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년도-학기 | 2010-2 | 과목명 | 동아시아평화연구(A Study of Peace in Ease Asia) | ||
과목코드-분반 | NA00045-01 | 이수구분 | 전선 | 학점(이론-실습) | 2학점( 2시간-0시간) |
담당교수 | 문병철 | 강의실 | 7.새천년관 7417호 | 강의시간 | 목9, 10, 11, 12 |
강의정보 |
주별진도 |
주별진도1 | <주제1: 국제정치이론의 주요흐름> -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 마르크스주의 - 사회구성주의 <참고문헌> - 존 베일리스 외 『세계정치론』 (4판) (서울: 을유문화사, 2010) 중에서, 제5장 현실주의, 제6장 자유주의, 제7장 현대주류이론: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제8장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이론, 제9장 사회구성주의, 제10장 국제정치이론의 대안적 접근들. |
주별진도2 | <주제2: 각 이론의 장단점 비교, 분석> - 신현실주의 - 신자유주의 - 마르크스주의 - 사회구성주의 <참고문헌> - 주제1의 참고문헌과 동일함. |
주별진도3 | <주제3: 전통시대 2000년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참고문헌> - 이삼성,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 (한길사, 2009). - 한승동 (평) “소중화 사대주의자들의 계보: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 이삼성 저,” 녹색평론 통권 제107호 (2009년 7/8월), 녹색평론사, pp. 210-226. - 구갑우 (평) “한 ‘국제정치학자’의 현재적 과거읽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 이삼성 저,” 경제와 사회 통권 84호 (2009년 겨울), 한울, pp. 329-338. |
주별진도4 | <주제4: 19세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참고문헌> - 이삼성,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2』 (한길사, 2009). - 한승동 (평) “소중화 사대주의자들의 계보: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 이삼성 저,” 녹색평론 통권 제107호 (2009년 7/8월), 녹색평론사, pp. 210-226. - 구갑우 (평) “한 ‘국제정치학자’의 현재적 과거읽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2』, 이삼성 저,” 경제와 사회 통권 84호 (2009년 겨울), 한울, pp. 329-338. |
주별진도5 | <주제5: 냉전과 탈냉전> - 냉전기 동아시아 국제정치질서 - 탈냉전기 동아시아 국제정치질서 <참고문헌> - 존 베일리스 외 『세계정치론』 (4판) (서울: 을유문화사, 2010) 중에서, 제3장 국제관계의 역사 1900~1990, 제4장 냉전에서 테러와의 전쟁으로 - 하영선, 『변환의 세계정치』 (서울: 을유문화사, 2007) 중에서, 제2장 현대 세계안보질서의 변환과 동아시아, 제3장 현대 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의 외교선택, 제7장 현대 세계안보질서의 변환과 동아시아 |
주별진도6 | <주제6: 탈냉전기 새로운 의제의 대두와 동아시아> - 전통적 의제와 비전통적 의제 - 비전통적 의제와 동아시아 - human security, 환경, 경제안보. <참고문헌> - 존 베일리스 외 『세계정치론』 (4판) (서울: 을유문화사) 중에서 제28장 인간안보 - 홍용표,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한반도 안보환경의 재조명,” 한국정치학회보 제36집 4호 (2002 겨울), pp. 121-139. - Tsuneo Akaha (2003), “Non-traditional Security Cooperation for 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goole.com에서 “Non-traditional Security Cooperation for 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검색). |
주별진도7 | <주제7: 미국과 동아시아> - 탈냉전기 미국의 세계전략 - 미국과 동아시아 <참고문헌> - 예종영, “미국과 동아시아: 세계주도력과 동아시아의 전략적 선택,” 서진영 외, 『21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치지형과 전략』 (서울: 오름), pp. 167-200. - 신욱희, “미국 동아시아 정책의 역사적 고찰: 식민주의, 냉전, 탈냉전,” 미국학 22 (’99. 12), pp. 163-180,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 임혁백,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동북아 지역안보: 현황과 전망,” 국방연구 제47권 제2호 (2004. 12), pp. 3-27, 국방대학교안보문제연구소. - William C. Wohlforth, “The Stability of Unipolar World,” International Security, 24-1 (Summer, 1999), pp. 5-41. - Christopher Layne, “Unipolar Illusion: Why New Great Powers Will Arise,” International Security, 17-4 (Spring, 1993), pp. 5-51. |
주별진도8 | <주제8: 중국의 부상> - 탈냉전기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 -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참고문헌> - 서진영, “부강한 중국의 등장과 한반도: 중국은 ‘위협’인가 ‘기회’인가,” 서진영 외, 『21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치지형과 전략』 (서울: 오름), pp. 17-54. - 서진영 외, 『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 정세진,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한반도: 새로운 평화모색』 중에서, 제4장 동아시아 평화와 중국의 역할: ‘중국’위협론을 넘어 - 신상진, “중국 동아시아 외교의 두 얼굴: 안정유지 세력인가, 패권국인가: 한국과 중국,” NEXT 통권 12호 (2004. 10), pp. 52-56, 월간NEXT. - 김재철, “중국 동아시아 정책,” 국가전략 제9권 제4호 통권 제 26호 (2003. 12), pp. 7-32, 세종연구소. - David Shambaugh, “China Engages Asia: Reshaping the Regional Order,” International Security, 29: 3 (Winter 2004/05), pp. 64-99. - Roy, D. “Hegemon on the Horizon?: China’s Threat to East Asian Security,” International Security, 19: 1 (1994), pp. 149-168. |
주별진도9 | <주제9: 러시아, 일본의 동아시아 전략> - 탈냉전기 러시아의 동아시아 전략 - 탈냉전기 일본의 동아시아 전략 <참고문헌> - 홍완석, “21세기 러시아의 동북아 국가전략,” 국제정치논총 41, 1 (2001. 4), pp. 117-144, 한국국제정치학회. - 정희석,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러시아,”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7집 제2호 (2006. 2), pp. 429-465,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최태강, “푸틴시대 러시아의 동북아 외교정책,” 시베리아극동연구 제3호 (2007년), pp. 5-35, 한림대학교 출판부. - 황오연, “탈냉전기 일본의 동북아 전략과 한반도 정책,” 인문사회과학연구7 (2000. 12), pp. 203-235, 호남대학교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변창구, “일본의 동아시아 다자안보외교: 평가와 전망,” 대한정치학회보, 제4집 제3호 (2007년 2월), pp. 1-18, 대한정치학회. - 김성철, “고이즈미 이후 일본의 동아시아 외교,” 세종정책연구, 제5권 제1호 통권 제9호 (2009년 4월), pp. 139-163, 세종연구소. |
주별진도10 | <주제10: 남,북한의 정세인식과 대응> - 남한의 북방외교, 햇볕정책 - 북한의 핵개발 <참고문헌> - 전재성, “노태우 행정부의 북방정책 결정요인과 변화과정 분석,” 국제문제연구 제24호 (2001. 12-2002. 12), pp. 259-279, 서울대학교국제문제연구소. - 김성주,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회고와 전망,” 국가경영전략 제2집 1호 (2002. 8), pp. 135-164. 성균관대학교 국가경영전략연구소. - 김근식,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회고와 전망,” 한국과 국제정치 제18권 제2호 통권 제37호 (2002. 여름), pp. 95-119. - 길정우, “북방정책이후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 통일환경,” 통일연구논총 1, 2 (1992. 11), pp.1-44, 민족통일연구원. |
주별진도11 | <주제11: 탈냉전과 북한의 핵개발> - 탈냉전기 북한의 외교전략 - 1차 북핵위기와 1994년 제네바 합의 <참고문헌> - 임재형, “탈냉전기 북한의 외교정책과 협상전략,” 분쟁해결연구 제1권 제1호 통권1호 (2003. 겨울), pp. 191-224,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소. - 신욱희, “압박과 배제의 정치: 북방정책의 북핵 1차 위기,”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 29집 제1호 (2007. 8), pp. 205-233,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서보혁, “1차 북핵위기와 제네바 핵합의: 합의의 한계와 시사점,” 사회과학논집 제22권 제1호 (2004. 8), pp. 41-59, 한국외국어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 |
주별진도12 | <주제12: 2차 북핵위기와 6자회담> 2차 북핵위기의 전개과정 중국, 러시아, 일본의 이해관계와 역할 <참고문헌> 엄상윤, “북핵문제와 동북아 국제관계: 2차 북핵위기와 6자회담을 중심으로,” 서진영 외, 『21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치지형과 전략』 (서울: 오름), pp. 259-296. 이원봉, “6자회담과 중국,” 정치.정보 연구. 제8권 제2호 통권 17호 (2005. 12), pp. 85-109, 한국 정치 정보학회. 우평균, “러시아의 동북아 정책목표와 북한핵문제: 6자회담에서의 러시아의 역할 분석,” 매봉통일연구소 편, 『탈냉전기 한반도와 주변4강』 (서울: 도서출판 매봉, 2004), PP. 288-309. 정문헌, 『탈냉전기 남북한과 미국』 (서울: 도서출판 매봉, 2004), pp. 179-194. 김성한, 『미국의 동아태 전략: 변화와 지속성 ? 국가안보패널 정책보고서⑩』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외교안보센터, 2005). 신성호, 『확산안보구상 (PSI)과 한반도 ? 국가안보패널 정책보고서⑬』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외교안보센터, 2006). |
주별진도13 | <주제13: 동아시아 다자안보체제의 가능성과 실현조건> - 동아시아 다자안보체제와 한반도 평화 <참고문헌> - 이신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제도화의 이론과 실제,” 서진영 외, 『21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치지형과 전략』 (서울: 오름), pp. 297-324. - 이남주, “동아시아 협력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민국가들의 협력인가, 국민국가의 극복인가,” 백영서 외,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서울: 창비, 2005), PP. 395-423. - 전재성, “동북아 다자안보체제: 전망과 과제,” 한반도 군비통제, 제41집 (2007년 6월), pp. 125-152, 국방부. - 김태운, 정재호, “2.13 핵합의와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다자안보협력의 중요쟁점, 한계, 가능성 분석을 중심으로,” 정치.정보 연구, 제10권 제1호 통권 20호 (2007년 6월), pp. 133-148, 한국정치.정보학회. |
주별진도14 | <주제14: 동아시아 평화와 민간연대> - 동아시아 평화와 NGO - 한반도 평화와 NGO <참고문헌> - 백지운, “동아시아 지역질서 구상과 ‘민간연대’의 역할,” 백영서 외,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서울: 창비, 2005), PP. 348-394. - 라미경, “동아시아 안보환경 변화와 국제 NGO의 역할 모색,” 안보학술논집 제17집 제2호 (2006년 12월), pp. 193-246, 국방대학교안보문제연구소. - 오재식, “한반도 평화와 NGO의 역할,” 북한학연구 제2권 제1호 (2006년 8월), pp. 111-127,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주별진도15 | <주제15: 한반도 평화체제 (1)> - 한반도 평화체제의 가능성과 그 요건들 - 한반도 비핵지대화 문제 <참고문헌> - 이남주, “동아시아 협력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백영서 외,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서울: 창비, 2005), PP. 395-423. - 구갑우, 박건영, 최영종,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과 동아시아 다자간 안보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 국제정치』 제21권 2호, 2005년 여름. - 최영종,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국제정치 이론적 고찰,” 서진영, 우철구, 최영종 편, 『탈냉전기 동북아의 국제관계와 정치변화』 (서울: 오름, 2003). - 이삼성, “평화체제 구축위한 적극적 프로그램 필요: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 평화: 미국의 동아시아 및 한반도 전략을 중심으로,” 통일한국 179 (1998. 11), pp.22-27, 평화문제연구소. - 류옥진, “한반도 비핵지대화 실현과 방도,” 정세동향 2005년 9월 하반기호 통권 108호, pp. 28-46,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부설 한국민권연구소. |
주별진도16 | <주제16: 한반도 평화체제 (2)> - 한반도 평화체제의 가능성과 그 요건들 - 한반도 비핵지대화 문제 <참고문헌> - 이남주, “동아시아 협력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백영서 외,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서울: 창비, 2005), PP. 395-423. - 구갑우, 박건영, 최영종,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과 동아시아 다자간 안보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 국제정치』 제21권 2호, 2005년 여름. - 최영종,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국제정치 이론적 고찰,” 서진영, 우철구, 최영종 편, 『탈냉전기 동북아의 국제관계와 정치변화』 (서울: 오름, 2003). - 이삼성, “평화체제 구축위한 적극적 프로그램 필요: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 평화: 미국의 동아시아 및 한반도 전략을 중심으로,” 통일한국 179 (1998. 11), pp.22-27, 평화문제연구소. - 류옥진, “한반도 비핵지대화 실현과 방도,” 정세동향 2005년 9월 하반기호 통권 108호, pp. 28-46,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부설 한국민권연구소. |
비고 |
첫댓글 참고로 기말보고서는 10장으로 합의봤습니다.
합의...ㅋㅋ 정택수씨 진짜진짜 고마워요 ㅠㅜ 매번 어찌나 감사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