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절도사(節度使) : 고려 때 지방장관, 뒤에 안무사(按撫使)라고 했다. 조선 때 각 지방 군권(君權)의 총 책임자였던 무관직(武官職)으로 2품관.
절제도위(節制都尉) : 조선 때 절도사에 소속된 종6품의 무관직(武官職).
절제사(節制使) : 고려 때 원수(元帥)를 개칭한 이름으로 각 주(州)·부(府)의 장관(壯觀)직. 조선 때 각 지방에 두었던 정3품의 무관직(武官職).
절충장군(折衝將軍) : 조선 때 정3품의 당상관(堂上官)으로 무반관계(武班官階).
정당문학(政當文學) : 고려와 조선 초기의 종2품의 관직(官職). 고려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소속이며 조선 때는 문하부(門下府) 소속이었다.
정덕대부(靖德大夫) : 조선 때 의빈(儀賓)에게 주었던 종1품의 관계(官階).
정랑(正郞) : 고려와 조선 때 6조(六曹) 소속의 정5품 벼슬.
정략장군(定略將軍) : 조선 때 종4품의 무반관계(武班官階).
정봉대부(正奉大夫) : 고려 때 종2품의 문산계(文散階).
정순대부(正順大夫) : 고려 때 정3품의 문산계(文散階). 조선 때 의빈(儀賓)의 정3품 벼슬.
정언(正言) : 고려 때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속한 종6품의 관직(官職). 뒤에 정6품이 되었다. 조선 때 사간원(司諫院)에 속했던 정6품의 벼슬.
정윤(正尹) : 고려 때 종친(宗親)에게 종2품, 훈신(勳臣)에게 정3품으로 내리던 봉작(封爵).
정원장군(定原將軍) : 고려 때 정5품의 무산계(武散階).
정의대부(正議大夫) : 조선 때 정4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정자(正字) :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승문원(承文院)·교서관(校書館)에 예속된 정9품직.
정조(正祖) : 고려 때 향직(鄕職)의 7품 벼슬.
정헌대부(正憲大夫) : 조선 때 문무관(文武官)의 품계로 후에 종친. 의빈의 품계와 병행.
제거(提擧) : 고려 때 관직(官職). 조선 때 사옹원(司饔院)의 3품 벼슬.
제검(提檢) : 조선 때 사옹원(司饔院)·예빈시(禮賓寺) 등에 소속된 4품 벼슬.
제조(提調) : 조선 때 관직(官職)으로 도제조는 정1품. 부제조는 정3품.
제학(提學) : 고려 때 정 3품의 벼슬로 대제학 다음 벼슬. 조선 때 종1품 또는 종2품의 벼슬.
조교(助敎) : 신라 때 국학박사(國學博士) 다음가는 벼슬. 고려 때 태의감·국학에 소속된 벼슬.
조기(調驥) : 조선 때 사복시에 소속된 종7품의 잡직(雜職).
조봉대부(朝奉大夫) : 조선 때 종4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봉랑(朝奉郞) : 고려 때 종5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부(調夫) : 조선 때 사옹원에 소속된 종8품의 잡직(雜職).
조산대부(朝散大夫) : 고려 때 4품 또는 5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선 때 종4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산랑(朝散郞) : 고려 때 종7품 하(下)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열대부(朝列大夫) : 고려 때 종4품 하(下)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의대부(朝議大夫) : 고려 때 정5품 상(上)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의랑(朝議郞) : 고려 때 정6품 상(上)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전원수(助戰元帥) : 고려 말기의 무관직(武官職), 도원수(都元帥)·상원수(上元帥)를 돕는 구실을 담당.
조청대부(朝請大夫) : 고려 때 정5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청랑(朝請郞) : 고려 때 정7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현대부(朝顯大夫) : 고려 때 문반품계(文班品階).
종사(從史) : 조선 때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속해 있던 종7품 품계(品階).
종사관(從事官) : 조선 때 각 군영(軍營)·포도청(捕盜廳)에 소속된 종6품직
종사랑(從仕郞) : 고려 때 7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종순랑(從順郞) : 조선 때 정6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이며 종친의 위계(位階).
종정경(宗正卿) : 조선 말의 종친부(宗親府) 소속으로 종2품 이상의 벼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