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흑석리를 기성이라 하지만, 예전에는 이곳 관저동까지 모두 기성이라했어요.
특히 이곳 관저동은 기성관 아래에 있던 마을이라해서 관하촌(館下村) 또는 관저리(館底里)라고 했는데, 나중에 진잠현이 되면서 현청이 이곳 진잠에 들어서요. 그러면서 자연스레 현에서 근무하는 하급관리들 또는 관에서 일하는 관노비들이 많이 이곳 관저동에 거주했어요. 그래서 더욱 관하촌이라는 이름이 굳어졌지요.
그러던 것을 우암 송시열이 연산에 사는 신독재 김집에게 사사하기 위해 송시열의 집 송촌동에서 연산으로 드나드는 길에 마을 이름인 관저리 관하촌이 비칭이라하여 시경에 나오는 관관저구 재하지주(關關雎鳩 在河之洲)의 싯구에서 關雎두자를 따와 관저동이라 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