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민주화운동의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이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이 아닌 합창으로 되면서 야권을 비롯해 시민단체에서 상당한 반발을 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부르고 있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원래 가사가 따로 있었다.
1981년 소설가 황석영씨와 당시 전남대학교 학생이었던 음악인 김종률 등 광주 지역 노래패 15명이 공동으로 만든 노래극 ‘넋풀이-빛의 결혼식’에 삽이됐다.
이 노래극은 1980년 5월 27일 5.18 민주화운동 중 전라남도청을 사수하다가 계엄군에게 사살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과 1979년 노동현장에서 ‘들불야학’을 운영하다가 사망한 노동운동가 박기순의 영혼결혼식에 헌정된 것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그 노래극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합창으로 쓰이기 위하여 지어졌다.
곡은 김종률이 1981년 5월 광주에 있는 황석영의 자택에서 썼고, 가사는 시민사회 운동가 백기완이 YMCA 위장결혼식 사건으로 수감 중이던 1980년 12월에 서대문구치소 옥중에서 지은 장편시 ‘묏비나리 -젊은 남녘의 춤꾼에게 띄우는’의 일부를 차용해 황석영이 붙였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군사정권 하에서 유포와 가창이 금지되었던 탓에 주로 구전의 방식으로 전해졌으므로, 부르는 사람에 따라 가사와 가락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사와 대한민국의 공식 5·18 민주화운동 추념식에서 기념곡으로 제창된 바 있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 없이
한 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 데 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하지만 원작시인 백기완의 장편시 ‘묏비나리 -젊은 남녘의 춤꾼에게 띄우는’ 중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 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싸움은 용감했어도 깃발은 찢어져
세월은 흘러가도
구비치는 강물은 안다
벗이여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라
갈대마저 일어나 소리치는 끝없는 함성
일어나라 일어나라
소리치는 피맺힌 함성
앞서서 가나니
산 자여 따르라 산 자여 따르라
(후략)
또한 이 노래의 작곡자인 김종률은 5·18 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 뮤지컬을 준비하면서 그에 쓰일 곡들을 모아 2008년 5월 ‘님을 위한 행진곡’이라는 이름의 음반을 발표한 바 있다. 그 음반에 수록된 이 노래의 가사는 널리 불리는 것과 약간 다른데, 그 가사는 다음과 같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 없이
한 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 데 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라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 소리치는 끝 없는 함성
앞서서 가나니 산 자여 따르라
앞서서 가나니 산 자여 따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