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연(李秉淵, 1671~1751년)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일원(一源), 호는 사천(槎川) 또는 백악하(白嶽下)입니다.
사천 이병연은 겸재보다 5살이 많았지만 어린 시절에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과 함께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의 문하에서 동문 수학하였으며, 어려서부터 시에 뛰어난 소질을 보여 영조시대에 최고의 시인으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김화현감, 배천군수, 삼척부사로 관직에 있었으며, 일생 동안 1만3천여 수에 달하는 시를 썼다고 하나 현재는 500여 수 정도만 전해집니다. 이병연의 시는 매우 서정적이고 깊은 감회를 불러 일으키며, 특히 매화를 소재로 55수나 되는 시를 지었는데, 은일적인 분위기와 생에 대한 깊은 애정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겸재와 사천은 그림과 시라는 각기 다른 분야의 예술가로서 서로 의지하고 도와가며 진경 예술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겸재는 중국의 관념산수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조선의 강산를 직접 보고 그리면서 자신만의 화풍과 표현 기법을 창안하여 진경산수화를 개척하였습니다. 사천 역시 조선의 곳곳을 여행하며 그 지방의 기후, 풍물, 지형, 인심과 경승을 찬미하는 진경시를 지음으로써 '시는 이병연, 그림은 정선'이란 말이 유행할 정도로 진경시대를 대표하는 시화(詩畵)의 최고봉을 이루게 되었으며 평생의 벗으로 교류하며 살았습니다.
특히 1740년(영조16), 정선이 65세부터 5년간 양천현감으로 재임하면서 한양과 경기의 한강 주변 풍경을 그린 33폭의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는 모두 이병연의 시가 붙어 있는데 ‘시화환상간(詩畫換相看, 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 보다)’의 약속을 서로 충실하게 이행한 결과물이었습니다. 또한 1751년, 겸재가 76세때 그린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에는 오랜 궂은 장마가 그치고 맑게 갠 인왕산의 모습과 같이, 팔순을 넘기고 죽음의 문턱에 서있는 평생친구 이병연이 하루 빨리 병마를 물리치고 병석에서 일어나기를 간절히 바라는 각별한 우정이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