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사(Histoire de la philosophie, 1926-1932)[3권 합본 1938],
브레이어(Bréhier, 1876—1952),
- 제5권. 18세기, Le XVIIIe siècle 275-506.
제10장, 18세기 중기(1740-1775) (연속): 자연의 이론 (연속)
- Deuxième Période (1740-1775) (suite): Théorie de la nature 383-403
* 인명 및 고유명사.
빛의 세기: 백과전서(Encyclopédie)파의 인물들
*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 프랑스 빛의 세기에 백과전서파, 철학자, 작가. 무신론자.
1713 랑그르(Langres)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Denis Diderot, 1654-1726)는 칼 제조(칼갈이)업자의 아들이며 아버지도 칼 제도업자였고, 할머니(Nicole Beligné, 1655-1692)도 유명한 칼제조업자의 딸이었다. 어머니(Angélique Vigneron, 1677-1748)는 통제조업자의 딸이며, 아버지(Didier Diderot, 1685-1759)는 수술도구(수술용칼)를 만드는 유명한 장인이었다. 부모는 1712년에 결혼했다. 아홉자식을 가졌으나 2남 2녀만 성장하였다.
1715 태어난 누이(Denise, 1715-1797)는 랑그르에서 죽 살면서, 디드로가 고향과 연결할 수 있었다.
1720 누이(Angélique, 1720-1749)가 태어나다. 그녀는 19살에 우르술라(Ursule) 수녀회에 들어갔으나 미쳐버려 다음해 죽었다. 수녀(La Religieuse, 1780)이 나올 것이다.
1723 à 1728 제수이트 고등학교인 랑그르의 루이 르 그랑 고등학교를 다녔다. 라틴어를 배웠다. 뛰어난 학생이었다고 한다.
1725(열다섯), 수도원에 들어가기 위해 머리를 깎다(la tonsure). - 머리 깎는 것은 수도원제도 가 있는 종교들(hindouisme, judaïsme, christianisme, bouddhisme)에게 있다. 카톨릭에서 이를 대신하는 모자(Calotte, 빵모자)로서 신부와 수사는 검은색, 주교는 보라색, 추기경은 붉은색, 교황은 흰색이다.
1726(열여섯), 수도원 수사가 되었으나, 그의 맏인 외삼촌이 세상을 뜨면서 유언이 없어서 성직고정수업(prébende)을 받지 못했다. 성직에 흥미를 잃었다.
1728 제수이트에 들어가기 위하여, 파리로 올라갔다.
1729 아버지가 따라가서 아르꾸르(collège d'Harcourt)고등학교에 등록했다.
1731 그러나 이시기에(vers 1731 ou 1732) 랑그르 주교 가까이에서 직위를 얻기 위해 교섭했으나 재빨리 포기했다고 한다.
1732년 고등학교를 마치고 소르본에 들어갔다.
1735년 소르본 대학에서 2년간 철학을 3년간 신학을 공부할 확인을 받았다.
1740 라땅가 주변에 이사다녔다. - rue de l'Observance, rue du Vieux-Colombier, rue des Deux-Ponts. (-1743년까지) ]
1742, 샹삐용(Anne-Antoinette Champion, 1710-1796), 세탁하는 여인을 사랑하게 되다. 그녀는 귀족가계였으나 3살에 아버지를 잃고 파산하여 13살까지 수녀원에서 지냈다.
- 1743년에 그는 아버지의 결혼 반대로 칼르멜 수도원에 갇혔는데, 그는 도피하여 트르와(Troyes)에 피신해서 지냈다. 1743 11월 6일 교회(l'église Saint-Pierre-aux-Bœufs)에서 비밀리 결혼했다. - 이들 사이에 4명의 자식 중에 막내 딸(Marie-Angélique Diderot, 1753-1824)이 있는데, 이 딸의 지참금을 위해 러시아 카트린 여왕에게 장서를 팔았다.
1743(서른) 스태년(Temple Stanyan, 1675–1752)의 그리스 역사(Grecian History, 1707) 번역,
1744(서른하나) 영국 내과 의사인 제임스(Robert James, 1703–1776)의 의학 사전(A Medicinal Dictionary, 1743–45) 번역.
1745(서른둘) 샤프트버리(Shaftesbury, 1671–1713)의 덕목에 관한 탐구(An Inquiry Concerning Virtue, 1699)를 번역
1746(서른셋) 철학적 사상들(Pensées philosophiques, 1746(익명으로).
1746 서적상인 르 브르똥(Le Breton, 1708-1779)은 그에게 1728년에 대성공으로 나온 백과사전, 예술들과 과학들의 사전(Cyclopœdia or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 1728)의 번역을 권함.
1747 철학작품, La Promenade du sceptique ou Les Allées(1747 작성, 1830 출판) 경찰이 자품을 수배하였다.
1748 부주의한 보석들(Les Bijoux indiscrets, 1748)
1748 L'Oiseau blanc : conte bleu(1748작성, 1798 출판(
1749(서른여섯) 보는 자들의 용법에서 맹인들에 관한 편지(Lettre sur les aveugles à l'usage de ceux qui voient, 1749, - 유물론적 입장. 이 때문에 6개월간 뱅센느 감옥에 갇히다.
- 이 시기에 쓰여진 작품으로 회의론자의 산보와 오솔길들(La Promenade du sceptique ou les allées)(1830년 출간)과 자연 종교의 충분함(De la suffisance de la religion naturelle)(1770년 출간)이 있다.
1750 라모(Jean-Philippe Rameau, 1683-1794), 프랑스 작곡가 음악이론가를 만났다. 라모는 화음 원리의 증명(La Démonstration du principe de l'harmonie servant de base à tout l'art musical théorique et pratique, 1750)를 썼다. 이 시기부터 다양한 학문에 지칠줄 모르고 접촉하다. 개연성이론(확률론), 뷔퐁의 자연사, 생리학 등에 관심을 갖다. - 1754-1757년에는 외과 수술, 그리고 루엘(Guillaume-François Rouelle, 1703-1770)의 화학에도 관심을 갖는다. ,
1751(서른여덟) 백과사전(L’Encyclopédie (1751-1772)의 편집을 시작하다. / Encyclopédie ou Dictionnaire raisonné des sciences, des arts et des métiers (1751-1772).
1752(서른아홉) 년 초에 백과사전(L’Encyclopédie (1751-1772) 2권 출판.
1753 초판은 자연의 해석(De l'interprétation de la nature, 1753)(익명 출판) - 1754년 본 제목으로 자연 해석에 관한 사상들(Pensées sur l'interprétation de la nature [2판 출판 (2e éd., 1754)] / 이 책은 “경험의 기하학에 적용(Application de l’expérience à la géométrie)”, 또는 척도들의 벗어남에 대한 논의(Traité de l’aberration des mesures)라 불렸다.
1753-1757 백과사전(L’Encyclopédie (1751-1772) 새로 다섯 권이 나오다.
1755(마흔둘) 소피 볼랑(Louise Henriette Volland, dite Sophie Volland, 1716-1784) 프랑스 여성 서간 문학가를 만났다.
1761(마흔여덟) 딸의 지참금을 위해 서가를 팔려 했다. 러시아의 여제 카트린 2세(Catherine II, 1729-1796)가 구입했고, 책의 보관 관리 책임자로 디드로를 지명했다. .
1762(마흔아홉) 라모의 조카(Le Neveu de Rameau, 1762-1773)
1765(쉰둘) 숙명론자 쟈끄(Jacques le Fataliste (1765-1784)
1766(쉰셋) 나머지 10권은 훨씬 나중에 나온다(1772).
1769(쉰여섯) 달랑베르의 꿈(Le Rêve de D’Alembert, 1769)
자연의 해석에 관한 사상들(Pensées sur l'interprétation de la nature(1769 출판?)
1769 마담 모(Jeanne-Catherine de Maux, née Jeanne-Catherine Quinault, 1725-1812), Madame de Maux의 연인되다.
1772(쉰아홉) Madame de La Carlière (1772) Contes 3편 :
Ceci n'est pas un conte (1772)
부겡빌 여행의 보충(Supplément au Voyage de Bougainville(1772 집필) (사후 1796 출판)
1772 백과전서(L’Encyclopédie, 1751-1772)
1773(예순) 카트린 2세의 초청으로 생 페테스부르크로 여행(1774).
1780(예순일곱) 수녀(La Religieuse, 1780)
1784(일흔하나) 파리에서 세상을 떴다.
1796 부겡빌 여행의 보충(Supplément au Voyage de Bougainville, ou Dialogue entre A et B sur l'inconvénient d'attacher des idées morales à certaines actions physiques qui n'en comportent pas, 1796 유고 출판. (57OKH)
* 모페르뛰(Pierre Louis Moreau de Maupertuis, 1698-1759), 프랑스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자연주의자. 뉴턴의 이론들을 프랑스에 확산.
1698 모페르뛰(Pierre Louis Moreau de Maupertuis, 1698-1759) à Saint-Jouan-des- Guérets (près de Saint-Père-Marc-en-Poulet et de Saint-Malo)에서 태어나다.
1735(서른일곱) 두 번의 원정대를 이끌었다. 한번은 1735년 페루, 고댕, 부게, 라 꽁다민을 다녀왔다.
1736(서른여덟)-1737 다른 한편은 1736-1737년에 라포니를 원정했다.
1738 La Figure de la Terre, déterminée par les Observations de Messieurs Maupertuis, Clairaut, Camus, Le Monnier & de M. l’Abbé Outhier, accompagnés de M. Celsius. (Paris, 1738).
1740(마흔둘) 베를린 아카데미 의장이 되었다.
1743(마흔다섯) Astronomie nautique ou élémens d’Astronomie, tant pour un observatoire fixe, que pour un observatoire mobile. (Paris, 1743, 1745 et 1746).
1749(쉰하나) Essai de Philosophie morale. (Berlin, 1749. Leyde, 1751 ; réédité par Jean-Max Liandier, L'Harmattan, Paris, 2010). Il est, avec celui intitulé Essai de Cosmologie, le principal texte philosophique de Maupertuis.
1750(쉰둘) Essai de Cosmologie, Amsterdam, 1750 ; Leyde, 1751
1751(쉰셋) Dissertatio inauguralis metaphysica, de universali naturæ systemate, pro gradu doctoris habita (Erlangen, 1751). Publiée sous le faux nom de « Doctor Baumann ».
- Examen philosophique de la preuve de l'existence de Dieu,
- Vénus physique,
1754(쉰여섯) Essai sur la formation de corps organisés (Paris - Berlin, 1754). Traduction de la Dissertatio, aussi publiée dans les œuvres complètes sous le titre Système de la nature.
Lettre
1759[예순하나] 발(Bâle)에서 세상을 뜨다. le 27 juillet 1759,
* 라메트리(Julien Jean Offray de La Mettrie, 1709-1751) 프랑스 의사, 유물론 철학자, 경험론자.
1709 라메트리(Julien Jean Offray de La Mettrie, 1709-1751) 생 말로(Saint-Malo)에서 태어나다 le 19 décembre 1709 .
1745(서른여섯) 영혼의 자연사(L’Histoire naturelle de l’âme, 1745) -유물론을 옹호하였다.
1746(서른일곱) 그의 책이 의회에 조치에 의해 분서갱유 당했다.
1747 기계 인간(L’Homme Machine, 1747
1750 예비적 담론(Discours préliminaire (1750)
1751 형이상학의 도래, 인간 영혼의 기원(Vénus métaphysique ou De l'origine de l'âme humaine (1751)
1751 le 11 novembre 1751 포츠담(Potsdam)에서 세상을 뜨다.
* 엘베시우스(Claude Adrien Helvétius, 1715-1771), 프랑스의 철학자. 백과전서파,
1715 파리에서 태어났다. le 26 janvier 1715
1758 정신에 대하여(De l’Esprit, 1758).
1771 파리에서 세상을 떴다. le 26 décembre 1771
1772 인간에 대하여(De l’Homme, 1772).
*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1717-1783)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백과전서파.
1717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1717-1783) 파리에서 태어나다.
1739(스물둘) Mémoire sur le calcul intégral (1739), première œuvre publiée
1740(스물셋) Mémoire sur la réfraction des corps solides (1740)
1743(스물여섯) 동역학론(Traité de dynamique, 1743) (1743 puis 1758)
1751 Le Discours préliminaire de l'Encyclopédie (Discours préliminaire des Éditeurs, 1751) Discours sur l’Encyclopédie.
1783(예순여섯) 파시에서 세상을 떴다.
* 돌바흐(Paul Thiry, baron d’Holbach, deu. Paul Heinrich Dietrich von Holbach, 1723-1789), 독일에서 태어나 주로 파리에 살았다. 독일출신 프랑스어로 쓴 과학자, 백과전서파, 유물론 철학자.
1723 le 8 décembre 1723 à Edesheim
1766(마흔셋) 첫째 저술, 폭로된 크리스트교, 또는 기독교 종교의 원리와 효과에 대한 검토(Le christianisme dévoilé, ou Examen des principes & des effets de la religion chrétienne 1766) - 이 첫 저술은 ‘니꼴라 불랑제(Nicolas Boulanger)’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어 경찰의 추적을 받았따.
1766(마흔셋) 드러난 고대, 그 사용법을 통하여: 지상의 여러 민족들의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중요한 여론들, 예식들, 제도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L'Antiquité dévoilée par ses usages, ou Examen critique des principales opinions, cérémonies et institutions religieuses et politiques des différens peuples de la terre, Amsterdam, 1766)
1770(마흔일곱) 자연의 체계, 자연적 세계와 도덕적 세계의 법칙들(Système de la nature ou des loix du monde physique et du monde moral, 1770)(익명으로 출판했는데, 의회는 이책을 단죄했다)
1776(쉰셋) 보편 도덕론, 자연 위에 기초한 인간의 의무들(La Morale Universelle, ou Les devoirs de l’homme fondés sur la Nature, 1776Amsterdam,
1789(예순여섯) le 21 janvier 1789 à Paris
* 1707 뷔퐁(Georges-Louis Leclerc, comte de Buffon, 1707-1788), 프랑스 자연학자, 수학자, 생물학자, 우주론자, 철학자, 작가.
1707 né à Montbard le 7 septembre 1707
1738(서른하나) 왕립식물원(Au Jardin royal des plantes) 관장이다.(1739 à 1788)
1749(마흔둘) 자연사: 일반사와 개별사와 더불어 왕의 전시실의 묘사(L’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avec la description du Cabinet du Roi(est une collection encyclopédique française d'ouvrages écrits par Buffon, dont la publication en volumes s'étend de 1749 à 1804.
- trois volumes en 1749 : De la manière d'étudier l'histoire naturelle suivi de la Théorie de la Terre, Histoire générale des animaux et Histoire naturelle de l'homme ;
1753(마흔여섯)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membre de l'Académie française en 1753,
- douze volumes sur les quadrupèdes (de 1753 à 1767) ;
- neuf volumes sur les oiseaux (de 1770 à 1783) ;
- cinq volumes sur les minéraux (de 1783 à 1788), le dernier contient le Traité de l'aimant, dernier ouvrage publié du vivant de Buffon ;
- sept volumes de suppléments (de 1774 à 1789), dont les 자연의 세기들(Époques de la nature, 1779) (à partir de 1778).
1779(일흔 둘) 자연사 36권의 마지막 권: 자연의 세기들(Époques de la nature, 1779)
1788(여든 하나) mort à Paris le 15 avril 1788 (57OLF)
** 인명록 **
1567 베르지에(Nicolas Bergier, 1567-1623) 프랑스 고고학자, 역사가, 고대 로마 전문가. Bergier : Examen du matérialisme, ou Réfutation du système de la nature, 1771
1588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영국 정치 철학자, 최초의 사회계약론자.
1694 허치슨(Francis Hutcheson, 1694–1746), 스코틀랜드 장로교 가정 출신 아일랜드 철학자. 글래스고 대학 도덕철학 교수, A System of Moral Philosophy.(1755)
1596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근대 철학의 아버지, 분석 기하학의 창시자.
1632 로크(John Locke, 1632-1704), 영국 철학자, 정치사상가. 홉스(1588-1679)보다 마흔넷 어리지만 동시대를 47년간 살았다.
1642 뉴턴(Isaac Newton, 1642-1726) 영국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1646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독일의 수학자, 과학자, 철학자. 저술은 라틴어(~40%), 프랑스어(~30%), 독일어(~15%) 등 다양한 언어로 썼다.
1670 톨랜드(John Toland, 1670–1722) 아일랜드 합리주의 철학자, 자유사상가, 풍자가. 정치철학과 종교철학 팜플랫을 썼다. 로크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범신론(pantheisticon, 1720).
1671 샤프트버리(Anthony Ashley Cooper, 3rd Earl of Shaftesbury, 1671–1713) 영국 정치가, 철학자, 작가. 버클리와 논쟁했다. 덕목에 관한 탐구(An Inquiry Concerning Virtue, in Two Discourses. 1699
1675 스태년(Temple Stanyan, 1675–1752), 영국 공무원, 정치가, 작가. 그리스 역사(Grecian History 1707).
1676 콜린스(Anthony Collins, 1676–1729) 영국 철학자, 수필가, 영국 이신론의 선구자. 로크와 친하다. Essay concerning the Use of Reason in Propositions, the Evidence whereof depends on Human Testimony (1707), 자유로운 사유의 담론(A Discourse of Freethinking, occasioned by the Rise and Growth of a Sect called Freethinkers (1713)
1680 챔버스(Ephraim Chambers, 1680경-1740), 영국 작가, 백과사전작성자. 영국 백과사전, 예술들과 과학들의 사전(The British Encyclopedia, or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 1728).
1684 램지(Allan Ramsay, 1684-1758), 스코틀랜드 작가, 시인, 극작가, 서적상. 프랑마송.
1693 브래들리(James Bradley, 1693–1762) 영국 천문학자. 제3대 그리니치 천문대장. 1717년 광행차(光行差, l'aberration de la lumière) 원리 발견.
1693 빌핑거(Georg Bernhard Bilfinger, 1693–1750), 독일 철학자, 수학자, 정치가, 루터파 장관의 아들.
1694 볼떼르(Voltaire, François-Marie Arouet, 1694-1778) 프랑스 빛의 시대 작가. 《샤를 12세의 역사》, 《루이 14세의 시대》, 《각 국민의 풍습·정신론》, 《캉디드》
1694 허치슨(Francis Hutcheson, 1694–1746), 스코틀랜드 장로교 가정 출신 아일랜드 철학자. 글래스고 대학 도덕철학 교수, A System of Moral Philosophy.(1755)
1698 모페르뛰(Pierre Louis Moreau de Maupertuis, 1698-1759), 프랑스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자연주의자. 뉴턴의 이론들을 프랑스에 확산. 프랑스 아카데미회원, 베를린 아카데미회원.
1703 제임스(Robert James, 1703–1776), 영국 내과 의사. 의학 사전(A Medicinal Dictionary, 1743–45)
1703 크리스토프 드 보몽(Christophe de Beaumont du Repaire, 1703-1781) 프랑스 파리 주교, 백과전서의 반대자. 루소의 에밀을 단죄하였다.
1704 뒤끌로(Charles Pinot Duclos, 1704-1772), 프랑스 작가, 역사가. 1747년 아카데미 회원.
1707 린네(Carl von Linné, 1707-1778), 스웨덴의 식물학자, 생물 분류학의 토대를 놓았다. 이명법
1707 뷔퐁(Georges-Louis Leclerc, comte de Buffon, 1707-1788), 프랑스 자연학자, 수학자, 생물학자, 우주론자, 철학자, 작가.
1708 르 브르똥(André François Le Breton, 1708-1779) 디드로와 달랑베르의 백과전서 프랑스 편집자. 프랑마송. 디드로에게 영국에서 대성공한 백과사전, 예술들과 과학들의 사전(Cyclopœdia or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 1728)책을 번역할 것을 권하다.
1709 라메트리(Julien Jean Offray de La Mettrie, 1709-1751) 프랑스 의사, 유물론 철학자, 경험론자.
1709 보깡송(Jacques Vaucanson, 1709-1782) 프랑스 발명가, 의사. 여러 종류의 자동장치를 발명했다(풀륫주자, 오리).
1711 흄(David Hume, 1711-1776) 스코틀랜드 철학자, 경제학자, 역사가.
1711 보스코비치(Roger Joseph Boscovich, Roudjer Yossif Boscovich, it. Ruggiero Giuseppe Boscovich, 1711–1787),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지방의 제수이트 신부,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외교관, 시인, 철학자. / 자연 철학 이론: 자연에서 현존하는 힘들의 정당화를 위한 작성(Philosophiae naturalis theoria redacta ad unicam legem virium in natura existentium, 1758)(« Théorie de la philosophie naturelle pour une unification des forces de la nature »), Vienne, 1758, et Venise, 3e éd., 1763
1712 프러시아의 프리드리히 대왕, 프레데릭 2세(Frédéric II de Prusse, dit Frédéric le Grand, en all. Friedrich der Große, 1712-1786)[[재위 1740 à 1786] 볼떼르와 관계. - [참조: 1744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Friedrich Wilhelm II, fr. Frédéric-Guillaume II, 1744-1797) 프러시아의 왕(1786-1797). 프레데릭 2세의 조카(프레데릭 1세의 막내아들(아우구스트-빌헬름)의 아들[손자]). 1781년 신비주의에 매료되었다(계시주의, 프랑마송, 로젠크르와 등).]
1712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제베바 작가, 철학자, 음악가. 카톨릭 교회와 제네바 공화국과 불화가 있었다.
1713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 프랑스 빛의 세기에 백과전서파, 철학자, 작가. 무신론자. 프랑마송에 가입하지 않은 것 같지만, 그이 주변에 프랑마송들이, 르 브르통, 엘베시우스, 몽테스키외, 볼테르 등이 많다.
1715 엘베시우스(Claude Adrien Helvétius, 1715-1771), 프랑스의 철학자. 백과전서파, 인간의 정신 활동은 신체적인 감성(感性)에 따른다.
1715 르모니에(Pierre Charles Le Monnier, 1715–1799), 프랑스 천문학자.
1715 콩디야크(Etienne Bonnot de Condillac, 1715-1780), 빛의 세기에 활동한 프랑스의 철학자, 수도원장이었으나 환속하여 탕생 부인, 조프랭 부인의 살롱에 출입하여 퐁트넬, 디드로, 루소과 사귀었다.
1716 도방똥(Louis Jean-Marie Daubenton, 1716-1799) 프랑스 자연학자, 의사. 혁명기 자연사 국립박물관(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초대 관장
1717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1717-1783)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백과전서파.
1718 프레롱(Élie Catherine Fréron, 1718-1776), 볼테르에 의해 쟝 프레롱(Jean Fréron)이라 불림. 기자, 문예 비평가, 논쟁가.
1720 프리드리히/프레데릭 2세(Frédéric II de Hesse-Cassel, deu. Landgraf Friedrich II. von Hessen-Kassel), 1720-1785), 군인 장군, 오스트리아 계승전쟁(la guerre de Succession d'Autriche, 1740-1748)에서 오스트리아에 반대하여 프랑스의 지지를 받은 바비에르(Bavière) 편에 속했다. 1749년 카톨릭으로 개종.
1720 보네(Charles Bonnet, 1720–1793), 제네바 출생 자연주의자 철학적 작가. Recherches sur l'usage des feuilles dans les plantes, 1754, Essai de psychologie, 1754.
1721 말에브르(Chrétien-Guillaume de Lamoignon de Malesherbes, 1721-1794) 서적상 주인, / 법관, 식물학자. 장관지냄. - 서적상과 동일인물이 맞다(1750 à 1763). 인지 모르겠다.
1722 보르되(Théophile de Bordeu, 1722-1776) 프랑스 의사, 철학자. 비탈리즘(vitalisme) 주장.
1723 돌바흐(Paul Thiry, baron d’Holbach, deu. Paul Heinrich Dietrich von Holbach, 1723-1789), 독일출신 프랑스어로쓴 과학자, 백과전서파, 유물론 철학자.
1723 그림 백작(Friedrich Melchior, baron von Grimm, 1723-1807), 독일 바바리아 출신 외교관, 프랑스어로 글 쓴 문인.
1724 프라드(Jean-Martin de Prades, 1724-1782) 남불 카스텔사라쟁(Castelsarrasin) 출신, 파리의 소르본에서 공부했다. 신학자, 백과전서 옹호파.
1724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프러시아 철학자. 근대 이상론자(idéaliste). The Use in Natural Philosophy of Metaphysics Combined with Geometry, Part I: Physical Monadology, 1756 [PM](Metaphysicae cum geometrica iunctae usus in philosophia naturali, cuius specimen I. continet monadologiam physicam, abbreviated as Monadologia Physica (thesis as a prerequisite of associate professorship).
1725 마담 모(Jeanne-Catherine de Maux, née Jeanne-Catherine Quinault, 1725-1812), Madame de Maux 디드로의 연인으로서 편지교환.
1729 카트린 2세(Catherine II, 1729-1796) 러시아 여성 황제.
1730 빨리소(Charles Palissot de Montenoy, 1730-1814), 로렌의 드라마작가. 볼테르 찬미자. 디드로와 백과전서 비판자. 희극 철학자들(Les Philosophes, 1760)가 대성공이었다.
1733 로비네(Jean-Baptiste-René Robinet, 1733-1820) 프랑스 자연주의 철학자. 진화론 선구자, 디드로에 이어 백과전서(Encyclopédie) 계승자들 중의 하나. 존재의 형태들의 등급에 대한 철학적 고찰들, 즉 인간 만들기를 가르쳐주는 자연에 대한 시론들 (Considérations philosophiques de la gradation des formes de l'être, ou les essais de la nature qui apprend à faire l'homme, 1768).
1741 팔라스(Peter Simon Pallas, 1741-1811), 독일 동물학자, 식물학자, 자연주의자. .
1742 홀란트(Georg Jonathan Von Holland, 1742-1784) 독일 수학자, 철학자. Philosophische Anmerkungen über das System der Natur(Réflexions philosophiques sur le Système de la nature. 2 Vol. Paris[London] 1772. (2. Ausgabe. Valade, Paris 1773) [deu.Wiki에도 프랑스어 판 소개를 먼저 하는데, 프랑스어로 1772년 나오고, 1773년 독일어로 나왔는가?]
1744 라마르크(Jean-Baptiste Pierre Antoine de Monet, chevalier de Lamarck, 1744-1829), 프랑스의 생물학자. 체계적인 학설로서 최초로 진화의 개념을 제시.
[1748 [쥐시외(Bernard de Jussieu, 1699-1777) 프랑스 식물학자.] / 앞의 조카이며 트리아농 다음 책임자인 쥐시외(Antoine-Laurent de Jussieu, 1748-1836)가 1789년 식물 속(屬)(Genera Plantarum)(Paris 1789)을 출간하면서 “트리아농의 체계”라는 제목으로 책 도입부에 실은 지도를 그렸다.]
1749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독일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걸쳐 있는 작가, 철학자, 과학자.
1828 랑게(Friedrich Albert Lange, 1828-1875), 독일 철학자(신칸트학파). 교육학자, 경제학자, 사회주의자. 라메트리의 사상을 복원하였다. 유물론의 역사(Geschichte des Materialismus und Kritik seiner Bedeutung in der Gegenwart, 1866). - 랑게의 유물론의 역사(1866)를 통해 “영겁회귀”의 관념이 니체(Nietzsche, 1844-1900)에게 알려졌다고 한다. 그리고 블랑키(Louis Auguste Blanqui, 1805-1881)의 영겁회귀는 별들의 영원성(L'Éternité par les astres, 1872)에서 나온다고 한다. / 유물론자들은 물질의 영원회귀를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1832 아세자(Jules Assézat, Assezat, 1832-1876) 프랑스 문인, 기자. 1875년 디드로 전집 편집자.
1869 꼴리(Maurice Jules Gaston Corneille Caullery, 1868-1958) 프랑스 동물학자, 생물학자.
1881 도댕(Henri Daudin, 1881-1947), 철학교수자격 통과, 생물학 탐구, 보르도 대학 철학사교수. Les méthodes de classification et l’idée de série en botatique et en zoologie de Linné à Lamarck (1740-1790), Paris, 1926.
1893 브뤼네(Pierre Brunet, 1893-1950), 프랑스 과학사가, 18세기 전문가. Maupertuis, 1929(2권)
1899 네델코비치(Dusàn Nedeljkovi, Dušan Nedeljković, Nedelkovitch,1899-1984) 유고슬라비아 철학자, 사회학자.
* 트레부 지(Journal de Trévoux) (원명 Les Mémoires pour l’histoire des sciences et des beaux-arts recueillis par l’ordre de Son Altesse Sérénissime Monseigneur prince Souverain de Dombes ou Mémoires de Trévoux, 1701) 트레부는 프랑스 오베르뉴 론 알프스(Auvergne-Rhône-Alpes)의 도시이다. (57OLF)
* 백과전서
- 참여자들,
디드로(Denis Diderot), 돌바흐(Paul Henri Thiry d’Holbach), 도방통(Louis Jean-Marie Daubenton), 튀르고(Anne Robert Jacques Turgot), 볼테르(Voltaire), 루소(Jean-Jacques Rousseau), 뷔퐁(Buffon), 꽁디약(Étienne Bonnot de Condillac), 보쉬(Charles Bossut),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조꾸르(Louis de Jaucourt), 조댕(Jean Jodin).
프라드(Jean-Martin de Prades, 1724-1782) 프랑스 신부, 신학자, 백과사전 작성 찬성파.
- 반대자들,
제수이트의 기관지, 트레부 지(Journal de Trévoux: Mémoires pour l’histoire des sciences et des beaux-arts). 1701년 제수이트들이 창간한 잡지(격월간에서 월간으로)이며, 프랑스 제수이트인 텔리에(Michel Le Tellier, 1643-1719)와 랄망(Jacques-Philippe Lallemant, 1660-1748)에 의해 창간되었다. 참여자들로 Louis Bertrand Castel(30년 작업), Jean-Antoine du Cerceau, Pierre Brumoy, Pierre-François-Xavier de Charlevoix, Guillaume François Berthier, François Catrou, Claude Buffier, Barthélemy Mercier de Saint-Léger, René Joseph de Tournemine 등이 있다.
첨가: 제수이트 브와이에(Jean-François Boyer, 1675-1755), 프랑스 주교, 쟝세니즘 반대이자, 백과전서 작성에 반대.
보몽/르페르(Christophe de Beaumont du Repaire, 1703-1781), 프랑스 추기경, 루소를 단죄한 자.
플뢰리(Joseph Omer Joly de Fleury, 1715-1810), 변호사, 파리 의회 의원.
프레롱(Élie Catherine Fréron, 1718-1776), 프랑스 기자, 문학비평, 논쟁가. 볼테르의 공격을 받다.
모로(Jacob-Nicolas Moreau, 1717-1803), 프랑스 역사가, 구체제 참여자.
빨리소/몽뜨느와(Charles Palissot de Montenoy, 1730-1814), 작가. 백과전서 반대파.
클레멘스 13세(Clément XIII, lat. Clemens XIII, 1693-1769, 재위: 1758-1769), 교황은 백과전서를 1759년 3월에 금서목록에 올리다. [클레멘스 12세(1652-1740, 재위 1730 à 1740)
***
# 참고문헌 - Bibliographie 402-403
I.
Diderot(1713-1784), Oeuvres, 6 vol., Amsterdam, 1772; Oeuvres complètes, éd. Naigeon, 15 vol., 1798, 22 vol., 1821; Oeuvres complètes, éd. Assezat, 20 vol., 1875-1877; Correspondance avec Grimm, 5 vol., Paris, 1829; Oeuvres, Paris, 1951; Lettres à Sophie Valland, 2 vol., paris, 1938.
D’Alembert(1717-1783), Oeuvres philosophiques, éd. Bastien, Paris, 1805: Oeuvres et correspondance inédites, avec introd. par Ch. Henry, Paris, 1805; Discours sur l’Encyclopédie, éd. Picavet, Paris, 1919; Traité de dynamique, Paris, 1921.
Antoine V. B. V. H.(s.d.), Principaux écrits relatifs à la personne et aux oeuvres, au temps et à l’influence de Denis Diderot, ou Essai d’une bibliographie de Diderot, Ansterdam, 1885.
L. Ducrot(1846-1935), Diderot, Paris, 1894.
A. Collignon(1839-1922), Diderot, Paris, 1895.
J. Mauveaux(1869-1925), Diderot, l’encyclopédiste et le penseur, Montbéliard, 1914.
J. Le Gras(s.d.), Diderot et l’Encyclopédie, Amiens, 1928.
P. Hermand(1892-1916), Les idées morales de Diderot, Paris, 1923
K. Rosenkranz(1805-1879), Diderot’s Leben und Werke, 2 vol., Leibzig, 1866.
J. Thomas(s.d.), L’humanisme de Diderot, 1932.
F. Venturi(1914–1994), Jeunesse de Diderot, 1939.
J. Morley(1838–1923), Diderot and the Encyclopaedist, 2 vol., Londres, 1878 (dans Morley, Works, vol. X et XI, Londres, 1921).
Du Bois-Reymond(1818-1896), Rede über Diderot (dans Reden, Bd I, Berlin, 1875).
J. Bertrand(1822-1900), D’Alembert, Paris 1889.
L. Kunz(1900–1976), Die Erkenntnistheorie d'Alembert’s, Archiv für Geschichte der Philosophie, XX, 1907.
Maurice Muller(s.d.), Essai sur la philosophie de Jean d’Alembert, Paris, 1926.
René Hubert(1885–1954), Les sciences sociales dans l’Encyclopédie, Paris, 1923.
Annales de l‘Univertité de Paris, 1952, I: unméro spécial pourle bicentenaire de l’Encyclopédie.
Y. Belaval(1908-1988), L’esthétique sans paradoxa de Diderot, Paris, 1950.
P. Mesnard(1900-1969), Le cas Diderot, étude de caractérologie littéraire, Paris, 1952.
P. Vernière(1916-1997), Spinoza et la pensée française avant la Revolution, t. II, Le XVIIIe siècle, Paris, 1954.
II.
F. A. Lange(1828-1875), Geschichte des Materialismus (Histoire du matérialisme, trad. Pommerel, t. I, p. 293-408, Paris, 1910).
La Mettrie(1709-1751), Oeuvres philosophiques, 2. vol., Londres, 1751; La politique du médicin de Machiavel, éd. R. Boissier, 1931.
A. Vartanian(1922–1997), La Mettrie’s “L’homme-machine”, a study in the origine of an idea, Princeton, 1960.
H. Kirkinnen(1927-2018), Les origines de la conception moderne de l’homme-machine. Le problème de l’âme en France à la fin du règne de Louis XIV (1670-1715), Helsinki, 1960.
Helvétius(1715-1771), Oeuvres, 4 vol., Deux-Ponts, 1784; 5 vol., Paris, 1972; Choix de texte et introdution, par J. B. Séverac, Paris, 1911; De l’esprit, éd. G. Besse, Paris, 1959.
A. Keim(1876–1947), Helvétius, sa vie et son oeuvre, Paris, 1907.
R. Garaudy(1913-2012), Les sources françaises du socialisme scientifique, Paris, 1948; et thèse dactylographie sur Helvétius.
N. Quéprat(1845-1927), La philosophie matérialistes au XVIIIe siècle. Essai sur La Mettrie, sa vie et son oeuvre, Paris, 1873.
Du Bois-Reymond(1831-1889), Rede über La Mettrie, dans Rden, vol. I.
R. Boissier(1891-?), La Mettrie, médecin, pamphlétaire et philosophe, 1931.
M. P. Cushing(1886-?), Baron d’Holbach, New York, 1914.
René Hubert(1885–1954), D’Holbach et ses amis, introcuction et textes, Paris, 1928.
Cl. Simonnet(s.d.), D’Holbach et la philosophie scientifique au XVIIIe siècle, Revue internationale, 1946.
G. Plechanov(1856–1918), Beiträge zur Geschichte de Materialismus, Hobach, Helvétius, Marx, 3e éd., Stuttgart, 1921.
Pierre Naville(1904-1993), D’Holbach et la philosophie scientifique au XVIIIe siècle, Paris, 1943, 2e éd., 1967.
P. Brunet(1893-1950), Maupertuis, I. Etude biographique: II. L’oevure et sa place dans la pensée scientifique et philosophieque du XVIIIe siècle, Paris, 1929.
IV.
Buffon(1707-1788), Nouveaux exraits, par F. Gohin, Paris, 1905: Oeuvres philosophiques, édtion Jean Piveteau, paris, 1954.
H. Daudin(1881-1947), Les méthodes de classification et l’idée de série en botatique et en zoologie de Linné à Lamarck (1740-1790), Paris, 1926.
G. Canguilhem(1904-1995), La fomation du concept de réflexe aux XVIIe et XVIIIe siècle, Paris, 1955.
V.
F. Evellin(1835-1910), Quid de rebus vel corporeis vel incorporeis senserit Boscovich, Paris, 1880.
Ch. Renouvier(1815-1903), Le personnalisme, p. 440-462, Paris, 1903.
D. Nedelkovitch(1899-1984), La philosophie naturelle et relativiste de R.-J. Boscovich, Paris, 1922. (57OKF)
*
1707 뷔퐁(Georges-Louis Leclerc, comte de Buffon, 1707-1788), 프랑스 자연학자, 수학자, 생물학자, 우주론자, 철학자, 작가.
1713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 프랑스 빛의 세기에 백과전서파 대표자. 철학자, 작가.
1717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Jean le Rond D'Alembert», 1717-1783) 프랑스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백과전서파. ou « Dalembert1 », voire « Dalambert2 », est un mathématicien, physicien, philosophe et encyclopédiste français, né le 16 novembre 1717 à Paris où il est mort le 29 octobre 1783.
1805 로젠크란츠(Karl Rosenkranz, 1805-1879) 독일 철학자, 교수. Diderot’s Leben und Werke. Brockhaus, 1866(Leipzig)
1815 르누비에(Charles Bernard Renouvier, 1815-1903) 프랑스 철학자. « uchronie » 용어 창안, 신-비판주의를 기초하다.
1818 뒤 브와-레이몽(Emil Heinrich du Bois-Reymond, 1818-1896) 독일 생리학자, 전기생리학의 창설자. Rede über Diderot (dans Reden, Bd I, Berlin, 1875).
1828 랑게(Friedrich Albert Lange, 1828-1875), 독일 철학자(신칸트학파). 교육학자, 경제학자, 사회주의자. 라메트리의 사상을 복원하였다.
1831 브와-레이몽(Paul du Bois-Reymond, 1831-1889), 의학과 수리 물리학을 공부했다. 프러시아 수학자.
1835 에블랭(François Evellin, 1835-1910) ENS, 프랑스 철학자. Quid de rebus corporeis vel incorporeis senserit Boscowich(La Nature et les propriétés des objets physiques et métaphysiques dans la théorie de Boscovich), Paris, Lutetiae Parisiorum, G. Baillière, 1880,
1838 모를리(John Morley, 1st Viscount Morley of Blackburn, 1838–1923), 영국 자유정치가, 작가, 신문편집인 Voltaire (1872), Rousseau (1873), Diderot and the Encyclopaedists (1878), Burke (1879), and Walpole (1889) 단행본을 냈다.
1839 꼴리뇽(Albert Collignon, 1839-1922) 프랑스 작가, 기자, 변호사 Diderot: sa vie, ses œuvres, sa correspondance, 1895
1845 케빠(Nérée Quépat, Henri René Rémi Paquet d'Hauteroche, 1845-1927), 프랑스 조류학자, 역사가.
1846 뒤끄로(Louis Ducros, 1846-1935), 프랑스 작가. Diderot, 1894.
1856 플레하노프(Gueorgui Plekhanov, 1856–1918) 러시아 제국 철학자. 정치가, 기자. 작가. 역사가, 사회학자.
1867 케임(Albert Keim, 1876–1947), 프랑스 작가. 문학박사, 톨스토이 전문가.
1869 모보(Julien Mauveaux, 1869-1925) 프랑스 작가, 시인. 법원 사무국 직원(greffe du tribunal de Montbéliard (Doubs), 프랑마송.
1881 도댕(Henri Daudin, 1881-1947), 철학교수자격 통과, 생물학 탐구, 보르도 대학 철학사교수
1882 베르트랑(Joseph (Louis François) Bertrand, 1822-1900) 프랑스 수학자, 경제학자, 과학사가. D’Alembert, 1889.
1885 위베르(René Hubert, 1885–1954), 프랑스 철학사가, 교육이론가. Les Sciences sociales dans l'Encyclopédie. La philosophie de l'histoire et le probleme des origines sociales, 1923.
1886 커슁(Max Pearson Cushing, 1886-?) 미국철학자?, Baron d’Holbach, 1914.(New York).
1891 브와시에(Raymond Boissier, 1891-?) La Mettrie, médecin, pamphlétaire et philosophe, 1931.
1892 에르망(Pierre Hermand, 1892-1916)[스물넷], Les idées morales de Diderot, 1923(유고?, 사후출판)
1893 브뤼네(Pierre Brunet, 1893-1950), 프랑스 과학사가, 18세기 전문가. Maupertuis, 1929(2권)
1899 네델코비치(Dusàn Nedeljkovi, Dušan Nedeljković, Nedelkovitch,1899-1984) 유고슬라비아 철학자, 사회학자.
1900 쿤츠(Ludwig Kunz, 1900–1976) 독일 작가, 가지, 편집자. Die Erkenntnisstheorie d’Alembert’s, Archiv für Geschichte der Philosophie, XX, 1907.
1900 메나르(Pierre Mesnard, 1900-1969) ENS, 프랑스 대학교수, 철학사가, 성격학자(caractérologue).
1904 나빌(Pierre Naville, 1904-1993), 스위스 프로테스탄트 출신, 프랑스 작가, 정치가, 사회학자, 공산당에서 트로츠키파로.
1904 깡길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 프랑스 철학자, 의학박사, 레지스탕스,
1908 블라발(Yvon Belaval, 1908-1988) 프랑스 철학자, 문헌학자. 라이프니츠와 18세기 전문가.
1913 가로디(Roger Garaudy, 1913-2012) 프랑스 정치가, 철학자, 작가, 협상가.
1914 벤투리(Franco Venturi, 1914–1994) 이탈리아 역사학자. 토리노 대학 교수. Jeunesse de Diderot (de 1713 à 1753), 1939(Paris) (poi Giovinezza di Diderot: 1713-1753, Palermo, Sellerio, 1988)
1916 베르니에르(Paul Vernière, 1916-1997) ENS, 프랑스 대학교수, 스피노자와 디드로 전공.
1922 바르타니앙(Aram Vartanian, 1922–1997), 미국 대학 교수, 프랑스 문학전공,
1927 키르키넨(Heikki Kirkinen, 1927-2018), 핀란드 역사학자.
?-? 르 그라(Joseph Le Gras, s.d.), 프랑마송(?), Diderot et l’Encyclopédie, 1928.
?-? 토마(Jean Pierre (Hubert) Thomas, s.d.), L’humanisme de Diderot, 1932, 참조: Jean Pierre Hubert Thomas, 국방 사회학 연구소, 디드로 작품 소개 없음 Dimensions du nationalisme, 1962
?-? 뮐러(lMaurice Muller, s.d.), Essai sur la philosophie de Jean d’Alembert, Paris, 1926.
?-? 시모네(Cl. Simonnet, s.d.), 누구인지 전혀 찾을 수 없고, D’Holbach et la philosophie scientifique au XVIIIe siècle, Revue internationale, 1946. - 이 잡지도 1946년도 잡히지 않음. (57OKB)
(12:13, 57OLF,LJ) (58PKC) (12:41, 58PKD) (13:38, 58RM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