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 32호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1011년에 새긴 초조대장경이 1232년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다.
1236년 몽골이 침입하자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호국불교적인 의미에서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251년에 다시 완성하였는데, 이를 재조대장경이라고 한다. 강화도성 서문 밖의 대장경판당에
보관하다가 1398년 5월에 해인사로 옮겨졌다.
현재 남아 있는 경판은 1,516종 8만 1,258판인데 고려시대에 간행되었다고 해서 고려대장경이라
고도 하고, 판수가 8만여 개에 달하고 8만 4천 법문을 실었다고 하여 8만대장경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세계의 대장경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고 체재와 내용도 가장 완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불교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고려시대 목판 인쇄술의 발달수준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윤, 레임덕 넘어 ‘데드덕’ 자초…채상병 특검 거부가 부를 미래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경남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의 내부. 대한민국 국보 제52호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처음 지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해인사의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고,
조선 세조 때에 개축되었다. 정면 15칸, 측면 2칸의 우진각지붕 건물이며, 남쪽의 수다라장과 북쪽의
법보전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연합뉴스
국보 제32호. 목판본은 1,516종에 6,815권으로 총 8만 1,258매인데 이 가운데 후대에 판각된 15종의
문헌은 보유판(補遺板)이라고 한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속장경(續藏經)이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된 뒤 1236년(고종 23) 당시의
수도였던 강화에서 시작하여 1251년 9월에 완성되었다. 이 사업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주관했으며,
제주도·완도·거제도 등에서 나는 산벚나무를 재료로 사용했는데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먼저 나무를
바닷물에 절인 다음 그늘에서 충분히 말려 사용했다.
이 대장경은 조선 초기까지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해인사로 언제 옮겨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재 1398년(태조 7)에 옮겼을 것이라는 학설이 가장 유력하며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이때 2,000명의 군인들이 호송하고, 5교양종(五敎兩宗)의 승려들이 독경(讀經)했다"라고 한다.
이것은 현존하는 세계의 대장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체재와 내용도 가장 완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연합뉴스 |
출처:<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