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삼성문의소 (물형론법) 원문보기 글쓴이: 삼성문의소
星平大成(성평대성) 六甲造化(육갑조화) ①甲子 - 물가의 氣力이 弱한 나무 午의 沖과 귀신(官殺)의 무덤(墓)을 만나면 반드시 運이 어그러지고 때가 잘못 된다. ②甲寅 - 큰 과일이 열리는 나무 사람들이 지키고 있어야 福祿을 누릴 수 있다. 지키고 있는 것 : 庚金 刑과 沖을 꺼린다. ③甲辰 - 충분히 물기가 있는 소나무 丙火와 庚金을 반기니, 자연스럽게 궁궐까지 이름을 전한다. 水와 土가 중첩되면 가난하지 않으면 夭折한다. ④甲午 - 목공이 도끼를 휘두르는 나무 반드시 날카로운 연장이 손에 있어야 동량이 된다. 四柱에 辰과 亥가 있다면 거듭 크게 福을 받는다. ⑤甲申 - 벌목당해서 물에 잠겨 있는 나무 한 번이라도 춥고 한번이라도 더우면 메마르고 끊어짐이 바로 이른다. ⑥甲戌 - 토굴속에 있는 소나무 많은 흙이 북돋워 이뤄줄 필요가 있다. 刑과 沖을 꺼린다. 官煞을 봐서 가지가 뻗어나가는 것을 잘라내고 비와 이슬로 뿌리를 적셔주는 것을 보면 때를 얻는 것을 반기고 조화를 어기는 것을 꺼린다. ○甲子爲水邊衰敗之木(갑자위수변쇠패지목).先看支柱土培(선간지주토배), 更有未庫根基 (경유미고근기),方看天干(방간천간).或金或土或水火(혹금혹토혹수화), 以定品格 (이정품격).若遇馬(약우마)沖鬼陵(충귀릉), 必是運乖時蹇(필시운괴시건). 甲寅爲碩果品彙之木(갑인위석과품휘지목).先要有人看守(선요유인간수), 庶免(서면)睥睨剽竊 (비예표절),而享祿壽果報(이향록수과보),看守者(간수자) 庚金也(경금야). 亦忌刑沖(역기형충) 甲辰爲鬱(갑진위울)溼水松之木(습수송지목).最喜丙火庚金(최희병화경금), 發揚特達(발양특달), 自然傳名玉殿(자연전명옥전).若水土重疊(약수토중첩), 非貧卽夭(비빈즉요). 甲午爲工師運斤之木(갑오위공사운근지목).必要利器在手(필요리기재수), 方成棟梁(방성동량), 如柱中有辰有亥(여주중유진유해), 發福更大(발복경대). 甲申爲斫斷入水之木(갑신위작단입수지목).有水潤精液(유수윤정액), 使與金石同堅(사여금석동견), 所謂枯木宜活水長濡也(소위고목의활수장유야).若一寒一暴(약일한일폭), 枯折立至(고절입지). 甲戌爲土窒松杉之象(갑술위토질송삼지상).土存則存(토존칙존), 土散則散(토산칙산), 要厚土培成(요후토배성).忌沖刑(기충형). 然後看官煞以去枝蔓(연후간관살이거지만). 雨露以潤根本(우로이윤근본).喜得時(희득시), 忌違和(기위화). 五行沖戰(오행충전), 俱不美(구불미). 六乙造化(육을조화) ①乙丑 - 진흙탕에 처음 나오는 나무 때에 맞게 비가 오고 맑아 火와 土가 온화한것을 가장 반긴다. 혹 가뭄과 장마가 교대로 침범하고 刑(未)과 剋(金)을 겹쳐 당하면 뒤집혀 꺾이고 부러져 훼손된다. ②乙卯 - 기장이 알차게 열매맺는 초목 食祿이 충분하고 진귀함이 중대하니, 財.官.印綬가 서로 보호하고 食傷이 氣運을 내뱉는 것을 반기고 酉가 沖하고 子가 刑하며 甲이 겁탈하고 辰이 害치는 것을 꺼린다. ③乙巳 - 화병에 꽃혀있는 나무 흙탕물에 깊이 넣어 놓을 필요가 있으니, 庚辰이 거듭 가까이 있으면 편안히 쉽게 살 수 있다. ④乙未 - 넝쿨이 줄기로 타고 오르는 나무 寅.亥.甲木의 높은 줄기가 서로 버텨줌으로 비로소 뻗어나가 비와 이슬을 얻는것을 가장 반기니, 임금의 은혜와 보호를 얻어 부귀가 범상하지 않다. 그렇지 않으면 수몰되어 버려진 흙부스러기이다. ⑤乙酉 - 화분속에서 특이하게 향기로운 나무 맑고 깨끗하게 향기가 나고 꽃이 피어 집치장에 좋다. 天干에 財.官.印綬가 있고 地支에 刑.沖.破.敗가 없으면, 표본으로 상 받는 것이 많고 조정으로 나아가는 것이 쉽다. 午가 酉를 破하고 亥가 酉를 刑해 정수함이 흩어지는 것을 가장 꺼린다. ⑥乙亥 - 나무에 기생하는 나무 썩은 나무에서 다시 나와야 의지하여 숨을 곳이 있다. 혹 甲이 말라있고 巳가 沖한 것은 늦게 첩에게서 태어나 분리되고 벗겨졌으니, 劫財의 편안함이 아주 필요하다면 의외로 기이하게 만난다. ○乙丑爲沾泥初生之木(을축위첨니초생지목). 最喜雨暘時若(최희우양시약), 火土溫和(화토온화). 倘旱(당한)澇交侵(로교침), 刑剋疊見(형극첩견), 則傾折(칙경절)摧殘(최잔). 乙卯爲稷黍秀實之木(을묘위직서수실지목). 食祿有餘(식록유여). 珍重可愛(진중가애). 喜財官印綬相護(희재관인수상호), 及食傷吐氣(급식상토기). 忌酉(기유)沖子刑(충자형), 甲劫辰害(갑겁진해). 乙巳爲倒揷花甁之木(을사위도삽화병지목). 要泥漿深埋(요니장심매), 庚辰重視(경진중시), 庶幾安穩易生(서기안온역생), 若遇一陽初復更妙(약우일양초복경묘). 一沖則死(일충칙사), 有搖卽枯(유요즉고) 得庚相溱則發(득경상진칙발). 乙未爲藤蘿施架之木(을미위등라시가지목). 最喜寅亥甲木(최희인해갑목), 高架相支(고가상지), 始得挻承雨露(시득연승우로), 沾君恩(첨군은), 叨帝眷(도제권), 富貴不凡(부귀불범). 不然則淪委塵土矣(불연칙윤위진토의). 乙酉爲盆花奇馥之木(을유위분화기복지목). 淸新馨秀(청신형수), 可供宸玩(가공신완). 若天干有財官印綬(약천간유재관인수), 地支無刑(지지무형)沖破敗(충파패), 則鑒賞多而廷獻易(칙감상다이정헌역). 最怕午破酉(최파오파유), 亥刑酉(해형유), 精華卽散(정화즉산). 乙亥爲木上寄生之木(을해위목상기생지목). 從死處再生(종사처재생), 乃有依俯(내유의부), 値此者俱是移枝接本(치차자구시이지접본). 或甲萎巳沖(혹갑위사충), 晩生庶出(만생서출), 分離刻剝(분리각박), 最要劫星安穩(최요겁성안온), 則意外奇逢(칙의외기봉). |
<六甲造化>
甲子爲水邊衰敗之木(갑자위수변쇠패지목).
先看支柱土培(선간지주토배), 更有未庫根基(경유미고근기), 方看天干(방간천간).
或金或土或水火(혹금혹토혹수화), 以定品格(이정품격).
若遇馬(약우마)▩鬼陵(귀릉), 必是運乖時蹇(필시운괴시건).
甲寅爲碩果品彙之木(갑인위석과품휘지목).
先要有人看守(선요유인간수), 庶免(서면)▩▩剽竊(표절), 而享祿壽果報(이향록수과보),
看守者(간수자) 庚金也(경금야). 亦忌刑(역기형)▩.
甲辰爲鬱(갑진위울)▩水松之木(수송지목).
最喜丙火庚金(최희병화경금), 發揚特達(발양특달), 自然傳名玉殿(자연전명옥전).
若水土重疊(약수토중첩), 非貧卽夭(비빈즉요).
甲午爲工師運斤之木(갑오위공사운근지목).
必要利器在手(필요리기재수), 方成棟梁(방성동량),
如柱中有辰有亥(여주중유진유해), 發福更大(발복경대).
甲申爲斫斷入水之木(갑신위작단입수지목).
有水潤精液(유수윤정액), 使與金石同堅(사여금석동견),
所謂枯木宜活水長濡也(소위고목의활수장유야). 若一寒一暴(약일한일폭), 枯折立至(고절입지).
甲戌爲土窒松杉之象(갑술위토질송삼지상).
土存則存(토존칙존), 土散則散(토산칙산), 要厚土培成(요후토배성).
忌(기)▩刑(형). 然後看官煞以去枝蔓(연후간관살이거지만). 雨露以潤根本(우로이윤근본).
喜得時(희득시), 忌違和(기위화). 五行(오행)▩戰(전), 俱不美(구불미).
<六乙造化(육을조화)> ,,,乙乃名園佳卉稻黍稷麥之類(을내명원가훼도서직맥지류).
要冬(요동)▩, 秋灌(추관), 春培(춘배), 夏蔭(하음). 最(최)▩甲木(갑목)▩處(처).
尤忌庚金(우기경금) 足爲害也(족위해야).
乙丑爲沾泥初生之木(을축위첨니초생지목).
最喜雨暘時若(최희우양시약), 火土溫和(화토온화).
▩旱(한)▩交侵(교침), 刑剋疊見(형극첩견), 則傾折(칙경절)▩殘(잔).
乙卯爲稷黍秀實之木(을묘위직서수실지목).
食祿有餘(식록유여). 珍重可愛(진중가애). 喜財官印綬相護(희재관인수상호),
及食傷吐氣(급식상토기). 忌酉(기유)▩子刑(자형), 甲劫辰害(갑겁진해).
乙巳爲倒揷花甁之木(을사위도삽화병지목).
要泥漿深埋(요니장심매), 庚辰重視(경진중시), 庶幾安穩易生(서기안온역생), 若遇一陽初復更妙(약우일양초복경묘). 一(일)▩則死(칙사), 有搖卽枯(유요즉고) 得庚相溱則發(득경상진칙발).
乙未爲藤蘿施架之木(을미위등라시가지목).
最喜寅亥甲木(최희인해갑목), 高架相支(고가상지), 始得挻承雨露(시득연승우로),
沾君恩(첨군은), ▩帝眷(제권), 富貴不凡(부귀불범). 不然則淪委塵土矣(불연칙윤위진토의).
乙酉爲盆花奇馥之木(을유위분화기복지목).
淸新馨秀(청신형수), 可供宸玩(가공신완).
若天干有財官印綬(약천간유재관인수), 地支無刑(지지무형)▩破敗(파패), 則鑒賞多而廷獻易(칙감상다이정헌역). 最(최)▩午破酉(오파유), 亥刑酉(해형유), 精華卽散(정화즉산).
乙亥爲木上寄生之木(을해위목상기생지목).
從死處再生(종사처재생), 乃有依俯(내유의부), 値此者俱是移枝接本(치차자구시이지접본).
或甲萎巳(혹갑위사)▩, 晩生庶出(만생서출), 分離刻剝(분리각박), 最要劫星安穩(최요겁성안온), 則意外奇逢(칙의외기봉).
<六丙造化(육병조화)>
丙子爲沐浴咸池(병자위목욕함지),
夜生宜恬靜養晦(야생의념정양회), 喜全西北(희전서북), 又値申辰亥丑(우치신진해축),
便爲上乘(편위상승). 晝生宜行健自旺(주생의행건자왕), 遇東南寅卯巳午未(우동남인묘사오미), 方爲有用(방위유용).
丙寅爲日升暘谷(병인위일승양곡).
晝生會午(주생회오), 更表豪雄(경표호웅). 夜生逢亥(야생봉해), 始保元氣(시보원기).
最(최)▩申馬(신마)▩馳(치), 無端驚動(무단경동).
丙辰爲日經天羅(병진위일경천라),
氣息有一番淹滯(기식유일번엄체). 晝生要衆陽扶起(주생요중양부기).
夜生要干透食傷(야생요간투식상), 支會申子(지회신자), 方不墮觸(방불타촉), ▩晝日陰(주일음)▩, 夜夢驚醒(야몽경성), 失其中和矣(실기중화의).
丙午爲日麗中天(병오위일려중천),
威光赫奕(위광혁혁). 得左右枝柱(득좌우지주), 金水相扶(금수상부), 方成旣濟(방성기제).
若加炎燥(약가염조), 難享全福(난향전복).
丙申爲日照崑崙(병신위일조곤륜),
崑崙之下有泯池(곤륜지하유민지), 太陽至此(태양지차), 與水相(여수상)▩,
所謂丙臨申位火無煙是也(소위병임신위화무연시야). 夜生尤喜恬靜相安(야생우희념정상안).
晝生若前後無輔(주생약전후무보), 決然多學少成(결연다학소성), 從來紅霞返照(종래홍하반조), 雖榮不久(수영불구).
丙戌爲日入地網(병술위일입지망),
困(곤)▩甚矣(심의). 晝生不加寅午整頓(주생불가인오정돈),
夜生不會亥子寗息(야생불회해자녕식), 則其人終無發達(칙기인종무발달).
<六丁造化(육정조화)>
丁丑爲鑽激之火(정축위찬격지화),
鑽燧於木利用甲(찬수어목리용갑), 激(격)▩於石利用庚(어석리용경).
總要就火土乾燥(총요취화토건조), 若投辰丑兩庫(약투진축양고), 西北二方(서북이방),
則丁火之光滅矣(칙정화지광멸의).
丁卯爲木屑香煙(정묘위목설향연),
其火喜粘合(기화희점합), 則香氣盤桓(칙향기반환), 可達帝闕(가달제궐).
若無壬有癸(약무임유계), 生滅迭見(생멸질견), 無壬無癸(무임무계),
散漫燥烈(산만조렬), 易於離散(역어이산).
丁巳爲燧珠之火(정사위수주지화),
觸於曦光(촉어희광), 則炎燃可燎(칙염연가료). 若逢陰雨(약봉음우), 百觸不生(백촉불생).
故炎於乙巳丙午丁未(고염어을사병오정미), 忌見金水墓庫陰(기견금수묘고음)▩運(운).
丁未爲灰燼香烟(정미위회신향연),
火生土(화생토), 土亦生火(토역생화), 丁未是也(정미시야). 其火有烟無(기화유연무)▩,
全賴灰土重埋(전뢰회토중매), 則延久不滅(칙연구불멸). 値之者主聰明(치지자주총명),
多傲骨(다오골), 愈晩而愈康寧也(유만이유강녕야).
丁酉爲琉璃燈光(정유위유리등광),
夜生分外輝煌(야생분외휘황), 晝生亦抱光自瑩(주생역포광자영).
最喜者壬水乙木也(최희자임수을목야). 所忌者癸與甲(소기자계여갑). 求全反毁(구전반훼),
尤忌者午與卯(우기자오여묘), 刑(형)▩破耗(파모).
丁亥爲風前秉燭(정해위풍전병촉),
第一喜壬官來合(제일희임관래합), 名爲有(명위유)▩官燈(관등).
次喜有庚在干(차희유경재간), 名爲墮鎭在手(명위타진재수).
若無庚無壬(약무경무임), 而有甲有(이유갑유)▩, 不免貧窮折夭(불면빈궁절요).
<六戊造化(육무조화)>
戊子爲蒙山(무자위몽산).
易山下有泉曰蒙(역산하유천왈몽). 取其空而響也(취기공이향야).
亦看上下左右財官印綬食神所扶之者何如(역간상하좌우재관인수식신소부지자하여).
戊寅爲艮山(무인위간산).
取其長生趨艮(취기장생추간). 氣聚脈會(기취맥회), 發育無涯(발육무애).
喜煞刃財食(희살인재식), 忌刑(기형)▩破害(파해), 及申馬馳驅(급신마치구).
戊辰爲蟹泉吐穎之山(무진위해천토영지산).
津津細流(진진세류), 水從山腰出(수종산요출), 所謂淺水長流山不枯(소위천수장류산불고).
以重財庫之濡也(이중재고지유야). 最(최)▩戌未塡辰(술미전진), 大失元氣(대실원기).
戊午爲火山(무오위화산),
炎炎燥烈(염염조렬), 不可無水以制其凶(불가무수이제기흉). 若單弱不明(약단약불명),
則用以(칙용이)▩身(신), 又須(우수)▩酌其强弱(작기강약), 配其中和爲貴(배기중화위귀).
戊申爲土山之戴石者(무신위토산지대석자).
最喜金水木氣(최희금수목기), 點綴以成明秀(점철이성명수),
忌火土燥烈(기화토조렬), 神色焦枯(신색초고).
戊戌爲魁(무술위괴)▩演武之山(연무지산).
要劫刃爲得權(요겁인위득권), 博厚爲得用(박후위득용), 加以刃煞財食(가이인살재식),
相制相扶(상제상부). 或戊癸知音(혹무계지음), 可許富貴(가허부귀), 只忌辰(지기진)
及上下水多(급상하수다), 爲背水陣(위배수진).
<六己造化(육기조화)>
己丑爲足水(기축위족수)▩田極多膏脂(전극다고지),
稻易豊(도역풍), 最喜雨露滋潤(최희우로자윤). 更得太陽薰灸(경득태양훈구),
其苗秀而多實(기묘수이다실). 或其中有武庫(혹기중유무고) 開者(개자), 印煞得用(인살득용),
亦易成文武功名(역역성문무공명).
己卯爲休囚失氣之土(기묘위휴수실기지토),
其地(기지)▩瘠(척). 故未中年先主有灰心之論最喜露丙丁(고미중년선주유회심지론최희로병정). 藏丑戌(장축술), 庶幾有救(서기유구). 所忌者酉子刑(소기자유자형)▩.
己巳爲嶺頭稼穡(기사위령두가색).
黍宜高燥(서의고조), 已易見陽(이역견양). 只(지)▩▩其年月日時(기년월일시).
不宜偏晴偏雨(불의편청편우).
己未爲入土稼穡(기미위입토가색).
如芋苗之類(여우묘지류). 土培不深(토배불심), 則稼穡不厚(칙가색불후). 喜高燥(희고조).
▩潮(조)▩, 喜培植(희배식). ▩▩害(해), 喜會合化土(희회합화토)▩刑穿剝削(형천박삭).
己酉爲築土稼穡(기유위축토가색),
雖坐長生實未(수좌장생실미)▩熟(숙). 最喜干支丙寅(최희간지병인), 得培植(득배식),
則富貴無涯(칙부귀무애). 再剝削(재박삭), 則(칙)▩瘠太甚(척태심).
己亥爲注地稼穡(기해위주지가색),
乃游泥潮(내유니조)▩之地(지지). 少見陽光(소견양광),
惟喜丙火常多則易蕃秀(유희병화상다칙역번수). 若遇陰雨(약우음우),
再逢陰木(재봉음목), 終損福壽(종손복수).
<六庚造化(육경조화)>
庚子爲倒懸鐘(경자위도현종)▩.
金空則響(금공칙향), 偏宜坐於死絶空地(편의좌어사절공지). 未穿午(미천오)▩,
遇擊則聲聞(우격칙성문)▩字(자). 如丑戌相逢(여축술상봉),
火土塡實(화토전실), 闇汶無聲矣(암문무성의).
庚寅爲入冶爐鍾(경인위입야로종).
蓋初鎔之金(개초용지금), 逢木火交集(봉목화교집), 銷去陰(소거음)▩. 鍊成美質(련성미질),
▩食傷再見(식상재견), 躍冶可虞(약야가우). 至於舒配去留(지어서배거류),
加些辰水泥漿(가사진수니장), 此中(차중)▩有許多作用(유허다작용).
庚辰爲水師將軍(경진위수사장군).
須要酉刃相逢(수요유인상봉), 方稱前茅果毅(방칭전모과의). 或比劫雲集(혹비겁운집),
亦是受兵敵愾(역시수병적개). 若逢戊寅資扶(약봉무인자부), 尤爲(우위)▩力經營(력경영).
不然(불연), 單弱畏怯(단약외겁), 一事無成(일사무성). 凡水師將軍(범수사장군),
不宜行陸地(불의행육지), 又(우)▩木火土庫(목화토고), 戌未(술미)▩刑(형).
庚午爲出冶之金(경오위출야지금).
旣鍊之物(기련지물), 急要干支有水(급요간지유수), ▩礪成(려성)▩. 若木火重逢(약목화중봉), 必至過激(필지과격), 定主夭折(정주요절).
庚申爲已成劍戟(경신위이성검극),
最(최)▩再遇火鄕而反壞(재우화향이반괴). 若會子辰(약회자진),
及辛金壬癸相湊(급신금임계상주), 其光氣自(기광기자)▩牛斗(우두).
庚戌爲陸路將軍(경술위륙로장군),
最喜陽刃(최희양인)▩助(조). 與庚辰同(여경진동), 但遇申子辰壬癸水地(단우신자진임계수지), 則手足俱疲(칙수족구피), 全無所施(전무소시). 更忌辰(경기진)▩, 以其侵突我也(이기침돌아야).
<六辛造化(육신조화)>
辛丑爲胎息之金(신축위태식지금),
先要印綬扶其質(선요인수부기질), 更要食傷吐其氣(경요식상토기기). 陽和沙水(양화사수),
是其妙劑(시기묘제). 且春冬喜微火溫暖(차춘동희미화온난), 夏秋喜淸水吐秀(하추희청수토수). 書云(서운), 辛金珠玉性虛靈(신금주옥성허령), 最喜陽和沙水淸(최희양화사수청).
成就不勞炎火(성취불로염화)▩. 資扶偏愛(자부편애)▩泥生(니생). 六辛皆同此理(육신개동차리).
辛卯爲古木之精(신묘위고목지정),
其質脆薄(기질취박). 必輔以戊子戊戌(필보이무자무술), 及支柱丙戌相扶(급지주병술상부).
庶有所托而行於世(서유소탁이행어세). 若無印綬(약무인수),
專見食傷(전견식상), 反洩氣無用矣(반설기무용의).
辛巳爲石中玉璞(신사위석중옥박),
有得水足以大發光(유득수족이대발광)▩. 所謂雨後吐彩是也(소위우후토채시야).
干上透水爲最(간상투수위최), 支中藏水次之(지중장수차지).
卽丙辛化水亦妙有從化見壬癸更佳(즉병신화수역묘유종화견임계경가). 逢(봉)▩尤吉(우길).
辛未爲鎔土成金(신미위용토성금),
金從土生(금종토생), 卽得金矣(즉득금의).
先要戊己資扶(선요무기자부), 次要壬癸吐氣(차요임계토기). 但己不如戊(단기불여무),
癸不如壬(계불여임). 所忌者甲乙剋土(소기자갑을극토), 陰(음)▩埋光(매광),
難以尋鍊(난이심련). 大約看福壽以土爲主(대약간복수이토위주), 取功名以水爲主(취공명이수위주). 二者俱不可傷(이자구불가상).
辛酉爲珍貴珠玉(신유위진귀주옥).
辛祿居酉(신록거유), 乃瑚璉重器(내호련중기), 朝家至寶(조가지보), 誰不珍惜(수불진석).
有水透出(유수투출), 加之無木無火(가지무목무화), 無庚(무경)▩, 無暴棄納鑿(무폭기납착),
便爲尊貴至極也(편위존귀지극야).
辛亥爲水底珠玉(신해위수저주옥),
最喜有寅合亥(최희유인합해), 名爲撈金用篩(명위로금용사). 卽登被岸(즉등피안).
其金足以表見光(기금족이표현광)▩. 或土塡水落(혹토전수락), ▩値泥(치니)▩刑庫(형고),
沈淪苦海終無用矣(침륜고해종무용의).
<六壬造化(육임조화)>
壬子爲洋溢滂(임자위양일방)▩之水(지수).
須有煞以制刃(수유살이제인), 則狂瀾砥柱(칙광란지주), 淸晏立(청안립)▩.
再加印綬食傷(재가인수식상), 與官煞互相制伏(여관살호상제복), 其功名富貴(기공명부귀),
不可限量(불가한량).
壬寅爲雨露沙(임인위우로사)▩,
見其入不見其出(견기입불견기출). 故多主富(고다주부).
若雲雨(약운우)▩集(집)(雲者庚辛也(운자경신야)), 趨艮利達(추간리달), 發福無涯(발복무애).
有木透者(유목투자), 多是武貴(다시무귀). 最嫌火土太燥(최혐화토태조),
或水滿金頑(혹수만금완), 俱是愚頑之輩(구시우완지배).
壬辰爲壬騎龍背(임진위임기용배).
第一要亥子(제일요해자). 則龍潛深淵(칙용잠심연). 更喜天干有甲庚(경희천간유갑경),
支下遇卯寅(지하우묘인). 是爲活潑升騰(시위활발승등), 風雲際會(풍운제회).
惟忌見戌(유기견술), 無情戰野元黃(무정전야원황), 從來不爽(종래불상).
壬午爲祿馬同鄕(임오위록마동향),
水火旣濟(수화기제). 只看前後孰奇孰正(지간전후숙기숙정), 然後補水補火(연후보수보화).
得其均停(득기균정), 富貴上品(부귀상품).
若水火失其均停(약수화실기균정), 貧賤下格(빈천하격).
壬申爲水滿渠成(임신위수만거성),
生生不息(생생불식). 再生於秋(재생어추), 或際乎庚(혹제호경), 不問富貴可知(불문부귀가지). 生春夏(생춘하) 則減半矣(칙감반의). 再察其前後左右(재찰기전후좌우), 有刃則用煞(유인칙용살), 無刃不用煞(무인불용살). 最忌甲與戊太狼(최기갑여무태랑). 以致過(이치과)▩在山(재산).
失其順流之性(실기순류지성).
壬戌爲驟雨易晴(임술위취우역청).
人値之多是遇而不遇(인치지다시우이불우). 若前後有金水相湊(약전후유금수상주),
則不遇中有奇遇焉(칙불우중유기우언).
<六癸造化(육계조화)>
癸丑爲溝渠泥(계축위구거니)之水(지수).
氣息多鬱(기식다울), 必要乙干卯支以通氣疎息(필요을간묘지이통기소식),
方成利達(방성리달). 不然則甲寅亦可乘風破浪(불연칙갑인역가승풍파랑).
喜見丑未相(희견축미상)▩, 忌見子丑相合(기견자축상합), 最不利戊土透出(최불리무토투출),
合而不化(합이불화), 反使利令智昏(반사리영지혼).
癸卯爲林中澗泉(계묘위림중간천).
癸生在卯(계생재묘), 不惟無一點渣滓(불유무일점사재). 且有淸風徐來(차유청풍서래),
人値之心地慈祥(인치지심지자상), 襟懷(금회)▩落(락), 不類流俗(불류류속),
只(지)▩前後俗土混雜耳(전후속토혼잡이).
癸巳爲高阜(계사위고부)▩河之水(하지수).
源流固淸(원류고청), 而財官雙美(이재관쌍미). 所喜山林茂盛(소희산림무성),
雲雨得宜(운우득의). 最忌者支柱亥(최기자지주해)▩, 恐堤岸壞而水自枯(공제안괴이수자고).
惟喜水旺而多見亥(유희수왕이다견해)▩者(자),反吉(반길).
癸未爲川澤灣曲之水(계미위천택만곡지수).
癸坐未庫(계좌미고), 流有灣曲(류유만곡), 人値之有才智(인치지유재지), 多權謀(다권모).
最喜金木透干(최희금목투간), 亥卯會支(해묘회지), 以成利達(이성리달).
若火土重逢(약화토중봉), 遇而不遇(우이불우).
癸酉爲石孔流泉(계유위석공류천).
水生於石(수생어석), 其源極淸(기원극청), 其流必長(기류필장).
値此者多生於簪纓世(치차자다생어잠영세)▩之家(지가). 必是淸儁文人(필시청준문인).
若前後有木映金潤(약전후유목영금윤), 則易繩武(칙역승무), 登科及第(등과급제).
若有庚無木(약유경무목), 有木無庚(유목무경), 福減半矣(복감반의). 無木無庚(무목무경),
必愧先人(필괴선인).
癸亥爲水天一色(계해위수천일색).
源出崑崙(원출곤륜), 氣通乾亥(기통건해), 宛然水天一色(완연수천일색), 渾渾淪淪(혼혼륜륜), 名爲還元之水(명위환원지수), 與天無二(여천무이). 再加有乙木淸風徐來(재가유을목청풍서래), 自然是義皇以上之人(자연시의황이상지인). 最(최)▩左右巳亥刑(좌우사해형)▩相混(상혼).
更有狂風暴雨(경유광풍폭우), ▩嫌壬申相雜(혐임신상잡), 便不中矣(편불중의).
--------------
格物至言-總論甲木
<格物至言>甲:
陽木乃參天兩地,舒枝抽幹之木。一下地挪移不得。勿論春夏秋冬。勿論良楉巨細。總要重土厚培。先壯根柢,然後徐尋火金水木。以講富貴貧賤壽夭之徵。所謂欲圖長久千年計,須向沙泥萬丈埋也。若土薄根搖。未論到金克水蕩木劫火焚。已遭夭折。蓋根不深而風不怕者未之有也。
갑목은 양의 성격을 지닌 목이다. 가지를 펼치고, 줄기를 뻗는 나무이다.땅에 뿌리를 내리면옮기기 힘들다. 봄여름가을겨울사계절 그러하다. 잘 자란나무,마른나무, 큰나무, 가는나무모두 마찬가지이다. 많은 토로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먼저 잘 자라고 뿌리가 잘 내리면,그 다음에 화금수목을 찾아, 부귀빈천과 수명을 논하게된다.나무가 오랜세월을 버틸려면 흙속에 뿌리를 깊이 내려야한다.토가 얕으면 뿌리가 흔들린다. 게다가 금이 와서 극하거나,수가 많아 뿌리가 흔들리거나, 다른 목이 와서 재물을 뺏거나,화가 와서 나무를 태워버리면수명이 짧아진다. 뿌리가 깊지않다면 바람이 두려운 것이다.
<日元確論>甲支有六:
甲木屬陽。乃參天拔地。舒枝抽幹之木。一出於地。不可挪移。不論春夏秋冬。 亦不论良枯巨细。
갑목은 양에 속한다. 하늘높이 자라고 땅속에 깊이 뿌리를 내려야한다.가지를 펼치고 줄기를뻗는 나무이다. 땅속에 심어져 땅밖으로 자라면 (쉽게)옮길 수없다.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그러하다. 나무가 잘 자랐던,말랐던, 덩치가 크던, 가늘던 관계없다.
總要重土厚培。固其根底。然後徐尋火金水木。以定富貴貧賤壽夭之局。
所謂欲圖長久千年計。須向沙泥萬丈埋是也。若土薄根搖。則無論金
克水蕩。木劫火焚。固已必遭夭折矣。蓋根不深而枝葉茂者。未之有也。
많은 토가 배양해야한다.뿌리를 튼튼히 해야한다.그다음에 화금수목을 살펴야한다. 그러면부귀빈천과 수명을 알게된다.오랜세월 버틸려면 흙속에 뿌리를 깊게 내려야한다. 토가 얇아서 뿌리가 흔들린다면, 금이 극하는것과 수가 많은 것을 따질 것 조차 없다. 목이 와서 재를빼앗고 화가 와서 목이 타버리는 것도 논할 것이 없다.요절은 정해진것이다. 뿌리가 깊지않은데 잎과 가지가 무성한 경우는 없다.
<生成造化>甲幹總論:
甲木參天脫胎要火。春不容金,秋不容土。火熾乘龍,水蕩騎虎。地潤天和,植立千古。
甲木天干作首排。原無枝葉與根荄。斷就棟樑金得用。化成灰炭火為災。
甲乃參天兩地舒枝抽幹之木。且勿論春夏秋冬良枯巨細,總要厚土重培。先壯根本,然後徐尋金木水火,以論富貴貧賤。若土薄則根搖,不論金克水蕩木劫火焚,定遭夭折。
갑목은 하늘 높이 자랄수 있는데, 그 모습을 바꾸려면 火가 필요하다.봄에 금을 쓰지않고, 가을에는 토가 필요없다.화가 뜨거우면 용(진토)이 필요하고,수가 많으면 虎(寅木)가 필요하다.땅에 수분이 있고. 하늘의 기온이 적당하면 천년을 꼿꼿이 서있는다. 갑목은 천간순서상가장 앞이다. 원래 가지나 잎 그리고 뿌리가 없다. 잘라서 재목으로 쓰려면 금이 필요하고,타서 재가 된다면 화가 나쁜 역할을 한것이다. 갑목은 하늘높이 자라고 땅속에 뿌리를 내려, 가지와 줄기를 펼치는 나무이다.계절에 관계없이, 나무의 상태에 관계없이 충분한 흙으로 나무를 키워야한다. 먼저 뿌리가 튼튼해져야 그다음에 금목화수를 살펴 부귀빈천을 논한다.토가 엷다면 뿌리가 흔들린다. 이때 금이 와서 극하거나 수가 많아 뿌리가 흔들리거나,다른 목이 와서 재성을 빼앗거나, 화가가 많아 타버리면,반드시 요절하게된다.
甲子
<格物至言>甲子:
空心衰敗之木也。先看枝柱土培。更看左右根繁。方看天干,或金為棟樑,或火為木火通明,或土為殷實篤厚,或木為郁蒼秀吉。或全或毀或奇或正,或平或偏。始定其品局。若無土培根繁,更有馬沖鬼淩。不問而知其夭折。至運乖時塞。猶其次耳。大略喜行火土與木運。忌金水漂荡运。
속이 비고 시든 나무이다. 먼저 토로 배양한다.좌우에 뿌리가 튼튼하지를 살핀다.그리고 천간을 살핀다.금으로 재목을 만드는지, 화로서 세상을 밝히는지를 본다.토가 있다면 충실하게자란다. 다른 나무가 있다면 울창하여 그 자태를 뽐낸다.모양이 온전할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엉뚱한 모습일수도 있고, 반듯한 모양일수도 있다.모양이 고를수도 있고, 기울어져 있을수도 있다.이에 따라 사주의 품격과 모양이 결정된다. 토가 뿌리를 튼튼하게 하지않은 상태에서 말(馬: 午)이 충하거나 관살이 와서 능멸한다면 요절한다.대운과 세운은 그다음 문제이다. 화토와 목의 운(運)으로 행하는 것이 좋고, 금수(金水)가 와서 물이 넘치는것을 꺼린다.
<日元確論>甲子:
此溪邊空心之木也。先看枝柱有培否。更看左右之根。與未中之庫。方看金官火食。遇金則為棟粱斧斤。遇火則為木火通明。遇土為殷寔篤厚。遇水則為郁蒼秀古。或全或毀。或奇或正。或平或偏。始得定其品局。若培植不堅。根本不固。更有馬沖鬼淩。不問而知其夭折。運之乖蹇。猶其次耳。倘遇比肩重疊。只宜金火相成。
개울가의 속이 빈 나무이다. 먼저 토가 나무를 배양하는지를살핀다. 그리고 좌우에 근이 있는지를 살핀다. 未중에 庫도 살핀다.그리고 금 관살과 화의 식상을 살핀다. 금을 만나면 동량의 재목이나 도끼의 손잡이가 된다.화를 만나면 목화통명이된다. 토를 만나면 충실하게 자란다. 수를 만나면 울창하여 자태를 뽐낸다.모든 요소들이 고루게 작용하지는 않을것이다. 그에 따라 사주의 품격과 모양이 결정된다.토가 충분치않으면 뿌리가 튼튼할수없다. 게다가말(午)이 와서 충하거나 관살이 와서 극한다면 요절하게된다. 운이 어긋난 것은 다음 문제이다. 비견이 거듭 있다면 금과 화를 함께 써야한다.
<生成造化>
甲子為溪邊衰敗之木。先看枝柱土培。更有未庫根基。方看天上。或金或土或水,火。以定品格。若遇馬沖鬼陵必是運乖時蹇。
갑자는 계곡의 시든 나무이다.먼저 토로 길러야 한다. 미토가 있다면 뿌리가 된다.그다음천간에 다른 오행들이 있는지를 살펴 사주의 품격을 정한다. 말이 와서 충하거나 관살이 괴롭히는 것은 대운이 어긋나고 세운이 어긋난것이다.
甲寅
碩果品匯之木也,果當祿食,先要有人看守,方免埤倪標竊,再無刑害衝破,得保累實珠璣,加以根葉苞茂,財官並著,則享專祿果報,若無看守,名利虛花,或有刑沖.福祿自耗,看守維何,庚辛是也,但辛不如庚耳。
大略先喜庚,次喜辛,次喜財食印絞安靜,最忌無官殺,複行比劫刑沖破敗運。
열매가 많이 달린 나무이다. 열매는 벼슬과 재물에 해당된다.먼저 지키는 사람이 있는지 본다. 도둑을 막아야한다.또 형충파해가 없어야한다.튼튼한 도구가 있고 뿌리와 줄기가 무성하고 재관이 함께 있다면 전록의 혜택을 누린다. 만약 지키는 사람이 없으면 명리가 헛된 꿈이다.형충이 있다면 복록이 감소한다. 경신이 다름아닌 열매를 지키는 경비가 되는데.신금은경금만 못하다. 경을 좋아하고 그다음으로 신금을 좋아한다.그리고 재식인이 안정되어야한다.관살이 없는데 다시 비겁이 와서 형충을 하면 재물을 잃고 망하게된다.
甲辰
<格物至言>甲辰:
郁濕水松之木也。氣鬱神固根壯蒂穗。人多含醇抱樸。少揮霍發揚。露庚露丙,或讀書一二發達。無庚無丙,便依阿苟且,福壽偏破。不怕水局會叢,只怕刑沖劫害。最喜丙丁戊己寅午戌,木火土運。忌申酉亥子醜抑鬱運。
물가에 우거진 나무이다. 기가 왕성하고 뿌리와 줄기가 튼튼하다.사람이 순수하고 담백하다. 일부는 매우 민첩하고 크게 성공한다.경과 병이 천간에 있으면 공부를 매우 잘 한다. 경과병이 없다면 평범한 사람으로 복과 수명이 적다.水局이 형성되도 두려워하지않지만, 형충과겁재 그리고 害를 두려워한다.병정무기인오술을 반기고 목화토운을 반긴다. 신유해자축은좋지않다.
<日元確論>甲辰:
此郁濕水松之木也。木氣鬱於濕土之中。根蒂甚固。人領之。多含醇抱樸。所少者揮霍發揚耳。最喜露庚露丙。方能發達。否則依阿苟且。福壽亦偏。若遇比劫重疊。尤宜厚土栽根。不至土疏木敗。不怕水局會叢。只怕刑沖劫害。最喜行丙丁戊己。寅午戌。火土运。忌行申酉亥子丑抑郁运。
물가의 흐드러지게 자란 나무이다. 나무의 기운이 습한 땅속에 가득하다.뿌리와 줄기가 튼튼하다. 사람들이 갑진을 지니면 대처로 순박하다.일부는 아주 민첩하고 발전한다. 경과 병이천간에 드러나면 발전한다. 그렇지않으면평범하고 복과 수명이 크지않다. 비겁이 많다면 토가 많아서 뿌리를 잘 키워야 한다. 그렇지않으면 토가 적어서 나무가 시들어버린다. 수국을 두려워하지않는다. 형충을 두려워하고, 겁재나 해(害)를 싫어한다. 병정무기,인오술을 가장 반기고, 화토운을 반긴다.신유해자축은 우울하다.
<生成造化>
甲辰為郁濕水松之木。最喜丙火庚金,發揚特達。自然傳名玉殿。若水土重疊,非貧即夭。
갑진은 습기많은 곳에 흐드러지게 자란 나무이다. 병화와 경금을 보면 크게 발전하며,궁궐에이름을 알린다. 수토가 중첩되면 가난하지않으면단명한다.
甲午
<格物至言>甲午:
工師運斤之木也。取於山,用於家。必要利器在手,方成梁棟。如無利器,徒為枯朽。利器為何? 庚第一辛次之。 甲午逢庚,多為台諫之官。如柱中有辰有亥發福更大。喜金水忌木火土运。
목공이 다듬는 나무이다. 산에서 구해 집에서 쓰는 나무이다.날카로운 도구가 손에 있어야동량이 된다. 좋은 연장이 없다면 그냥 썩고만다.좋은 연장은 庚이 으뜸이고 辛이 다음이다. 갑오가 庚을 만나면 임금에게 간하는 벼슬을 하는 사람이 많다.사주에 辰이나 亥가 있다면복이 더 커진다. 금수를 반기고 목화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甲午 (甲木逢死):
此工師運斤之木也。其木取之於山。用之於家。必要庚辛透露。庚第一,辛次之。則利器在手,方成棟樑。而善其事。否則不免枯朽而已。從來甲午逢庚多為台諫。如柱中有寅、有亥。發福更大。壬癸重疊,非所好也。大抵喜金水,忌木火土運,木遇火而通明,然火多則木焚。故原有火者,不宜复行火运。
목공이 다듬는 나무이다. 산에서 얻어서 집에서 사용하는 나무이다.庚辛이 천간에 드러나야한다. 경이 먼저이고, 신이 다음이다. 그러면 좋은 연장을 손에 얻은 것과 같아서, 동량의재목이 되어 좋은 역할을 하게된다. 그렇지않으면 그냥 썩게된다. 갑오가 경금을 여럿 만나면 임금에게 간언하는 직책을 맡는다. 사중에 寅이나 亥가 있으면 복이 더 커진다. 임계수가 거듭있다면 좋지않다. 대체로 금수를 반기고 목화토운은 싫어한다. 목화를 만나면 세상을밝게 비추지만(木火通明),화가 많아 목이 타버릴수 있다. 사주에 화가 있다면 다시 火運으로 가는 것은 좋지않다.
<生成造化>
甲午為工師運斤之木。必要利器在手。方成棟樑。如在柱中有辰有亥發福更大。
갑오는 목공이 다듬는 나무이다. 연장이 손에 있어야 동량이 된다.사주에 辰 또는 亥가 있다면 복이 더 커진다.
甲申
<格物至言>甲申:
砍斷入水之木也。根雖斷,精液猶存。每絕處再生。一入水底,水潤精液與金石同堅。便可頂天立地。是以四柱程途,多逢水局無人不發。倘一暴十寒,枯朽立至。所謂枯木偏宜活水長濡也。喜金水木濕泥,忌火土枯燥運。
잘라서 물에 넣은 나무이다. 뿌리는 잘렸지만.나무의 정수는 살아있다. 절처에서 다시 살아난다.물에 들어가 물이 깊은곳까지 스며들면 돌처럼 단단해져서 하늘을 머리로 받칠수 있다. 운에서 수국을 만나면 크게 발전한다. 더위와 추위가 교차되면 썩게된다.마른 나무는 활수에 오래 담가둘수 있다. 금수와 목,그리고 습한 토를 반긴다. 화토의 마르고 건조한 기운을꺼린다.
<日元確論>甲申 (逢絕):
此砍斷入水之木也。木根雖斷,精液猶存。每每絕處再生。故一入水底。得水浸潤。便與金石同堅。是以四柱運中,若逢水局。無人不發。倘一暴十寒。枯朽立至。所謂枯木偏宜活水濡也。喜行金水木濕土運,忌行火土枯燥運。
잘려서 물에 들어간 나무이다. 뿌리가 잘렸지만,나무의 정수는 남아있어 절처에서 다시 살아난다. 물에 들어가면 물이 깊숙이 스며들면 돌처럼 단단해진다.운에서 수국을 이루게되면 크게 발전한다. 더위가 추위가 반복되면 썩게된다. 마른 나무는 활수에 젖어야한다. 금수목, 그리고 습한 토를 반긴다.화토의 마르고 뜨거운 기운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甲申為砍斷入水之木。有水潤精液,更與金石同堅。所謂枯木宜活水長濡也。若一寒一暴,枯朽立至。
갑신은 잘려서 물에 잠겨있는 나물이다. 물로 나무의 깊은 곳까지 적시면 돌처럼 단단해진다.마른 나무는 활수에 담아놓아야한다. 더위와 추위가 교차되면 썩는다.
甲戌
<格物至言>甲戌:
窖土松杉之木也。土存則存,土散則散。必要培戌,勿沖戌。然後看官殺,以去枝蔓。再看雨露,以潤根荄。則上有一枝挺承,旁無餘蔓盜竊。前後左右一圍苞孕。其神氣堅固。自膺棟樑。富貴且享壽考果報。若刑沖破敗則減半矣。喜因时五行葆合运,忌违时五行冲克运。
흙더미에서 자란 소나무나 삼나무이다. 토가 있으면 살수있고,토가 흩어지면 죽는다. 술토를생해야하고,술토를 충하면 안된다. 그다음에 관살로 가지를 쳐야한다.다시 비나 이슬을 만나면 뿌리가 줄기가 적시게된다. 위에 좋은 가지가 있다면 옆에 있는 다른 가지들이 기운을 뺏으면 안된다. 전후좌우에서잘 감싸면 기운이 견고해져서 스스로 동량이 되고 부귀와 장수를누린다.형충파와 겁재를 만나면 복이 반감된다. 오행이 조화되는 운으로 가는 것이 좋고, 오행이 충극하는 운을 꺼린다.
<日元確論>甲戌:
此窖土松杉之木也,其木土存則存,土散則散。必要培戌,不可沖戌。然後看官煞以去枯蔓。再看雨露。以潤根荄。則上有一枝挺承。旁無餘蔓盜竊。前後左右,一團苞孕。其神氣堅固,自應棟樑。若刑沖破敗。減半矣。喜五行葆合運,忌逢時沖克運。
위 문장과 동일.
<生成造化>
甲戌為土窖松杉之木。土存則存,土散則散。要厚土培戌,忌沖刑。然後看官煞,以去枝蔓。雨露以潤根本。喜得時行葆合運,忌違和五行沖戰運,俱不美。
갑술은 흙더미 속의 소나무나 삼나무이다. 토가 있으면 나무가 살고,토가 흩어지면 나무가죽는다. 흙을 북돋아 줘야하고,술토를 형충하면 안된다. 그다음 관살이 있어서 가지를 쳐야한다.비나 이슬로 뿌리를 적셔야한다. 오행이 조화되는 운으로 가야한다.오행이 서로 다투는운으로 가는 것을 꺼린다.
格物至言-總論乙木
<格物至言>乙:
陰木,名花佳卉稻黍稷麥之類。婀娜多姿,可以移東就西。要認春培夏蔭秋灌冬曬之理。然後去留舒配得宜,為得用。失宜即失用。最怕甲木逼處為害。尤怕庚金掣肘不伸。其餘用舍配合,尚看廷獻。
음목이다. 꽃 벼 기장 보리 등이다. 하늘거리고 어여쁜 모양이다.한가지 모습이 오래가지않는다. 봄에는 토로 길러야하고,여름에는 그늘이 필요하고, 가을에는 물을 주고.겨울에는햇살이 필요하다.거류서배가 적당하면 쓰임새가 있게된다.적당하게 조절하지않으면 쓸모가없다. 갑목이 근처에서 자리를 뺏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또한 경금이 움켜잡는 것을 두려워한다. 나머지 조합이 적당하면 나라에 공헌한다.
<日元確論>乙支有六:
乙木屬陰,乃名花佳卉。稻黍稷麥菽之類。其木婀娜多姿。可以移東就西。須要春培夏蔭,秋灌冬暄。然後去留舒配。得宜為得用,失宜為失用。最怕者甲木逼處為害。尤怕者庚金掣肘不伸。
을목은 음에 속한다. 꽃이다.벼 기장 보리 콩 등이다. 모양이 가늘고 다채롭다.어디든지 옮겨 다닐수 있다. 봄에는 토로 재배하고,여름에는 그른이 필요하고,가을에는 물을 줘야하고, 겨울에는 햇살이 필요하다.거류서배가 적당하면 쓰임새가 있게된다. 적당하게 조절하지않으면쓸모가 없다. 갑목이 근처에서 자리를 뺏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또한 경금이 움켜잡는것을 두려워한다.
<生成造化>乙幹總論:
乙木陰柔。割羊解牛。懷丁抱丙。跨鳳乘猴。虛濕之地,騎馬亦憂。藤蘿系甲,可春可秋。
乙木根荄種得深。只宜陽地不宜陰。漂浮最怕多逢水。克斷何須苦用金。
乙乃名園佳卉稻黍稷麥之類。要冬曬秋灌春培夏蔭。最怕甲木偪處,尤忌庚金掣肘不伸,足為害也。
을목은 부드럽다.양을 가르고 소를 자른다.정화를 품고, 병화를 껴안는다.봉황을 타고,원숭이도 올라탄다.습기가 많다면 말을 타더라도 걱정스럽다. 갑목에 의지할수 있다면 봄도 가을도 문제없다. 을목은 뿌리를 깊숙이 내려야 한다.양지를 좋아하고 음지는 적적하지않다. 근이 없다면 수를 많이 만나면 안된다.을목을 자르기위해 굳이 칼을 쓸 필요가 없다. 을목은정원을 꽃,벼 기장 보리 등이다. 겨울에는 햇빛이 필요하고,가을에는 물을 줘야한다. 봄에는흙으로 그록,여름에는 그늘이 필요하다. 갑목이 근처에서 괴롭히는 것을 두려워하고,더욱이경금이 와서 움켜잡으면 좋지않다.
乙丑
<格物至言>乙丑:
沾土初芽之木也。律均初轉,物匯解甲。一段氤氳柔弱,渾如元氣孕內。人存心仁厚,篤摯。如穀種之敦化,宜樽養愛護。不宜摧殘,既怕旱又怕澇。喜雨陽時若,火土溫和為妙劑也。體用有戊寅相逢無人不發。倘旱澇相侵,刑沖迭見。即失中和之位,育至參觀時令。尤吃緊法門。喜木丙火戊土微雲細雨溫和恬養運,忌甲木庚金旱澇刑沖戰鬥運。
진흙에 싹튼 나무이다. 세상이 양의 기운을 갓 바뀌어,만물이 껍질을 벗게된다. 아직 기운이 약하여, 생명의 기운이 속으로 잉태된다. 사람은 仁의 마음으로 경건해야한다. 싹이 트게되면 잘 살펴야한다. 함부로 꺽어서는 안된다.물이 적거나 물이 많아도 안된다. 비와 햇살이 적당해야하고, 火土가 따뜻해야 좋은 작용을 한다. 戊寅을 만나면 성공한다. 가뭄과 홍수가 교차하고, 형충이 함께 있으면 중화를 잃게된다.을축을 기르기 위해서는 계절에 맞게 조치들을 취해야한다. 목과 병화 무토와 작은 구름(기토)이슬비(계수)를 좋아하고,따뜻하게 길러주는 운을 좋아한다. 갑목과 경금을 싫어하고,가뭄과 홍수, 형충을 싫어한다.
<日元確論>乙丑:
此沾土初芽之木也,二陽已長。萬象解甲,氤氳元氣之中,人必存心仁厚,最宜遵養愛護。不宜輕折摧殘。既怕旱,又怕澇。喜雨陽時若,火土溫和,是其妙境也。從來體用,有戊寅相逢,無人不發。倘旱澇交浸,刑沖疊見。即失中和之道。參觀時令。又是吃緊法門,大約喜見乙木丙火戊土,得微雲細雨之養,忌甲木庚金,大旱大澇,及刑沖克戰運。
진흙에 처음 싹튼 나무이다. 양의 기운이 이미 자라서 만물이 껍질을 벗을 때이다. 힘찬 기운이 가득한 때이므로, 사람은 반드시 마음에 仁의 덕목을 다져,(을목을) 잘 키워야한다. 가벼이 꺽어서는 안된다.가뭄을 두려워하고, 홍수는 더욱 싫어한다.비가 햇살이 적당하고, 火土가 따뜻하면 가장 좋다.戊寅을 만나면 발전한다. 가뭄과 홍수가 거듭되고,형충이 겹치면중화를 잃게된다. 때에 알맞게 조치들을 취해야한다.을목 병화 무토를 반기고, 작은 구름(기토)과 이슬비(계수)를 반긴다.갑목과 경금을 싫어하고, 가뭄과 홍수를 싫어하고 형충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乙丑為沾土初生之木。最喜雨陽時若,火土溫和。倘旱澇交浸,刑克壘見。则倾折推残。
을축은 진흙에서 막 싹튼 나무이다. 비와 햇살이 적당한 것을 좋아한다.화토가 따뜻해야한다. 가물과 홍수가 거듭되고,형극이 겹치면, 을목은 쓰러지고 꺽여버린다.
乙卯
<格物至言>乙卯:
秀實祿品之木也。黍稷稻麥谷栗之類。不惟玩目抑且充饑。祿食有餘。珍重可愛。加以財官印綬相護,當貴無疑。即參以食傷吐氣,亦為豪傑。最怕酉衝子刑,尤怕甲劫辰害。喜辛金乙木水火土以護。忌庚金甲木辰子酉以傷。
알곡이 달린 나무이다. 벼나 기장 보리 좁쌀 같은 종류이다.보기에 좋고 허기를 채울수있다.재물이넘치고 소중한 것이다. 재관인이 함께 있으면 벼슬에 오른다.식상으로 기운을 뿜어내면 호걸이다.유금의 충과 자수의 형을 싫어한다.갑목겁재를 싫어하고, 진토가 害하는 것을꺼린다.辛金 乙木 화수토를 좋아한다. 경금과 갑목 진토 자수오아 유금을 싫어한다.
<日元確論>乙卯(專祿):
此禾黍秀寔祿品之木也。不惟可以悅目,抑且可以充饑。祿食有餘,珍重可愛。加以財官印綬相護。不問而知其富貴。即參以食傷吐氣。亦不問而知其豪傑。最怕酉衝子刑。尤怕甲劫辰害。喜行辛金乙木水火土以護之。忌行庚金甲木申子酉以傷之。
기장이나 벼 같은 알곡이 열리는 나무이다. 보기좋고 또한 허기를 채울수있다.재물이 넘치고,재관인이 함께 있다면 부귀하게된다. 식상으로 기운을 뿜어내면 호걸이 된다.유금의 충과자수의 형을 싫어한다. 갑목 겁재를 꺼리고 진토가 害하는 것을 싫어한다.辛金,을목, 수화토를 반긴다.경금,갑목 申子酉를 보면 상처를 입는다.
<生成造化>
乙卯為稷黍秀實之木。食祿有餘,珍重可愛。喜財官印綬相護,及食傷吐氣。忌酉衝子刑,甲劫辰害。
을묘는 기장이나 피 같은 알곡이 열리는 나무이다. 재물이 넘치고,소중하게 다루어야한다. 재관인수가 함께 있거나 식상으로 기운을 뿜어내는 것이 좋다.유금이 충하거나 자수가 형하는 것을 꺼린다. 갑목은 재물을 빼앗고,진토는 害의 작용을 한다.
乙巳
<格物至言>乙巳:
倒插花卉之木也。安南秧可參此論。喜庚壬相湊無人不發。必科第參天。大抵敗而後成之木。要泥漿深埋,庚壬重襯。庶幾安穩易生。若遇一陽初複更易生,最怕刑沖枯燥。牛羊摧殘。一沖即死,有搖亦枯。不沖不搖,雖無庚壬,只有酉醜相會,亦可托根延生矣。喜金水湿泥会己,忌木火燥土冲巳。
옮겨심는 화초 같은 특성을 지닌 나무이다. 베트남에서 모심기하는 것 같은것이다.경금과 임수를 함께 보면 발전하고 과거에 급제한다. 대체로 한번 실패한후에 다시 일어서는 나무이다.습한 땅에 깊게 뿌리를 내려야하는데경금과 임수가 도우면 쉽게 살아난다. 일양(一陽)이다시 생겨나면 살기가 쉽다.형충파해와 건조한것을 싫어한다.소(丑)나 양(洋)이 짓밟는 것을싫어한다.충을 하면 죽고, 흔들려도 나무가 마른다.충과 흔들림이 없으면, 비록 경금과 임수가 없다해도,사유축합만으로도 뿌리를 내리고 살아갈수 있다.金 水의 젖은 흙을 좋아고 목화와 마른땅을 싫어한다.
<日元確論>乙巳:
倒插花瓶之木也。其木喜庚壬相湊。無人不發。亦必登科。大抵敗後複成之木。必要泥漿深埋。庚壬重襯。庶幾安穩易生。若遇丙丁一陽來複。更為易長。最怕刑沖枯燥。牛羊踐履。一沖即死。有搖亦枯。不沖不搖。雖無庚壬。但有酉醜相會。亦可以托根延生矣。喜金水溫土會巳。怕木火燥土冲巳。
꽃병에 꽂은 나무이다.경금과 임수를 함께 보면 발전하고 과거에 급제한다.대체로 한번 실패후에 다시 성공하는 나무이다. 땅속에 깊이 심어야한다.경금과 임수가 도우면 쉽게 살아나다. 병정화중 하나가 돕는다면 잘 자란다.형충파해와 건건조하고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 소(丑)나 양(未)이 밟는 것을 싫어한다.충을 받으면 죽는다.흔들려도 나무가 마르게된다.충도없고 흔들림도 없어야한다.경금과 임수가 없다면 유금축토가 삼합한다면 뿌리를 내려 생명을유지할수있다.金水의 습한 땅을 좋아하고, 목화와 건조한 땅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乙巳為倒插花瓶之木。要泥漿深埋,庚辰重襯。庶幾安穩易生。若遇一陽初複更妙。一沖則死。有搖亦枯。得庚相湊則發。
을사는 화병에 꽂아놓은 꽃과 같은 나무이다. 습기있는 땅에 깊게 심어야하고,庚辰이 도우면잘 자란다. 일양이 다시 돌아오면 더욱 좋다.충을 하면 죽고, 흔들려도 나무가 마른다.경금을 얻으면 발전한다.
乙未
<格物至言>乙未:
藤蘿施架之木也。柔順蔓延,人多委靡不振。喜高架相護。始得挺承雨露。故有架,即沾君恩。無架終淪塵埃。高架維何? 寅亥甲木是也。四柱無架,行運遇沖。不但名利敗壞,亦有性命之虞。喜甲乙寅亥火土旺氣運,忌庚辛巳申午未庫墓運。
다른나무에 기대어야하는 나무이다. 유순하고 잎이 많으면 삶이 평범하다.높은 가지에 의지해야 비가 이슬을 맞게된다.기댈 나뭇가지가 있다면 임금의 은총을 입는다. 그렇지않으면평범한 삶이된다. 인목 해수 갑목에 의지해야한다.사주에 기댈 언덕이 없는데 운에서 충을 만나면 벼슬 재물이 손상될 뿐아니라 목숨마저 위태롭다. 갑을인해와 화토가 왕한 운으로 가는것이 좋다. 庚辛巳申午,未墓庫운은 좋지않다.
<日元確論>乙未:
此藤蘿施架之木也。柔順蔓延。人生多委靡不振。最喜高架相護。始得挺承雨露。故有架即沾君恩。無架終落塵埃。高架維何,寅亥甲木是也。若四柱無架,行運遇沖,不但名利俱壞。即命亦慮。其難全也。喜行甲乙寅亥火土吐氣之運。忌行庚辛巳申午未墓库运之运。
다른 나무에 기대어 사는 나무이다. 유순하고 잎이 무성하면 삶이 평범하다.높은 나뭇가지에 기대는 것이 좋다.그러면 비와 이슬을 받게된다.기댈 언덕이 있다면 임금의 은총을 입게된다. 기대언덕이 없으면 평범하다.기대언덕은 인목 해수 갑목이다. 사주에 의지할 나뭇가지가 없거나,있다해도 운에서 충을 당하면 벼슬이나 재물을 얻을수 없고, 목숨이 염려되고,온전치 않다. 갑을목 인목 해수를 만나거나 화토의 기운을 만나야한다.庚辛巳申午,未墓庫운은좋지않다.
<生成造化>
乙未為藤蘿施架之木。最喜寅亥甲木高架相支。始得挺承甫露。沾君恩叼帝眷。富貴不凡。不然則淪委塵土矣。
을미는 다른 나무에 기대는 나무이다.인목 해수 갑목에 기대는 것을 가장 좋아한다.그러면발전한다. 윗사람의 은총을 입게된다.부귀가 대단하다.그렇지않으면평범한 삶이다.
乙酉
<格物至言>乙酉:
盆花奇馥之木也。清新馨秀,可供帝玩。若干有財官印綬,支無刑沖破敗。必鑒賞多而廷獻易。因春夏秋冬之時令,任金木水火土之酌取。無甚利害相關。只怕午亥運,午破酉,亥刑酉。英華即散,更知乙酉為官為利有權殺。生子養子無終局。喜酉时,护酉之五行,忌午亥破劫之运。
화분에 심은 향기로운 꽃이다. 그 모습이 깨끗하고 향기로워 임금에게 바쳐져,임금이즐거워한다.재관인이 있고 형충파해가 없다면 많은이들이 즐기고 임금에게 바칠것이다.춘하추동 사계절 어떤 오행도 마다하지않는다.오직 午亥운을 꺼린다. , 午破酉,亥刑酉를 하면 꽃이 흩어진다. 을유는 관이 재물과 권력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자식을 낳거나 양자를 들여도좋은 결실을 맺지못한다. 酉時를 반긴다.유금을 보호하는 오행을 좋아한다. 午 亥의 운을 싫어한다.
<日元確論>乙酉:
此盆花奇馥之木也。清新馨秀。可供帝玩。若干有財官印綬。支無刑沖破敗。必有鑒賞者矣。但怕行亥午之運。午破酉,亥刑酉。英華一散。焉能有壽。不論秋冬春夏,與水火木金。都不甚關利害。乙酉為官為利有權煞,生子養子終不好。喜酉时护酉之五行,忌午亥破劫之运。
화분에 심은 향기로운 꽃이다. 그모습이 깨끗하고 향기로워,임금에게 바쳐져 임금이 즐긴다. 약간의 재관인이 있고,형충파해가 없다면 반드시 꽃을 감상하는 사람이 있을것이다. 亥 午의 운을 꺼린다.午破酉,亥刑酉하게 되면 꽃잎이 흩어지니,어찌 장수하겠는가?춘하추동 사계절 목화목금을 가리지않는다.을유는 관으로 재물과 권력이 되지만,자식은 친자식 양자 모두결과가 좋지않다. 酉時와 유금을 보호하는 오행을 반기고,午 亥의 운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乙酉為盆花奇馥之木。清新馨秀,可供帝玩。若干有財官印綬,枝無刑沖破敗。則監賞多而廷獻易。最怕午破酉,亥刑酉。精华即散。
을유는 화분에 심어진 향기로운 꽃이다. 그모습이 깨끗하고 향기로워 임금에게 바쳐져 임금이 감상할 만하다.
乙亥
<格物至言>乙亥:
木上寄生之木也。從死處再生,須有依附而行。人多是移花接木,或晚子支庶。最要劫星安穩,而功名富貴。自可意外奇逢。若甲萎亥沖,即夭折分離矣。喜生扶及甲乙卯未寅亥相合,忌刻剝及申酉巳亥相沖運。
을목은 다른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이다. 죽었다가 살아나니 의지가 있으면 좋다.다른집에 양자로 가거나 늙어서 첩에게서 자식을 얻는다. 겁재가 안정된 상태라면 부귀공명을 얻는데 의외의 경사스런 일이 있다.갑목이 마르고 해수가 충을 당하면 요절하거나 집을 떠난다. 생부를 좋아하고,甲乙卯未,寅亥합을 반기고, 申酉와 巳亥相冲运을 꺼린다.
<日元確論>乙亥:
乙木逢死,此木上寄生之木也。從死處再生,便須依附而行。領此日者,多是移花接木,或晚生庶出。最要甲木劫星安穩。則功名富貴,自可意外遭逢,若得太陽相照,或丁火溫和。皆能享自然之福。如甲萎亥沖,不問而知其夭折分離矣。喜行生扶及甲乙寅卯未亥相會之運。忌行克剝及酉申巳亥相沖之運。
을목이 12운성상 死를 맞으니,이 나무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이다. 즉었다가 살아나니,누군가에 의지해야한다.이날에 태어나면 다른 집으로 양자를 가거나 늙어서 첩에게서 자식을 얻는다.갑목을 만나면 편안하고, 공명과 부귀를 누린지만 의외의 재난이 있을숭있다.만약 태양이 비추거나 정화가 따뜻하게 한다면 복을 누린다.
갑목이 시들고 해수가 충을 당하면 요절하거나 어려서 집을 떠나게 된다.생부를 좋아하고,甲乙寅卯未亥를 만나면 좋다. 酉申운과 巳亥相冲운을 꺼린다.
<生成造化>
乙亥為木上寄生之木。從死處再生,乃有依附。領此者,俱是移花接木。或甲萎巳沖。晚生庶出。分離刻剝,最要劫星安穩,意外奇逢。
을해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이다.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니 다른 나무에 의지해야한다. 이날에 태어나면 다른집에 양자로 간다.갑목이 시들고 巳의 충을 받으면 부모가 늦게나은庶出이다.갑목과 분리되면 힘들다.갑목이 안정되어 있으면 의외의 경사가 있다.
格物至言-總論丙火
<格物至言>丙:
陽火太陽之光。不因春夏秋冬而論強弱。只可分晝夜而論生息。晝生人,要行健自強不息。夜生人,須恬靜至誠無息。合則得體得用。離爲失體無用。再察太陽晝生,未遇辰不嫌其弱。夜生未遇戌。還論其強。故卯生人雖丙辛妒合不妨。酉生人雖焚膏繼晷亦不妨。
병은 양의 성격을 지닌 불로 태양빛이다. 계절에 따른 강약을 논하지않는다.오직 밤낮에 따른 차이를 구분한다. 낮에 태어나면 굳세고 스스로 노력하는성향이 있다.밤에 태어나면 고요하지만 성실하다.합을 만나면 체용을 갖추고, 합이 깨지면 체용을 잃게된다.병화가 낮에 태어나면 진토를 만나면 약하고,밤에 태어난 병화는 술을 만나면 약해진다.
<日元確論>丙支有六:
丙火屬陽,乃太陽曦光之火。不可因春夏秋東而論強弱。但分晝夜,而論生息。如晝生人,最要行健,夜生人最要恬靜。合則體用兩全,離則體用兩失。再察太陽,晝生未到辰時,尚不嫌弱。夜生未到戌時,還要論強。故卯時生人,雖丙丁姤合而不妨。酉時生人,雖焚膏繼晷。而亦不害。後论参前论,诚不易之理也。
병화는 양에 속하고, 태양처럼 밝게 빛나는 불이다.계절에 따른 강약을 논하지않는다. 단지밤낮에 따른 기운을 구분한다.낮에 태어나면 강건해야하고, 밤에 태어나면 오히려 안정되어야한다. 이러한 이치에 맞으면 체용이 온전하고, 이치에 맞지않으면 체용이 쓸모없다.병화가낮에 태어난 경우, 辰時이전에는 약한 것을 꺼리지 않는다. 병화가 밤에 태어난 경우라도, 戌時이전에는 강한 것으로 본다.묘시생의 경우, 병정이 함께 있더라도 무방하다.유시생은여전히 뜨겁더라도 해가 되지않는다. 이것을 참조하여 각 일주별로 다시 살펴보는 것이 좋다.
<生成造化>丙干總論:
丙火猛烈。欺霜侮雪。能斷庚金,逢辛反怯。土眾成慈,水猖顯節。虎馬犬鄉,甲來成滅。丙火明明一太陽。原從正大立綱常。江湖死水安能克。惟怕成林木作殃。丙屬太陽。不論春夏秋冬而分強弱。只以晝夜而定生息。如晝生,喜行健自旺。夜生,宜恬靜養晦。夫遇辰戌,尚不可以卯酉區分晝夜也。故卯生人雖丙辛妒合不妨,酉生人焚膏繼晷不妨。
병화는 성정이 맹렬하다. 서리와 눈을 업신여기고,경금을 자를 수 있지만 신금을 만나면 오히려 겁을 낸다. 토가 많으면 자비로운 성품이 되고,수가 많아도 절조를 드러낸다.인오술이있는데 갑목을 만나면 그 존재가 사라진다.병화는 밝은 태양이다. 원래 바르고 크게 원칙을세운다. 강호의 사수(死水)는 극하지 못한다. 오직 갑목이 많으면 재앙이 된다.병화는 태양에 속한다. 사계절에 따라 강약을 구분하지않는다. 다만 밤낮에 따라 강약을 구분한다. 낮에태어나면 강건하고 왕한 것을 반긴다.밤에 태어나면 안정되고 고요한 것이 좋다. 진토 술토를 기준으로 주야를 구분하지, 묘유를 기준으로 주야를 구분하면 안된다. 묘시생은 丙辛투합도 무방하고,酉시생은 여전히 뜨겁더라도 무방하다.
丙子
<格物至言>丙子:
日入咸池也。沐浴斯池,精液充足。夜生更得其体。晝生則減半矣,夜生會申辰亥丑,更爲上乘。晝生必遇東南寅卯巳午未方爲有用。但生此日者多耽女色,易亂其性。不可不戒。晝生強健,喜木火土運。夜喜靜息金水運。
병화가 함지에 든것이다. 연못에서 목욕을 하고,기운을 채운다. 밤에 태어난 경우,충분히 기운을 얻지만, 낮에 태어나면 기운이 절반 밖에 되지않는다.밤에 태어나 申辰亥丑를 보면 더욱 좋다.낮에 태어나 동남 寅卯巳午未 운으로 가면 좋다. 이날 태어난 사람들은 대체로 여색을 밝혀 성품을 어지럽힌다.경계하지않으면 안된다. 낮에 태어나면 그 성품이 강건하므로 목화토운이 좋다.밤에 태어나면 고요하게 쉴수있는 金水運을 좋아한다.
<日元確論>丙子:
此日浴咸池也。精炎隱曜。夜生更得其體。如晝生則減半矣。夜生者,能會西北申辰亥丑。便爲上乘。晝生者,必遇東南寅卯巳午未,方爲有用。但生此日者,多耽於女色。易亂其性,不可不知所戒,晝喜行木火土運,夜喜行金水運。
해가 함지에서 목욕을 하는 것이다. 태양이 광채를 숨기고 있다.밤에 태어나면 그 특성을 충분히 얻는다. 낮에 태어나면 그 특성을 반만 얻는다. 밤에 태어나면,서북 申辰亥丑을 만나면 더 좋다.낮에 태어나면, 반드시 동남寅卯巳午未 운으로 가야 쓸모가 있다. 단 이날 태어난 사람을 여색을 탐하여 그 성품을 어지럽게 하므로,경계해야한다. 낮에 태어난 경우 목화토운을 반긴다. 밤에 태어난 경우,금수운을 반긴다.
<生成造化>
丙子爲沐浴咸池。夜生喜全西北。又曰申辰亥丑便爲上乘。晝生人遇東南寅午巳卯未方,爲有用。
병자는 함지에서 목욕하는 것이다. 밤에 태어나면 서북운을 반긴다.申辰亥丑이 더욱 좋다. 낮에 태어나면 동남 寅午巳卯未가좋다.
丙寅
<格物至言>丙寅:
日生陽穀也。勃勃升殿。氣淩萬夫。晝生會午更表英雄。夜生逢亥始葆元氣。最怕申馬沖馳,無端驚動。晝喜會刃舒配,夜忌沖馬去留。
병인은 계곡에서 해가 뜨는 것이다. 힘차게 떠 오르니 세상의 누구도 막을수 없다.낮에 태어나고 午가 있다면 영웅의 모습이다. 밤에 태어나면 亥가 있으면 기운이 조화된다.申 역마가충하는 것을 꺼린다. 충을 당하며 까닭없이 놀라게된다.낮에 태어나면 刃이 있는 것을 반기고, 밤에 태어나면 역마가 충하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丙寅(長生):
此日升陽穀也。太陽升殿。氣概可淩萬夫。如晝生人會午更表英雄。夜生人會亥,始葆元氣。最怕者,申馬沖馳。無端驚動。晝生人喜會刃,夜生人忌沖馬。
계곡에 해가 뜨는 것이다. 태양이 뜨는것이다.기개를 어느 누구도 막을 수 없다. 낮에 태어나 午가 있다면 영웅의 모양이다.밤에 태어나 亥가 있다면 기운이 조화롭다. 申역마가 충하는 것을 가장 꺼린다.까닭없이 놀라게된다. 낮은 인(刃)을 반기고, 밤은 역마가 충하는 것을꺼린다.
<生成造化>
丙寅爲日升陽穀。晝生會午更表豪雄。夜生逢亥始葆元氣。最怕申馬沖馳,無端驚動。
병인은 해가 계곡에서 뜨는 것을 말한다. 낮에 태어나 午가 있다면 영웅의 자태이다.밤에 태어나 亥가 있다면 기운이 조화롭다. 申 역마가 충하는 것을 꺼리는데,충하면 몹시 놀랄 일이있게된다.
丙辰
<格物至言>丙辰:
日經天羅也。到此氣息有一番淹滯。人多混沌,主意遊移。晝生要干支上,眾陽扶起。則不墮天羅。夜生要上干有食傷透露。下支有申子會合。則不觸天羅,倘晝日陰曀,夜夢驚醒。則不中和。便非好命,便恐不善終。晝喜發強剛毅,夜喜靜息寧謐。
태양이 천라를 지나는것이다. 이때 기운이 잠시 움츠러든다.사람들은 대체로 혼란스러워하므로 함부로 다니면 안된다. 낮에 태어나면 양(陽)의 성격을 지닌 지지들이 도와줘야 천라에빠지지않는다. 밤에 태어나면 천간에 식상이 드러나거나 지지에 申子가 있으면 천라에 빠지지 않는다.낮에 태어난 경우, 구름이 있고 어둡다면 밤에 꿈이 많고 잘 놀란다. 중화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좋은 명이 아니다. 편안하게 죽지못한다. 낮에 태어난 사람은 강건한 것을좋아한다. 밤에 태어난 사람은 안정된 것을 좋아한다.
<日元確論>丙辰:
此日經天羅也。太陽到此,微有淹滯。人領之,有蒙昧瞞旰之象。須遇寅、巳、午。眾陽扶起。則不墮天羅。夜要透戊,己食傷。支有申子會合。則不觸天羅。倘晝生陰曀而遇壬癸。夜生不見土德。必主少壽。便非好命,此日又名日德。得之者长存厚道。
태양이 천라를 지난다. 태양은 여기서 잠시 힘을 빼앗긴다.사람에 비유하자면 어리석고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사람과 같다. 반드시 寅巳午같은 화의 기운으로 도와야 천라에 떨어지지 않는다. 밤에 태어나면 戊己토 식상이 있어야한다.지지에 申子회합이 있으면 천라에 해당되지않는다. 만약 낮에 태어났는데 병화의 힘이 약하고 임계수를 만나면 좋지않다.밤에 태어난경우, 토가 없다면 수명이 길지않아 좋은 명이라 할수없다.이날은 일덕(日德)이라 하는데. 오랫동안 복을 받는다.
<生成造化>
丙辰爲日經天羅。氣息有一番淹滯。晝生要眾陽扶起。夜生要干透食傷,支會申子,方不墮觸。倘晝生陰霾,夜夢驚醒。失其中和矣。
병진은 해가 천라를 지나는 것이다. 태양의 기운이 잠시 정체되는 것이다.낮에 태어난 경우는 양의 기운을 더해줘야 한다. 밤에 태어난 경우는 식상이 천간에 있고 지지에는 申子가 있어야 천라에 빠지지 않는다. 낮에 태어난 경우,구름이 많고 안개가 끼었다면 밤에 꿈이 많고 잘 놀란다. 중화를 잃었기 때문이다.
丙午
<格物至言>丙午:
日麗中天也。羊刃轟烈人多太剛,主刑妻之災。左右支柱,稍得金水。方成既濟。若加炎燥,難享全福。晝生喜金水運,夜生忌木火土羊刃重逢運。
해가 중천에 걸린것이다. 양인이 사람을 너무 강하게 만드니 처를 극할 수 있다. 좌우로 금수가 있다면 조화를 이룬 모습이 된다. 좌우로 화가 있다면 복을 누리기 어렵다. 낮에 태어난 경우 금수운이 좋다. 밤에 태어난 경우, 목화토와 양인이 거듭되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丙午(旺、刃):
此日麗中天也。羊刃甚烈。威焰逼人。人領之,性主太剛。妻宮亦有刑克。左右支柱。稍得金水方成既濟。若加甲乙丙丁炎燥。難享全福。喜行金水運。忌行火土,并忌羊刃重逢。
해가 중천에 걸린것이다. 양인의 특성이 강하다.불꽃이 사람들을 힘들게 한다. 이날 태어난사람은 성격이 매우 강하다.처궁을 형극하게 된다 좌우로 금수가 있다면 조화를 이루게된다. 만약 갑을 병정이 있어 화염을 더하면 복받기 어렵다.금수운을 반기며 화토를 꺼린다. 양인이 다시 오는 것도 꺼린다.
<生成造化>
丙午爲日麗中天。威光赫奕。得左右枝柱金水相扶。方成既濟。若加炎燥難享全福。
병오는 해가 중천에 걸린 것이다. 불꽃이 매우 강한것이다.좌우로 금수가 도와야 조화를 이룬다. 불꽃이 더해지면 복받기 어렵다.
丙申
<格物至言>丙申:
玉照崑侖也。下有岷山澠池。太陽到此與水相蕩觸爲紅霞。蓋晡而未暮,弱而無力。所謂丙臨申地火無煙也。夜生猶喜恬息相安。晝生再無前後扶起。必然多學少成始勤終怠。更有夭折之患。紅霞晚照雖榮不久。人之光景亦是恍惚。
喜行木火土忌金水陰曀運。
아름다운 햇살이 곤륜산을 비춘다. 아래에 민산과 승지가 있다.태양이 이곳에 오면,물과 어울려 붉은 노을이된다. 申시는 해가 아직 저물지않았지만. 태양의 힘은 약하고 힘이 없다. 병이 申에 이르면 불은 더 이상 연기를 내지않는다.밤에 태어나면 안정되고 편안한 것을 좋아한다. 낮에 태어난 경우,생부(生扶)가 없다면 많이 배워도 크게 이루지 못한다. 처음에는부지런해도 나중에는 게으름을 피운다. 또한 요절의 우려가 있다.저녁 노을이 밝게 비춘다해도 오래가지는 않는다. 사람의 모습도 잠시 반짝할 뿐이다.
<日元確論>丙申:
此日照崑侖也。崑侖之下有岷池。太陽到此,與水相蕩。觸爲紅霞。蓋晡而將暮。弱而無力。所謂丙臨申位火無煙也。如夜生猶喜恬息。晝生必待生扶。不然多學少成,始勤終怠。更有夭折之患。從來紅霞晚照,雖榮不久。人領斯造。其光景亦然。喜行木火土,忌行金水。
해가 곤륜산을 비춘다. 곤륜산 아래큰 연못이 있다. 태양이 여기 오면 연못의 물과 서로 어울려 노을이 된다.申시는 해가 지려는 시간으로 화가 약하고 힘이 없다. 병화가 申에 이르면 연기가 나지않는다.밤에 태어나면 안정된 것을 좋아한고, 낮에 태어난 경우 목화로 생부하는 것을 좋아한다.그렇지않으면, 많이 배워도 크게 이루지못하고, 처음에는 부지런해도 나중에는 나태해지며,더욱이 요절의 우려가 있다. 저녁노을이 붉게 물든다 해도오래가지는 않는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화토운을 반기고, 금수운을 꺼린다.
<生成造化>
丙申爲日照崑侖。崑侖之下有泯池。太陽至此與水相蕩。所謂丙臨申位火無煙是也。夜生尤喜恬息相安。晝生若前後無輔,決然多學少成。從來紅霞反照雖榮不久。
병신은 해가 곤륜을 비춘다. 곤륜산아레 큰 연못이 있다.태양이 여기에 이르면 수와 어울린다. 병화가 신에 이르면 연기가 나지않는다고했다. 밤에 태어나면 안정되고 편안한 것을 좋아하며, 낮에 태어난 경우 앞뒤로 도와주는 것이 없다면 많이 배워도 성취가 작다. 노을이비춘다 해도 오래 가지는 않는다.
丙戌
<格物至言>丙戌:
日入地网也。旦晝濁氣未淨。暮夜清氣未湛。太陽到此困迍極矣。人多晦倦暴躁。晝生要支柱有寅午加一番振頓。夜生要支柱有亥子成一段寧息。若晝無振頓之權。夜無寧息之體。其人無甚出頭處。晝生喜木火寅午戌運。夜生喜金水亥子丑運。
해가 땅속(地网)으로 들어간다.낮의 탁한 기운은 아직 정화되지않고, 저녁의 맑은 기운은 아직 깊지않다. 태양이 이시간에 이르면 지치고 힘든상태이다. 사람들도 대체로 분별력이 없고, 피곤하고,거칠고, 성급하다.낮에 태어나고 지지에 寅午가 있다면 크게 성공한다. 밤에태어나면 亥子가 있다면 평온한 삶을 살게된다. 낮에 태어나 인오가 없으면 발전하기 어렵고, 밤에 태어난경우,해자가 없다면 편안한 삶이 되기 힘들다. 낮에 태여나면 목화 인오술운을 반긴다.밤에 태어난 경우 금수 해자축운을 반긴다.
<日元確論>丙戌:
此日入地網也。旦晝之濁氣未淨。暮夜之清氣未澄。太陽到此,困盹甚矣。人領之,多晦倦暴燥。晝生者,支柱有寅午。加一番振作。夜生者,支柱有亥子,成一暇寧息。若晝無振作之權。夜無寧息之體。恐難出人頭地。晝喜木火寅午戌。夜喜金水亥子丑。至於失中又當再酌。
해가 땅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 시간대는 낮의 탁한 기운이 아직 정화되지않았고, 저녁의 맑은 기운은 아직 깊어지지 않은 때이다. 태양이 여기에 오면 매우 지친 상태가 된다.사람들이 이 기운을 받고 태어나면 분별력이 없고, 피곤하며,거칠고 급하다. 낮에 태어나고 寅午가 있다면 한번 크게 성공한다.밤에 태어난 경우 亥子가 있다면 한번 성공을 한다. 낮에태어나 인오가 없으면 발전하기 어렵고, 밤에 태어난경우,해자가 없다면 편안한 삶이 되기힘들다. 두각을 드러내기 힘들다.낮에 태어나면 목화 인오술운을 반긴다. 밤에 태어난 경우금수 해자축운을 반긴다.어떤 경우에 해당하는지, 균형이 어떠한지를 잘 살펴야한다.
<生成造化>
丙戌爲日入地網。困迍甚矣。晝生不加寅午整頓。夜生不會亥子寧息。則其人終無發達。
병술은 해가 땅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매우 지친 상태이다.낮에 태어난 사람은 寅午가 있어야 발전한다. 밤에 태어나면 亥子가 없다면 삶이 평온치 않다.밤낮에 따른 구비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삶이 발전할 수 없다.
<格物至言>丁:
丁陰柔傳燈之火。可親可炙。或取於樹或取於石或取於引化。喜就燥不就濕。喜夜不喜晝。易引於乾柴。難生於濕木。甲用一二,乙其全需。癸實難堪。壬为最好。
정화는 작은 등잔의 불과 같다. 주변사람들을가르치는 것과 같다. 나무에서 불을 얻을수 있고,부싯돌을 통해 얻기도 한다.건조한 것을 좋아하고 습한 것을 싫어한다. 밤을 좋아하고 낮을 싫어한다.마른 장작에는 불이 붙기 쉽고, 젖은 나무에는 불을 지피기 어렵다.갑목의 경우갑인 갑오 등은 불을 피우기 적당하나, 갑신 갑자 등은 불을 붙이기 어려울수있고, 을목의경우 어떤 일주라도 관계없다. 癸수는 분명 감당하기 어렵고,壬수는 가장 반긴다.
<日元確論>丁支有六:
乙乃丁火嫡母,壬爲丁火正官。故曰抱乙而孝,合壬而忠。非若他干,必須正印傷官也。
丁火屬陰,乃陰柔傳燈之火。可親可炙。或取於樹,甲乙。或取於石,庚。或取於引化,壬。總喜就燥。不喜就濕。喜夜不喜晝。易引於乾薪。難生於濕木。甲喜其透,乙喜其全。癸实难堪,壬为最好。
을의 정화의 친모와 같다. 임수는 정화의 정간이다.그래서 을목을감싸 (신금으로 부터)보호하니,을목에게 효성 효도하고 , 임수와 합하게되면(목으로 변하여 무토무부터 임수를 보호하니 )충성스럽다.만약 다른 일간이라면 그냥 정인 상관에 지나치않는다.
<生成造化>丁干總論:
丁火柔中。內性昭融。抱乙而孝。合壬而忠。旺而不烈。衰而不窮。如有嫡母可秋可冬。丁火其形一燭燈。太陽相見奪光明。得時能鑄千筋鐵。失令難熔一寸金。
丁乃陰柔傳燈之火。或取於石或取於樹或取於引化。總喜乾燥。不宜濕。喜夜生不宜晝。甲用一二,乙其全需。雖曰癸實難堪。若用神取癸,審其強弱。显著极矣,壬为最好。
정화는 성격이 유약하다. 안은 밝다.을을 감싸고 효도하며,. 임과 합을 하면 충성스럽다.왕해도 거칠지는 않다. 쇠하더라도 궁핍하지는 않다.인성이 있다면 가을 겨울도 힘들지않다. 정화는 그 모습이 촛불과 같다.태양을 보면 그 빛을 빼앗긴다.때에 따라서는 큰 쇠도 녹인다.
정화는 유약한 등잔의 불이다. 경금 같은 부싯돌로 불을 붙힐수 있고, 갑을목으로 불을 붙힐수 있다. 정임합을 통해 불을 얻을수 있다. 건조한 것을 좋아하고 습한 것을 싫어한다. 밤을좋아하고 낮을 좋아하지않는다. 갑일간은 몇 개 쓸수 있고 을일간은 가리지 않는다. 계수는감당하기 어렵다. 계수를 쓰려면 강약을 살펴야한다.정화가 왕하다면 임수가 가장 좋다.
丁丑
<格物至言>丁丑:
鑽激之火也。鑽燧於木利逢甲。激煙於石利用庚。總要火土乾地相逢,遂就燥之性。若投辰丑二庫,落西北二方,無不澌滅。喜庚甲木火土燥運,忌辛水陰庫潮濕運。
나무나 부싯돌로 붙인 불이다.나무에 구멍을 내 불을 붙이기는 갑목이 좋다. 돌로 불씨를만드려면 경금이 좋다.불이 붙으려면 화토와 마른 땅이 필요하다. 건조한 것들을 좋아한다.축토 진토가 있고, 서북방으로 향하면 불이 꺼진다.경금 갑목 화토의 건조한 운을 좋아한다. 신금과(진토 축토같은) 음의 고지,습한 운을 꺼린다.
<日元確論>丁丑:
此鑽激之火也。何謂鑽,鑽燧於木也。利用甲,何謂激,激火於石也。利用庚,或鑽或激。總要火土乾地相逢。庶幾可遂就燥之性。若投於丑辰未庫。落於西北二方。其不漸滅也幾希矣。喜行甲木火土燥運。忌行金水陰庫潮濕運。丑爲金水之庫。丁火至此微甚。再不乾燥。必至渐灭。故不宜行金水运。
나무나 부싯돌로 붙인 불이다. 钻이란 나무에 구멍을 뚫어 다른 나무로 비벼 불을 피우는것이다. 갑목을 쓰는 것이 좋다.激이란 부싯돌로 불을 붙이는 것이다. 경금을 쓰는 것이다.나무로 불을 얻기도 하고, 부싯돌로 불을 붙이기 한다.화토와 마른땅이 필요하다.건조한 특성을 갖는다.丑辰未를 만나고 서방의 운을 향하면 불이 꺼지게 된다. 갑목과 화토의 건조한운으로 가는 것을 좋아한다.금수나 음습한 고지의 운을 싫어한다. 축은 금수의 고지이므로정화는 힘이 매우 약하다.건조한 운으로 향하지 않으면 불이 꺼진다. 금수운을 마땅치않다.
<生成造化>
丁丑爲鑽激之火。鑽燧於木,利用甲。激煙於石,利用庚。總要就火土乾燥。若投辰丑兩庫,西北二方,則丁火之光滅矣。
정축은 나무나 부싯돌로 지피는 불이다. 나무에 구멍을 뚫어 불씨를 얻으려면 갑목이 좋다.부싯돌로 불을 붙이려면 경금이 좋다. 화토의 건조한 운으로 가야한다.진토 축토가 있을 경우, 서방으로 향하면 정화의 빛이 꺼진다.
丁卯
<格物至言>丁卯:
木屑香煙也。喜壬黏合,則香達帝都。名正官合來,滿面春風。不難富貴利達,若無壬水,只有癸水。則生滅迭見。不但功名難成,仍恐相激易敗。若無壬無癸,再加火土燥烈則散漫無統。其人悠忽離散矣。喜行金水潮湿,忌木火土乾燥。
톱밥으로 만든 향에서 나오는 연기이다. 임수와 합을 반긴다. 그 향기가 임금사는 곳까지 퍼진다. 정관이 와서 합하면 사방에서 봄바람이 분다.부귀를 얻기 힘들지 않다. 임수가 없고오직 계수만 있다면 성패를 반복한다.공명을 이루기 힘들 뿐 아니라 변동이 심하고 실패한다. 임수 계수가 둘다 없고,다시 화토의 조열한 기운이 가득하면 정묘의 향기가 흩어지고 두서가 없다.사람 역시 그러하다.금수의 습한 운을 반기고, 화토의 건조한 운을 꺼린다.
<日元確論>丁卯:
此木屑香煙也。其火喜壬官粘合。則香氣盤桓。可達之於帝座。名曰,正官。四柱俱喜水土,若逢亥子,亦是生滅迭見。不但功名難成,仍恐相激易敗。若既無壬癸。再加火土燥烈。則散漫無統。倏忽易散矣。喜金水潮濕,忌木火土乾燥。丁用卯中乙木爲嫡母。故宜生不宜傷。苟逢枯燥之鄉,則木焚而香氣失。必用壬來相合。丁壬化木,子能從母,孝子之義也。
톱밥으로 만든 향의 연기이다. 임수 관성이 옆에 있어 합하는 것을 반기며,그 향기가 온천지에 가득해져 임금이 사는 서울까지 퍼진다. 그래서 정관이라 한다.사주에 수와 토를 반긴다. 亥子를 만나면 성공과 실패를 반복한다.공명을 이루기 어렵고, 변동이 심하여 실패한다.임계가 없고 화토가 조열한 기운이 많다면 그 향기가 흩어지고 더 이상 따르지 않는다. 갑자기 흩어지기 쉽다.금수의 습한 기운을 반기며, 화토의 건조한 운을 꺼린다.정이 묘중의 을목을 적모로 삼는데. 을목을 생해야지 극하는 것은 마땅치 않다.만약 건조한 방향의 대운으로 행하게 되면 목이 타버려 향기를 잃게된다. 임수가 와서 합해야한다.정임합하여 목이 되면 자식이 모친을 따르니 효자의 모습이다.
<生成造化>
丁卯爲木屑香煙。其火喜粘合,則香氣盤桓可達帝闕。若無壬有癸,生滅迭見。無壬無癸發散漫,燥烈易於離散。
정묘는 톱밥으로 만든 향기로운 향이다. 합을 반긴다. 합하면 그 향기가 사방에 펴져 임금이사는 곳까지 이른다. 임수가 없고 계수만 있다면 성패를 반복한다.임계수가 모두 없다면 그향기가 흩어지기 쉽다. 조열해도 향기가 흩어진다.
丁巳
<格物至言>丁巳:
燧珠之火也。觸於曦光則炎然可以燎原。若逢陰雨百觸不生,其人功名富貴都從直中取。勿向曲中求。喜生於乙巳丙午丁未三時。則炎燃立見功名易就。非此三時則韜晦無聞再加驛馬沖馳。必是傍人門戶,且不能多壽。喜東南木火土開霽。忌西北金水库墓运。
봉화와 같은 불이다. 밝은 날에는 멀리까지 비추지만 비를 만나면 불이 피지않는다.정사일주는 그 자체에서 부귀공명을 취한다. 엉뚱한 곳에서 취할수 없다.을사 병오 정미의시간을 좋아한다.불꽃이 일어나면 공명을 취하기 쉽다.세가지 시간대가 아니면 불빛이 어둡다. 다시역마가 충하면 좋지않다. 남의 집문을 지키는 사람이 되고, 수명도 길지않다.동남 목화토의운으로 가는 것이 좋다. 서북 금수의 고지(庫地)운은 좋지않다.
<日元確論>丁巳(逢旺):
此燧珠之火也,觸於曦光,則炎光可燎。若逢陰雨,則火氣難生。領此者,具功名富貴。都從直中取得。勿向曲裡求成。故喜誕乙巳丙午丁未三時。則炎燃立見。取功名如拾芥也。若非巳午未時生人。則韜晦無聞,再加亥馬沖馳。必是傍人門戶。且不能多壽矣。喜行東南木火土開霽之運。忌行西北金水墓庫陰曀之運。
봉화와 같은 불이다. 밝은 곳에서 눈에 띄며,그 불빛이 명료하다. 구름이나 비가 있다면 불을 붙이기 어렵다.정사일주는 부귀공명을 누린다. 자기 스스로에게 있으니 굳이 다른곳에서 취할 필요가 없다. 을사병오정미의세가지 시간대를 반긴다. 불꽃이 잘 타올라 공명을 취한다.巳午未 시가 아니라면 빛을 발할 수없고, 亥역마가 와서 충하면 남의 집을 지키는 사람이며 수명도 길지않다.동남 목화토의 운으로 가는 것이 좋다. 서북 금수의 묘고(墓庫)운이나구름끼고 어두운 방향의 운은 좋지않다.
<生成造化>
丁巳爲燧珠之火。觸於曦光,則炎燃可燎。若逢陰雨百觸不生。故炎於乙巳丙午丁未,忌見金水墓庫陰霾運。
정사는 봉화의 불이다. 밝은 곳에서 눈에 띄며 불꽃이 분명하다.구름이나 비가 오면 불을붙이기 어렵다. 을사 병오 정미를시에서 만나면 불꽃이 있다. 금수의 묘고운이나 구름안개가끼면 정사의 불을 보기 어렵다.
丁未
<格物至言>丁未:
灰燼香煙也。火生土土又生火丁未是也。有煙無焰全賴灰土重埋。則耐久不滅人多。混沌含鍔功名不顯。福壽無疆。晝生不見光彩,夜生或德色瑩徹。縱早年困屯多滯。必晚景康寧榮耀。只怕丑沖未免克妻。喜行金水木運。忌火土並沖運。若四柱失中又加酌論。
화로속의 타버린 향과 같다.화가 토를 생하는데 토가 다시 화를 보호하는 것이 정미일주이다 연기는 있지만 불꽃은 없고, 토의 성격을 지닌 재에 크게 의지한다.오래토록 꺼지지않는다. 여러가지가 안에 섞여있어 공명이 크지는 않다.복과 수명은 매우 크다.낮에 태어나면 광채가 나지않는다. 밤에 태어나면 그 색이 밝게 빛난다. 초년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만년에는편안하고 명예롭다.오직 축미충을 꺼리는데 극처를 면치 못한다. 금수목 운을반기고 화토와충의 운을 꺼린다. 사주의 균형이 맞지 않다면다시 살펴야한다.
<日元確論>丁未(逢刃):
此灰燼香煙也,火生土土亦能存火。丁未是也。其火有煙無焰。全賴戊己灰土重埋。則耐久不滅,人領之。多含斂鍔。功名不顯。福壽無涯。晝生不見光彩,利於夜生。早年困迍多端。必至晚景榮耀。老益康寧。只怕丑未沖滅。未免克妻耳。喜行金水木運,忌行火土並沖運。若四柱失中,又加酌论。
타버린 향이지만. (재속에 향이 들어있어)화생토하여 토가 화를 보존하는 경우이다. 정미는연기는 나지만 불꽃은 없다.무기토가 잘 감싸면 오래토록 꺼지지않는다. 정미일주의 사람은 감추는 것을 좋아하여 공명이 크게 드러나지않는다. 복과 수명은 문제가 없다.낮에 태어나면광채가 없지만, 밤에 태어난 경우 초년에는 어려움이 많지만 만년에는 좋다. 나이가 들수록건강하다.오직 축미토가 충하면 불이 사라지고, 극처하게된다. 금수와 목의 운을 반기고, 화토와 충하는 운을 꺼린다.사주과 오행의 균형이 맞지않다면 잘 참작해야한다.
<生成造化>
丁未爲灰燼香煙。火生土,土亦生火。丁未是也。其火有煙無焰。全賴灰土重埋。則延久不滅。領之者主聰明多傲骨。愈晚而愈康宁也。
정미는 화로속의 불과 같다. 화가 토를 생하면 토가 화를 보호해준다.정미의 불은 연기는 있지만 불꽃은 없다. 토의 성격을 지난 재 속에 들어있다.오래가지만 꺼지지않는다. 정미일주는 총명하며 자존심도 강하다.나이가 들수록 건강하다.
丁酉
<格物至言>丁酉:
琉璃燈光也。晶光融徹,夜生分外輝煌。晝生亦抱光自瑩。人多聰明伶俐,榮貴可知。最喜壬水乙木也。所忌癸與甲,求全反毀。尤忌午與卯刑衝破耗。喜乙壬火土金,忌癸甲丙午卯衝破。
유리로 된 등잔이다. 수정의 빛이 밝게 빛난다.밤에 태어나면 밖으로 밝게 빛을 비춘다. 낮에 태어나면 빛을 품고 스스로 밝힌다. 사람이 총명하여 부귀한다.임수 을목을 가장 반긴다. 계수와 갑목을 꺼린다.계수와 갑목이 함께 있으면 불빛이 손상된다. 卯나 午가 와서 형충하는 것을 꺼린다.을목 임수 그리고 화토금을 반긴다. 계수 갑목 병화, 그리고 午 卯가충파하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丁酉(長生):
此琉璃光燈也。其火晶光瑩徹。夜生分外輝煌,晝生亦抱火自瑩。人領之,聰明伶俐,榮華可知。最喜壬水乙木,最忌癸水甲木。若遇午卯刑沖。便多破耗。喜乙壬火土金运。忌甲丙癸冲破运。
유리로 된 등잔불이다. 그 빛이 밝고 아름답다.밤에 태어나면 밝게 빛난다. 남에 태어나면 불을 품고 스스로 빛을 낸다. 사람이 총명하고 영화를 누린다.임수와 을목을 가장 좋아하고, 계수와 갑목을 꺼린다.午 卯가 충파하는 것을 싫어한다. 일목 임수 토금운을 좋아하고,갑목병화 계수가 충극하는 것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丁酉爲琉璃光燈。夜生分外輝煌。晝生亦抱光自瑩。最喜者,壬水乙木也。所忌者,癸與甲。求全反毀。尤忌者午與卯刑衝破耗。
정유는 유리로 된 등잔불이다. 밤에 태어나면 불빛이 밝게 빛난다. 낮에 태어나면 빛을 품고스스로 빛난다. 임수와 을목을 가장 좋아한다.계수 갑목을 꺼린다. 계수와 갑목이 있으면 정유의 빛이 손상된다.午 卯의 충파를 꺼린다.
丁亥
<格物至言>丁亥:
風前蠟燭也。炎光恍惚,第一喜壬官合來。名有罩高燈,可著照四方,可獨行千里。全不怕風雨。定爲正途科第。若無壬亦喜有庚在干,名曰壓鎮在手。可止風息浪,可鎮守邊疆。亦不怕風濤,必武貴轟烈。若無庚無壬悠悠忽忽,難語功名富貴。再加有甲有沖,即貧窮夭折矣。喜行壬庚火土。忌甲癸刑冲。
바람앞의 촛불이다. 불꽃이 흔들린다.먼저 임수 정관과 합하는 것을 반긴다.이를 등갓을 씌운 등이라 한다.사방을 밝게 비추는데 천리나 그빛이 갈수 있다. 비바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장원급제는 정해져있다. 임수가 없다면 경금이 천간에 투간하는 것을 반긴다.한손으로 누른다(일을 능숙하게 처리한다)는 의미이다. 바람을 멎추고 파도를 잠들게한다. 변방을 지킨다.바람과 파도를 겁내지않으니 무공을 크게 세운다. 경금과 임수가 없다면 별 볼일 없다.공명부귀를 논할게 없다.갑목을 만나면 빈곤하고 요절한다. 임수와 경금 화토운을 반긴다.갑목과 계수가 형충하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丁亥:
此風前秉燭也。炎光恍惚。第一喜壬水來合。名曰有罩燈高。可以普照四方。可以持行千里。全然不怕風雨。定有科甲之造。若無壬亦喜有庚在干。名曰鎮壓在手。可以止浪息風可以鎮守邊疆。亦可以不怕風濤,必爲武職之造。苟無庚無壬,則悠悠忽忽。難語功名富貴矣。再加刑沖,貧窮夭折,所不免也。喜行壬庚火土。忌行甲癸刑冲。
바람앞의 촛불이다. 불꽃이 바람에 흔들린다.먼저 壬수 정관이 와서 합하는 것을 반긴다. 등갓을 씌워 높은 곳에 둔 등이 된다.사방을 두루 비추고, 빛이 천리를 갈수 있다.비바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장원급제한다. 임수가 없다면 경금이 천간에 있어야한다. 이를 한손으로천하를 제압한다고 한다.비바람을 멎게하고, 변방을 진압한다.비바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인의 명조이다. 경금과 임수가 없다면 별볼 일없다. 부귀공명을 논할게 없다. 다시 형충을만나면 빈곤하고 요절한다.임수와 경금 화토를 반긴다.갑목과 계수가 만나면 좋지않다.
<生成造化>
丁亥爲風前秉燭。第一喜壬官來合。名爲有罩宮燈。次喜有庚在干,名爲墮鎮在手。若無庚無壬,而有甲有沖,不免貧窮夭折。
정해는 바람앞의 촛불이다. 정관이 와서 합하는 것을 가장 반긴다. 이를 등갓을 씌운 궁궐의등불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경금이 천간에 있는 것을 반긴다. 이를 일러 한손으로 천하를 진압한다고 한다. 경금과 임수가 없는데 갑목이 있고, 충이 있다면 빈곤하거나 요절을 면치 못한다
戊寅
<格物至言>戊寅:
艮山也。靜而不動。取其長生趨艮。氣聚聚生發育無涯。人多博厚弘毅有體。任重道遠有用。再加有食有殺有刃有財富貴福壽。更不可量。若刑衝破耗或有申馬馳驅則減半。喜財官印綬食傷舒配得宜。忌刑衝破耗偏畸失節。
간방의 산이다. 안정되어 있어 움직임이 없다. 간방에서 장생을 얻는다.기가 모이면 생명이자라는데 지장이 없다. 사람의 체격이 좋다.큰 임무를 맡게되나 오랜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 식신 살 양인이 있으면 부귀하고 장수한다.형충파해가 있거나 申역마가 충하면 복이 줄어든다. 재관인식이 고루 있어야 한다. 형충이 있거나 편중된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戊寅(長生)
此艮山也。止而不行,靜而不動。曰艮。取其長生趨艮。氣聚脈生。人領之,有任重道遠之量。再加有食有煞。有刃有財。其富貴福嘖壽考。更不可量。若刑衝破耗,或有申爲沖馳。則減半矣。喜財官印綬食傷,舒配得宜,忌刑衝破耗,偏倚失節。
간방의 산을 의미한다. 멈춰서서 움직이지않는다. 안정되어 움직임이 없다. 그래서 간(艮: 멈춘다)이라고 한다.무토가 간방에서 장생하는 것을 의미한다.기가 모이고 맥이 살아난다. 사람으로 비유하면 큰 임무를 맡아 오랜세월 훈련을 거치는 것과 같다. 식과 살이 있고,양인과 재성이 있다면 부귀하고 장수한다. 형충파해가 있거나 申이 충하면 사방을 떠돌게되어복이 크게 줄어든다.재관인식이 적당하면 좋다. 형충파해를 꺼리고 편중되어 무절제한 것을꺼린다.
<生成造化>
戊寅爲艮山。取其長生趨艮。氣聚脈會。發育無涯。喜殺刃財食。忌刑衝破害及申馬馳驅。
무인은 간방의 산이다. 간방에서 토가 장생한다는 의미이다.기가 모이고 맥이 열린다. 생명발육이 끊임없다.살 양인 재 식을 반긴다. 형충파해를 싫어하고 신申 역마가 날뛰는 것을 꺼린다.
戊辰
<格物至言>戊辰:
蟹象吐穎之山也。水從山腰津津細流。曰如影。所謂淺水長流山不枯是也。其人財庫涵濡終世不窮。再加喬木井闌旭日峭石。自然富貴丕揚。即無此亦不失爲山水流音。可以到處說項。無貧賤之慮。所怕戌來填辰。大失元氣恐有刑傷災晦。喜行金水木申子辰運。忌火土寅午戌運。亦看強弱衰旺再加去留酌取。
게가 물을 뿜는 모습이다. 산허리에 물이 새나와 끊임없이 흘러가는 모습이다. 얕은 물이 흘러 길게 흘러 산이 마르지 않는다. 재물창고가 가득차서 절대 마르지않는다. 교목과 우물 태양 큰 돌이 있으면 좋다. 부귀가 뛰어나다.다 갖추지않아도 산에 물이 소리를 내며 흘러간다.가는곳마다 아름다운 모양이다.빈천할 염려는 없다. 술토가 와서 충해 진토를 짓이기는것을 두려워한다.기운을 크게 다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금수목과 신자진 운을 반긴다.화토와 인오술 운을 꺼린다. 강약과 쇠왕을 살펴(재관인식이)적당히 배치되어야한다.
<日元確論>戊辰:
此象土穎之山也。水從山腰而出。津津細流。如 穎然。所謂淺水長流山不枯是也。蓋辰爲財庫,人領之。可以終身不窮。所怕者。戌來沖辰,大失元氣,恐有刑傷災晦。喜行金水申子辰運。忌行火土寅午戌運。亦看強弱衰旺。再加去留酌取。若生三冬,四柱金水太多。又宜行火土運。
물을 뿜어내는 산이다. 산허리에서 물이 흘러나와 계속 가늘게 흘러간다.샘이 솟는것 같다. 얕은 물이 길게 흘러 산이 마르지않는다. 진토는 재물창고이므로 평생 가난하지않다. 술토가와서 진토를 충하는 것을 꺼린다.크게 원기가 손상되니 온갖 고생을 한다. 금수와 신자진운을 좋아한다.화토와 인오술운을 꺼린다. 강약과 쇠왕을 살펴야한다.적정히 배치해야한다. 겨울에 태어나 금수가 많은 경우, 화토의 운이 마땅하다.
<生成造化>
戊辰爲泉吐穎之山。津津細流。蓋水從山腰出。所謂淺水長流,山不枯。以重財庫之濡也。最怕戌未填辰。大失元气。
무진은 샘이 솟아나는산이다. 끊임없이 가늘게 흘러간다.물이 산등이에서 솟아난다. 얕은 물이 길게 흘러 산이 마르지않는다. 재물창고를 가득 채운다. 술토 미토가 와서 진토를 메우는것을 꺼린다.그러면 크게 원기가 손상된다.
戊午
<格物至言>戊午:
火山也。炎炎燥烈。羊刃特達。人多剛激性氣。易至刑克易成轟烈。不可無殺以制其凶。亦看其太剛激。則用殺。若卑弱不明則用刃以幫身。又不專用殺也。用殺必用食神以制殺。用刃必用印綬以扶刃。酌其強弱配以生扶。文可巡撫武可參鎮。喜五行调剂忌偏畸。
화산이다. 불꽃이 매우 뜨겁다. 양인의 특성이 드러난다.사람의 성격이 거칠다.형극이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살로 그 흉함을 제해야한다. 지나치게 강하고 격하면 살을 써야한다.화가적어 밝지않다면 양인으로 일간을 도와야한다. 살만 쓰면 안되다.살을 쓸 경우 식신이 있어제살해야한다. 양인을 쓴다면 인수가 있어 양인을 도와야한다.강약을 고려하여 생부한다. 문관이라면 순무(巡撫), 무관이라면 참진(參鎮)의 벼술에 오른다. 오행이 고루 갖춰져야 하며편중된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戊午(旺刃)
此火山也。炎炎燥烈。陽刃特達。人領之,性氣剛急。多有刑克,不可無煞,以制其凶。然太剛方用煞。若單弱不明。宜用刃以幫身。又不可專用煞也。更須用食神以制煞。用印綬以扶刃。酌其強弱,配以生扶。文可巡撫,武可參鎮。喜金水木火土調劑。忌金水木火土偏倚。
화산이다. 불꽃이 맹렬하다. 양인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사람의 성격이 매우 급하다. 형극이많은데 살이 없으면 안된다.그 흉함을 눌러야한다. 강함이 지나치면 살을 써야한다.양인이하나면 있고, 무토가 약하다면 지혜롭지않다. 이때는 양인으로 무토를 도와야한다.살(殺)만쓰면 안된다. 오히려 식신으로 살을 제해야한다.인수로 양인을 도와야한다. 강약을 고려하여생부를 결정한다.문관이라면 순무의 벼슬, 무관이라면 참진의 벼슬이 된다.수목화토가 고루있는 것을 반긴다. 금수목화토가편중되는 것을 꺼린다.
<生成造化>
戊午爲火山。炎炎燥烈不可無水以制其凶。若單弱不明,則用刃以幫身。又須酌其強弱配。其中和爲貴。
무오는 화산이다. 화가 지나치면 水로 흉함을 제해야한다.화 하나로는 빛이 밝지않으니 양인으로 무토를 도와야한다. 강약을 고려해야한다. 중화되어야 귀하다.
戊申
<格物至言>戊申
石山也。帶石崔巍氣象巉岩。其人中無邪曲。外可共瞻決有儼然威儀。可爲官長模範。只是坐馬多搖動。主意不堅持。最喜金水木點綴明秀。忌火土燥烈神色焦枯。喜行金水木土。忌丙丁午未。亦酌盛衰为去留舒配。
석산이다. 돌이 많아 험한 산의 모습이다. 사람됨이 편벽되지않고나쁘지않다. 겉모습이 의젓하고 품위가 있다. 모범적인 공무원의 모습이다.역마를 타고 있어서 변동이 많다. 생각이오래가지 않는다. 금수목화가 고루 있어야 자태가 아름답다. 화토의 조열함으로 말라 비틀어지는 것을 꺼린다.금수목토운이 좋고 병오 정미운을 꺼린다. 왕쇠를 고려하여 조절한다.
<日元確論>戊申
此石山也。土山載石。曰崔嵬。氣象巉岩。人領之,中無邪曲。外有儀範。但坐於馬上。多動少靜。最喜金水木。點綴以成明秀。忌火土燥烈。神色焦枯。尤不喜比肩重疊,埋沒金光。亦量盛衰強弱。再加去留舒配。喜行金水木土运,忌行丙午丁未运。
돌산이다. 흙산에 돌이 있다. 산이 높고 험한것이다.사람으로 치면 균형감각이 있고, 삿된구석이 없다.밖으로 의젓하다. 말을 타고 있어서 움직이 많고 안정감이 부족하다.금수목을반긴다.금수목이 고루 있어야 산의 자태가 뛰어나다.화토로 조열한 것을 꺼린다.모양이 초라하다. 비견이 많으면 금의 빛이 묻히니 꺼린다.성쇠와 강약을 참작하여 조절한다. 금수목토운을반기는데 병오 정미운은 싫어한다.
<格物至言>戊申
石山也。帶石崔巍氣象巉岩。其人中無邪曲。外可共瞻決有儼然威儀。可爲官長模範。只是坐馬多搖動。主意不堅持。最喜金水木點綴明秀。忌火土燥烈神色焦枯。喜行金水木土。忌丙丁午未。亦酌盛衰为去留舒配。
석산이다. 돌이 많아 기상이 웅대하다. 사람됨이 뒤틀림이 없다.외양이 의젓하고 기품이 있다. 모범적인 공무원의 모습이다.역마를 타고 있어 변동이 많고 생각이 굳건하지 못하다. 금수목이 고루있어야 모양이 좋다.화토가 조열하면 말라버린다. 금수목토운을반기고 병오정미운을 꺼린다. 왕쇠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生成造化>
戊申爲土山之載石者。最喜金水木氣綴以成明秀。忌火土燥烈神色焦枯。
무신은 흙산에 돌이 있는것이다. 금수목의 기운이 고루 있어야 모습이 아름답다.화토의 건조해지면 산이 말라버린다.
戊戌
<格物至言>戊戌:
魁罡演武山也。英雄吐氣。人多慷慨豪俠。要有刃爲有權。博厚爲得用。加以殺刃財食相制相扶。或戊癸知音。名利發揚。只怕辰沖。再怕上下皆水爲背水陣。不博厚自不中矣。喜行五行舒配得宜忌卯酉與申子辰運
괴강이 자신의 기량을 펼치는 산이다. 영웅의 기운을 뿜어낸다.성격이 괄괄하고 협기가 있다. 양인이 있다면 권력을 잡는다.토가 두터워야 쓰임이 있다. 살 양인 재성 식이 도우면 좋다.戊癸합을 하면 좋은 배필(또는 파트너)을 만난다. 벼슬과 재물이 뛰어나다.辰토가 충하는 것을 꺼린다. 상하가 모두 수가 되면 배수진의 형상이 되어 좋지않다. 토가 두텁지않아중화된 모양이 아니다. 오행이 고루 있어야 하고,묘유충과 신자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戊戌:
此爲魁罡演武之山也。步伐整齊,英雄吐氣。人領之,性多慷慨。加以煞刃財食。相制相扶。或遇癸水知音。其名利富貴。未有不顯揚者。只怕辰沖。又逢水旺。则为背水败阵。
괴강의 강한 성격이 잘 드러나는 산이다. 씩씩하게 행진하니 영웅의 기상이 뿜어나온다. 사람이 성격이 시원시원하고박력이 있다. 살 양인 재 식이 있어 조화를 이루면 좋다.계수를 만나면 좋은 배필, 좋은 친구를 얻는것과 같으니 부귀하다. 그렇지않은 사람이 없다.진토가충하는 것을 꺼린다. 수가 너무 많은 것도 꺼린다. 배수의 진을 치고 패망하게 된다.
<生成造化>
戊戌为魁罡演武之山。要刃爲得權。博厚爲得用。加以刃煞財食相制相扶。或戊癸知音。可許富貴。只忌辰沖及上下水多爲背水陣。
무슬은 괴강의 위용을 떨치는 산이다. 양인이 잇으면 권력을 잡는다.토가 두터운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게된다. 양인 살 재 식이 있어 서로 도우면 좋다.무계합을 하면 좋은 친구가 있는 것과 같으니 부귀하다. 진토가 와서 충하는 것을 꺼린다.상하가 수가 많으면 배수진을 친것과 같이서 좋지 않다.
格物至言-總論己土
<格物至言>:
己陰土田園稼檣。茀厥豐草。先勿令官殺混雜。更遇雨陽時若。高濕得宜。又春耕喜木。夏耘喜水。秋收喜火與金。冬藏喜土。數者得宜自然秀實。受享富貴,更知向陽之地。春光先到。蓋己逢丙。無人不發。即舒配酌取。終能發達者。不離丙火範圍。
기토는 음토로 전원의 곡식을 키우는 토이다. 잡초를 잘라내야한다. 관살혼잡이 되면 좋지않다. 비와 햇살이 있어야한다.온도가 높고 습한 것이 좋다. 봄에는 밭을 갈려면 목을 좋아한다.여름에는 물을 대기에 수를 반긴다. 가을에는 추구하려면 화와 금을 좋아한다.겨울에는보관을 위해 토를 좋아한다. 오행의 수가 적절하면 열매가 알차다. 부귀하려면 양의 기운이필요하다.봄에는 햇살이 먼저 필요하다. 기토는 병화를 만나면 발전하지않는이가 없다. 적절히 배치되면 끝내 발전하는데 결국 병화의 존재여부에 달려있다.
<日元確論>己支有六:
己土屬陰乃田園稼檣之土。所謂茀厥豐草。種之黃茂。先不可令官煞混雜。須雨陽時若。燥濕得宜。又要春耕喜木,夏耘喜水,秋收喜火,與冬藏土。數者得其機宜。不至失節,則大有之年也。更知白陽之地,春光先到,己逢丙火,無人不發。即有舒配酌取,不離丙火範圍。己土最喜丙火,最驗。但生於夏月,值火太燥,又当酌定。
기토은 음에 속하며 논밭 곡식을 키우는 토이다. 잡초를 잘라내고 씨를 뿌리고 수확한다.관살혼잡은 꺼린다. 비와 태양이 있어야한다.조습한것이 좋다. 봄에 밭을 갈때는 목이 필요하고,여름농사에는 물이 필요하며 ,가을 추수에는 화가 필요하고,겨울에 보관하려면 토가 있어야한다. 오행이 계절에 맞아야한다.절기에 잘 맞춰 농사를 지우면 풍년이 든다. 더 중요한것은 햇살인데. 봄에는 햇살이 있어야하는데 기토가 병화를 만나면 크게 발전한다. 어떤 조합이든 병화가 필요하다.기토가 병화를 가장 좋아한다. 단 여름생은 너무 조열하므로 조절해야한다.
<生成造化>己干總論:
己土卑濕。中正畜藏。不愁木盛。不畏水狂。火多火晦。金多金光。若要物旺。宜助宜幫。
己土田園。屬四維。坤原爲萬物基。水金旺處。身還弱。火土功成。局最奇。
己乃田園稼檣之土。先不令官煞混雜。必要春耕喜木。夏耘喜水。秋收喜金火。冬藏宜濕土。各取中和。再得雨陽時若。則富貴獲果報矣。巳逢丙火無人不發。盖向阳之地春先到也。
기토는 낮은 땅에 있는 습기있는 흙이다. 성품이 중정하고 속에 다른 것을 지니는 특성이 있다.목이 무성한 것을 꺼리지않고, 수와 많은 것을 꺼리지않는다. 화르 많아도 화의 기운을뺀다.반면 금은 많아도 금의 빛이 난다.만물이 왕성하게 성장하려면 돕고 거들어야한다.
기토는 논과 밭이다. 사계절 존재한다. 곤토는 원래 만물의 기틀이 된다. 수금와 왕하면 身이 약해진다. 화토고 서로 좋은 작용을 하면 가장 좋다.
기토는 논과 밭으로 곡식을 키우는 토이다.
기토는 논과 밭, 곡식을 기르는 토이다. 관살혼잡을 꺼린다. 봄에 밭갈때는 목이 필요하고, 여름농사에는 물이 필요하다. 가을 추수에는 금화를 반긴다. 겨울에 보관하려면 습한 토가있어야한다. 계절에 맞게 조화를 이뤄야한다. 비와 햇살이 때에 맞아야한다. 부귀는 당연히온다. 기토가 병화를 만나면 반드시 발전한다. 봄에 태어나면 태양을 봐야만 한다.
己丑
<格物至言>己丑:
水腴田也。稻穗宜濕。極多脂澤。易慶有年。最喜丙露天干。太陽薰炙苗易秀寔。正印有權。頻見文章科第勳業。更有武庫衝開殺印相錯。亦成文武功名。或殷實財福決非庸碌。喜行火土乙運。忌金水甲運。若過於衰旺又當酌取。
물이 많은 기름진 논이다. 벼를 재배하려면 습해야한다.기름진 땅이다. 많은 수확을 얻기 쉽다.천간에 병화가 투간하는 것을 좋아한다. 태양이 싹을 틔우면 좋은 알찬 열매를 맺는다. 정인으로 권력을 잡는다.문장이 뛰어난 장원급제한다. 무기창고인 축토가 충으로 열리면 살인이 되니 문무로 이름을 떨친다.재물이 적지않다. 화토와 을목운을 반기다.금수와 갑목운을꺼린다. 왕쇠를 참작해 조절한다.
<日元確論>己丑:
足水腴田也。稻途宜於濕地。膏澤極多,最喜丙火露天干,火陽薰炙。其苗易秀而寔。人領之,若正印有權,必見文章事業。若有武庫衝開。煞印相錯。亦易成武榜功名。喜行火土乙運。忌行金水甲運,或過衰過旺,又宜酌取。
물이 많은 땅이다. 벼는 습지에서 자란다.영양이 많아 풍년이 든다. 병화가 투간하는 것을좋아한다.태양이 비추면 싹이 잘 자라고 이삭이 충실하다. 인성으로 권력을 잡는다.문장이뛰어나 장원급제한다. 축토는 무기창고와 같으니 충이 있으면 고지가 열려 살인상생을 하여문무로 이름을 알린다. 재물이 적지않다.화토와 을목운을 좋아한다. 금수와 갑목운을 꺼린다.왕쇠를 보고 조절한다.
<生成造化>
己丑爲足水腴田。極多膏脂。稻穗易豐。最喜雨露天干。太陽薰炙。其苗易秀多實。或其中有武庫衝開。煞得用亦易成文武功名。
기토는 물이 넉넉한 기름진 논이다. 매우 기름지다.벼를 재배하기 좋다. 비와 이슬이 천간에있으면 좋다.태양이 잘 비추면 싹이 잘 자라고 열매가 충실하다. 무기고인 축토를 충해서 열면 문무로 이름을 알린다.
己卯
<格物至言>己卯:
休囚失气之土。地本磽薄且多剝削虛損。所謂己土坐卯,未中年先作灰心是也。人無祖父燕詒,亦無貨殖厚積。最喜干露丙丁,支藏丑戌庶幾可救。可享富貴福壽。若干無丙丁資扶,支無丑戌幫襯。又有子酉刑沖貧夭無疑。喜行火土甲木丑戌。忌金水乙木申子卯酉。行卯必死。
기운이 쇠약하여 기운이 다한 토이다. 토지가 돌맹이가 많고 거칠다. 기토가 묘목에 앉으면 중년이 되기전에 고새을 겪는다. 사람이 조상의 혜택이 없고,재물도 쌓이지않는다. 천간에 병정화가 투간화는 것을 반긴다.지지에 축술이 있다면 도움이 된다. 부귀를 이루고 장수한다.병정화가 없고 지지에 축술도 없고, 子酉의 형충을 당하면 요절한다.화토와 갑목 축술의 운이 좋고, 금수와 을목 申子卯酉를 꺼린다.묘로 가면 반드시 죽는다.
<日元確論>己卯:
此休囚失氣之土也。其地磽薄。無甚膏澤。且多剝削虛損。所謂己土化卯,未中年先主灰心也。人領之,無祖父燕貽。亦無貨殖厚積。最喜天干露丙丁,支藏丑戌。庶幾有救。可享富貴壽考。若干無丙丁資扶,支無丑戌幫襯。又有酉子刑沖,其不傷折也幾希矣。喜行甲木丑戌運,忌行乙木甲子卯酉運,最忌己卯,行卯運必死。
기운이 쇠약하여 기운이 빠진 토이다. 땅이 거칠고,영양분이 없는 땅이다. 꺼친고 부실한 땅이다.기토가 묘에 앉아 중년이 되기 전에 고생을 많이 한다. 조상의 복이 없고 재물이 쌓이지않는다. 천간에 병정화가 투간하고 지지에 축술이 오는 것을 반긴다. 분명 도움이 된다.부귀를 누리고 장수한다. 병정 축술이 돕지않고,유금 자수가 형충하면 요절한다. 갑목과 축술운을 반긴다.을목과 신금 자수 묘목 유금운을 꺼린다. 기묘운을 가장 꺼리는데 묘운에 반드시 죽는다.
<生成造化>
己卯爲休囚失氣之土。其地磽瘠。故未申年先主有灰心之論。最喜露丙丁。藏丑戌庶幾有救。所忌者酉子刑冲。
기묘는 기운이 쇠약해 기운이 빠진 토이다. 땅이 꺼칠고 척박하다.중년에 되기전에 고생을많이 한다. 병정화가 투간하는 것을 반긴다.축술이 있어도 도움이된다. 유금자수가 형충하는것을 꺼린다.
己巳
<格物至言>己巳:
嶺頭稼檣也。黍宜高燥。己易見陽。人亦秀實。只怕旱怕澇。其年月日時不宜燥烈要雨陽時若。人事勤謹,自然富貴福壽。喜行金水木。忌火土合燥運。若衰旺当酌用。
산위에 있는 농지이다. 기장은 높고 건조한 곳이 좋다.기토가 태양이 보기 쉽다. 감뭄과 홍수를 꺼린다.년월일시가 지나치게 건조한 것을 좋지않고 비가 햇살이 적적해야한다. 사람이매아세 부지런하니 부귀하고 장수한다.금수목 운으로 가는 것이 좋다. 화토의 조열한 운을꺼린다.왕쇠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日元確論>己巳(逢旺):
此嶺頭稼檣也。黍宜高燥。喜見丙火太陽。人生領此,稼檣不難秀寔。只恐怕旱澇。其年月日時,不宜太燥。若能雨陽時若。無不富貴福壽。金水成局,貧夭不免矣。苟盛衰太過,又當酌用。一雲喜行金水木,忌火土合燥運。
산에 있는 농지이다. 기장은 높고 햇살이 잘 비추는 곳에서 자란다.병화의 햇살을 좋아한다. 사람이 이날에 태어나면,곡식이 열매맺기가 어려지않고, 다만 가물과 장마를 꺼린다.년월일시 지나지게 건조한 것을 꺼린다. 비와 햇살이 적당하면 부귀하고 장수한다.금수가 국을 이루면 요절을 면치못한다.성쇠태과를 살펴 조절한다. 금수목운을 반기고 화토가 조열한 것을꺼린다.
<生成造化>:
己巳爲嶺頭稼檣。黍宜高燥。巳易見陽。只怕澇。其年月日時不宜偏晴偏雨。
기사는 산언덕의 농토이다. 기장은 땅이 높고 햇살이 강한 곳을 좋아한다.물이 많은 것을 싫어한다. 년월일시에서지나치게 건조하거나 비가 많은 것을 꺼린다.
己未
<格物至言>己未:
入土稼檣也。土喜高燥怕汙濕。喜培植怕沖害。土培不深則稼檣不厚。如蔘藥竽薯之類。更有外實內虛之象。必有生機爲妙。人多忠厚謹守。不免刑妻。若子穿丑沖則土薄不中矣。喜行會合化土培植。忌剥削冲克运。
땅속에 농사를 짓는것이다.땅은 온도가 높은 것을 좋아하며 습기찬 것을 싫어한다.다른 오행이 와서 돕는 것을 반기고 충해를 꺼린다. 토가 두텁지않으면곡식이 잘 자라지않는다. 인삼마 고구마 등의 식물을 기른다.겉은 알차고 속은 무른 형상이다.생명의 기운이 있어야 좋다. 사람이 충실하고 온후하면 성실하며 책임감이 있다.다만 처를 극한다. 자수가 천하거나축토가 충하면 토가 약해져 중화를 잃게된다.삼합 육합으로 토를 보강해야한다. 충극으로 토를 깍는 운을 좋지않다.
<日元確論>己未(逢刃):
此入土稼檣也。喜高燥怕汙濕。喜培植,怕沖害。蓋土培不深,則稼不茂。如蔘藥芋薯之類是也。更有外寔內虛之象。人領之,忠厚篤信,硜硜謹守。但不免刑妻。若子穿丑沖。土氣便薄。喜行化土培植之運。忌行刑沖穿克剝削運。未爲木庫,其形土其中木,木能克土,外寔內虛,故宜培也。
땅속에 식물을 기르는 것이다. 온도가 높아야하고 습기가 찬 것을 싫어한다.다른 오행이 도와줘야지 충해하는 것을 꺼린다. 토가 깊지않으면 식물이 잘 자라지않는다. 인삼 마 고구마등의 식물이다.겉은 딱딱하고 안은 무른 형상이다. 사람이 이 기운을 받으면 충직하고 믿음이 있고 책임감이 있다.단 아내를 극한다. 자수가 천하거나 축토가 충하면 토가 더욱 옅어진다.토를 돕는 운이 좋고 형충파해를 꺼린다. 미토는 목의 고지인지라.그형상이 땅 속의 식물과 같다. 목이 토를 극하므로,밖은 견실해보여도 안은 비어있어, 잘 북돋아야한다.
<生成造化>
己未爲入土稼檣。如芋苗之類。土培不深則稼檣不厚。喜高燥怕潮濕。喜培植怕沖害。喜會合化土。怕刑穿剝削。
기미는 땅속에 식물을 기른다. 토란이나 싹과 같은 것이다.토가 깊지않으면 식물이 잘 자라지않는다. 온도가 높아야하고 습기찬 것을 싫어한다. 화토로 잘 북돋아야지 충해를 꺼린다.삼합 육합으로 토를 도와야한다. 형이나 천으로 흙을 깎는 것을 싫어한다.
己酉
<格物至言>己酉:
築地稼檣也。雖坐長生,實未腴熟。砌斜爲正。築虛爲實。瘠磽殆甚。最喜干支有丙寅培植。富貴無涯。若無培植又多克削,則富貴難望。故舒配得力者丙寅二字。喜行甲木火土,忌乙木金水。
<日元確論>己酉(長生):
此築地稼檣也。雖坐長生。寔未腴熟。砌斜爲正,築虛爲寔。其瘠磽殆甚。最喜干支有丙寅培植則富貴無涯。若無培植。又多克削。則富貴難望。故去留舒配。其得力者,在丙寅二字。喜甲木火土,忌乙木金水。
새로이 개간한 땅이다. 비록 장생에 앉았으나 땅이 비옥하지는 않다. 땅을 고르게 하고,빈곳을 메워야한다. 땅이 매우 척박하다.丙寅으로 땅을 북돋우면 부귀가 무한하다. 땅을 북돋우지않으면고생이 많고 부귀는 기대하기 어렵다. 적절하게 조절해야한다. 힘을 갖추려면 병인 두글자가 필요하다. 갑목가 화토를 빈기고 을목과 금수를 꺼린다.
<生成造化>:
己酉爲築土稼檣。雖坐長生,實未腴熟。最喜干枝丙寅培植。則富貴無涯。忌剝削使瘦磽太甚。
기유는 개간한 땅이다. 비록 장생에 앉았으나 비옥하지는 않다.병인 두글자로 땅을 비옥하게만들어야한다. 그러면 부귀가 무궁하다.땅을 깍아내면 더욱 척박해진다.
己亥
<格物至言>己亥:
注地稼檣也。多見潮濕,少見陽光。三冬雨收。人多淫逸耗損。惟丙火常炙。旱天頻值。庶得秀寔富貴。若遇陰木陰水終妨福壽。喜行甲木火土乾燥運,忌乙木金水庫注運。
물을 댄 농지이다. 주로 습해보이고,햇살을 자주보지못한다.겨울에 비가 온것이다. 사람이음탕하고 안일하며 몸에 손상이 있다.병화로 햇살을 비춰야, 건조해져서 식물이 잘 자란다.그러면 부귀하게된다. 만약 음목과 음수를 만나게 되면 복이 없고 수명도 짧다.갑목과 화토의 건조한 운을 반기고, 을목과 금수의 물기많은 운을 싫어한다.
물을 댄 농지이다. 주로 습해보이고 햇살을 자주 보지못한다.겨울에 비가 내리는 것이다.사람이 음탕하고 안일하며 몸이 성치않다.병화로 햇살을 비춰야하고, 건조해야 식물이 잘 자란다.어느정도 부귀하다. 음목과 음수를 만나면 복이 없고 수명이 짧다.갑목 화토의 건조한 운을 좋아하고, 을목 금수운을 물기많은 운을 싫어한다.
<日元確論>己亥:
此注地稼檣也。淤泥浸潤。多見潮濕。少見陽光。若值三冬土凝水結。不無(淆失)之患。耗損之憂。唯丙丁常炙。則不勞力而得秀寔。社遇陰雨陰木,終妨福壽。喜行甲木火土乾燥。忌行乙木金水库湿。
물이 가득찬 농지이다. 물이 많아 진흙창이다.주로 습기가 많고, 햇살을 자주 보지못한다.겨울 농지라서 땅이 굳고 얼음이 언다. 식물이 자라지못하고, 손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병정화가 항상 비추어야한다. 그러면 힘들지않게 결실을 맺는다. 구름과 비,음목을 만나면 복과수명이 손상된다. 갑목과 화토의 건조한 운을 반기고 을목과 금수의 고지 같은 습한 운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己亥爲注地稼檣。乃遊泥潮濕之地。少見陽光。惟喜丙火常多,則易蕃秀。若遇陰雨再逢陰木終損福壽。
기해는 물을 대는 농지이다. 질퍽거리고 습한 땅이다. 양광이 부족하다. 병화가 많을 것을좋아하며,병화가 많으면 식물이 잘 자란다. 만약 구름이나 비를 만나고 다시 음목을 만나면복과 수명이 손상된다.
格物至言-總論庚金
<格物至言>
庚陽金鋼鐵劍戟之類。堪爲大用。先辨生熟。後酌其舒配。寒凝未熟之金必水火煉,才得成器。若鋒銳已成必金水淬礪,方能吐氣。身強有劫怕財勾爭。喜子化父。身弱无力,喜刃帮身。好劫敌慨妙理须知。
경금은 양에 속하며 쇠붙이 칼 창 같은 것이다. 쓰임이 많다.거친지 다음어졌는지를 보고 조절해야한다. 얼어붙어 제련되지않은금속은 수와 화로 제련해야 그릇이 된다. 이미 날카롭다면 금수로 잘 날을 갈아야만 좋은 성질이 나타난다.신강하고 겁재가 있다면 재성이 있어싸우는 것을 꺼린다.자식이 애비를 변화시키는 것을 좋아한다. 몸이 약하고 힘이 없다면 양인으로 도와야한다.겁재로 성격이 강해지는 것이 좋다.
<日元確論>庚支有六:
庚金屬陽,乃銅鐵劍戟之類。堪爲大用。須先辨其生熟。然後酌其舒配。大抵寒凝未熟之金。必先木火煉,方得成器。若鋒銳已成之金。必用金水染礪。可吐光鋩。若比劫既強。怕財爭起,一作喜傷官化火。喜子化父。唯身弱者,喜劫帮身。
경금은 양에 속한다. 강철과 창칼 등이다.쓰임이 많다. 제련되었는지를살펴 조절한다. 차갑고 제련을 거치지않은 금속(겨울에 태어난 경우)은 목화로 제련해야 그릇이 된다.날카로운금속(가을에 태어난 경우)은 금수로 잘 연마하면 빛을 내뿜는다.비겁이 이미 많다면 재물을서로 다투는 것을 조심해야한다. 상관이 있어 화(火)를 조절하는 것을 반긴다. 또한 자식이애비를 변화시키는 것을 좋아한다.신약하다면 겁재가 돕는 것을 반긴다.
<生成造化>庚干總論:
庚金帶煞剛健爲最。得水而清。得火而銳。土潤則生。土乾則脆。能贏甲兄。輸於乙妹。
경금은 살성을 지니고 강건한 것을 가장 좋아한다. 수를 얻으면 맑아지고,화를 얻으면 날카로워진다. 토가 습하면 금을 생한다.토가 건조하면 오히려 금을 약하게 한다. 갑목 형을 이기지만 을목 누이에게 진다.
庚子
<格物至言>庚子:
倒懸鐘磬也。金空則響。偏喜坐子死地。土實無聲。最忌丑戌相逢。此庚內虛外實。人必聰明內含。聲名遠播。如鼓鐘於宮。聲聞於外也。惟財殺空靈,則富貴利達。若火土填塞,則闇汶無聞。喜行金水木火虛靈,忌火土塞實。
금속악기를 매달아 놓은 것이다. 금이 속이 비면 소리가 난다.자수 사(死)에앉는 것을 좋아한다. 토가 실하면 소리가 나지않는다.축술을 함께 보는 것을 반기지않는다. 경금은 속은 비어있고 겉은 딱딱하니 사람이 총명하고 속이 알차다.명성이 널리 알려진다. 마치 궁궐의 종을 치는것 같아 소리가 멀리까지 들린다. 재관이 없다면 오히려 좋은데(장란차격 같은 경우)부귀하다. 화토가 많아 파묻히면 오히려 알려지지않는다. 금수목화가 허한 것을 반긴다. 화토가 와서 채우는 것을 싫어한다.
<日元確論>庚子(逢死):
此倒懸鐘磬也。金空則響。喜坐於死絕空地。未穿午沖,遇擊則鳴。最忌丑戌相逢。蓋此庚金,內虛外實,人領之,聰明內含。聲名遠播。如鐘於宮,聲聞於外。倘財煞空靈。富貴利達,若火土填寔。闇汶無聲。喜金水木火虛靈。忌行火土塞寔。此日主最難得好,土填則失空靈之體。若略无生扶,又未免虚弱无根。
종을 꺼꾸로 매달아 놓은 것이다. 금의 속이 비어있으면 소리가 난다.사절과 공망을 좋아한다. 미토가 천하고 오화가 충하면 소리가 난다. 축술을 함께 만나는 것을 싫어한다.경금은속은 비고 겉은 딱딱하다. 사람의 경우 총명하고 속이 알차서 널리 명성을 떨친다. 궁궐에서 종을 울리면 멀리까지 들린다.재관이 없으며 더욱 신통하여 부귀를 얻는다. 화토가 많으면 흐리멍텅하여소리가 나지않는다. 금수목화가 빈약한 것을 반기며,화토가 충실한 운을 꺼린다. 일주는 편안하기 어렵다.토가 가득 채우면 빈공간이 없어져 좋은 작용을 할수 없고, 또한 토가 도와주지않으면근이 없어 허약하게 된다.
<生成造化>:
庚子爲倒懸鐘罄。金空則響,偏宜坐於死絕空地。未穿午沖遇擊則聲聞寰宇。如丑戌相逢,火土填實。闇汶无声矣。
경자는 거꾸로 매단 금속악기이다. 금이 속이 비면 소리가 난다.사절과 공망을 만나면 오히려 좋다. 미토가 천하거나 오화가 충하면 멀리까지 소리가 난다.축술을 함깨 만나면 화토가가득 차게되니 둔탁하여 소리가 나지않는다.
庚寅
<格物至言>庚寅:
入冶爐鈕也。初熔之金必水火交集。變質甚易。倘食傷一見。躍冶可虞。至去留舒配或文或武。加痕水泥漿則閱涉有趣。喜木火土乾燥,忌金水木潮濕。
용광로에 넣은 쇠덩어리이다. 쇠를 녹이려면 물과 불이 함께 있어야한다.쇠를 다루기 쉽다.식상을 함께보면 좋지않다. 조합에 따라 문관 또는 무관이 된다. 작은 물과 진흙이 있다면매우 좋다.목화의 건조한 운을 반기고 금수의 습한 운을 꺼린다.
<日元確論>庚寅(逢絕)
此入冶爐錘也。初容之金,必逢木火交集變質易成,倘食傷一見,躍冶可虞。至於去留舒配。或文或武,加些辰水泥漿。則關涉有趣。人生逢此,喜忌休咎。判然心目。喜木火土乾燥。忌金水潮濕。若火土太燥,又宜比劫祿刃印地以全之。
용광로에 넣은 쇠덩어리다. 금을 처음 녹일려면 목화가 함께 있어야 쇠를 다루기 쉽다.식상이 함께 있다면 다루기 어렵다. 배합에 따라 문관 무관이 된다.진토처럼 수와 진흙이 있으면 좋다. 경인일주는 희기와 좋고 나쁨이 분명하다. 목화토의 건조한 운을 좋아하고 금수의 조습한 운을 싫어한다.화토가 지나치게 많으면 비겁 녹 양인 인성의 도움이 있어야한다.
<生成造化>:
庚寅爲入冶爐錘。蓋初熔之金,逢木火交集。銷去陰騭。熔成美質。怕食傷再見。躍冶可虞。至於舒配去留。加些辰水泥漿。此中另有許多作用。
경인은 용광로에 넣은 쇠덩어리이다. 처음 쇠를 녹일때는 목화가 함께 있어야한다.지꺼기를제거하면 좋은 품질로 변한다. 식상을 다시 보는 것은 좋지않다.담금질이 지나칠 우려가 있다. 적절히 조절해야한다. 진토의 진흙이 있아면 좋은 작용이 많다.
庚辰
<格物至言>庚辰:
水師將軍也。決須有刃相逢。則勇敢莫敵。文可科第巡撫,武可征剿總鎮。如無刃或比劫雲集,亦是授兵敵愾。再有戊寅資扶,亦是膂力經營。故除刃外有劫印,威權亦可成名行伍。倘無刃又無援兵,又無膂力,則怯弱一事無成。名病後金剛反爲魔伏。喜行刃劫金水,忌木火庫墓。更忌水师沿陆,舟楫难行。怕逢未戌刑冲运。
해군 장군이다. 양인을 만나면 용감하여 상대할 자가 없다.문관이라면 순무, 무관이라면 토벌사령관이다. 양인 없이 비겁이 많다면 병사들의 도움으로 적을 무찌른다. 다시 戊寅이 돕는다면 남들을 앞선다. 양인이 아니라 겁재 인성이 있다면 위엄이 있고,군대에서 이름을 떨친다. 양인이 없고 도와주는 세력이 없다면 위엄이 없고 나약하여 평생 성취가 없다.쇠덩어리도 병이 들면 오히려 거추장스럽다는 말이 있다. 양인 겁재 금수운을 반긴다.목화와 고묘(庫墓)운을꺼린다. 해군 장수가 육지로 가는 것을 꺼린다. 배가 갈수 없다.미토 술토가 와서 충형하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庚辰:
此水師將運也。須要酉刃相逢。風爲勇毅果敢。文可科第巡撫。武可征剿總鎮。若無刃而有比劫雲集,亦是援兵敵愾。再有戊寅資助,尤爲出眾英雄。故除刃之外,有劫即爲威權。雖不大顯,亦可成行伍。倘既無刃,又無援兵資助,則單弱畏怯。一事無成。名曰病後金剛。反爲魔伏。何所用之。更不宜行於陸地。谓之旱海行舟。未戌刑冲,亦为不吉。
해군 장수가 바다를 누빈다. 유금 양인을 만나야 용감무쌍하다. 문과 급제하면 순무의 벼슬에 이르고,무과에 급제하면 토벌사령관이 된다. 양인이 없고 비겁이 있다면 병력을 모아 적을 무찌른다.戊寅이 도우면 뛰어난 영웅이다. 양인이외에 겁재가 있으면 위엄이 있다.비록크지는 않아도 군대에서 이름을 떨친다. 양인이 없다면 돕는 병력이 없으니 나약하고 겁이많아 평생 성취가 없다.무쇠가 병들면 오히려 마구니가 된다고들 하는데 어디 쓰겠는가! 육지로 가면 안된다.얕은바다에 배가 떠있는것과 같다. 술미토가 형충하면 좋지않다.
<生成造化>:
庚辰爲水師將軍。須要刃酉相逢。方稱前矛果毅。或比劫雲集亦是受兵敵愾。若逢戊寅資扶。尤爲膂力經營。不然單弱畏怯一事無成。凡水師將軍不宜行陸地。又怕木火土库,戌未冲刑。
경진은 해군 장수이다. 양인을 만나면 용감하다.비겁이 많으면 병력을 이끌고 적을 무찌른다. 戊寅이 도우면 성취를 한다. 그렇지않으념겁이많아 평생 성취가 없다. 해군은 육지로가면 안된다 木火土 고(庫)를 꺼리고 술미토가 충형하는 것을 꺼린다.
<格物至言>庚午:
出冶爐錘也。既煉之金,急要干支有水。方得淬礪成鉶,名成文武。若無金水又加木火,必至過激頓成夭折。故急急用水而用刃又其次耳。喜行金水運,忌木火土運。
용광로에서 나온 제련된 금이다. 천간지지에 수가 반드시 있어야한다. 잘 연마하면 좋은 그릇이 된다.문관으로 이름을 알린다. 금수가 없고 목화가 더해지면.거성품이 거칠고 요절한다.수가 가장 필요하고 그다음으로 양인이 필요하다. 금수로 향하면 좋고,목화토의 운을 꺼린다.
<日元確論>庚午:
此出冶爐錘也。既煉之金,急要干支有水。方得淬礪成硎。文武俱能成器。若無金水。又加木火。必至過激。頓成夭折。故急於用水。刃又其次耳。喜行金水運。忌行木火土运。
용광로에서 나온 금이다. 제련을 마쳤다.수가 가장 필요하다. 연마를 하면 좋은 그릇이 된다.문관의 그릇이다. 금수가 없고 목화가 더해지면 성격이 거칠고 요절한다.수가 가장 절실하다. 양인은 그 다음이다.금수의 운을 반긴다. 목화토의 운을 싫어한다.
<生成造化>:
庚午爲出冶之金。既鏈之物,急要干枝有水淬礪成型。若木火重逢,必至過激定主夭折。
경오는 제련을 마친 금이다. 수가 있어 잘 연마를 해야 모양이 나온다.목화를 다시 만나면품질이 거칠어 요절한다.
庚申
<格物至言>庚申:
已成劍戟也。最怕再遇火鄉而支壞。故生於丙丁寅午戌時,則名利無成。若會申子辰,得辛金壬癸相湊。劍氣自沖牛鬥。定爲王朝重寶,福壽無疆。喜行金水,忌木火土运。
이미 창칼이 되었다. 다시 화를 만나 끝이 둔해지는 것을 꺼린다.병정인오술의 시를 만나면명리를 이루지못한다. 신자신을 만나고 辛금 임계를 만나면 좋다.칼날이 하늘을 찌른다. 정부에 귀히 쓰이며 복과 수명이 좋다.금수운을 반기고 목화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庚申(專祿):
此已成劍戟也。最怕再遇火鄉。若生於丙丁寅午戌之時。恐名利無成。如會申子辰水局,又得辛金壬癸相湊。其劍氣自沖牛鬥。文武可居極品。兼得福壽康寧。喜行金水運,忌木火土運。
이미 완성된 창칼이다. 다시 화 대운으로 향하는 것을 꺼린다.병정인오술 시를 꺼린다. 명리를 이루지 못한다.신자진수국을 이루고 辛금 壬癸를 만나면 칼의 기운이 하늘을 찌른다. 문무에서 높은 벼슬을 한다.아울러 복이 있고 수명이 길다. 금수운을 반기고 목화토운을 꺼린다.
<生成造化>:
庚申爲已成。劍戟最怕再遇火鄉而反壞。若會子辰及辛金壬癸相湊,其光氣自沖牛鬥。
경신은 제련을 마친 금속이다. 창칼은 다시 화향(火鄕)을 만나 손상되는 것을 꺼린다. 자진을 만나 수국을 이루거나 辛금 임계수를 만나면 빛이 하늘까지 닿는다.
庚戌
<格物至言>庚戌:
陸路將軍也。入土無光。易至塵埋,亦要羊刃相逢。方爲抵敵前茅。即膂力剛。援兵敵愾,亦建功名。倘無刃又無援無力,則單弱無勇。一投壬癸申子辰水地。手足俱疲,不但名利無成。亦難保性命,最忌者辰一沖即死。陸師入水勇無所施也。喜行金火土,忌水库水乡。
경술은 육군장수이다. 토가 많으면 빛이 나지않는다.흙먼지를 덮어쓰기 쉬워 양인을 만나적들을 무리쳐야한다.힘이 강해진다. 양인을 얻으면 부하를 이끌고 적을 무찔려 공을 세운다.양인이 없으면 돕는 세력이 없으니 나약하고 용기가 없다. 임계수가 투간하고 신자진수국을만나면 부하들이 모두 무력하다. 명리를이루기 어렵고 목숨을 부지하기 어럽다. 辰이 와서충하면 즉사한다.육군이 물에 들어가면 힘을 쓰지못하는 것이다. 금화토의 운을 반기고 수고진토와 수향을 꺼린다.
<日元確論>庚戌:
此陸路將軍也。入土無光。塵埋自易。亦要陽刃相逢。方能抵敵。若有比劫亦是援兵敵愾。則膂力方剛。自能建立功名。倘無刃無援。則單弱難以無勇。一投壬癸申子辰水。則手足俱疲。不但名利無成。即性命亦難保矣。最忌者辰也。一沖即死。蓋陸師入水。勇無所施。喜行金火土運。忌行水庫水鄉。若水運有劫則不喜。
육군장군이다. 토를 만나면 빛이 나지않는다.먼지를 덮어쓰기 십상이다. 양인을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그러면 적을 무찌른다. 비겁이 있어 도우면 적과 싸울수있다.힘이 강해져 공명을 이룬다. 양인이 없으면 돕는 사람이 없다.나약하여 용맹을 떨치기 어렵다. 임계수와 신자진을 만나면 세상살이가 힘들고 공명을 이루기 어렵다.목숨조차 부지하기 어렵다. 辰을 가장꺼린다.충하면 죽음에 이른다. 육군장수가 물에 들어가 용맹을 떨치기 어렵다.금화토운을 반기고 수고와 수향을 꺼린다. 수운에 겁재를 만나면 좋지않다.
<生成造化>:
庚戌爲陸路將軍。喜陽刃幫助,與庚辰同。但遇申子辰壬癸水地。則手足俱疲,全無所施。更忌辰沖以其侵突我也。
경술은 육군장군이다. 양인이 돕는 것을 반긴다.경진과 마찬가지이다. 신자진수나 임계수를만나면 손발이 피곤하다(부하들이 지친다).성취가 없다. 辰이 와서 충하여 나를 공격하는것을 꺼린다.
格物至言-總論辛金
<格物至言>:
辛陰金珠玉珍寶之類。性地虛靈,稟氣晶瑩。先要印綬,以資其質。更要食傷,以吐其氣。陽和沙水,是其妙劑。大約精不宜粗用,粹不宜急投。春冬喜微火,夏秋喜清水。
신금은 보석과 같은 것이다. 성격이 맑고 총명하다.맑고 밝게 빛난다. 인수가 먼저 필요한데,인수로 자질을 북돋운다. 식상을 쓴다면 맑은 기운을 끌어낸다.햇살과 모래와 물이 있다면 좋은 조합을 이룬다. 성격이 정밀하여 거칠게 다루면 안된다.함부로 던지면 부서진다. 봄과 겨울에는 약한 불을 좋아하고,여름에는 맑은 물을 좋아한다.
<日元確論>辛支有六:
辛金屬陰,乃金玉珠寶之類。性地虛靈。氣稟晶瑩。先要印綬以資其質。更要食傷以吐其秀。陽和沙水。是其妙劑。大約精者不宜粗用。粹者不宜急投。遇春冬喜微火。夏秋喜清水。更为紧要。
신금은 음에 속하면 보석류이다. 성격이 맑고 총명하다.기품이 빛난다. 인수로 자질을 북돋우면 좋다.식상을 써서 기운을 뽐내는 것도 좋다. 햇살과 모래 물이 있다면 좋은 조합이 된다.성격이 정밀(섬세)하므로 거칠게 다루면 안된다. 부서지기 쉬워서 함부로 던지면 안된다.봄겨울에는 약한 불이 좋고, 여름과 가을에는 맑은 물이 좋다.
<生成造化>辛干總論:
辛金軟弱,溫潤而清。畏土之疊。樂水之盈。能扶社稷,能救生靈。熱則喜母,寒則喜丁。
辛金珠玉性虛靈,最喜陽和沙水清。成就不勞炎火煆,資扶偏愛濕泥生。辛乃珠玉之金。性地虛靈,氣稟精瑩。先要印綬以扶其質。更要食傷以吐其氣。陽和沙水是其妙劑。且春冬喜微火,夏秋喜清水更爲要緊。
신금은 부드럽고 약하다. 성격이 따뜻하고 습기를 좋아하고 맑은 것을 좋아한다.토가 많은것을 꺼린다. 물이 많은 것을 좋아한다.임금을 돕고, 백성을 구한다.날씨가 뜨거우면 인성모친을 반기고,날씨가 추우면 정화를 반긴다.
辛丑
<格物至言>辛丑:
初孩胎息之金也。澤地萃金,清不離濁。胎未離元,急要保護。勿摧殘動損。須知胎於戊於寅於戌。類乎玉出崑岡。胎於庚於辰於子,類乎金生麗水。亦有老蚌生珠或是晚生庶出。故有戊有庚有寅戌有辰子,富貴可期。再加無沖無刑無破與敗。福壽可享。善護則爲國家奇寶,不護則爲淤泥棄物。喜行金水沙土生扶运,忌木火卯未刑冲运。
어린아이가 아직 탯줄을 달고 자라는 모습이다. 습한 땅이 금을 생하는 것이다.주역의 택지췌의 괘상이다. 맑은 기운을 지니고 있지만 아직 완전히 탁함을 벗어난 것은 아니다.탯줄을달고 있어서 모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보호가 필요하며 함부로 손상해서는 안된다. 이 금속은 무토 인목 술토에서 자라는데,이는 곤륜산에서 옥이 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경금 자수 진토에서 자라는데 이를 일컫어 沙金이 여강의 물에서 자란다고 표현한다. ( 金生丽水,玉出昆冈,천자문에 나오는 구절, 금이 여강에서 많이 나고, 곤륜산에서 옥이 난다).늙은 조개가 진주를 만드는 것이다.(늙그막에 귀한 자식을 얻다). 또는늙어서 첩에게서 자식을 얻는것과 같다.잘 보호하면 국가에 귀히 쓰인다. 보호를 받지 못하면 진흙탕의 쓰레기와 같다. 금수와 모래흙이 와서 돕는 것을 반기며, 목화와 묘미의 형충하는 운은 좋지않다.
<日元確論>辛丑:
此初孩胎息之金也。澤地萃金。清而不離乎濁。胎而未離乎元。急須愛護保存。勿令摧殘傷損。要知此金胎於戊、於寅、於戌。類乎玉出崑岡。胎於庚、於子、於辰類乎金生麗水。亦有老蚌生珠。或是晚生庶出。故有庚有戊有子有辰戌寅則富貴無期。再加無刑沖,無破敗。則福壽可享。大抵喜護,即爲國家奇寶。不善護,則爲淤泥棄物。喜行金水沙土生扶運。忌行木火卯未刑冲运。
(12운성상 養의 자리로)아직은 엄마 뱃속에 있는 것과 같은 금이다.주역의 택지췌의 괘상으로 토가 금을 생하는 형상이다. 맑지만 탁함을 완전히 벗어나지않았다. 아직 탯줄을 달고있으니 근본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 애써 보호하여야한다. 함부로 손상해서는 안된다. 이 금속의 속성은 무토 인목 술토에서 태와 같은 상태로 자란다.곤륜산의 광맥에서 옥이나오는 것과 같다. 경금 자수 진토에서 자라는데 이를 일컫어 金生麗水(물이 맑은곳에서 금이 생겨난다)라 한다.오랫된 조개가 진주를 만드는것과 같다.( 늙어서 자식을 얻다)또는 늙어서 첩에게서 자식을 얻는것같다. 경금 무토 자수 진토 술토 인목이 있으면 부유하다.형충이나 파해가 없으면 복이 많고 장수한다.신축은 (인성으로)보호를 받으면 국가에 귀히 쓰인다.보호막이 좋지않으면 진흙탕의 쓰레기 같다. 금수와 모래흙으로 돕는 것을 좋아한다.목화묘목 미토가 와서 형충하는 것을 꺼린다. ( 金生丽水,玉出昆冈,천자문에 나오는 구절, 금이여강에서 많이 나고, 곤륜산에서 옥이 난다)
<生成造化>
辛丑爲初孩胎息之金。胎於戊胎於戌胎於寅者爲土。胎於寅於辰於子者爲金。急要愛護保持,勿令摧殘損動。
신축은 어린생명이 탯줄을 달고 있는 모습이다. 무토 술토 인목의 토에서 자란다.인목 진토자수에서 자라 금속이 된다. 보호해야하면함부로 손상하면 안된다.
辛卯
<格物至言>辛卯:
水晶之金也。水液陽光氣凝土蘊結爲玳瑁。或金錫追琢。首飾翡翠。求爲菲薄。是皆坐卯之辛。質極虛幻脆薄。雖爲可愛,實易毀壞。人多孤介決絕,必輔以戊子戊戌及支柱丙戌相扶。庶有所托,以行於世。獲名利妻子福壽之果。若無戊子戊戌丙戌相扶,即單有丙丁照耀。亦是官貴虛邀,多是僧尼現世或無嗣承祧或貧窮夭折或骨肉寡情。喜行金土子戌生扶,忌水火亥卯克泄。如遇水運,看前後左右。另爲酌用,必有印綬,始用食傷。不然吐氣反洩氣矣。
수정과 같은 보석이다. 물의 기운이 햇살을 받아 토를 응축시켜 만든 보석이다.또는 납아연같은 것으로 조각한 것이다. 머리에 꽂는 비취와 같은 것이다.아주 얇게 만들어 쓴다. 이런종류의 보석들은 모두가 묘목에 앉은 신금의 형상이다.성질이 매우 약하고 부서지기 쉽다. 비록 귀엽고 볼만하지만 쉽게 손상된다. 사람들의 경우,고독하고 외롭다. 무자 무술로 돕거나 병술로 의지처를 삼아야한다.의지하는 것이 있다면 세상에서 좋은 작용을 한다. 명리와처자식을 얻고 복수를 누린다.무자 무술 병술의 도움이 없다면 병정이라도 있어야한다. 벼슬에 잠시 오르게된다.많은 경우 승려가 되면 자식이 없고 빈곤하고 요절하면 형제간에 정이 없다. 금토와 자수 술토가 돕는 것을 반기며,수화와 해묘가 와서 극설하는것을 꺼린다. 수운을 만나면 전후좌우의 배치를 살펴야한다.제대로 쓰일려면 반드시 인수가 있어야 하고, 그러면 식상을 쓸수 있다.(인수가 없이 식상을 쓰면) 기운을 뽐내는 것(재능을 발휘하는것)이 아니라 기운을 그냥 빼버리는 것(쓸모없는 사람)이 된다.
<日元確論>辛卯(逢絕):
此木精之金也。古木精液,觸其曦氣。凝土結爲玳瑁。或金錫追琢。首飾翡翠,有意求爲菲薄。是皆坐卯之辛。其質極虛幻脆薄。雖爲可愛,寔易毀壞。人領之,是孤介決絕之念。必輔以戊子戊戌丙戌相扶。庶幾有所托而行於世。可獲名利妻子福壽之報。若無戊子戊戌相扶。即單有丙丁照耀。亦爲官貴虛邀。多是僧道現世。或無嗣承祧。或貧寒夭折。或骨肉寡情。喜行金土子戌相扶。忌行一派木火亥卯克泄。如遇水運。看其前後左右。另爲酌用。大抵必有印綬。始用食神。不然,吐气反泄气也。
나무의 정기가 뭉쳐서 만들어진 보석이다. 오랜된 나무 진액이 빛을 받아빛나는 것이다.땅에응결되어 보석처럼 굳은 것이다. 납이나 아연 같은 것을 조각한것이다. 머리에 장식하는 비취 같은 것이다.정성껏 얇게 만든것이다.이런것들이 모두 묘목위에 앉은 신금의 모습이다. 품질이 매우 약하고 부서지기 쉽다.보기좋지만 쉽게 손상이 된다. 사람들에 비유하자면,사람이 외롭고 남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속성이 있다. 무자 무술 병술로 돕는 것이 좋다.그러면 세상에 어울릴수 있게 된다. 명리와 처자식 재물 수명 등의 복이 있다.무자 무술이 돕지않는다면 병정만으로 비추어 주는 것이 좋다. 그러면 관직에 오르나 허울뿐이며, 많은 경우승려나 도사의 삶을 산다.대를 이을 자식이 없고,가난하고 요절한다.또는 형제간에 정이 없다. 금토와 자수 술토가 돕는 것을 반긴다.목화운이나 해묘운으로 가서 극설하는 것을 꺼린다. 水운을 만나면 전후좌우의 배치를 잘 살펴야한다.대체로 인수가 있어야 식신을 쓸수있다. 인수가 없다면 식상이 기운을 빼버리는 역할을 하게된다.
<生成造化>
辛卯爲古木之精液也。觸曦光而入土。凝爲玳瑁之類。其質脆薄,必輔以戊子戊戌,及枝柱丙戌相扶。庶有所托,而行於世。若無印綬,專見食傷吐氣,反洩氣無用矣。
신묘는 오래된 나무의 수액이 뭉쳐진 것이다. 햇살을 받고 땅속에 들어간 것이다.응고되어비취와 같은 것이다. 그 성질이 부서지기 쉽다.무자 무술로 돕고 병술같은 의지처가 있어야한다. 의지처가 있다면 세상에서 활약을 한다.인수가 없이 식상을 보게된다면 기운이 빠져별 쓸모가 없다.
辛巳
<格物至言>辛巳:
石中璞玉也。藏石未雕。雕琢之功,惟水得以表現。所謂玉出崑岡,雨後吐采也。
用水剖璞,石匠可參。生此日者,如天干有水,則清白可愛。富貴利達。文武皆然。即支藏有水,亦是沾潤壽知。如干支無水,縱有財富,亦是不中矣。若丙辛化水尚可說項。見支偏喜亥沖爲妙,其老蚌生珠,亦類辛丑也。总要有水方能吐气。喜行金水,忌木火土。
돌속에 들어있는 다듬지않은 보석이다. 가공하려면 물이 있어야한다.이를 일컫어 곤륜산에서옥이 난다고 하는것이다. 비온 후에 무지개가 뜨는것과 같다.지지에 수가 있다면 습기를 더해주기 수명이 길다. 천간지지에 수가 없다면 비록 재성이 있다해도 부귀를 누릴수없다.병신이 합해 수가 된다면 역시 좋다. 지지에 해수가 와서 충하면 더욱 좋다. 이 역시 늙은 조개가 진주를 만드는 것과 같은데.신축과 비슷한 속성을 지닌다. 수가 있어야 재능을 뽐낼수있다. 금수의 운을 반기며 목화토의 운을 꺼린다.
<日元確論>辛巳(逢死):
此石中璞玉也。玉藏石中。未雕曰璞。雕琢之功,惟水得以表見。所謂玉出崑岡。雨後吐彩也。生此日者,如天干有水則清白可愛。決主富貴利達。即支中藏有水者次之。如干支俱無水。縱有財官,亦無用矣。遇丙化亦佳,偏喜亥沖爲妙。喜行金水,忌行木火土。若盛衰強弱,又當再酌。
돌속에 다듬지않는 옥과 같다. 옥이 돌속에 들어있는것이다. 아직 다듬지않았으니 원석이다. 잘 다듬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그래서 옥이 곤륜산에서 난다고 한다. 비온후에 무지개빛을 뿜어낸다.이날 태어나면 천간에 수가 있다면 맑게 빛이 나니 보기가 좋다. 부귀하게 된다.지지에 수가 있으면 그 다음이다.천간 지지에 수가 없다면 재관을 만나도 별 쓸모가 없다.병화를 만나면 좋은데 해수가 와서 충해주면 더욱 좋다. 금수의 운을 반기며,목화토의 운을 꺼린다. 왕쇠강약을 살펴 조절한다.
<生成造化>
辛巳爲石中璞玉。惟得水足以大發光鋩。所謂雨後吐彩是也。干上透水爲最。枝中藏水次之。即丙辛水亦妙。有從化見壬癸更佳。若逢冲尤吉。
신사는 돌속에 들어있는 옥이다. 水를 만나야 크게 빛을 낸다.마치 비온후에 무지개가 뜨는것과 같다. 천간에 수를 만나는게 가장 좋다.지지에 수가 있다면 그 다음으로 좋다. 병신이합해 수가 되면 더욱 좋다.병신합을 수로 만드는 임계수가 있다몀 더욱 아름다운 모습이다. (해수의)충을 만나도 좋다. (巳화가 돌이니 충해서 옥을 꺼낸다는 의미)
辛未
<格物至言>辛未:
豁土成金也。金從土生。得土即得金。此日先要戊己資扶。次要壬癸吐氣。但己不如戊。癸不如壬。只怕甲乙透出克土。再怕陰時淹滯,難以成煉。如有土有水一煉成金。即售高價,或有甲乙,其行運能袪者。亦沽美玉,大約看福壽以水土爲主。二者俱不可傷。喜土金水,忌木妒合并阴库运。
땅을 파서 금을 꺼내는 것이다. 금이 토에서 생한다.토를 얻으면 금을 얻을수있다. 신미는무기토가 도와야한다.그다음에 임계수로 (금의 아름다운 기운을)끌어내야한다. 기토가 무토만 못하다.계수가 임수만 못하다. 갑을목이 토를 극하는 것을 꺼린다.음의 기운이 있는 시간에 태어나면 제련하기 어렵다. 토가 있고 수가 있으면 제련하여 보석을 만든다.가격이 비싼보석이 된다. 갑을목이 있다면 운에서 제거해야하면역시 아름다운 보석이 된다. 수토가 있다면 복수를 누린다.수토를 손상시키면 안된다.토금수의 운을 반기고, 목을 꺼린다.투합을 꺼린다. 陰의 창고(진토 축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辛未:
此溪土成金也。金從土生。得土即得金。生此日者,先要戊己資助。次要壬癸吐氣,但己不如戊。癸不如壬之得力耳。只怕甲乙透出克土。再怕陰時淹滯。難以成煉。如有土有水。一煉成金。即售高價。大約看福壽以土爲主。取功名以水为主。二者俱不可伤。
계곡에서 만들어지는 보석이다.금은 토에서 생한다. 토를 얻으면 금을 얻는 것과 같다.이날 태어나면 무기토가 도와야한다. 그 다음에 임계수로 보석의 기운을 끌어내야한다. 기토가무토만 못하고, 계수가 임수만큼 좋은 작용을 하지 못한다.갑을 목이 토를 극하는 것을 꺼린다. 다시 음의 시간대를 만나면 기운이 정체되어 좋은 보석이 되기 어렵다. 토와 수가 있으면 보석으로 제련이 되어 비싼 가격에 팔린다.복수를 누릴려면 토가 있어야하고, 명성을 얻으려면 수가 있어야한다.수와 토 어느것도 손상되면 안된다.
<生成造化>
辛未爲熔土成金。金從土生即得金矣。先要戊己資扶,次要壬癸吐氣。但己不如戊。癸不如壬。所忌者甲乙克土。陰霾埋光。難以尋疏。大約看福壽以土爲主。取功名以水为主。二者俱不可伤。
신미는 흙에 열을 가해 얻는 보석이다. 금은 토에서 생하니.금을 얻는것과 같다. 먼저 무기토로 도와야하고,그다음으로 임계수로 보석의 기운을 끌어낸다. 기토는 무토만 못하고,계수는 임수만 못하다. 갑을목이 토를 극하는 것을 꺼린다.구름과 안개가 끼면 보석이 빛나지않는다. 구름과 안개를 헤치기 어렵다.복수는 주로 토를 위주로 살핀다. 공명은 수를 위주로살핀다.수와 토를 손상하면 안된다.
辛酉
<格物至言>辛酉:
珍貴金玉也。專祿爲瑚璉珍器。有水透出方爲清白。加之無木無火無庚無暴棄無枘鑿。便爲朝廟至寶。名利顯著。喜行金水運,忌木火土刑沖運。
진귀한 보석이다. 전록이니 궁중에서 쓰는 귀한 제사용기이다. 수를 있어야 맑게 빛난다. 나무와 불이 없어야하고, 경금이 없고,함부로 던지거나 구멍을 내면 안된다.조정의 제사에쓰이는 귀중한 보석이다. 명리가 뛰어나게 된다.금수운을 반기고, 목화토가 와서 형충하는것을 꺼린다.
<日元確論>辛酉(專祿):
此珍貴金玉也。辛祿居酉。乃宗廟瑚璉之重器。誰不愛敬。生此日者,有水透出,則光彩百倍。加之無木無火無庚。無暴氣納鑿。便爲朝家至寶。功名顯著也必矣。喜行金水,忌行木火土。弁刑冲破败。
진귀한 보석이다. 신금의 녹은 유금이다.종묘에서 제사지낼 때 쓰는 그릇이다. 누군들 아끼지 않을까.이날에 태어난 경우 천간에 수가 있다면, 빛이 매우 밝다.더해서 나무 불 경금이없어야한다.함부로 쪼개면 안된다. 조정에서 귀하게 쓰인다. 공명이 분명 뚜렷하다.금수운을 반기고, 목화토의 운을 꺼린다.형충파해를 피해야한다.
<生成造化>:
辛酉爲珍貴珠寶。辛祿居酉,乃宗廟瑚璉重器。朝家至寶,誰不珍惜。有水透出,加之無木無火無庚沖無暴棄納鑿,便爲尊貴至極也。
신유는 진귀한 보배이다. 신금의 녹은 유금이다.종묘에서 제사지낼 때 쓰는 중요한 그릇이다. 조정에서 아끼는 보배이니 모든이가 아낀다.천간에 수가 있고, 목화와 경금이 없고,함부로 던지거나 쪼개지않으면, 존귀하게 된다.
辛亥
<格物至言>辛亥:
水底珠玉也。淘沙見金。名利從勞力憂患中來。最喜寅合名撈金用篩。文武即登彼岸。如無寅得土水落。亦足見金。倘值污泥刑庫,反加沉淪苦海。喜行寅午戌火土运,忌申子辰水库运。
물에 가라앉은 보석이다. 모래를 걸러 금을 건진다.고생끝에 명리를 얻게된다. 인목이 합하는 것을 가장 반기는데,금을 채취할 때 체를 쓰는것과 같다. 문과에 급제한다. 인목의 체가없이 토로 수를 빼낸다면 찌거지가 가득 차게되니 고생을 심하게 하게된다.인오술 화토운을반기고, 신자신 水庫운을 꺼린다.
<日元確論>辛亥:
此水底珠玉也。淘沙可以見金。生此日者,名利從勞力憂患中來。最喜有寅合亥。名曰撈金用篩。文武即登彼岸。如無寅篩而遇土填水落。泥汙刑庫。則沉淪苦海。终无用矣。运行寅午戌火土忌行申子辰水库。
물에 가라앉은 보석이다. 모래를 걸러 금을 찾는다.이날 태어나면 고생끝에 명리를 힘들게얻는다. 인목이 합하면 가장 좋다.체를 써서 금을 건지는 것과 같다. 문과에 급제한다.인목의 체가 없다면 흙을 써서 물을 빼는 것이니, 찌꺼기가 가득찬다.고생을 많이 해도 결국 큰소득이 없다. 인오술 화토운을 반기고(물을 말린다)신자신 수고운을 꺼린다.(다시 물속에 들어가 버린다)
<生成造化>:
辛亥爲水底珠玉。最喜有寅合亥名爲撈金用篩。即登彼岸。其金足以表見光鋩,或土填水落。倘值泥淤刑庫沉淪苦海終無用矣。
신해는 물속의 보석이다. 인목이 해수를 합하면 채를 써서 금을 걸러내는 것과 같다.과거에급제한다. 보석이 충분히 빛을 낸다.토를 써서 물을 빼내면 찌거기가 가득차서 고생을 해도소용이 없다.
格物至言-總論壬水
<格物至言>
壬陽水天河雨露也。作雲普潤爲福無涯。若無雲之雨涸可立待。故先要密雲爲有用。至用甲乙爲吐氣又其次耳。及水旺用土此去留舒配非論體也。其雲惟何庚辛是也。
임수는 양수(陽水)로 하늘의 비와 이슬이다.구름이 습기를 더해주면 복이 크다. 구름이 없다면 비는 곧 그친다. 구름이 빽빽해야 도움이 된다.갑을목으로 임수의 재능을 드러내는 것은그 다음 일이다. 수가 왕하면 토를 써서 적절히 조절해야한다. 수를 조절하는 것이 핵심적인 문제는 아니다. 임수는 庚辛금 구름이 있어야 한다.
<日元確論>壬支有六:
壬水屬陽,乃天河雨露之水。有雲油然,則普潤蒼生。作福無涯。若無雲之雨。即溝澮皆盈。其凅可以立待。故壬水先要密雲。方爲有用。至用甲乙吐氣,又其次耳。及水旺用土。此去留舒配之論。非本體也,其雲惟何,庚辛是也。
임수는 양의 성격을 지닌다. 하늘의 비와 이슬 같은 물이다.구름이 있다면 비가 힘을 받아만물을 생하게 된다. 그러면 복이 크다.구름이 없다면 어떻게 개울과 도랑을 채우겠는가. 말라버리는 것은 당연하다.임수는 먼저 빽빽한 구름이 있어야 쓸모가 있다. 갑을목으로 재능을드러내는 것은 차후의 문제이다.수가 왕하면 토를 적절하게 써야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문제는 아니다.구름이란 것은 경신금을 말한다.
<生成造化>壬干總論:
壬水通河能泄金氣。剛中之德,周流不滯。通根透癸,沖天奔地。化則有情,從則相濟。
壬水汪洋井百川。漫流天下總無邊。干枝多聚成飄蕩。火土重逢涸本源。壬乃天河雨露之水。有雲油然則普潤蒼生。發育無涯。若無雲之雨。溝澮雖盈涸可立待。雲者庚辛是也。至用甲乙吐秀,火土爲忌,以其時而用也。
임수가 개울이 되어 흐르면 금을 충분히 설한다. 강하면서 중화된 성격을 지니며 끊임없이흘러 멈추지 않는다. 임수가 통근하고 계수 마저 천간에 있으면 하늘에 까지 출렁이고, 땅을뒤덮는다. 합을 하여 좋게 작용하면 만물이 조화롭다. 임수는 물기운이 좋아 모든 개울을아우른다. 온 천하를 두루 흘러다니며 없는 곳이 없다.천간지지에 임수가 많으면 소용돌이친다. 화토를 거듭 만나면수원이 말라버린다. 임수는 하늘의 비와 이슬과 같은 물이다.구름이 돕는다면 천치를 두루 적셔 만물을 끊임없이 자라게 한다. 구름이 없는 비는 말라버리는것이 뻔하다.구름이란 경신금이다. 갑을목을 기르려면,화토는 꺼린다. 때에 맞춰 써야한다.
壬子
<格物至言>壬子:
波濤之水也。有殺制刃,則狂瀾底柱。清宴立俟。文武有總制鎮撫權位。再加印綬食傷與官殺互相制伏。富貴難量。否則氾濫無依,死無棺槨。喜行火土成壩,忌金水木沖壩。
파도와 같은 물이다. 살로 양인을 제해야한다.기둥을 써서 막아야 물이 맑아진다. 문무를겸해 변방을 다스리고 권위를 떨친다. 인수와 식상이 관살과 조화를 이루어야한다. 부귀하게 된다. 그렇지않으면범람하여 의지할 데가 없으니 죽어도 관이 없다. 화토로 뚝을 쌓는 것이 좋고,금수와 목이 뚝을 무너뜨리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壬子:
此波濤洋溢之水也。生此日者,有煞以制刃,則狂瀾砥柱。清晏立俟。爲文爲武。再加印綬與官煞食傷。互相制伏。其功名富貴。大不可量。否則氾濫無所底止。将要转於沟壑之忧。喜行火土,忌行金水木。
파도가 넘실대는 물이다. 살로 양인을 제하면 제방으로 물을 막는것이다.파도가 잔잔해져 물이 맑아진다. 문무를 떨친다.인수 식상으로 관살을 조절하면 공명과 부귀가 따른다. 범람하여 막지못하면 깊은 웅덩이가 된다. 화토를 반기고,금수목을 꺼린다.
<生成造化>
壬子爲洋溢滂沱之水。須有煞以制刃,則狂瀾砥柱,清晏立俟。再加印綬食傷與官煞互相制伏,其功名富貴大不可量。
임자는 넘치는 물이다. 살로 양인을 제해야,뚝으로 넘치는 물을 막아야한다. 그러면 물이 맑게된다.인수와 식상이 관살을 서로 제복하면 부귀공명이 크다.
壬寅
<格物至言>壬寅:
雨落沙堤也。見其入不見其出。人似財利貪慳,多生富貴之後。最喜雲雨交集,趨艮利達發福無涯。有透出多武貴。若四旁火燥是蓉冶之輩。喜行金水木,忌火土及午戌運。
비온 후의 흙제방과같다. 물이 들어가기는 하나 물이 나오는 것은 볼수 없다. 재물을 좋아하고 탐욕스럽고 인색하다.많은 경우 부귀가문의 자손이다. 구름과 비가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한다.동쪽으로 가면 크게 발복한다. 목이 투출하면 군인으로 성공한다.화가 많다면 대장장이 같은 부류이다.금수목을 반기고 화토와 오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壬寅:
此雨落沙堤也。見其入,不見其出。藏蓄於艮山之中。故富者俱多。若雲雨並集。 走東流。則利達無比。有木透出,多是武貴。若上下兩旁,火土太燥。是熔冶之輩而已。喜行金水木,忌行火土午戌。
비온 후 모래제방과 같다. 물이 스며들지만 물이 나오는 것은 볼수없다.동북산에 물건을 숨기는 것과 같다. 부자가 많이 태어난다.구름과 비가 함께 있다면 동쪽으로 가면 좋다. 크게재물을 얻는다.목이 투간하면 많은 경우 군인으로 이름을 떨친다. 아래 위로 화토가 조열하다면 대장장이 부류이다.금수목의 대운을 반기고 화토와 오술의 운을 꺼린다.
<生成造化>
壬寅爲雨露沙堤,見其入不見其出。故主多富。若雲雨並集,趨艮利達發福無涯。有木透出,多是武貴。最嫌火土太燥或水滿金頑,俱是愚頑之輩。
임인은 비나 이슬을 흡수하는 모래제방이다. 물이 들어가나 나오는 것은 보이지않는다. 많은경우 부자이다. 구름과 비가 같이 있다면 동쪽으로 운이 향하면 크게 성공한다.목이 투간하면 많은 경우 군인으로 출세한다. 화토가 조열한 것을 꺼리고,물이 많고 금이 많은 것도 꺼린다. 무뢰배들이다.
壬辰
<格物至言>壬辰:
壬騎龍背名魁罡第一。要遇亥子之刃。則龍可飛天入淵。更喜甲庚爲風雲際會。則升騰潛躍。得此數者,文武科第富貴利達。蓋寅多則富,辰多則貴,惟見戌無情玄黃野戰。喜行金水木申子辰亥子丑運,忌火土巳午未寅戌運。
임기용배(수가 진토 龍위에 올라탔다) 괴강 가운데 으뜸이다.해수나 자수 양인을 만나면 용이 하늘로 날아올랐다가 연못으로 들어간다.갑목 경금을 반기는데,이를 (용이) 바람과 구름이 함께 한다고 한다.곧 하늘높이 올라가는 것이다. 이날 태어나면 무과에 급제하고 부귀하다.인목이 많으면 부자가 되고, 진토가 많으면 높은 자리에 오른다.술을 보면 좋지않다. 하늘과 땅에서 큰 싸움이 난 것 같다. 금수목과 산자진 해자축운을 반기고 화토운과 사오미 인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壬辰:
此壬騎龍背也。壬坐辰名曰魁罡。第一要遇亥子通源。則龍可飛天。更喜天干有甲庚。枝下有卯寅。爲風雲際會。則活潑升騰。入淵游泳。決應文武科第。富貴利達。蓋辰多則貴。寅多則富。惟見戌無情。戰野元黃。從來不爽。喜行金水木申子辰亥子丑運。忌行火土巳午未寅午戌運。
임수가 용의 등에 올라탄 것이다. 임수가 진토에 앉은 것을 괴강이라 한다.먼저 해수 자수의근을 만나야한다. 그러면 용이 하늘로 올라간다.천간에 갑목과 경금을 반기고 지지에 묘목인목을 반긴다. 그러면 바람과 구름이 함께 하는 것이다.힘차게 하늘고 올라가고, 연못에 들어가 헤엄친다.문과급제는 정해졌다. 부귀가 함께 한다.진토가 많으면 권력을 얻고, 인목이많으면 부유하다.술토를 만나면 들판에서 용들이 싸움하는 것 형상이라 좋지않다. 금수목과신자진 해자축운을 반기고 화토 사오미 인오술 운을 꺼린다.
<生成造化>
壬辰爲壬騎龍背。第一要亥子,則龍可潛深淵。更喜天干有甲庚,枝下遇卯寅,是爲活潑升騰風雲際會。惟忌見戌無情,戰野玄黃從來不爽。
임진은 임수가 용의 등에 올라탄 것이다. 해수 자수가 있으면 깊은 연못에 웅크리고 있는 것이다.천간에 갑목 경금이 있고, 지지에 묘목 인목이 있으면 힘차게 하늘로 올라 바람 구름과함께 어울린다.술토를 보면 좋지않다. 용들이 들판에서 싸우는 것과 같다.
壬午
<格物至言>壬午:
水火既濟,胎元生息。不難灌溉。身家只看前後孰畸孰正。然後去留舒配,或補水或補火勻停即富貴,失停即貧賤。喜忌先看偏正,後酌用舍。
물과 불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힘이 미약하지만 절지에서 생을 받는 것과 같다. 물을 대기가 어렵지않다.전후로 누가 강하고 약한지를 살핀다.조절이 적당하여, 상황에 맞게 물을보충하거나 화를 보충하여 균형이 맞으면 부귀하다. 균형을 잃으면 빈천하다.먼저 각자의위치를 보고, 조절한다.
<日元確論>壬午:
此水火既濟也。上水下火,胎元生息。易以既濟。又爲祿馬同鄉。只看前後熟強熟弱。然後去留舒配。或補水補火。自不難矣。勻停即富貴。失勻停即貧賤。喜忌先看偏正後酌用舍。
물과 불이 조화를 이루는 수화기제의 상이다. 위에 물이 있고 아래에 불이 있다.힘이 미약하지만 절지에서 생을 받는것과 같다. 조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재성과 관성이 지지에 들어있으니 역마동향이다. 전후의 배치와 힘을 살펴 물 또는 불로 조절한다.조절이 어렵지않다. 균형이 맞으면 부귀한다.균형을 잃으면 빈천하다. 균형을 살펴 조절한다.
<生成造化>
壬午爲祿馬同鄉,水火既濟。只看前後,孰奇孰正。然後補水補火,得其均停。富貴上品。若水火失其均停,貧賤下格。
임오는 재성과 관성이 지지에 들어있는 녹마동향이다. 물과 불이 조화로운 모습이다.전후를살펴 물 또는 불로 균형을 맞춘다. 균형을 얻으면 부귀하여 높은 벼슬을 한다.물과 불이 균형을 잃으면 빈천한 하류의 삶이다.
壬申
<格物至言>壬申:
水滿渠成也。生生恬息,清白在躬。再生於秋或際乎庚。定主富貴。如生春夏,則減半。再察前後左右,有刃則用殺。無刃則不宜用殺。最忌甲與戊太狠以致遇顙在山,反失順流之性。喜行金水火,忌木土亦斟酌舒配。
물이 가득한 수로와 같다. 물이 끝없이 흐르고 맑다.가을에 태어나거나 경금이 있다면 부귀하다.봄여름에 태어나면 복택이 반으로 줄어든다. 배치를 살펴,양인이 있다면 살을 쓴다. 양인이 없다면 살을 쓸수없다.갑목을 꺼리고 무토가 많은 것을 꺼리는데, 산에 막혀 물길이흐르지못하는된다. 금수화를 반기고 목과 토를 꺼린다.
<日元確論>壬申:
此水滿渠成也。生生恬息,清白在躬。再生乎秋,或際乎庚。不問而知富貴。如生乎春夏。則減半矣。再察前後左右。有刃則用煞。無壬則不宜用煞。最忌者。甲與戌太狠。以至過顙在山,反失其順流之性。喜行金水火。忌行木土,亦斟酌舒配。
물이 가득한 수로이다. 물이 끝없이 흘러,물 자체가 맑다. 가을에 태어나거나 또는 경금이천간에 있다면 부귀한다.여름에 태어나면 복택이 반으로 줄어든다. 배치를 잘 살펴,양인이있으면 살을 쓴다. 천간에 임수가 없다면 살을 쓸수없다.갑목과 술토가 많은 것을 꺼린다. 이는 산에 막혀 물흐름에 어긋난것이다. 금수화를 반기고 목토를 꺼린다. 잘 조절해야한다.
<生成造化>
壬申爲水滿渠成。生生恬息清白在躬。再生於秋或際乎庚,不問富貴可知。生春夏則減半矣。再察其前後左右。有刃則用煞,無刃不用煞。最忌甲與戊太狠。以至過顙在山,失其順流之性。
임신은 물이 가득한 수로이다. 물이 끝임없이 흐르며 또한 물이 맑다.가을에 태어나거나 경금이 있다면 부귀는 따로 물을 필요가 없다. 봄가을에 태어나면 복이 반으로 줄어든다.전후의 배치를 잘 살펴야한다. 양인이 있으면 살을 쓰고,양인이 없는데 살을 쓸수없다. 갑목과무토가 나쁜 작용을 하는 것을 가장 꺼린다. 물이 산에 막혀 흘러가지못한다.
壬戌
<格物至言>壬戌:
驟雨易情也。凡名利妻子多是遇而不遇。若前後有金水相湊,則不遇轉爲奇遇。不然終不中也。喜行金水,忌木火土。
비가 오다가 날씨가 개는 등 변덕이 심한 형상이다. 명리와 처자식이 있어도 있는 것 같지않다. 앞뒤로 금수가 있다면 가난하다가 부유해진다. 그렇지않으면끝내 발전이 없다. 금수를반기고 화토를 꺼린다.
<日元確論>壬戌:
此驟雨易晴也。壬水坐戌。旋雨旋止。人領之,凡名利妻子,多是遇而不遇。若前後有比肩旺祿幫身。則不遇可轉爲奇遇。倘有庚辛相助。又爲雲霧不散。一見太陽,則化爲甘霖。泽及万物矣。喜行金水,忌行木火土。
비오다가 날씨가 개는 것 같은 형상이다. 임수가 술토에 앉았으니 비가 오다가 멈추기도 한다.사람이 명리와 처자식을 만났다가 금방 헤어진다. 전후에 비겁이 왕해 일간을 돕게되면가난하다가도부유해진다. 庚辛이 도우면 구름과 안개가 흩어지지 않는다. 태양이 뜨면 단비가 내린다.땅이 윤택해지면 만물이 잘 자란다. 금수를 반기고 목화토를 꺼린다.
<生成造化>
壬戌爲驟雨易晴。人領之多是遇而不遇。若前後有金水相湊,則不遇中有奇遇焉。
임술은 비가 오다가 날씨가 맑아지는 것이다. 임술이 있는사람들은, 일시적으로 부유하다가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앞뒤로 금수가 함께 있다면 불우하다가 부유해진다.
格物至言-總論癸水
<格物至言>:
癸陰水河澗川澤也。生於卯蓋木生水之說。偏喜林木茂盛,得以浚源導流。故喜乙木吐氣。所謂風來水面時也。決然文章科第。仍見清逸佳致。如無乙干卯支,則無文章寧有科第。若庚申辛酉相扶,則源流亦清澈可嘉。最不利者戊土透出化火,反見利令智昏。
계수는 음수(陰水)로 개천 강 연못이다.卯에서 태어난다. 목이 수를 생한다는 설이 있다. 숲과 나무가 무성한 것을 좋아하고,그러면 근원이 깊어 오래도록 흘러간다. 을목으로 기운을뿜어내는 것을 좋아한다.이는 바람이 수면을 오가는 형상이다. 문장이 뛰어나 장원급제를 한다.을목이나 묘목이 없다면 문장이 뛰어나지않다. 과제 급제가 어렵다. 庚申辛酉가 도우면 근원이 맑아서 역시 좋다. 천간에서 무토를 만나 화로 변화하는 것은 가장 좋지않다. 영리해 보이나 어리석다.
<日元确论>癸支有六:
癸水属阴。乃河澗川澤之水。生於卯上。蓋取木生水之說。喜林木茂盛。得以濬導源流。故喜乙木吐氣。以生斐然之美。所謂風來水面時也。人生領此。決定文章科第。仍餘清逸佳致。如無乙干卯支,則無文章可許。甯有庚申辛酉相扶。則源流亦清澈可嘉。最不利者,戊土化火。反使利令智昏。
계수는 음에 속한다. 개천 강 연못의 물이다.묘에서 태어난다. 목이 수를 생한다고 하는 것이다.나무와 숲이 우거진 것을 반긴다. 근원이 좋아 계속 흘러간다.을목으로 기운을 뿜어내는 것을 좋아한다. 매우 아름다운 모습이다.바람이 불어 물결이 이는 형상이다. 사람은 문장이 뛰어나 장원급제를 한다,맑고 편안한 모습이다.을목과 묘목이 없다면 문장은 뛰어나지않다. 庚申辛酉가 돕는다면,물의 근원이 맑아 좋다. 가장 불리한 것은 무토와 합을 하여 화로변하는 것이다.영리한듯 하면서도 어리석은 형상이다.
<生成造化>癸干總論:
癸水至弱,達於天津。得龍而運,功化斯神,不愁火土,不論庚辛,合戊見火,化象斯真。
癸水應非雨露麼。根通亥子即江河。柱無坤坎身還弱。局有財官不尚多。癸乃川澤溪澗之水。最喜乙水吐氣以生婓文。所謂風生水面也。如無乙而有卯枝,兼庚辛申酉相扶。亦是清澈可愛。最不利戊土透出化火,反使利令智昏。
계수는 매우 약하지만 하늘에 까지 올라간다. 용을 얻으면 움직이니 변화가 매우 다양하다.화토를 두려워하지 않고, 庚辛도 반긴다.무토를 만나고 화를 보게 되면, 합으로 인한 변화가 제대로 일어난다.
계수는 비나 이슬은 아니다. 해수 자수에 뿌리를 내리면 강 개천이다. 곤감(坤坎.申子)이 없으면 역시 약하다. 재관이 많으면 안된다.계수는 개천 연못 계곡물이다. 을목으로 기운을 뿜어내는 것을 가장 좋아한다. 아름다운 모습이된다. 마치 바람이 불어 물결이 이는 모습이다.을목과 묘목이 없다면 庚辛申酉이 도우면 된다.역시 물이 맑아져 좋은 모습이다. 무토가 투간하여 불로 변화하는 것이 가장 좋지않다.사람이 영리한듯 하지만 어리석다.
癸丑
<格物至言>癸丑:
穢積叢雜之水也。眾水交集。氣息多鬱。爲人心事齷齪,必要上下四支,有乙干卯支以通氣疏息。定然科第。若無乙卯有甲寅亦可乘風破浪。堪許利達。不是性氣多暴便作事多險。有成有敗。終不如乙卯之安吉。倘甲寅乙卯俱無,則不中矣。若丑未相沖偏可喜。子丑相合亦不爲妙。喜行金水木。忌火土运库运。
찌꺼기가 잔뜩 들어있는 물이다. 온갖 물이 섞여있다. 기운이 답답하다. 성품이 비열하다.반드시 을목 묘목으로 소통을 시켜야한다. 그러면 장원급제한다. 을묘가 없고, 갑인이 있다면 역시 바람을 타고 물결을 일으키며 크게 발전한다. 성격이 급하고 거칠며 음험한 구석이있다. 성패를 거듭한다.을묘가 있는 것 처럼 안정적이지 않다. 갑인 을묘가다 없다면 성공할수 없다. 그럴 경우 축미 충이 있다면 반길 일이다.자축합은 좋지않다. 금수목을 반기고,화토와 고(庫)운을꺼린다.
<日元確論>癸丑(逢刃):
此穢積叢積之水也。眾水交集。氣息多鬱。人領之,必爲事齷齪。必要上下四旁。有乙干卯支以通氣息。則斐然成章。定爲科名富貴。若有甲寅,亦可乘風破浪。堪成利達,但性氣多暴。或作事兇險,有成有敗。終不如乙木之安吉耳。倘若甲寅乙卯俱無。則不足取矣。偏喜丑未相沖。不喜子丑相合。喜行金水木,忌行火土庚。
찌꺼지가 가득한 물이다. 온갖 물이 섞여있다.기운이 답답하다. 사람은 성품이 비열하다.을목 묘목으로 기운을 소통시키면 좋은 모양이 된다. 과거에 합격하여 부귀를 누린다.갑인이있다면 역시 바람을 타고 물결을 일으키듯 성공한다. 단 성품이 거칠고 음흉한 구석이 있다.성패를 반복한다. 을목처럼 편안하지는 않다.갑인 을묘가 다 없다면 성취가 없다. 축미가 상충하면 좋지만 자축합을 반기지않는다. 금수목을 반기고 화토와 경금을 꺼린다.
<生成造化>:
癸丑爲汙濊叢雜之水。氣息多鬱。必要乙干卯枝以通氣疏息。風成利達。不然則甲寅亦可乘風破浪。喜見丑未相沖。忌見子丑相合。
계축은 찌거기가 많은 물로 기운이 답답한 형상이다. 을목 묘목이 기운을 소통시켜야 성공한다.갑인이 있어도 성공한다. 축미상충도 반긴다.자축합은 꺼린다.
癸卯
<格物至言>癸卯:
林中澗泉也。癸生在卯,無一點渣滓。且清風徐來其人心地明白。慈祥情懷瀟灑磊落。不但文章易成科第。心術直可挽回惡俗。只怕前後有濁水濁土相混則不中。喜行金水木,忌火土运。
숲속의 샘이다. 계는 묘에서 장생으로 찌거기가 없다.맑은 바람이 천천히 불어오니 사람의마음도 그와 같이 밝고 깨끗하다. 성품이 어질고 시원스럽다. 또한 문장이 뛰어나 과거급제한다. 마음씀이 곧아 나쁜 버릇을 멀리한다. 앞뒤에 탁수나 탁토가 있다면 성공하지 못한다.금수목을 반기고 화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癸卯(長生)
此林中澗泉也。癸生在卯,不惟無一點渣滓。且有清風徐來之妙。人領之,其心地坦白慈祥。其情懷瀟灑脫落。不當從流俗中觀也。文章易成科第。心術可挽末流。只怕前後濁水濁土相混。爲不宜耳。喜行金水木,忌行火土。倘过於衰旺,又当酌取。
숲속에 솟아나는 샘과 같다. 계는 묘에서 태어나는데 일점의 찌꺼기도 없다. 맑은 바람이 서서히 불어오면 더욱 좋다.사람이 이날 태어나면 마음이 선량하고 인색하지않다. 시정잡배들의모습이 아니다. 문장이 뛰어나 과거에 합격한다.나쁜 풍습을 바로 잡는다. 앞뒤로 탁수나탁토가 있다면 좋지않다.금수목운의 운을 반기고 화토운을 꺼린다. 왕쇠에 따라 적절히 배합을 조절한다.
<生成造化>
癸卯为林中涧泉。癸生在卯不惟無一點渣滓。且有清風徐來,人領之心地慈祥襟懷灑落。不類流俗,只怕前後濁土相混雜耳。
계묘는 숲속의 샘이다. 계는 묘에서 태어나는데 한점의 찌꺼기가 없다.바람이 서서히 불어오면(을목이 있다면)사람의 성격이 자상하고 인색하지 않다. 나쁜 풍습에 물들지않는다. 오직토가 많은 것을 꺼린다.
癸巳
<格物至言>癸巳:
岡阜岑珂水也。漲流不清開口天,名財官雙美。水火既濟,人多自作乾坤。自營名利。未必祖父燕詒。最喜山林茂盛。雲雨陰曀則潮濕不竭,即成富貴。最忌支柱有亥沖則堤壞。而水枯便不中矣。刑害之不利猶其次耳。
산등성이를 흘러가는 물이다. 차고넘쳐 하늘까지 넘실거린다. 재물과 관성이 둘다 좋다.재관쌍미라고 한다. 물과 불이 조화를 이루는 수화기제이다. 많은 경우 스스로 큰 성취를이룬다. 스스로 돈을 벌고 명리를 얻는다. 조상의 힘이 아니다. 산림이 무성한 것을 가장 반긴다. 구름과 비가 있다면 습기가 있어마른지 않는다. 이 경우 부귀를 이룬다. 해수가 와서 충하면제방이 무너지므로 가장 꺼린다. 수가 마르면 중화를 이루지 못한다. 형해로인해 불리함은 그 다음 문제이다.
<日元確論>癸巳:
此岡阜岑流之水也。名曰財官雙美。水火既濟。人領之,多自作乾坤。自圖名利,未必有祖父燕貽。最喜山林茂盛。雲雨陰翳。則潮濕不竭,即成富貴。最忌者,支柱有亥相沖。則堤壞而水自枯。三刑六害,猶其次耳。喜行金水木运,忌行火土冲运。
산등성이를 흘러가는 물이다. 재성과 관성을 함께 갖춘 아름다운 모습이다. 물과 불이 조화를 이룬다.사람이 조상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큰 성취를 한다. 수풀이 우거진 것을 가장 좋아한다.구름과 비가 함께 있다면 습기가 있어 건조하지 않으니 부귀를 이룬다.해수가 와서충하는 것을 가장 꺼린다.그러면 제방이 무너져 물이 스스로 말라버린다. 삼형과 육해를 만나는 것이 그 다음으로 나쁜 것이다.금수목의 운을 반기고, 화토가 와서 충하는 것을 꺼린다.
<生成造化>
癸巳爲高阜岑阿之水。源流固清而財官雙美。所喜者山林茂盛雲雨得宜。最忌者枝柱亥沖。恐堤岸壞而水自枯,惟喜水旺且多亥沖反吉。
계사는 산등성이를 흐르는 물이다. 근원이 맑아서 재물과 벼슬을 함께 얻는 아름다운 모습이다.가장 좋은 것은, 산림이 무성하고,구름과 비를 함께 얻는것이다. 가장 꺼리는 것은 해수가 충하는것이다. 제방이 무너져 물이 저절로 말라버린다. 수가 왕하고 많다면, 오히려 해수가 와서 충하면 좋다.
癸未
<格物至言>癸未:
洲澤灣曲之水也。坐於未庫流爲灣曲之象,人多假道學。心事有外清內蒙之象。最喜金水透出天干,亥卯會入地支。以成利達之美。若火土重逢多是遇而不遇。喜行金水木,忌火土库。
넑은 대지를 구불구불 흘러가는 물이다. 미토 고지에 앉았으니 구비구비 흘러가는 형상이다.사람이 거짓으로 꾸밈이 많다. 밖은 맑으나 안은 어수선한 형상이다.가장 좋은 것은 금수가천간에 투간하고 해묘로 삼합을 하는것이다. 그러면 성공한다.화토를 거듭 만나면 성공했다가 실패한다. 금수목을 반기고 화토와 고(庫)운을 꺼린다.
<日元確論>癸未:
此川澤曲灣之水也。癸坐未庫。流月有灣曲。人領之,有智謀,有機變,最喜金水透出天干。亥卯會入地支以成利達之美。若火土重逢,多是遇而不遇。喜行金水木,忌行火土库。
구비쳐 흘러가는 강이다. 계수가 미고에 앉았다. 달이 흐르는 물 위에 떠 있는것이다. 사람이 지모가 있고,임기응변에 강하다. 금수가 투간하면 좋다.해묘가 삼합을 이루면 성공한다. 화토를 거듭 만나면 성공했다가 실패한다.금수목을 반기고 화토의 고(庫)를 꺼린다.
<生成造化>
癸未爲川澤灣曲之水。癸坐未庫。流有灣曲。人領之有智謀,多權變。最喜金木透干,亥卯會枝,以成利達。若火土重逢遇而不遇。
계미는 구비쳐 흘려가는 강물이다. 계수가 미토에 앉았으니 물이 구비구비 돌아 흘러가는 모습이다.사람이 지모가 있고 임기응변에 강하다. 금목이 투간하는 것을 반기고 해묘가 삼합하는 것을 반긴다.그러면 성공한다. 화토를 거듭 만나면 잠시 성공했다가 실패한다.
癸酉
<格物至言>癸酉:
石孔流泉也。水生於石,其流极清。人必祖父簪笏世家。人有義氣,才有擔當。清白家風,文章俊秀。但前後有木蔭庚潤,則清白不替。繩祖武登科第。若有庚無木有木無庚,則減半。如概無庚無木,或有衝破必愧先人。喜行金水木,忌火土運。
돌틈으로 흐르는 샘물이다. 물은 돌에서 태어나서 아주 맑게 흘러간다.조상으로부터 혜택이 있다. 사람이 의롭고 재능이 있다.가풍이 맑고 깨끗하다.문장도 뛰어나다.전후로 목이 있고, 경금으로 윤택하게 하면 청백리의 모습이다.조상에 이어 무과에 급제한다. 경금이 있고 목이없거나,목이 있고 경금이 없다면 복이 반으로 줄어든다. 경금도 없고 목도 없거나,혹은 충파가 있다면 조상에 부끄러운 하찮은 사람이다. 금수목운을 반기고,화토운을 꺼린다.
<日元確論>癸酉:
此石孔流泉也。水生於石,其流極清。人領之,知必簪纓世家。且有義氣擔當。清白家風。可愛文章。清俊可取,但前後有木映庚潤。則清白不替。易繩祖武。易登科甲。若有庚無木。則減半矣。如概無庚無木。必愧先人矣。喜行金水木,忌行火土运。
돌구멍에서 솟아나는 샘이다. 돌에서 태어나니 매우 맑게 흘러간다.사람이 조상의 혜택을 물러받는다. 의로워야 이를 감당할수 있다.청백리의 모습이다. 문장이 뛰어나다.목이 모양을갖추고 경금이 수원이 되면, 청백리의 모습이다.조상을 이어 무과에 급제한다. 경금이 있고목이 없다면 복이 반으로 줄어든다.경금이 없고 목도 없다면 조상에 부끄러운 사람이 된다. 금수목을 반기고 화토운을 꺼린다.
<生成造化>
癸酉爲石孔流泉。水生於石,其源極清。其流必長。領之者多生於簪纓世胄之家。必是清廉文人,若前後有木映金潤。則易繩武登科及第。若有庚無木有木無庚福減半矣。无木无庚必愧先人。
계유는 돌구멍에서 솟는 샘이다. 물이 돌에서 생겨나므로 그 근원이 매우 맑아 멀리 흘러간다.조상의 훌륭한 점을 물려받는 사람이 많다. 청렴한 문인의 삶이다.목이 모양을 갖추고 금이 수원이 되어주면 조상을 이어 무과에 급제한다. 경금이 있고 목이 없거나,또는 목이 있고경금이 없다면 복은 반으로 줄어든다. 경금과 목이 모두 없다면 조상에 부끄러운 사람이 된다.
癸亥
<格物至言>癸亥:
水天一色也。出崑侖,氣通乾亥。渾渾淪淪與天無二名。還元之水,人元氣葆涵,機械不生。再加有木清風徐來,自然是羲皇以上之人。功名富貴猶其小耳。最怕左右有巳亥刑沖相混。再有狂風暴雨之甲壬相難,便不中矣。喜行平穩會合運,忌刑出作浪運。
물이 하늘과 맞닿은 바다의 상이다. 곤륜에서 나와 하늘에 이른다.하늘과 뒤섞여 구별이 되지않는다. 근원으로 돌아가는 물이다.사람이 이 기운을 지니면 큰 그릇이 된다. 목이 있어바람이 서서히 불어오면 성인과 같은 사람이다.부귀공명은 오히려 작은 것이 된다. 巳亥형충을 꺼린다.갑목과 임수가 함께 있으면 사나운 비바람을 만난 것 같아서 성공하지 못한다. 운의 흐름이 평온하고 삼합 육합의 운으로 흐르면 좋다.형충을 만나 파란이 이는 것을 꺼린다.
<日元確論>癸亥:
此水天一色也。出崑侖。氣通乾亥。宛然水與天一色。名曰運元之水。人領之,元氣葆涵,機械不生。再加有木,清風徐來,自是羲皇以上之人。至於功名富貴,猶其次耳。若左右有巳亥辰酉刑沖相混。再有狂風暴雨之甲壬相集。便不宜矣。喜行平穩會合運。忌行刑沖作浪運。
물과 하늘이 같은 색이다. 곤륜에서 나와 하늘에 이른다.하늘과 물이 맞닿은 형상이다. 근원인 하늘로 돌아가는 물이다.사람이 이 기운을 받으면 작은 것에 얾매이지 않는다. 목이 있으면 바다에 바람이 서서히 불어오는것과 같아 성인과 같은 사람이다. 부귀공명을 논하는것이 우습다.사해상충이 되거나 진토 유금을 만나는 것을 꺼린다. 갑목 임수가 있다면 거센비바람을 만난 것이니 좋지않다. 평온한 삼합 육합의 운이 좋다.형충을 만나면 물결이 거칠어져 좋지않다.
<生成造化>
癸亥爲水天一色。出崑侖氣通乾亥。宛然水天一色,渾渾淪淪。名曰還元之水與天無二。再加有乙木清風徐來。自然是羲皇以上之人。最怕左右巳亥刑沖相混,更有狂風暴雨。并嫌壬申相杂,便不中矣。
계해는 하늘과 맞닿은 바다와 같은 물이다. 곤륜산에서 나와 하늘에 통하는 바다와 같다. 하늘과 같은 빛깔로 물이 매우많은 것이다. 근원으로 돌아가는 물이니 하늘과 다르지않다. 을목이 있다면 바다에 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것 같아 성인과 같은 사람이 된다. 사해상충을 만나면 좋지않고, 갑목 임수가 있으면 비바람이 거칠어진다. 壬申이 섞이는 것을 싫어하는데성공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