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립치매요양병원 운영 및 건립현황 실태점검 결과보고서 |
보 건 복 지 부 |
노인요양보장과 |
Ⅰ. 목 적
공립치매요양병원의 건립추진상황 및 운영실태 등을 점검ㆍ진단하여 미진한 부분에 대하여는 사업추진을 독려하고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강구하여 2004년도 국고보조사업을 원활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Ⅱ. 출장일정
○ 출장기간
- 1차 : 2004. 3. 2(화) ~ 3. 6(토)
- 2차 : 2004. 3. 15(월) ~ 3. 20(토)
- 3차 : 2004. 3. 22(월) ~ 3. 26(금)
○ 점검대상 : 국고지원으로 운영ㆍ추진ㆍ신규사업 예정인 [공립치매요양병원] (별표1)
○ 출장지역 : 서울 등 15개 시ㆍ도(시ㆍ군ㆍ구) (제주 제외)
○ 출 장 자 : 노인요양보장과장외 6명
III. 주요 점검사항
1. 추진중ㆍ신규사업 예정인 경우
○ 공립치매요양병원 건립추진상황(부지선정, 공사진척도, 예산 등)
○ 기본운영계획 수립 여부, 운영조례 제정 여부, 수탁자 공모방법 등
○ 공립치매요양병원의 발전방향 등에 대한 의견 등
○ 공립치매요양병원 건립에 따른 문제점
○ 기타 건의사항
2. 운영중인 경우
○ 공립치매요양병원 운영현황(병상, 환자, 직원, 요양비 등)
○ 공립치매요양병원의 발전방향 등에 대한 의견 등
○ 공립치매요양병원 운영에 따른 문제점(민원 등)
○ 기타 건의사항
IV. 점검결과
1. 공립치매병원 현황
계 |
운영중인 병원 |
사업자 선정 후 사업 추진중 |
사업자 선정중 |
기타(국고반납) | ||||||||||
계 |
시ㆍ 도립 |
군 단위 |
소계 |
시ㆍ 도립 |
군 단위 |
소계 |
시ㆍ 도립 |
군 단위 |
소계 |
시ㆍ 도립 |
군 단위 |
소계 |
시ㆍ 도립 |
군 단위 |
45 |
36 |
9 |
14 |
14 |
- |
23 |
18 |
5 |
7 |
3 |
4 |
1 |
1 |
- |
※ 세부추진실태 : 별첨(2004년도 10개소 지원예정)
2. 공립치매요양병원 운영 및 건립추진 실태
□ 개원 운영중인 병원(14개소)
○ 년도별 지원 및 개원실태
년도별 구분 |
‘96 |
‘97 |
‘98 |
‘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계 |
지 원 |
3 |
3 |
3 |
3 |
3 |
3 |
10 |
17 |
10 |
55 |
개 원 |
- |
- |
- |
3 |
2 |
2 |
5 |
1 |
1 |
14 |
<년도별 개원 실태>
- 2000년도 이전 : 3개소(경기용인, 전남광양, 경북안동)
- 2000년도 : 2개소(전주, 경남사천)
- 2001년도 : 2개소(청주, 경북경산)
- 2002년도 : 5개소(대구, 인천, 광주, 경기여주, 창원)
- 2003년도 : 1개소(충북홍성)
- 2004년도 : 1개소(서울) 금년 중 9개소 개원예정
※ 사업 착수에서 개원까지의 소요기간 평균 2년 이상 소요됨
※ 사업추진이후 부지변경이나 집단민원 등 발생시 상당기간 추가 지연
○ 병상 규모
- 100병상 미만 : 3개소(서울, 충남홍성, 전남광양)
- 100병상~150병상 : 6개소(대구, 인천, 경기여주, 청주, 경남사천, 창원)
- 150병상~200병상 : 3개소(광주, 전주, 경북경산)
- 200병상 초과 : 2개소
※ 운영중인 병원의 평균 병상수는 155병상임
○ 병상가동율 (평균 병상가동률 : 79%)
- 50% 미만 : 2개소(충남홍성, 경북안동, 경북경산)
- 50%~70% : 3개소(서울, 인천, 전남광양)
- 70%~95% : 2개소(경기용인, 충북청주)
- 95%초과 : 6개소(대구, 광주, 경기여주, 전주, 경남사천, 창원)
※ 2002년도 이전 개원된 병원은 대부분 병상 가동율이 90%이상이며, 일부병원은 경기여주, 경남사천 ․ 창원병원은 평균대기인원이 5 - 6명 정도임
※ 2003년도 이후 개원된 병원(충북홍성, 서울) 및 운영 중에 추가 증축된 병원(경북안동, 경북경산)은 증축병상수가 반영되어 병상가동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 수익 현황
- 평균 세입 : 2,645백만원
- 평균 세출 : 2,744백만원
- 평균 순이익 : ▲99백만원
※ 14개소 병원 중 3개소(대구, 광주, 경북안동)병원은 흑자이나 그 외병원은 대부분 적자상태임
○ 입원료 현황
- 평균 입원료(간병료 포함)
ㆍ 건강보험대상자 : 134만원
ㆍ 기초생활대상자 : 59만원
※ 입원비용중 간병료가 평균 54만원정도로 대부분의 가족들이 경제적인 부담으로 입원을 기피하고 있는 실태임
□ 건립추진중인 병원(30개소)
○ 건립추진 실태
- 23개소는 위탁운영자를 선정하여 사업 추진 중에 있으나
7개소는 위탁운영자를 선정 또는 공모 중에 있음
※ 사업자공모선정, 부지기부체납, 조례제정, 실시설계, 공사입찰,
착공, 준공 등 사업 착수에서 개원까지 평균 2년 이상소요
○ 기본운영계획수립 여부 및 수탁자 공모 등
- 대부분 기본운영계획을 수립하고 공모에 의해 수탁자를 선정하였거나 공모 중에 있었음
3.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요양병원 운영에 따른 문제점
- 간병비, 위생용품비, 환자 식대 등 비급여 부분으로 인하여 본인부담금이 환자 1인당월평균 55-135만원정도로 기초생활 수급자 등 저소득층의 입원이 현실적으로 어려움
․입원수요가 있음에도 병상 가동율이 76% 정도에 불과함
- 대부분의(14개소중 11개소) 병원이 적자운영
※ 적자발생사유
․의료급여환자와 건강보험환자에 대한 간병비, 식대 등 차등 징수
․건강보험 진료비 청구시 가산금 차등 지급(의료급여 15%, 건강보험20%)
․장기입원환자(3-6개월) 입원료의 40%삭감(대부분 의료급여 환자)
․진료비중 비급여 부분 의료급여 환자의 본인부담능력 부족에 따른 손실
․소요병상 부족으로 부대시설 및 일반운영비 등 지출비율 증가 등
○ 건립추진에 따른 문제점
- 위탁사업자 공모결과, 신청자가 없어 2-3차례 공모 등으로 인한 선정 지연
․서울시의 경우는 2개년에 걸쳐 공모였으나 공모자가 전무한 실정으로 사업을 포기하기로 의회에서 의결
- 지역 주민의 집단 건립반대로 사업지 선정 등에 어려움
- 위탁운영자 선정 등에 따른 지연
- 부산 북구청의 토지형질변경허가신청 불허가 처분에 따른 위탁사업자의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 제기에 따른 지연(부산시)
- 운영위탁자의 신축설계 변경요구에 따른 지연(안산시)
- 자연재해(태풍 ‘매미’ 등)로 인한 축대 붕괴, 지반약화 등에 따른 보강공사로 인한 소요예산 증가
- 원자재 가격 폭등에 따른 소요예산 증가
○ 건의사항
- 의학관리료 삭감을 완화하여 환자가족 고통 경감 및 병원운영의 건전화를 기할 수 있도록 개선 요망
※ 요양병원 입원료 조정 추진중 : 5. 25 건정심 의결후 고시 개정 예정
- 노인성 질환에 대하여 행위별수가제에서 단일수가제로 적용될 수 있도록 요양병원수가 조속마련
- 현 병상(90병상)규모로는 독립채산 운영이 어렵기 때문에 증축규모(현재 45병상) 확대 필요 ⇒ 병원의 손익분기점이 될 수 있도록(230병상 이상) 증축 규모 확대 요망
- 의료급여 환자에 대한 간병비 지원 요망
- 현대화 장비 보강 필요 ⇒ 장비보강비 현실에 맞게 지원 요망
- 병원명칭을 치매병원 대신 노인전문병원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침 개선 요망
4. 향후 조치계획
○ 독립채산 운영이 가능한 적정규모 병상(150병상 이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신축 및 증축 규모 확대지원 방안 검토
○ 요양병원 수가 제정 등을 통한 병원경영자의 적극참여 유도
-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협의(보험급여과)
○ 의료급여 환자에 대한 노인간병비 부담경감 방안마련
- 노인간병비 세제지원 방안 검토
- 간병비 지원, 자원봉사자 활용방안 등
○ 노인전문병원으로 병원명칭 변경요청에 대해 검토
- 치매병원을 혐오시설로 오인 주민의 반발 등 사전 예방
○ 신축비 예산신청방법 변경
- 현행 시․도의 설치 기본계획에 의한 신청 ⇒ 사업자 선정공모완료, 해당부지의 건축가능성이 확인된 지역에만 예산신청토록 변경
○ 정기적 집행상황에 대한 평가확인시스템 구축
- 우리 부 및 시도 에 『시설집행 및 평가단』 구성하여 월별, 분기별 집행상태를 상시 확인하는 시스템 구축
○ 치매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등 인프라확충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
- 지역주민에 대한 요양시설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 및 노인요양보험제도의 도입 계획 등에 대한 홍보 강화
- 지방자치단체장 및 관계 공무원의 정기적인 정책간담회 등을 통한 치매노인요양보호 문제의 주요정책 이슈화로 적극적 추진 독려
○ 사업비 절감 및 건축기간 단축을 위한 신축과 연계한 증축비 지원
운영병원 현황
시ㆍ도 |
병 원 명 |
병상수 |
입원현황 |
재정현황(단위:백만원) |
입원료(단위:만원) |
개원일 | |||||
입원 환자수 |
병상 가동율 |
세입 |
세출 |
순이익 |
일반 |
기초생활자 |
간병료 | ||||
계 |
평균 |
155 |
122 |
79 |
2,645 |
2,744 |
▲99 |
134 |
59 |
54 |
|
서 울 |
서울특별시립치매요양병원 |
90 |
58 |
64 |
|
|
|
130~200 |
70~105 |
60~150 |
2004. 3 |
대 구 |
대구광역시치매및노인전문병원 |
134 |
134 |
100 |
3,156 |
3,142 |
14 |
120~130 |
50 |
45~69 |
2002. 7 |
인 천 |
인천광역시립노인치매전문병원 |
112 |
73 |
65 |
1,801 |
1,988 |
▲187 |
190~200 |
90~110 |
75~100 |
2002. 7 |
광 주 |
광주광역시립인광치매요양병원 |
200 |
198 |
99 |
4,295 |
4,102 |
193 |
100~160 |
35~85 |
30~80 |
2002. 4 |
경 기 |
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용인) |
259 |
238 |
92 |
5,333 |
5,442 |
▲109 |
140~170 |
60~70 |
21~45 |
1999. 10 |
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여주) |
104 |
104 |
100 |
1,815 |
2,147 |
▲332 |
140~170 |
60~80 |
60~69 |
2002. 12 | |
충 북 |
충북도립노인전문병원(청주) |
120 |
100 |
83.3 |
2,724 |
2,885 |
▲161 |
120~170 |
36~45 |
30 |
2001. 2 |
충 남 |
충북도립노인전문병원(홍성) |
90 |
33 |
37 |
589 |
643 |
▲ 54 |
110~115 |
50~65 |
45 |
2003. 3 |
전 북 |
전주노인복지병원 |
187 |
180 |
96.3 |
3,245 |
3,380 |
▲135 |
120~130 |
45~50 |
45 |
2000. 6 |
전 남 |
공립광양치매요양병원 |
76 |
57 |
75 |
1,120 |
1,279 |
▲159 |
95~150 |
35~55 |
30 |
1999. 6 |
경 북 |
경북도립안동노인전문요양병원 |
260 |
90 |
34.6 |
3,485 |
3,458 |
26 |
100~115 |
50~45 |
36 |
1999. 4 |
경북도립경산노인전문요양병원 |
190 |
90 |
47.4 |
2,464 |
2,561 |
▲ 97 |
130~150 |
50~70 |
46~60 |
2001. 4 | |
경 남 |
경남도립치매요양병원(사천) |
135 |
135 |
100 |
2,359 |
2,549 |
▲190 |
90~110 |
26~62 |
20~40 |
2000. 7 |
창원시립치매요양병원 |
150 |
150 |
100 |
2,002 |
2,097 |
▲ 95 |
100~110 |
37~50 |
30~45 |
2002. 12 | |
계 |
총계 |
2,107 |
1,640 |
|
34,388 |
35,673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