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en n choose: 듣지 않은 내용을 고르기는 인지과정에 역행함. 어차피 들은 내용 두 개 짚어야 함. 그러므로 활동은 들은 것을 모두 고르거나, 각 선택지마다 do vs don’t 중 택일하게 하는 것이 좋음
-talk together에서 wildlife 는 이탤릭
-jigsaw 활동에서 A가 expert group이라면 b활동은 home group을 만들도록 지시문에 포함해야 함. other groups 가 아님.
-Expert group에서 자료를 찾아서 읽어보고 두가지 대응책을 고르도록 지시문을 자세하게 주거나 활동지를 만들어야 함. Find two response manuals 라고 하면 두가지 대응책을 찾으라는 뜻이 아니라 매뉴얼 두 종류를 찾으라는 말. 거기에는 보다 많은 대응행동이 망라되어 있을 것이므로 가장 중요하다고/학생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대응행동 두가지를 고르라고 해야함
-step 2처럼 other groups와 소통 형태로 가려면 짝활동이 나음. 짝끼리 재해 한가지/대응방안 두가지 찾아본 후 돌아다니면서 같은 재해 선택한 짝을 찾아 대응방안 총정리하기.
-시연에서 natural disaster 의 정의를 사례/반사례로 알려주는 방법 굳.
-판서가 mirror image?
-학생 발화 시선처리 굳 순회지도 분명하게 잘함.
-비디오 보여주기 전에 활동 제시. 판서 추천. 보는 동안/듣는동안 메모시키기.
-listening. 아파트 공지방송 목적? 이런 질문은 모호함. what is the announcement about ? (듣기 후 교사가 사용함. 듣기 전에도 같은 표현 사용 추천) what does the announcement say? 가 나음. 선택지 표현도 구어체로 들은 내용을 정리한 것들이라 어려움. 가령 안심시키기 위함은 to comfort ~ 대신에 don’t worry. stay calm 등 실제로 직접 들을만한 표현으로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