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 관악단맥 3차 (하오고개~갈현고개)
▣산행날짜: 2012/11/ 27(화요일)
▣소재지: 경기과천,서울
▣종주코스:갈현고개(찬우물)→건물봉→통신사령부 팬스→연수원 뒷능선→마당바위→
육봉능선→육봉/국기봉→팔봉/국기봉→송신소 앞 헬기장 →깔딱고개→
관악산/연주대→관악문/지도바위→559봉 헬기장(분기봉)→끝봉→
부대 철울타리/우회 →남태령
▣도상거리: 10.3km G.P.S.실거리
▣산행시간: 산행시작시간 오전7시16분 산행종료시간 오후3시26분
총8시간10분
▣날씨: 맑음 약간 쌀쌀한 날씨
▣산행참석: 곰바우,하이얀
▣알바(우회): 중앙공무원 연수원 .부대(남태령)
| |
G.P.S 자료 (트랙.고도표)
갈현고개→남태령↓

중앙공무원 연수원 우회로↓

부대 남태령우회로 ↓


↑
고도프로필(좌에서우)
↓

■찬우물 버스 정류장 뒷편의 '고 김승철 중위 전사지지(故 金承鐵 中尉 戰死之址)' 방향에서 올라보려고 했지만 여의치 않아 율곡어린이집이 있는 고갯마루에 도착,어린이집 좌측으로 능선을 오르면 석물이 있는 묘를 지나 야트막한 구릉이 나오며,불분명한 산길은 녹슬은 가시철망과 연두색 철망 사이로 통과하여 우측의 적벽돌 건물을 지나 안부 사거리를 만난다.
| |
|
|
들머리 찬우물 출발시간과 좌표
2012-11-27 7:16:24AM N37 24.958 E126 59.055 67 m
약2.3백미터 마루금을 맞춰 보려고 했지만 농장 철망에 포기하고
율곡 어린이 집으로 향한다 ↓

현위치는 ?

| |
율곡어린이집

| |
어린이 집 좌측으로 올라서면 마루금이 시작된다 ↓

석물이 있는 묘를 지나 ↓

시야가 틔인곳에 전방을 조망하니 요런 전망이 눈에 들어온다 ↓

비록 동네 야산이지만 마루금은 학실이 살아있습니다 ↓

쓰러진 나무로 인해 전진은 불가능해 후진해서 우회하기도 한다 ↓

첫번째 안부 사거리를 통과하고 ↓

국군지휘통신사령관 철조망↓

좌우가 뚜렷한 안부에서 직진으로 올라가 능선 상의 갈림길이 나올 때 좌측 9시 방향으로 올라가는 길을 따르면 좌측에 철망이 있는 구릉에 이르는데 123봉이 나오고 우사면의 비탈진 능선길을 철망따라 조심스럽게 진행하다보면 철망은 좌측으로 내려가는 곳에서 계속 직진하여 구릉에 오른 후 다시금 내리막길의 안부에는 국군지휘통신사령관 명의의 경고문이 있으며 그 윗편의 구릉을 넘어서면 포장 도로가 나온다.
| |
|
|
포장도로↓

공무원교육원 우회하는방법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어지는 도로는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후문을 지나 좌측의 야생화자연학습장으로 갈리는 삼거리인데 우측으로 직진하자마자 만나는 농장건물에서 우측의 개울물과 나란히 잠시 걷다가 시멘트 보같은 곳에서 개울을 건넌 후 공무원교육원 철망따라 우측길로 올라가면 여러 기의 묘가 있는 쪽문을 지나게 되고 이어 3기의 묘가 있는 또 다른 쪽문을 만난다
| |
|
|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후문을 지나 개울 (계곡)을 건너야한다
정맥이나 지맥은 절대로 계곡을 지나지 않는다는게 상식인디 우회하는 길이라
어쩔수 없이 계곡을 건너야한다 ↓

야생화자연학습장으로 갈리는 삼거리인데
우회로는 우측 농장 건물쪽으로 들어서자마자 다시 우측 계곡으로 들어선다 ↓

계곡을 따라오르다 보를 건너 우측 연수원 철망쪽으로 붙어 오르면 첫번째 쪽문이 나온다↓

두번째 쪽문이 나오면 이정표[↑삼봉, 1,2km 1시간 소요 ↓중앙공무원교육원, 300m 10분소요 라는 이정표에서 마루금은 다시 시작된다 이곳에서 중앙공무원교육원 쪽문을 등지고 좌측으로 90도 방향을 바꾸어 능선 상으로 올라가야하는데 키 작은 나무 사이로 적당히 길을 이어가면 구릉을 넘어 잠시 후 이정표가 있는 계곡같은 안부를 만나고 오름 능선 상의 암릉지대 이정표의 삼봉 방향으로 직진하여 올라가는 길은 암릉지대로 바뀌어 바윗길을 오르게 되며 조금 더 올라 구릉을 넘어서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는 길은 가야 할 6봉인 국기봉과 관악산에서 이어지는 산줄기 그리고 중앙공무원교육원과 지나온 마룻금이 시원스럽게 펼쳐지는 조망이 탁월한 넓은 암반의 마당바위에 이른다.
| |
|
|
두번째 쪽문에서 마루금에 복귀하고 본격적인 암반산행이 시작된다 ↓

연수원 건물과 지나온 마루금 ↓

첫번째 이정표 ↓

아기자기한 릿지가 재미난다 ↓

오르다 보니 삼봉이 조망되고 ↓

고놈 참 특이하게 생겼네 ↓

이정표[←국기봉, 1.2km 35분 소요 →이봉입구, 220m 10분 소요 ↓중앙공무원교육원, 1.6km 40분 소요] 삼거리 마당바위에서 내려선 후 올라가다보면 봉분 둘레를 돌로 쌓은 특이한 두 기의 묘를 지나 이정표가 세워진 삼거리가 나올 때 이정표 뒷편의 암릉지대로 직진하여 올라서면 또 다른 묘를 지나 줄이 내려져 있는 경사진 바윗길을 통과하여 구릉에 올라서며 국기봉으로 불리우는 육봉과 나란히 이어지는 5봉 그리고 4봉의 모습을 보면서 암릉길을 걷다보면 4봉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5봉을 넘어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서 세운 '현위치:2-8(국기봉)' 표시판이 있는 육봉인 국기봉이다.
| |
|
|
삼봉입구의 이정표 ↓

송신탑 조망↓

육봉능선과 육봉(국기봉)이 조망한다 ↓


음지에는 눈이 있어 미끄럽고 위험하다↓
육봉 도착시간과 좌표
2012-11-27 10:23:37AM N37 25.869 E126 57.744 524 m
육 봉↓

이정표[←팔봉 ↓불성사] 안부 사거리 마주 보이는 구릉을 향해 직진으로 내려선 후 올라서면 멋들어진 소나무가 반겨주고 다시금 우측으로 틀어서 이어지는 능선길은 관악산 정상을 향해 달려가는데 산길 중앙의 우뚝선 바위와 마주하고 있는 '현재위치 : 제1국기봉 해발 493m' 표시판을 지나 오르내리다보면 좌측의 팔봉 능선으로 이어지는 안부 상의 이정표를 만나고 이정표[현위치 : KBS 헬기장 / ↑기상대 1.3km, 연주암 0.3km ↓안양유원지 6km, 팔봉능선 1.5km] 안부에서 내려서자마자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의 능선 사면길을 따라 진행하면 암릉길 상의 기암괴석들을 지나 비닐천막과 파라솔로 만들어진 간이매점을 거쳐 헬기장 직전에 있는 이정표가 나온다. 이정표[←제4야영장, 1.7km 40분 →연주암, 150m 10분 ↑ ] 안부 사거리 헬기장을 지나 내려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어느 길로 가던 모두 관악산으로 이어지지만 계속하여 내려가는 길이 아닌 우측 능선 사면길로 진행하면 KBS 송신소용 모노레일이 나오고 모노레일을 따라 능선 사면을 올라선 후 내려가다가 일반 등산로와 만날 때 잠시 내려가다가 다시 좌측의 사면길로 진행하면 연주암에서 올라오는 길과 합류되는 지점에 간이매점이 있는 안부 사거리이다.
'현위치 K23 말바위' 표시판 기상대의 돔형 레이더를 향해 직진하면 너른 마당바위를 지나 서울시소방재난본부의 '현위치 K23 말바위' 표시판이 나오고암릉으로 이어지는 날등은 기상레이더 바로 아랫편에서 우측으로 돌아가 기상레이더로 오르는 계단길과 합류되어 연주대 안내판이 설치된 사진촬영을 위한 포토존 전망대에 이르며 기상관측소 입구를 지나 내려가면 넓은 경사진 바윗면에 커다란 정상석이 있는 관악산 정상으로 삼각점은 정상석을 지나 윗편의 피뢰침이 설치된 철망 앞에 매설되어 있으며 삼각점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 |
|
| 좌측으로 불성사 절이 조망되고 ↓

다시 마루금 좌측으로 삼성산과 오봉능선이 조망된다 ↓




음지에는 눈이 쌇여 겨울산행을 실감케 한다 ↓



관악 정상부가 조망된다 ↓

돌계단을 좋아하는 산꾼은 하나도 없겠죠?↓

포토존에서 조망한 연주암 ↓
|
ㅎㅎㅎㅎ

| |
|
포토존에서 조망한 가야할 마루금↓

관악산 도착시간과 좌표
2012-11-27 11:53:19AM N37 26.716 E126 57.854 642 m
관악산 정상석과 삼각점 ↓
|
관악산 632m
서울 관악, 경기 시흥, 과천, 안양
서울의 남쪽을 가로막고 솟은 관악산은 예로부터 경기 소금강으로 불리우고 개성의 송악산, 파주의 감악산, 포천의 운악산, 가평의 화악산과 더불어 경기 5악의 하나로 전해지고 있다
전체적인 산세는 곳곳에 기묘한 암봉들이 깊은 골짜기와 어울려 험준함을 드러내고 있으나 기암절벽이 있는 곳마다 사찰과 암자가 있으며 연주봉으로 오르는 도중에 자하동천이라는 깊은 계곡이 있고 도심에서 가까워 당일산행 대상지로서 좋은 곳이다.
조선 태조가 서울을 도읍지로 정할때 연주암을 지어 화환에 대처 하였다고 전해지고 연주봉에는 벼랑 위에 아슬아슬하게 있는 연주대가 있으며, 기상관측소와 통신기지가 자리잡고 있고 모든 등산로가 집결하는 곳이다. 관악산 서쪽으로 무너미고개를 사이에 두고 있는 삼성산은 규모는 작으나 남쪽 계곡에 안양유원지와 함께 삼막사등 절들이 많이 산재해 있다.
관악산 산행은 서울대, 과천, 안양, 시흥등 다양하지만 과천유원지 과천향교와 서울대정문 옆에서 오르는 것이 가장 알려진 코스이다.
서울대 옆 관악산 입구 주차장에서 제1광장, 제2광장, 제4캠프장, 무명폭포를 거쳐 깔딱고개를 올라 연주암을 거쳐 연주대로 오르고, 하산은 과천, 사당동, 안양 등으로 할 수 있다. 과천쪽에서는 과천유원지 과천향교를 지나 관악산장, 연주암을 거처 연주대에 올라 하산은 서울대, 낙성대, 사당동 등으로 할 수 있다.
| |
삼각점 옆으로 내려가는 암릉길
초입부터 시작되는 쇠줄은 거의 직벽에 가까운 내리막길의 암릉지대를 내려설 때까지
이어지며 다시금 구릉을 넘어 '우회등산로 이용안내' 와 '현위치 K21 관악문(상)' 표시판을 지나 또 다른 구릉을 넘어 올라서면 지도바위 안내판이 있는 관악문 상단부에 이르고
커다란 바윗덩어리가 덮여있는 관악문을 통과하여 내려가면 559봉 전의 안부 사거리이다.
이정표[↑사당전철역 ↓연주대, 600m 20분 →연주암, 1km 40분], '현위치:4-5(삼거리)' 안내판이 있고 이곳 이정표가 있는 안부 사거리에서 중앙의 직진하는 오름길로 559봉 헬기장으로 올라야 한다 (559봉이 안양천과 탄천의 분기봉이다)
559봉에서 우측 1시방향으로 조망하면 쭉 뻗은 능선길이 마루금이다 내리막길로 내려가다가 올라서면 벙커가 있는 구릉이고 다소 급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윤형 철조망 너머로 '안내문 / 이 등산로는 암벽지대로 낙상사고의 위험이 있어 폐쇄되었으니 우회하시기 바랍니다. / ←신림동:과천→'라고 쓰인 안내문이 있는 안부 사거리로 좌측으로 우회해서 내려가면 되고 약 10분쯤 내려가면 원형철망이 나온다 아마도 짐작하건데 철망에 가로막혀 철망따라 우측으로 우회해서 남태령으로 내려갔으리라 짐작하고 현제 원형철망은 앉은자세로 진행하면 통과할수있도록 철망이 주저앉아있어 통과했고 마지막봉우리 깃대봉을 통과하여 약 20m앞에 군철조망과 군초소가 나오고 군초소에는 초병 2명이 근무하고 간단한 신원조회만 하고 통과 시키더라 철조망따라 쭈욱~~내려가면(철조망이 마루금이다) 남태령 전방 약 20m앞에서 철조망은 우측으로 하염없이 휘어지고 약 15분정도 철조망을 따라 우회하면서 남태령에 도착한다
| |
|
| 정상에서 내려오는길은 수직암반 직벽 내림길이다 ↓


지도바위↓

관악문↓

안부사거리의 현위치 표지판 이지점에서 직진 봉우리로 올라가야함 좌측으로 우회하면 안됨↓

559봉 헬기장 분기봉 우1시방향 마루금이 조망됨↓

559봉에서 조망한 가야할 마루금 멀리 우면산까지 조망된다 ↓

좌측 11시방향으로 우회 ↓

원형철망
아마도 대부분 산님들은 이철망 앞에서 우측으로 우회했으리라 짐작된다
하지만 지금은 포복으로 통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단 통과한다 ↓

원형철망을 통과하여 능선 마지막 부분의 봉우리 일명 끝봉과 깃대봉으로 불러본다
봉우리에는 세멘트 벙커가 자리잡고 있다 ↓
벙커에서 좌11시 방향으로 약 2.3분내려오면 군초소가 나온다 초병도 근무한다
신분확인하고 초소에서 급 우틀하여 철조망을 따라 가면 된다 (철조망이 마루금이다)↓

철조망을 내려오다보면 남태령이 조망된다 파란그물이 남태령이다↓

남태령 도착시간과(종료시간) 좌표
2012-11-27 3:26:42PM N37 27.475 E126 59.314 103 m
남태령↓
담구간을 확인하고 산행을 종료한다↓

|
첫댓글 gps트랙이 아주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언제함 가봐야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