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Digital shift의 가속으로 물류가 변한다!
DX의 도입은 물류 현장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많은 기업은 업무 형태를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수발주나 재고 관리 등의 물류 업무에 대해서도, 이제까지의 종이 매체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중점을 둘 필요가 생겨났다. 덧붙여 말하면, 감염대책인 3밀(密)의 회피에 대한 명료한 solution으로서도, 물류 DX에 주목이 모아졌다.
예를 들어 업계 전체, 또는 복수 기업이 메리트를 향수(享受, 받아들여 누림)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한 digital platform 구축형의 물류 DX 모델도 주목을 모으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물류센터 등의 berth 예약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제까지 물류센터의 트럭 납품은 선착순으로 되는 경우가 많고, 많은 물류 센터에서는 순번 대기의 트럭이 열을 만들어 갔다. 트럭 기사의 노동 환경이 악화되는 요인이었다. 하지만, 클라우드 형의 berth 예약 시스템이 등장하는 것으로, 트럭 기사는 납품의 순번을 사전에 클라우드 경유로 예약 가능하도록 되었다. 노동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그리고, 이러하게 구축된 platform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plication의 데이터 연대)에 의해 DX 기능을 확장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장에서도 스마트폰 단말 등을 사용하여 DX의 도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개개의 운송회사는 시스템 구축의 코스트나 특별한 연수 등은 필요가 없기 때문에, DX를 도입하는 shift 면의 허들은 자게 된다.
단, 물류 DX의 도입에 있어서는 “어떠한 효과가 나오고, 어떻게 기업이 변하고 있는 것인지” 라고 하는 vision과 전략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어떠한 목적으로 DX를 행하고, 메리트와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점 BOX Berth 예약 시스템 도입으로 대기 시간을 단축 클라우드의 활용으로 진보하는 물류 현장의 디지털화 DX의 메리트를 명확히 하는 노력이 필요 |
* 3밀(密): 코로나 확대 초기에 수상관저, 후생노동성이 내건 표어, 밀폐, 밀집, 밀접(아래 첨부 파일 참조)
<Berth 예약 시스템의 구조>
#DX #3밀 #디지털플랫폼 #berth예약 #클라우드형 #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