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물 채(菜)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캘 채(采)자를 했습니다. 캘 채(采)자는 손을 표시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를 손으로 뽑아 캐어내는 모습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채자(菜子) 야채(野菜) 채마(菜麻) 채식(菜食) 채원(菜園) 청채(靑菜) 생채(生菜) 춘채(春菜)
캘 채(採)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캘 채(采)자를 했습니다. 캘 채(采)자는 손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캐는 대상이 나무이니까,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채벌(採伐) 채광(採光) 채광(採鑛) 채집(採集) 채용(採用) 채취(採取) 채택(採擇) 채점(採點)
울짱 책(柵,栅)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책 책(冊,册)자를 했습니다. 책 책(冊,册)자는 대나무에 글자를 써서 만든 책(竹簡)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울짱은 울타리를 뜻하는 말입니다. 죽간(竹簡)처럼 엮어 만들어 집을 중심으로 둘러쳤다는 말이지요. 책루(柵壘) 책시(柵市) 책상(柵狀) 책문(柵門) 철책(鐵柵) 성책(城柵) 죽책(竹柵)
채찍/꾀 책(策)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가시 자(朿)자를 했습니다. 가시 자(朿)자는 나무에 가시 돋아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이 글자와 아주 비슷한 글자로 묶을 속(束)자가 있습니다. 가시 자(朿)자는 6획의 글자이고 묶을 속(束)자는 7획의 글자입니다. 전혀 다른 글자입니다. 붙들 책(拺), 풀 가시 책(茦)자는 가시 자(朿)자가 들어 있어서 ‘책’으로 읽습니다. 책공(策功) 책풍(策風) 계책(計策) 책략(策略) 책동(策動) 책리(策利) 계책(計策) 모책(謀策)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