~~육모정지킴터입구(한일교~~~300~~~<세븐일레븐편의점(우이유원지점,서울 강북구 삼양로685)>~~~1200~~~육모정지킴터입구).
-----도봉산 날뫼---
---한일교(85,북한산우이역0.4KM-우이령탐방지원센터1.9KM-우이암2.6KM-원통사2.4KM 이정표)---<삼양로181길>---<남남동쪽으로>---<우이신설경전철,우이차량사업소 앞, 우이동가족캠핑장>---<신우이교(80,우이천)>---강북구 수유2화장실(회전교차로 사거리 북쪽)---횡단보도---횡단보도---우이동산악문화허브---횡당보도(파라스파라서울입구-회전교차로 사거리 서쪽))---
---북한산우이령분기점(소나무숲길구간) 이정표(80, 북한산둘레길수유동방향-손병희선생묘소0.8KM-북한산우이역100M-우이령길-우이탐방지원센터2.1KM-백운천 다리위)---300---
---*****<세븐일레븐편의점(우이유원지점,서울 강북구 삼양로685)>*****---
------U턴------<북북서 방향으로>---
---북한산우이령분기점(소나무숲길구간) 이정표(80, 북한산둘레길수유동방향-손병희선생묘소0.8KM-북한산우이역100M-우이령길-우이탐방지원센터2.1KM-백운천 다리위)---횡단보도(회전교차로 사거리 서쪽-파라스파라서울입구))---우이동산악문화허브---(삼양로179길-육모정길로...)---<포장길><소귀교><멧돼지방지 철조망옆길>---비포장 흙길---이정표(우이령탐방지원센터1.7KM-북한산둘레길(수유동)KM)---샘터가든(음식점)---이정표(우이령길(교현리)KM-북한산우이역780M)---콘크리트포장길---비포장흙길---시골길(음식점)---호연암입구 삼거리---1200---
---육모정공원지킴터(신검사-용덕사)입구 삼거리 이정표(170, 용덕사0.3KM-신검사0.4KM-영봉2.7KM)---
-----북한산 들뫼-----
#####삼각산(북한산) 구간길 : 육모정 지킴터~~~16550~~~대호지킴터.
#삼각산(북한산) 들뫼---
###안다래골길 구간 : 육모정공원지킴터입구~~~1400~~~육모정고개.
#삼각산(북한산) 들뫼#
---육모정공원지킴터(170, 신검사-용덕사)입구 삼거리 이정표(용덕사0.3KM-신검사0.4KM-영봉2.7KM)---<서쪽으로><안다래골길>---데크길(데크다리---데크계단)---화장실---육모정공원지킴터---이정표(육모정고개1.3KM-화장실KM),탐방로안내도---탐방객계수기(오른쪽방향-육모정지킴터)---<멧돼지방지 철조망옆길>---바위길---신검사입구 이정표(육모정고개1.2KM-영봉2.5KM-육모정공원지킴터0.1KM),산불진화장비 보관함---시멘트포장길---작은바위군---큰바위군---용덕사입구 이정표(200, 육모정고개1.1KM-용덕사KM)---<용덕사담옆길>---북한69-01말뚝이정표(211, 국가지점번호 다사5596 6366, 공원사무소02-909-0497, 서울특별시 국가지점번호)---너덜길---산불진화장비 보관함---박석계단---쉼터---박석계단---바위군---박석계단---너덜길-박석계단---바위길---큰바위,산불진화장비 보관함---
---*****깔딱샘(수질검사 안됨, 영봉방향 마지막샘터)*****---
---너덜길---북한69-02말뚝이정표(388(?), 국가지점번호 다사5550 6361, 서울특별시 국가지점번호)---침목계단---국민참여형 탐방로 모티터링 말뚝---침목계단---조망바위---침목계단---너덜길---침목계단---바위길---데크계단---1400---
---*****육모정고개 쉼터(390, 소화기, 구급함, 탐방로 안내도, 이정표(영봉1.3KM-육모정공원지킴터1.3KM), 나무난간, 상봉능선(비탐구역,감시초소,송전탑) 분기점)*****---
========================
#참고 : 육모정 고개에서 상장 지능선과 쇠귀고개(327,우이령)를 거쳐 우이남봉(542)으로 가는 한북정맥구간은 현재 폐쇄(비탐구간)되어 산행할 수 없음.
#참고 : 한북정맥 쇠귀고개길(우이령길) 구간(육모정~우이령~우이암,비탐방구간)
1. 육모정고개(390)~상장봉능선 진입---<동북쪽으로>---600---상장9봉(525,왕관봉,관모봉)---600---***상장8봉지능선길***---상장8봉(550) 갈림길에서 오른쪽(동쪽으로)길로(내리배기길)---***상장8봉지능선길***1000---우이령길(320)---삼각산(북한산) 날 뫼---<남쪽으로>---100---쇠귀고개(우이령325,화장실)---도봉산 들뫼---<우이남봉서능선길><깔딱배기길>---1500---우이암봉(542)===합:3800미터.
2.육모정고개(390)~상장봉능선진입<동북쪽으로>---600---상장9봉(525,왕관봉,관모봉)---600---상장8봉(550)---상장6봉 (550))---600---상장7봉(540) 갈림길에서 오른쪽(동쪽으로)길로---***상장7봉지능선길***(내리막길)---1000---우이령길(300)---삼각산(북한산) 날 뫼)---<오봉 조망점>---<남쪽으로>---300--- 우이령(쇠귀고개325,화장실)---도봉산 들뫼---<동쪽으로><우이남봉서능선길><깔딱배기길>---1500---우이암봉(542)===합: 4600미터.
===========================
###우이능선길 구간 : 육모정고개~~~1900~~~하루재(육모정고개~~~1550~~~영봉~~~350~~~하루재).
---*****육모정고개 쉼터(390, 소화기, 구급함, 탐방로 안내도, 이정표(영봉1.3KM-육모정공원지킴터1.3KM), 나무난간, 상봉능선(비탐구역,감시초소,송전탑) 분기점)*****---
---나무난간---마모석계단---바위길---밧줄난간---북한69-03말뚝이정표(488, 국가지점번호 다사5533 6332)---바위길---조망점---바위길---505봉 북단 우회길(서사면)---505봉(조망점) 남단 이정표(영봉0.8KM-육모정공원지킴터1.8KM)---나무난간---헬기장, 조망점(코끼리바위와 해골바위능선 갈림길)---위험구간 출입금지 경고판---바위사면---조망점---나무뿌리길---나무난간+박석계단---너덜길---북한69-04말뚝이정표(554, 국가지점번호 다사5505 6285, 공원사무소02-909-0497, 서울특별시 국가지점번호)---철봉안전난간---암봉(550, 사방팔방 조망점)---철봉안전난간---너덜길---박석계단---나무난간---쇠줄안전난간---영봉 이정표(604, 하루재0.2KM-육모정공원지킴터2.6KM, 조망점)---1550---
---*****영봉 정상(영봉 이정표에서 북북서방향으로 약50미터, 헬기장, 사방팔방 조망점(특히 인수봉 암봉의 미를 감상할 수 있는 최적의 조망점이다.)*****---50---
---*****영봉 정상(영봉 이정표에서 북북서방향으로 약50미터, 헬기장, 사방팔방 조망점(특히 인수봉 암봉의 미를 감상할 수 있는 최적의 조망점이다.)*****---50---
----되돌이길---50---
---영봉 이정표(604, 하루재0.2KM-육모정공원지킴터2.6KM, 조망점)---50---<하루재 방향(남서쪽)으로><영봉에서 하루재까지의 구간은 내리배기 비탈길이다.>---데크계단---철봉안전난간---너덜계단길---300---
---*****하루재 갈림길이정표(490, 백운대1.4KM-인수대피소,경찰산악구조대0.2KM-영봉0.28KM-육모정지킴터2.8KM-백운탐방지원센터0.7KM, 쉼터, 탐방안내도, 만경대능선길(만경대동능선길(족두리바위-곰바위능선길))은 비탐구역으로 폐쇄되어 산행할 수 없음.*****---
###창릉천상류길(백운산장길) 구간 : 하루재~~~1300~~~백운대.
---*****하루재 갈림길이정표(490, 백운대1.4KM-인수대피소,경찰산악구조대0.2KM-영봉0.28KM-육모정지킴터2.8KM-백운탐방지원센터0.7KM, 쉼터, 탐방안내도, 만경대능선길(만경대동능선길(족두리바위-곰바위능선길))은 비탐구역으로 폐쇄되어 산행할 수 없음.*****---박석길(비탈길)---조망점(망인수봉)---바위길---박석계단길---작은다리------인수대피소 경찰산악구조대의집 아랫쪽 이정표(460, 백운대1.2KM-인수대피소 경찰산악구조대0.05KM-백운탐방지원센터0.9KM-도선사1.2KM), 화장실---북한산경찰산악구조대+대피소,조망점(망인수봉)---데크다리---인수암---인수암 돌담길---바위길---옛 화장실터---큰바위길+쇠줄안전난간---계곡건넘---쇠줄안전난간---바위길---데크계단길(암사면, 조망점)---바위길---계곡건넘---바위길+쇠줄안전난간---데크다리+데크계단---바위+돌계단---
---*****백운대피소(640, 밤골방향 갈림길 이정표 (옛백운산장(대한민국1호산장) 폐우물옆), 백운대0.5KM-북한산장대피소1.7KM-북한산경찰산악구조대(02-904-4360)0.9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9KM-밤골 방향(북쪽)), 백운암(백운대피소 뒤쪽), 북한산역사관+문화관+특수산악구조대대기실, 화장실, 백운의혼-충혼탑)*****---
작은돌다리---*****치배기길(깔딱배기, 백운대피소에서 백운봉암문까지는 바위길+계단길로 이어지는 경사가 급한 산행길이다.)*****---바위+돌계단---데크계단길+쇠줄안전난간---바위길+보호소나무---박석계단---쇠줄안전난간---박석계단---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백운산장의 역사
백운산장은 1924년 산장지기 이영구씨가 터를 잡은 뒤 지난 100년 가까이 수많은 등산 애호가들과 함께하며 북한산을 지켜온 산 증인이다. 1933년 석조 산장을 신축했고, 1942년 우물을 팠으며 1960년 단층 석조 건물로 확장 재건축했다.
1992년 화재로 지붕이 불탔으며, 1998년 통나무로 2층을 증축했다.
2019년12월2일 폐쇄되었다.
백운산장은 우리나라 1호 산장이자 국립공원 마지막 민간 산장이었다.
산장이 폐쇄된 이유는 1992년 지붕이 불탔을 때 1998년 2층을 통나무로 증축하며 기부채납을 조건으로 신축 허가를 받으면서 2017년이 되면 국가에 산장을 내놓는다는 약속을 했기 때문이다.
북한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측은 산장 폐쇄 후 구조 보강과 리모델링 작업후 새롭게 문을 연 시설에는 1층은 북한산 역사관·문화관, 2층은 특수 산악구조대 대기 장소로 운용되고 있다.
영원한 산장지기
지난 2017년 12월 31일 산장지기 이영구-김금자씨 부부 모습. 이영구씨는 2018년 세상을 떠났다.
##### 백운대 암릉길 : 백운봉암문 ~~~350~~~백운봉.
---백운봉암문(716)---<북한산성 성벽>---<박석계단>---<데크계단 + 밤골 갈림길 합류점 + 데크계단>---<탐방객 계수기>---<쉼터,의자없음><북한산1-5백운대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218>---<철봉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북한산성 성벽>---<얼굴바위>---<쇠줄안전난간 + 철봉안전난간>---<북한21-04말뚝 이정표(783)>---<오리바위>---<쇠줄안전난간계단>---<쇠줄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삼각산 이름유래와 암석 생성역사 안내판>---<쇠줄안전난간>---<마당바위 + 뜀바위>---<쇠줄안전난간>---310---
---*****백운대(836.5,<통일서원비><3.1운동 암각문><북한산 백운대 836미터 암각문><국기봉><사통팔달 조망점>)*****---
---<철봉안전난간-신설됨-정상 북쪽면>---
##### 백운대 암릉 되돌이길 : 백운대~~~350~~~백운봉암문.
---백운대---310---범골 갈림길 삼거리---40---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 만경대~용암봉 허리길 : 백운봉암문~~~1300~~~용암문.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용암문 방향(남서)으로*****---
---백운봉암문(715,위문)---<(긴 내리배기)데크계단, 북한산1-4위문 국가지점번호-다사54076213>---70---
---용암문-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백운봉암문(위문) 갈림길 삼거리 이정표(705, 백운대KM-대동문2.6KM-북한산대피소1.3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7KM),백운대 서벽밴드 진입구(비탐구역)---<(긴 내리배기)데크계단, 북한산1-4위문 국가지점번호-다사54076213>---70---
---*****만경대 허리길은 낭떠러지 벼랑길이다.*****---
<데크다리>---<데크계단>---<조망점 : 망백운대>---<데크계단>---<조망점 : 망백운대>---<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오르막>---
<조망점 : 망백운대>---<쇠줄안전난간>---<조망점 : 망 의상능선-노적봉-북한산성지구-백운대-원효능선>---<데크계단-내리막,망노적봉>---<쇠줄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 + 타이어멍석계단>---<나무안전난간>---<마모석계단>---550---
---노적봉입구(658,대동문2.1KM-북한산대피소0.8KM-백운대0.9KM 이정표, <북한22-1말뚝 이정표(658)>, 노적봉(716)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박석계단>---<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나무안전난간>---<바위지대, 만경대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북한산2-6병풍암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166>---<나무안전난간>---<바위지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노송>---<마모석계단>---<데크계단>---<나무안전난간>---<대동문1.6KM-백운대1.4KM 이정표>---<밧줄안전난간 + 북한22-2말뚝 이정표(579)>---<마모석계단>---680---
---용암문(587,대동문1.5KM-북한산대피소0.2KM-백운대1.5KM-용암문공원지킴터(도선사방향)1.1KM 이정표)---
###북한산성 능선길 : 용암문~~~4000~~~문수봉.
*****북한산성 성벽길*****
---용암문(587,도선사 방향(동북) 갈림길)---일출봉(618)---월출봉(615)---기룡봉(588,치성) ---반룡봉(583)---동장대,시단봉(601)---
---덕장봉(585)---대동문(550,화장실,쇠귀천계곡-진달래능선방향(동북쪽),북한동방향(서쪽)갈림길,대성문-대남문 방향 우회길 있음)---복덕봉(594,칼바위능선방향(동쪽)갈림길)---보국문(567,정릉매표소방향(남동쪽),북한동방향(북쪽)갈림길)---성덕봉(631,전망대)---화룡봉(644)---대성문(620,형제봉능선-북악산방향(남쪽)갈림길,대남문 방향 우회길 있음)---잠룡봉(701,통천문,보현봉-사자능선-형제봉능선방향(동쪽,탐방금지구역)갈림길)---대남문(683,문수사-구기계곡방향(남서쪽),잠룡계곡-북한동방향(북동쪽),북한산성우회로(동북쪽,대동문까지)갈림길,청수동암문까지 우회길 있음)---문수대(문수봉 하단 전망대727,조망점)---성벽---문수봉(727,사통팔달 조망점)---
###비봉능선길 : 문수봉~~~2700~~~향로봉.
---문수봉(727)---***<청수동 암문((694,우회길,청수동암문방향 우회로(계곡 너덜길)도 만만찮음,상원봉(715봉)과 문수봉(727) 사이 안부))방향 길 또는 연화봉(695)암릉길(어려움,잉어바위-연화봉(남쪽)으로 직진)중에서 선택>---
*****문수봉---<북한산성 성벽><데크계단>---<철봉안전난간>---잉어바위---<철봉안전난간>---연화봉(695)*****---문수봉-연화봉 암릉길---<계단>---
---문수봉 하단 합류길 삼거리(560,삼천사 계곡 갈림길)---(통천문,565,조망점)---
---승가봉(567,조망점)---(삼천사갈림길,530)---사모바위(560,응봉능선갈림길,김신조암굴,쉼터)---
----(비봉능선 전망대,승가사 갈림길,525)---비봉(560,사통팔달 조망점,진흥왕순수비,코뿔소바위,나무난간을 지나 암릉을 올라야 하는 위험구간(비탐구역은 아님))---
---(진관사 - 탕춘대성 갈림길 사거리,500)---관봉(535,관음봉,부처바위,식당바위,조망점)---
---향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520, 족두리봉1.7KM-기자공원지킴터2.0KM-대남문2.9KM-사모바위1.1KM-비봉0.5KM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향로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 <기자능선-탕춘대능선-불광능선-비봉능선 갈림길 사거리>)---50---
---<나무안전난간 사이로(서쪽 방향)>---
---향로봉(535(527.4), 암봉, 추락주의, 사방팔방 조망점)---
#####구기-불광능선길(수리봉(족두리봉)능선길, 난이도가 꽤 높은 산행길) : 향로봉~~~3250~~~삼환그린빌라(대호지킴터).
---향로봉(535(527.4), 암봉, 추락주의, 사방팔방 조망점)---
---<나무안전난간 사이로(동쪽 방향)>---50---
---향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520, 족두리봉1.7KM-기자공원지킴터2.0KM-대남문2.9KM-사모바위1.1KM-비봉0.5KM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향로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 <기자능선-탕춘대능선-불광능선-비봉능선 갈림길 사거리>)---데크계단---내리배기(비알길)길---<(지리한)마모석 계단길>---이정표(족두리봉1.4KM-향로봉0.3KM-비봉0.9KM)---<철봉안전난간>---두갈래 철봉안전난간(조금만 가면 합류함)---비봉 조망점---철봉안전난간---조망점---데크계단---마모석계단길---이정표(족두리봉1.3KM-향로봉0.4KM-사모바위1.5KM)---밧줄안전난간---바위굴---나무안전난간---400---
---향로봉 남단 국립공원 구조대 초소(420, 탕춘대성 갈림길 삼거리 이정표- 향로봉0.5KM-비봉1.1KM-족두리봉1.2KM-탕춘대공원지킴터0.8KM-상명대2.0KM)---<남서쪽으로><내리배기 암사면 비알길>------박석계단 + 북한65-04말뚝이정표(413, 국가지점번호 다사5147 5825)---향로봉일원 출입제한 경고판---바위사면---조망점---바위사면---조망점---철봉안전난간---조망점---바위사면---400---
-----향로오거리 이정표(322, 향로봉0.8KM-족두리봉0.9KM-불광공원지킴터1.3KM-구기터널지킴터1.3KM-탕춘대공원지킴터(차마고도길)0.7KM), 북한66-03말뚝이정표(322, 국가지점번호 다사5128 5821)---밧줄난간---바위사면---송전철탑---밧줄난간---바위사면---360봉---밧줄난간---데크계단---조망점---북한65-03말뚝이정표(333, 국가지점번호 다사5098 5795)---나무안전난간---700---
---수리봉계곡입구 이정표(320, 향로봉1.4KM-비봉2.0KM-족두리봉0.3KM-불광공원지키터1.4KM-용화공원지킴터0.8KM)<용화공원지킴터 방향에 산불감시초소가 철벽위에 고고히 자리함>---
---<족두리봉 북서사면 허리길(우회길)>---내리배기 마모석계단---불광사 방향 갈림길---쇠줄안전난간---낙석위험 경고판---상습결빙구간 미끄럼주의 안내판---철봉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북한65-2말뚝이정표(323, 국가지점번호 다사5076 5775)---치배기 마모석계단------향로봉 방향 갈림길 이정표(345, 향로봉1.7KM-비봉2.3KM-불광공원지킴터1.1KM)---
---<동쪽으로>---나무안전난간---족두리봉 안전사고 주의판---족두리봉일원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경고판---향로봉1.7KM이정표---<나무난간 사이로>---400---
---족두리봉(370, 수리봉, 사방팔방 조망점, 전파 수신탑)---
-----되돌이길---
---족두리봉(370, 수리봉, 사방팔방 조망점, 전파 수신탑)---향로봉 방향 갈림길 이정표(345, 향로봉1.7KM-비봉2.3KM-불광공원지킴터1.1KM)---<내리배기 바위사면길>---철봉안전난간---밧줄난간---조망점---암사면---바위사면---바위사면---산불진화 장비함---조망점---바위사면---조망점---암사면---조망점---암사면---암사면+나무난간+조망점---침목계단+나무난간---산불진화 장비함---바위사면길+나무난간---바위사면+나무난간---(작은)바위삼형제---침목계단+나무난간---올챙이바위---바위사면+나무난간---조망점---바위사면---1100---
---북한산둘레길 구름정원길(왼쪽 데크계단)+수리봉(족두리봉, 오른쪽 바위길) 갈림길 이정표(90, 죽두리봉0.8KM-불광역0.7KM-서울둘레길 구파발역4.9KM-불광중학교1.6KM-서울둘레길 북한산생태공원1.0KM-장미공원1.1KM-은평둘레길 산골고개생태연결로3.22KM, 북한산 탐방로 안내도, 북한산둘레길 안내도, 탐방객수 계수기)---바위길---멧돼지방지용 철망문---데크계단---타일그림계단---200---
---삼환그린빌라 골목 입구---
-----날뫼-----
#####연결구간 : 대호지킴터~~~660~~~불광역.
---삼환그린파크빌라 골목(55)---불광6길<남쪽으로>---190---해바라기분식집---<동쪽으로>------*****<세븐일레븐편의점(불광역 사거리점,서울 은평구 불광로40)>*****---470---불광역(3,6호선) 9번 출입구---
###참고
1. 불광역~51분+~화랑대역
불광역(3호선)~~~종로3가역(1호선)~~~동묘앞역(6호선)~~~화랑대역(6호선)
2회 환승,소요시간:51분,요금1600(카드,현금1700원),20개역구간.
2. 불광역~53분+~공릉역.
불광역(3호선)~~~종로3가역(1호선)~~~동묘앞역(6호선)~~~태릉입구역(7호선)~~~공릉역(7호선
3회 환승,소요시간:53분,요금1600(카드,현금1700원),20개역구간.
###작성자 : 들뫼날뫼(더불어 함께,더불어 걷는 길,다물) 2019.06.22
#####연결구간 : 대호지킴터~~~660~~~불광역.
---삼환그린파크빌라 골목(55)---불광6길<남쪽으로>---190---해바라기분식집---<동쪽으로>------*****<세븐일레븐편의점(불광역 사거리점,서울 은평구 불광로40)>*****---470---불광역(3,6호선) 9번 출입구---
###참고
1. 불광역~51분+~화랑대역
불광역(3호선)~~~종로3가역(1호선)~~~동묘앞역(6호선)~~~화랑대역(6호선)
2회 환승,소요시간:51분,요금1600(카드,현금1700원),20개역구간.
2. 불광역~53분+~공릉역.
불광역(3호선)~~~종로3가역(1호선)~~~동묘앞역(6호선)~~~태릉입구역(7호선)~~~공릉역(7호선
3회 환승,소요시간:53분,요금1600(카드,현금1700원),20개역구간.
###작성자 : 들뫼날뫼(더불어 함께,더불어 걷는 길,다물) 2019.06.22
==============================
==============================
#####종주 산행과 일주 산행의 다른 점
-들뫼날뫼(더불어걷는길,더불어함께,다물),2023.10.20
###종주 산행 : 산의 맥과 산의 능선으로 이어진 곳을 따라 걷는 장거리 산행을 말한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자연관중의 하나인-산자분수령(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에 의하여 산행길이 강이나 하천 등의 흐르는 물에 의하여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진 산의 능선길을 걷는 산행을 말한다.
예). 1대간 9정맥 162지맥 종주, 화대종주, 설악대종주, 육구종주...
### 일주 산행 : 산의 맥이 중간에 끊기는 장거리 산행을 이르는 명칭이다.
예). 불수사도북 일주(중랑천),삼관우청광 일주(양재천),동두천6산 일주(신천)...
***따라서, 불수사도북 산행을 종주 산행이라 말하는 것은 맞지 않다.
불수사도북 산행은 수락산과 사패산 사이를 중랑천이라는 하천이 흘러 산의 맥이 이어지지 못하고 끊기므로, 종주 산행이 아니라 달리 일주 산행이라 부르는 것이 맞다.
### 사전에서의 정의
1). 종주
종주1 [縱走]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縱走]
명사
(1)
(기본의미) 능선(稜線)을 따라 산을 걸어, 많은 산봉우리를 넘어가는 일.
(2)
산맥 따위가 지형이 긴 쪽으로 또는 남북으로 길게 이어짐.
*출처-다음 국어사전
2). 일주
일주1 [一周]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一周]
명사
넓은 일정한 지역을 한 바퀴 돎.
*출처-다음 국어사전
3).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 “산은 스스로 물을 가른다”는 말로써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으니 물줄기를 보고 산줄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산줄기를 보아 물줄기도 가늠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산자분수령은 우리 선조들의 전통의 자연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