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뜻 도시화 원인과 문제점 젠트리피케이션 대책
출처 : 나잡잡 발행일 : 2024-04-12 업데이트 : 2024-05-01
https://najablog.com/42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이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뜻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보고, 원인과 문제점, 대책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이란?
출처 EBS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은 낙후된 지역이나 저소득층과 영세 기업이 주를 이루던 지역이 개발되는 과정 중에 고급 주택과 대형문화와 상업 시설들이 들어서는 것을 뜻합니다.
1964년 독일계 영국인인 루스 글래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영국의 상류층을 의미하는 '젠트리(gentry)와 '~화 하다'는 의미의 접사 '-fication'이 결합한 파생어 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대개 부정적으로 쓰이며 내몰림 등으로 의역되기도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내몰림은 젠트리피케이션의 결과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의 원인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의 대상이 되는 곳은 기존 거주하던 사람들이 지역 특색과 특유 감성을 잘 살림으로써 그 거주민들과 독특한 문화를 오랫동안 가꿔 온 예술인을 주 요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출처 EBS
이렇게 사람들 사이 유명세를 탄 지역은 소문을 듣고 온 방문객들의 대거 유입과 이들을 통한 매출 덕분에 점포의 평균 매출이 올라가게 되고, 경제적 이치로 임대료는 상승하게 됩니다.
출처 EBS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입소문을 적당히 타면 좋지만 지나친 입소문은 임대료 폭등으로 직결되어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수요가 가파르게 상승한 상업 시설의 공급량은 부족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의 문제점
기존 전월세를 내던 거주민들은 임대료 폭등에 의해 변두리로 밀려나게 됩니다. 이렇게 쫓겨나는 사람이 충분한 보상을 받고 밀려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이 지역을 가꿔놓은 노력에 비하여 너무나도 적은 보상만을 받고 쫓겨나게 됩니다.
게다가 주도적으로 자영업자가 지역 발전에 공헌해봤자 이득은 해당 지역의 지주만 보게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도적으로 지역 발전에 공헌하려는 노력은 자연스레 하지 않는 자영업자가 늘어나며 사회 전반적으로 발전이 확산되는 데에 저해요소가 됩니다.
서울 연남동의 젠트리피케이션의 경우 기존 거주민이 쫓겨나고, 리모델링되어 새 가게가 입점하게 됩니다. 그렇게 그 가게는 소음과 주차 문제, 흡연 문제 등 주변의 기존 거주민과 충돌을 일으키며 돈을 벌고, 남아있는 거주민은 고통을 받게 됩니다.
성수 젠트리피케이션 팝업
최근 MZ들이 많이 찾는 성수동 젠트리피케이션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평당 임대료는 1년여 만에 33%가 올랐고, 일대 상가 자리도 평당 수 천만원의 권리금이 붙었습니다.
특히나 임대료 상승에 크게 주범으로 자리한 건 바로 '팝업'입니다. 넓은 공간이 필수적인 팝업은 일대 상가의 월임대료를 훨씬 웃돌만큼 치솟았고, 1-2주 단기 임대 형식으로 운영되는 팝업은 단기 임대료 상승뿐만 아니라 장기 임대료 상승 견인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대책
'--단길'의 원조였던 경리단길의 몰락, 출처 중앙일보 / 오마이뉴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을 해결할 방법은 재개발과 재건축을 통한 지역 공급 확대입니다. 재개발과 재건축은 필연적으로 해당 건물에 대한 전면 철거를 동반하고, 새로운 이해 관계자를 통해 다시 지역을 리셋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이렇게 하면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문제는 일단락될 수 있습니다. 원인의 주체인 건물주, 임차인이 한 차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해 관계자의 의견 충돌, 지역에서 쫓겨난 이에 대한 보상 문제 등 때문에 무작정 시행하기 어려운 방법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임대료 상승으로 해당 지역을 부흥시킨 원 요소가 다른 곳으로 이주하는 것입니다. 대개의 젠트리피케이션은 원주민을 쫓아낸 자리에 대기업의 프랜차이즈 카페나 로드샵이 채워집니다.
그렇게 되면 지역 고유의 개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상권으로 쉽게 대체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방문객 이탈 가속화로 이어져 결국 해당 지역의 경제성이 사라지며 임대료는 다시 하락하게 됩니다.
사실 해결이라기 보다는 '몰락'에 더 가깝습니다. 그만큼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확실한 대책, 해결 방법을 찾기가 어려운 것이 실정인 것 같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과 문제점,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역 고유의 개성이 사라지는 안타까운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잘 해결되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비교적 빈곤 계층이 많이 사는 정체 지역에 진입해 낙후된 구도심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으면서 기존의 저소득층 주민을 몰아내는 현상을 이르는 말이다. 1964년 영국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런던 도심의 황폐한 노동자들의 거주지에 중산층이 이주를 해오면서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하자 이를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한 말이다. ‘신사 계급, 상류 사회, 신사 사회의 사람들’을 뜻하는 gentry와 화(化)를 의미하는 fication의 합성어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 연구교수 이기웅은 일반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은 “값싼 작업공간을 찾아 예술가들이 어떤 장소에 정착하고 그들의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화 가치가 상승하면, 개발자들이 들어와 이윤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면서 이렇게 말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의 견인차는 미학이다. 그런데 미학을 강화할수록 도심은 관광지가 돼간다. 특히 노동계급의 거리문화가 스펙터클로 전화하면서 참혹했던 슬럼의 흔적들은 트렌디한 카페 옆에서 위험을 탈각한 시각적 쾌락의 대상으로 거듭난다. 산업사회 유물인 창고와 공장건물은 가난한 예술가들의 거주지를 거쳐 부유층의 ‘힙한’ 주거 공간으로 업그레이드된다. 구획되지 않은 내부와 벽돌이 드러난 벽면, 높은 천장 등으로 대표되는 ‘뉴욕 로프트’ 스타일은 도시적 ‘쿨함’의 상징이 돼 세계적 차원의 복제 대상이 된다.”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도 비슷한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가난하지만 개성 있는 화가, 조각가, 의상 디자이너, 액세서리 디자이너, 목수, 사진작가, 인디밴드 등이 모여 독특하고 예술적인 공동체 문화를 만들었던 서울 홍익대학교 인근과 망원동, 상수동, 삼청동, 신사동 가로수길, 경복궁 옆 서촌, 경리단길, 성수동 등 이른바 핫 플레스에서 발견되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역에서만 누릴 수 있었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던 카페 등이 유명해져 유동 인구가 늘어나자 가맹점을 앞세운 기업형 자본들이 물밀듯이 들어와 임대료를 높여 가난한 예술가나 기존 거주자들을 몰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젠트리피케이션’이 ‘공간이 곧 돈’인 서울에서 지역 기반의 공동체가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제주도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고미는 “서울에서 나타나는 ‘몸살’이 최근 5~6년 주기로 나타난다면 제주의 속도감은 ‘홍역’ 수준이다”면서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맞춰 신제주 바오젠 거리가 조성된 지 불과 2~3년 만에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임대료에 먼저 터를 잡았던 상인들이 하나둘 내몰렸다. ‘원도심 재생’ 사업은 계획 얘기가 오가는 과정에 먼저 흥정부터 시작됐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라고 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