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행정 계층은 크게 두 단계로, 광역인 주(Provinsi)와 그 아래의 시(Kota, 도시지역)와 군(Kabupaten, 농촌지역)으로 구분된다. 군과 시의 하위 단위로 우리나라의 구 또는 읍-면과 유사한 끄차마딴(Kecamatan), 그리고 그 하위 단위로 마을(Desa 또흔 Keluarthan)로 운영한다. 인도네시아 지방정부는 37개 주, 98개 시, 416개 군, 7,277개 읍, 7만 5,265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37개 주 중에서 수도 자카르타와 욕야카르타는 특별행정주, 아체와 파푸아는 특별자치주이다. 각각의 주들은 모두 독자적인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주지사는 선거로 선출된다. 주 다음 단계는 군에 해당하는 카부파텐과 시에 해당하는 코타로, 각각 군수와 시장들이 맡아 운영한다. 이들도 모두 각자 의회가 있다. 그 다음 단계는 지역구이며, 마지막 단계는 마을이다. 마을은 주민들에 의하여 선출된 ‘루라’ 혹은 ‘케팔라’라고 불리는 이장들이 관할한다. 반다 아체라는 지역은 보수적인 이슬람 사회로 샤리아 법과 관련되어 중앙 정부의 법보다 훨씬 더 엄격한 법을 자율적으로 만들어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