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1. 건강과 질병
(2) 삶의 가치 실현
삶의 가장 소중한 가치인 보람을 추구해가기 위해서는 생리적, 신체적 적격(physiological and physical fitness)자이어야 하며, 정신적 적격(mental fitness)자이어야 하고, 가정의 행 복은 물론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적격(social fitness)자이어야 한다.
2)건강의 개념
(1)건강개념의 변천
19세기 경까지도 건강 개념은 신체 개념적 건강이 강조되어 왔으나 19세기 중엽이후에는 심신(정신,신체)개념의 건강으로, 20세기 중반 이후는 영적 건강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 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2)WHO 가 규정한 건강의 정의
Health is a complete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사회적 안녕(social well-being)이란 사회보장제도나 사회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는 곳에 산 다는 뜻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환경 속에서 각자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갈 수 있 는 만족스런 상태의 생활을 의미한다.
(3)건강에 관한 다른 의견
. Walsh교수 - 그 자신이 특수한 환경속에서 효과적으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력이다.
. Talcott parson - 각 개인이 사회적인 역할과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
. Claude Bernard(1859) - 외부환경이 변화해도 내부환경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상태
3)건강의 척도와 장애요인
(1)개인 건강의 척도
건강이란? ①무병하고 신체의 기능장애가 없어야 하며,
②신체의 존재에 대하여 의식적으로 느끼지 말아야 하고,
③일상생활에 산 보람을 느끼면서 활력적인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④좋은 식욕과 안정된 몸무게를 유지해야 하며, ⑤충분한 수면과 심신이 안락하여야 하고,
⑥정서적 안정과 사회생활이 조화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느냐.
5)질병의 예방
(1)질병상태에 놓이게 되는 3요소
①숙주 ②병인(병원체) ③환경
(2) 질병의 예방 개념
① 1차적 예방단계 : 질병발생의 자극이 있는 시기(예방가능시기)
② 2차적 예방단계 : 병적 변화가 있는 시기(악화를 예방하는 단계)
③ 3차적 예방단계 : 질병의 재발 방지, 잔여기능의 최대화, 재활활동
Ⅱ. 공중보건학의 개념
1. 공중보건학의 관련학문
예방의학, 위생학, 지역사회의학, 지역사회 보건학, 건설의학
1)지역사회 의학과 공중보건학의 관계
건강을 증진, 향상시킬 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어 사회적 환경요인에 의한 인간집단의 건강을 추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공중보건학과 학문 추구적 맥을 같이 한 다.
3)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차이 ①학문적 연구대상과 그 단위는 전통의학에서는 개개인이지만, 공중보건학에서는 지역 사회주민 모두가 하나의 단위가 된다.
②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은 전통의학이 환자의 열을 재고, 소변, 대변 및 혈액검사 등 임상적 진단으로 그 원인을 구명하는 반면, 공중보건학적 진단은 그 지역사회의 보건적 통 계자료인 보통사망률, 영아사망률, 질병이환율과 의료수혜도 등의 조사를 통하여 진단하게 된다.
③의학이 환자치료를 위하여 투약을 하는 반면에 공중보건학은 보건교육, 전염병 관리, 환 경위생, 영양관리등의 보건관리와 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보건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예방의학- 개인을 대상으로 질병예방과 악화방지에 역점을 두고 연구하는 학문
건설의학 - 질병의 치료나 예방보다는 현재의 건강 상태를 최고도로 증진하는데 역점을 둔 적즉적 건강관리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2. 공중보건학의 정의
1)Winslow의 공중보건학 정의
;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에방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
a. 환경위생 향상
b. 전염병 관리
c.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d.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진단을 위한 의료와 간호봉사의 조직화
e. 건강과 장수라는 생득권을 실현할수 있도록 사회제도를 발전시킴.
- 지역사회는 주민들의 공통관심사에 협조하고 참여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3. 공중보건학의 내용
(1)환경보건분야 : 환경위생, 식품위생, 환경보전과 공해문제, 산업환경
(2)질병관리분야 : 역학, 전염병 권리, 기생충질병관리, 성인병관리
(3)보건관리분야 : 보건행정, 보건영양, 인구보건, 가족보건, 모자보건, 학교보건, 보건교육, 정신보건, 보건통계
4. 보건의료의 새로운 개념
1)전통의료의 문제점
-의료의 비인간화(장기의 부품화)
- 의료의 특권화
- 의료의 질적 편재
- 의료의 상품화
- 의료의 규격화
2)보건의료 활동
Health for all 의 의미?
- 누구에게나 기초적 보건의료를 제공
- 모든 인류의 건강 수준을 증진
- 질병을 에방하는 데 있음을 의미
(1)일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
; 예방접종사업, 식수의생관리사업, 모자보건사업, 보건교육사업, 지방병 관리사업, 경미한 질병의 일상적 치료사업, 주민의 영양개선사업
* 알마아타 선언(Alma-Ata, 일반보건의료 발표)
① 일차보건의료는 과학적 방법으로 지역사회가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개인이나 가족단위의 모든 주민이 쉽게 이용할수 있어야 한다.
③ 국가나 지역사회가 재정적으로 부담이 가능한 방법이어야 한다.
④ 국가의 보건의료체계상 핵심으로서 지역사회개발정책의 일환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⑤ 국가의 보건의료 활동은 최말단부락까지 전달될 수 있어야 하고, 말단부락이 일차보건 의료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⑥일차보건의료는 질병의 치료나 예방활동은 물론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과 사회적 안 녕 및 생활의 질적 향상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2)이차보건의료(secondary health care)
주로 응급처치를 요하는 질병이나 급성질환의 관리사업과 병의원에 입원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관리사업이므로 전문병원의 활동이 요구된다.
(3) 삼차보건의료
회복기 환자의 재가치료사업이나 재활을 요하는 환자 및 노인의 간호 등 장기 요양이나 만성질환자의 관리사업 등이 중심이 되며, 특히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성 질병의 관리가 중 요한 3차 보건의료활동이다.
5) 포괄보건의료 개념
공중보건학이 환경과학, 예방의학, 사회과학적 원리에 근거를 둔다면 포괄보건의료는 자 연과학과 사회과학의 통합과학으로서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치료, 무능력화예방, 재활 및 건강증진활동 등 건강확보를 위한 포괄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다.
6. 지역사회의 보건수준 평가
1) 보건수준 평가
지역단위의 건강수준이나 보건수준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량적 표시: 영아사망률, 평균 수명, 모성사망률, 비례사망지수, 유아사망률, 사인별 사망률, 결핵이나 기생충 감염률, 질병 이환율, 보통사망률, 평균 사망률
① 종합건강지표: 비례사망지수, 평균수명, 보통사망률
② 특수건강지표: 영아사망률, 전염병 사망률
③ 보건봉사활동지표: 의료봉사자수, 병상수
2) 국가간의 보건수준 평가의 3대 지표
① 영아사망률, ② 비례사망지수, ③ 평균 수명
이유: ① 영아기간은 성인에 비해 환경악화나 비위생적 생활환경에 가장 예민하게 영향을 받는 기간 ② 영아사망률 계산의 대상이 생후 1개월 미만의 일정 연령군
Ⅳ 공중보건학의 발전사
1. 고대기(기원전 서기 500년)
장기설과 4액체설
2. 중세기(500 1500년)
전염병의 유행은 범발성적이었다.
이 시대에는 방역의사, 빈민구의사, 경찰의 및 감정의 등의 활동이 활발했으며, 불결물제 거법, 급수법, 식품건강법, 시가청소법, 건축위생법 등을 제정하기도 했다.
검역의 제도가 유래되었다.
3. 여명기(1500 1850)
공중보건의 사상이 싹튼 시기이다.
(1) 공중보건학의 기초적 업적
독일의 J.P. Frank: 국민의 건강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 , 의사경찰제라는 의사(위생)행정에 관한 12권의 저서
Sweden은 세게 최초의 국세조사(1749)를 실시
E. Jenner(1749 1823): 우두종두법(1798)을 개발
(2) 공중보건학적 제도 개발의 기초적 업적 영국의 Edwin Chadwick(1800 1875): 열병환자를 조사하여 Fever report를 정부에 보고 한 것이 계기가 되어 1842년 공중위생감독 및 각종 위생조사를 위한 보건정책조사위원 회가 설치되었다.
1848년 세계 최초의 공중 보건법이 제정되었다.
미국의 Lemuel Shattuck(1793 1859)
4. 확립기(1850 1900)
① 영국의 John Snow(1813 1858)의 콜레라에 관한 역학조사보고서 ② 독일의 Bismark에 의해 세계 최초의 근로자 질병보호법(1883) 제정
③ 1866년 독일의 Max von Pettenkofer(1818 1901)에 의해 뮌헨대학에 최초로 위생학교 실 창립
④ 1862년 영국 Liver pool 시에서 William Rathborne에 의해 방문간호사법을 시작한 것이 오늘날 보건소제도의 효시가 되었다.
⑤ 프랑스의 L. Pasteur(1822 1895): Anthrax균, 닭 Cholera균(1880)의 발견과 광견병 항 혈청을 개발(1883) 독일의 R.Koch(1842 1910): Tetanus균(1878), 결핵균(1882), Colwra균(1883) 발견
Ehrlick(1854 1915): 매독치료인 Salvarsan을 발명
5. 발전기(1900년 이후)
영국에서는 사회보장제도가 발전되었고 WHO, UNEP 등 국제보건, 환경기구가 발전되었다.
제 1편 환경보건
제 2장 환경위생
Ⅰ. 환경위생학의 개념
1) 환경위생학
① 자연적 환경(이학적 환경): 기후, 공기, 물 토양, 광선, 소리
② 생물학적 환경: 병원미생물, 위생해충, 쥐
③ 사회적 환경: 의복, 주택, 위생시설의 인위적 환경과 정치, 경제 종교, 교육 등의 문화적 환경
2) 환경위생학의 발전
Max von Pettenkofer(1818 1901): ① 환경위생을 근대 과학으로 발전시킨 학자 ② M nchen는 대학에서 위생학 강좌를 창설(1886) ③ 의식주에 관계되는 분야에 관한 예방 의학적 연구에 있어서 이화학적 기술을 도입 ④ 실험위생학을 발전 Claude Bernard(1813 1878): ① 근대실험의학의 창시자 ②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한 내부 환경의 변화에 의 해 건강을 유지해 갈 수 있도록 항상성(Homeostasis) 을 지니는 것은 인간이나 동물이 갖는 특성이라고 했다.
3) 환경위생사업
인간집단을 둘러싸고 있는 생활환경을 개선 향상시킴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확보하고자 하
사업
Ⅱ. 기후와 일광
1. 기후(Climate)
1) 기후의 3요소
기후: 어떤 장소에서 매년 반복되는 대기현상의 종합된 평균상태로서, 지구를 둘러싼 대기 의 종합적인 현상을 의미
기상(Wether): 대기중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자연환경
일기: 하루 동안의 기상현상을 종합한 것
기후요소: 기온, 기습, 기류, 기압, 강우, 강성, 복사량, 일조량, 구름
기후의 3대 요소: ①기온, ②기습, ③ 기류 기후인자: 기후의 분포와 기후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으로서 위도, 고도, 지형, 해류, 수 륙분포이다.
2) 기단
대륙권내에서 물리학적으로 동일정질을 가진 동기덩어리가 형성되는 것
6) 기후와 건강
(1) 기후순화
순화(acclimatization): 외부환경의 변동이 장시간 계속되면, 생리적인 적응을 거쳐 내부환 경의 변화에 의하여 새로운 적응한도가 성립되는 현상
기후순화현상: 지구상에 생존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은 어느 정도의 기후나 온도에 대해서 적응해 가며 살아가는 순응현상이 생긴다.
① 대상적 순응: 새로운 환경조건에 대하여 세포나 기관이 적응하는 현상
② 자극적 순응: 환경자극에 의해 저하되었던 기능이 회복됨으로써 순응하는 현상
③ 수동적 순응: 약한 개체가 최적의 기후를 찾아서 순응해 가는 현상
2. 일광
자외선(ultra violet ray) 2,800 3,200 의 파장은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생명선(vital ray)이라고 한 다.
(1) 자외선량은 ① 하루 중 정오가 최대 ② 1년 중 7 8월간에 많고 ③ 적도부근, 고지 대, 농어촌에 많고 ④ 대기오염이 적고, 쾌청한 날에 많다
(2) 인체에 대한 자외선의 작용
① 장애작용: 홍반 색소침착, 부종, 수포형성, 피부박리, 결막염, 설안염, 피부암
② 긍정적 작용: 비타민 D의 형성 피부결핵, 관절염의 치료작용, 신진대사 촉진, 적혈 구 생성촉진, 혈압강하작용 살균작용(2,600 2,800 )
Ⅲ. 온열환경
1. 온열조건
(1) 4대 온열요소와 온열조건
4대 온열인자: ① 기온 ②기습 ③ 기류 ④ 복사열
1) 기온(air temperature)
보건적 실내온도
거실: 18 2 , 침실: 15 1 , 병실: 21 2 2) 기습(air humidity)
① 포화습도: 특정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수증리량에는 한계가 있는데, 이 한계에 도달했 을 때를 포화상태라하고, 이때의 공기 중 수증량(g)이나 수증기 장력 (mmHg)을 그 공기의 포화습도라 한다.
② 절대습도: 현재 공기 1㎥ 중에 함유된 수증리량 또는 수증기장력
③ 포차: 현재 공기 1㎥가 포화상태에서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량과 현재 그 속에 함유된 수증기량과의 차 (2) 대기중 습도의 작용
기습은 낮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대지의 과열을 막고 밤에는 지열복사를 차단하여 기후 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3) 보건적 습도
사람에게 가장 쾌적한 기습은 40 70%의 범위
15 에서는 70 80%, 18 20 에서는 60 70%, 24 에서는 40 60%가 적절하다.
3) 기류(air movement)
기류: 0.1m/sec는 무풍, 0.5m/sec 이하는 불감기류 쾌적한 기류: 0.2 0.3m/sec이고 실외에서는 1m/sec
옥내외 기류의 측정은 dry kata thermometer를 주로 사용하며 옥외기류는 풍차속도계나 anemometer등이 이용된다.
4) 복사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흑구온도계로 측정한다.
5) 온열요소의 종합작용
(1) 쾌감대
성인이 안정 시 적당한 착의상태에서 쾌감을 느낄 수 있는 온도는 17 18 이고, 습도는 60 65% (2) 감각온도
여름철 쾌감온도는 64 79.F이고 겨울철은 60 74.F이며 최호적 감각온도는 겨울철 이 66.F(19 0, 여름철이 71.F(21.7 )다.
(3) 불쾌지수
DI= (건구온도 + 습구온도 ) 0.72+40.6
= (건구온도.F+습구온도.F) 0.4+15
DI=70이면 10%정도의 주민이 불쾌감을 느끼고, 75이면 50%의 사람이 80이면 거의 모 든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며, 85이상이면 견딜 수 없는 상태
지적온도: 체온조절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온도
피부가 순응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는 10 40
① 주관적 지적온도: 감각적으로 가장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
② 생산적 지적온도: 생산능률을 가장 많이 올릴 수 있는 온도
③ 생리적 지적온도: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 최대의 생리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온도
Ⅳ. 공기
1. 공기의 성분과 오염
2) 공기 오염
(1) 대기오염원 대기오염은 주로 ① 각종 연료의 연소과정, ② 화학물질의 화학반응과정, ③ 각종 물질의 물리적 변화과정에서 발생하며 문제되는 기체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탄화물등 화학물질 과 분진 및 중금속물질 등이다.
(2) 실내오염 물질과 군집독
군집독: 다수인이 밀집한 실내 소기후는 화학적 조성이나 물리적 조성의 큰 변화를 일으 켜 불쾌감, 두통, 권태, 현기증, 구기, 구토 및 식욕저하 등의 생리적 이상을 일으 키는 현상 유해작용인자: 취기, 온도, 습도, 기류, 연소가스(CO,CO₂등), 공기, 이온, 분진
3) 공기의 자정작용 기전
자정작용: 공기 스스로 자체 정화작용
① 공기의 자체 희석작용
② 강우, 강설, 등에 의하여 분진이나 용해성 가스의 세정작용
③ 산소(O₂), 오존(O₃), 및 과산화수소(H2O2) 등에 의한 산화작용
④ 태양광선 중 자외선에 희한 살균작용
⑤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 의한 CO2와 O2의 교환작용
2. 공기와 건강
2) 산소와 건강
저산소증: 산소가 결핍된 상태나 장기간의 저농도상태
산소중동: 고농도의 산소 또는 고압하에서의 상태
3) 이산화탄소와 건강
(2) 실내 공기오염의 지표
CO₂가 실내공기의 오탁도 판정기준으로 사용된다. 실내 서한량은 0.1(1,000ppm)로 하고 광산에서는 1.0 1.0%로 한다.
4) 일산화탄소 중독
(1) 일산화탄소 중독의 기전
무색, 무취이며 자극성이 없는 기체로서 물체가 불완전 연소할 때 많이 발생된다
혈중의 헤모글로빈(Hb)과 친화성이 산소에 비해서 210 300배나 강하다
일산화탄소의 이중작용: ① HbO2의 형성을 방해하여, 혈중의 O2의 농도를 저하시킴으 로써 결과적으로 ② 조직세포에 공급할 O2이 부족을 초래하게 되어 무산소증을 일으키는 것
(2) 일산화탄소의 중독증상
혈중의 COHb 포화도는 10% 미만이어야 하며, 50%에서는 구토증이 있고, 60%에서는 혼 수, 70%이상에서는 사망하게 된다. (3) 일산화탄소의 서한도
흡기중 Co가스가 0.05 0.1% 이상이면 중독을 일으키는데, CO,의 최고 허용한도는 1시간 기준으로는 400ppm, 8시간 기준에서는 0.01%(100ppm)로 하고 있으며, 1.000ppm 이상에서 는 생명이 위험하다.
Ⅴ. 상수
2. 물의 보건적 문제
수인성 전염병 침 기생충질병의 전염원으로서 작용한다.
(1) 수인성 질병의 전염원
소화기계 전염병이 대부분으로 장티푸스, 파라티프스, 세균성 이질, 콜레가, 유행성 간염 등이 있다.
(2) 수도열의 원인
잡균이나 대장균에 의한 발열현성을 수도열이라 한다.
(3) 기생충 질병의 전염원
간디스토마, 폐디스토마, 주혈흡충 등과 회충, 편충 등이 있다.
(4) 중금속물질의 오염원
산업장에서 유출되는 유해 유독물질은 시안, 수은 질산은, 카드뮴, 6가크롬, 유기인, 아연, 페놀 등이 있다.
(5) 수중 불소량과 우식치
반상치: 불소가 너무 많은 물의 장기복용
우식치: 너무 적은 음용수의 장기음용
(6) 기타
① 생활환경의 악화, ② 음용수와 공업용수로서 활용에 영향, ③ 악취 및 가스발생, ④ 해충의 서식 및 질병발생원으로 작용
3. 먹는 물의 수질판정기준
1) 수질검사 주기 및 검사항목
① 일일검사: 색도, 탁도, 냄새, 맛, pH, 잔류염소,
② 주간검사: 대장균군, 일반세균,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증발 잔유물
③ 월간검사 : 기준 항목 모두를 검사
* 수도전에서 실시하는 월간검사: 일반세균, 대장균군, 잔류염소
2) 먹는 물의 수질판정 기준과 검사항목
(1) 미생물 검사항목
① 일반세균수: 1ml 중 100을 넘지 아니할 것
② 대장균군: 50ml 중에서 검출되지 아니할 것
* 대장균이 수질오염의 지표로 중요시되는 이유
대장륜의 검출은 다른 미생물이나 분변오염을 추측할 수 있다.
검출방법이 간편하고 정확하다.
(2) 건강상 유해한 무기물질 검사항목
① 납: 0.05mg/l 이하일 것 ② 불소: 105mg/l 이하일 것 ③ 비소: 0.05mg/l 이하일 것
④ 시안: 0.01mg/l 이하일 것 ⑤ 수은: 0.001mg/l
⑥ 암모니아성 질소:(NH₃-N): 0.05mg/l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의미: 유기물질의 오 염이 있은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분변오염을 의심하게 하는 것이 다. ⑦ 질산성 질소(NO₃-N): 10mg/l 이하 ⑧ 카드뮴, ⑨ 6가크롬 ⑩ 세레늄 ⑪볼론
5. 정수법
(1) 물의 자정적용과 인공정수방법
물의 정수작용은 ① 희석작용 ②침전작용 ③ 일광의 자외선에 의한 살균작용 ④ 산화작 용 ⑤ 생물의 식균작용 등 자체적으로 일어나는 자정작용에 의해서 일어나지만, 인공적 인 정부법은 일반적으로 침전, 여과, 소독의 순서로 실시한다. 수원의 종류와 목적에 따 라 경수의 연화, 생물제거법, 제철법, 제망간법 등의 특수 정부법에 희한 처리가 필요한 때도 있다.
침전법은 보통침전법과 약물침전법이 있으며, 여과법에는 완속사여고법과 급속사여과법 이 있는데, 완속사여과는 보통 침전법을 사용하고, 급속사여과는 약품침전법을 사용한다.
2) 급속사여과법
(1) 약품 침전법
응집제: 황산반토, 염화제이철, 황산제이철, 황산제일철, 알루미늄산소오다
(2) 급속사여과법
역류에 의한 세척, 원수의 탁도, 색도가 높거나 조류 발생이 많고, 철분량이 많을 때 주 로 사용하며, 추운 지역이나 대도시에서 많이 사용한다.
3) 소독
① 열처리법 ② 자외선 소독법 ③ 오존 소독법 ④ 염소소독(상수도 소독)
(1) 염소 소독의 기준
수도전이나 음용직전의 유리잔류염소농도를 0.2mg/l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
(2) 염소 소독의 장단점
소독약으로 액화염소 또는 이산화염소를 주로 사용
장점: ① 강한 소독력 ② 강한 잔류효과 ③ 간편한 조작 ④ 경제적
단점: 강한 냄새와 T-halomethane(THM) 생성에 의한 독성
4) 특수정화법
(1) 경수 연화법
① 일시경수: Ca(HCO3)을 함유한는 물을 끓이면 물에 불용성인 CaCO3, Mg(OH)2가 생겨 침전되므로 물이 부드럽게 된다. 공업용수로는 부족하다.
② 영구경수: 긇여도 변하지 않는 것
(2) 조류제거법(생물제거법)
황산동(CuSO3 5H2O)이나 염소(Cl2)가 이용
6. 수영장및 공공욕장
1) 수영장 위생
(2) 수영장의 수질기중
100cc당 대장균군수로 정한다
A급: 50 이하 B급: 51 1,000 C급: 501 1,000 D급: 1,000 이상
MPN(Most Probable Number)이 1,000을 초과하지 말아야 하며, 일반세균수가 200/ml
이상이면 부적합한 수영장에 해당한다.
2) 공공욕장 위생관리
(1) 목욕탕 원수의 수질기준
① 온도 42 ②탁도 2도 ③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10mg/ ④ 대장균군은 50ml가 음성 일것
(2) 욕조수의 수질기준
① 온도 42 ② 탁도 2도 ③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25mg/ ④ 대장균군은 1개/1ml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Ⅵ. 하수
2. 하수처리 시설
합류식: 공장용수를 비롯해서 가정용수, 자연수, 천수 등 모든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시실로 운반하는 것 분류식: 공장용수 및 가정용수 등은 하수종말처리시설을 거치도록 하고 천수는 별도로 공 공수역으로 운반하도록 도어 있는 구조
혼합식: 천수와 사용수의 일부를 함께 운반하는 하수도
3. 하수처리 방법
하수처리 과정은 ① 예비처리 ② 본처리 ③오니처리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1) 예비처리
보통침전 또는 약품침전등의 예비처리를 하는데, 약품침전을 할 때는 황산알루미늄이나 황산알루미늄+ 소석회등을 사용하여 침전시킨다.
2) 본처리
(1) 혐기성 분해처리
① 탄소계 물질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 methane 육산을 생성하고, ② 단백질 등 질소 계 물질을 분해하여 ammonia, 아미노산, amide 등을 생성하며, ③ 황화물을 분해하여 황 화수소, mercaptan 등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과정
(2) 호기성 분해처리
하수처리의 2대 방법: ① 살수 여과법 ② 활성오니법
이외에 접촉여상법, 관개법, 산화지법 등이 있다.
특징: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많다.
① 활성오니법(촉진오니법): 현재 가장 진보된 호기성 하수처리방법
경제적인 처리법이며, 처리면적이 적어도 가능하지만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방법으로 근대 도시하수의 처리는 활성오니처리법이 제일 많이 이용되고 있다. ② 살수여과법: 제일침전지 살수여과지 최종침전지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살수방법으로는 ① 분수식, ② 주행식 ③ 회전식 등의 방법이 있는데, 주로 산업폐수처리나 분뇨의 소화처리 후 탈리액의 처리에 이용되는 방법으로 수량이 갑자기 변화해도 조치가 가능하지만 파리의 발생 및 악취의 발생이 심하며, 높은 수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③ 산화지법: 물의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자정작용을 이용한 처리방법으로 소도시에서 주로 사용된다.
3) 오니처리
하수처리과정 중 최후단계의 처리로 육상투기, 해양투기, 소각, 퇴비화, 사상건조법, 소화 법 등이 이용된다.
4. 하수오염측정
1) 생물화학적 산요요구량
하수의 오염도를 아는 방법
① 20 에서 5일간 측정 ② BOD치가 높다는 것은 분해가능한 유기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하수의 오염도가 높다는 것을 뜻하다.
2) 용존산소량
수중에서 생물이 생존하기 위한 용존산소량(DO)은 5ppm이상이어야 하며 BOD는 5ppm 이하라야 한다.
Ⅶ. 분뇨 및 폐기물 처리
1. 분뇨처리
1) 분뇨와 관련된 질병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콜레라 등의 세균성 질병과 회충, 구충, 편충, 요충, 촌충, 아메바 성 이질, 흡충류 등의 기생충 질환
2) 수조변소
정화조의 일반적인 ① 부패조, ② 예비여과조, ③ 산화조, ④ 소독조로 구분
3) 분뇨의 종말처리
(1) 분뇨처리의 유의 사항
① 수원이 되는 원수나, 지하수 및 지표수를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고, ② 방서관리가 되 어야 한다. ③ 토양에 병원체의 오염이 없도록 하여야 하고 ④ 불쾌한 냄새의 발생이 없 도록 해야하고 ⑤ 처리방법이 경제적이고 간편하며 ⑥ 변조는 수밀이어야 한다. ⑦ 완전 부속(겨울 3개월, 여름 1개월 이상) 후에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2) 분뇨처리 방법
가) 분뇨 소화처리법
가온식은 1개월, 무가온식은 2개월 이상 처리기간이 필요하다.
나) 화학적 처리법
본처리: 황산제이철, 염화제이철, 석회, 철염 등을 이용
종말처리: 황산을 가한다.
다) 습식 산화법
고압(70 80)하에서 고온(200 250 )을 가하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소각하는 방법
2. 폐기물 처리
1) 쓰레기의 분류 방법
(1) 쓰레기의 출처에 따른 분류
① 주개(garbage): 부엌에서 나오는 동 식물성 유기물
② 잡개(rubbish): 가연성 및 불연성 진개로 구분되며, 주개와 잡개가 혼합된 것을 혼합 진개라 한다.
(3) 생활쓰레기으 품목별 분류
① 주개(제1류): 양돈사료로 가능
② 가연성 진개(제2류):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열 energy를 이용할 수 있다.
③ 불연성 진개(제3류): 토지매립을 해야한다.
④ 재활용성 진개(제4류):
2) 폐기물 처리방법
(1) 쓰레기의 처리 책임자
생활폐기물의 처리는 시장, 군수, 구청장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책임지고, 산업폐김ㄹ의 처리는 배출자가 스스로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3) 위생적 매립법
저지대에 쓰레기를 버린 후 복토를 하는 방법
매립방법: 매립경사는 30 의 경사가 좋으며, 반드시 복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진개의 두께는 1 2m, 매립 후는 20cm 이상의(최종복토는 0.6 1m) 두께로 복토를 한다.
4) 소각법
가장 위생적인 방법이지만 대기오염의 원인이 된다.
(a) 장점
① 매립법에 비해 처리장소가 좁아도 된다.
② 소각으로 생긴 재는 유기물이 없으므로 매립에 적당하다.
③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④ 처리방법이 불쾌하지 않다.
⑤ 소각열을 이용할 수 있다.
(b) 단점
① 건설비가 많이 들고, ② 숙련공이 필요하며, ③ 소각장소의 선정에 애로가 있고, ④ 불완전 연소가 되면, 일산화탄소가 심하게 발생하고 악취가 발생하며 다이옥신을 발생한 다.
Ⅷ. 주택보건
1. 주택의 기본조건
① 건강성 ② 안전성 ③ 기능성 ④ 쾌적성
2. 주택의 보건학적 조건
(1) 재지
지형: 방향은 남향 또는 동남향, 동서향 10 이내일 것
지하수위: 지하수위가 1.5m이상, 3m 정도
(2) 구조
기후에 순응할 수 있고, 편리하며, 쾌적하고, 위생적이며, 경제적인 구조
① 지붕은 방습, 방한, 방열을 잘 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벽은 방서, 방한, 방화, 방습, 방음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③ 마루는 통기를 감안하여 45cm 이상의 간격을 둔다
④ 거실의 천정 높이는 2.1cm가 적당
⑤ 거실 및 방의 배치는 남향으로 한다.
3. 환기
1) 자연환기
(1) 중력환기
중성대: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는 하부로, 나가는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는데, 그 중간에 압 력 0의 지대가 형성되는대 이것을 중성대라하며 천정 가까이에 형성되는 것이 좋 다.
(4) 환기횟수의 산출: CO2의 변화량을 보고 교환된 공기량을 환산하여 환기횟수를 구한 다.
2) 인공환기
(1) 인공환기(동력환기)방법
① 공기조정법(carrier)식 ② 배기(흡인식) 환기법 ③ 송기식 환기법 ④ 평형식 환기법
⑤ 옥배환기법
(2) 인공환기시 주의사항
① 신속한 교환(취기, 오탁공기)이 이루어지고, ② 생리적으로 쾌적감(온도, 습도)이 있어야 하고, ③ 신선한 공기로 교환되어야 하고, ④ 교환된 공기는 실내에 고르게 유지되어야 한 다. ⑤ 작업자에서 환기는 기온이 10 이하일 때는 근로자가 1m/sec 이상의 기류에 접촉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침실에서는 1인당 필요 침실면적은 4m , 기적은 10㎥ 이상이어야 한다.
4. 채광 및 조명
1) 자연조명 (1) 자연조명의 장점
일광의 각종 작용과 연소산물이 없고, 조도의 평등으로 눈의 피로가 적은 것
(2) 주택의 자연조명 조건
① 창이 방향: 작업식은 동북 또는 북창, 일조량은 하루 4시간 이상
② 창의 면적: 방바닥 면적의 1/7 1/5이 적당
③ 거실이 안쪽길이: 거실의 안쪽 길이는 창틀 윗 부분까지 높이의 105배 이하인 것
④ 개각과 입사각: 개각 BAD는 4 5 , 입사각 BAC는 28 이상
2) 인공조명
(1) 조명방법
① 직접조명: 조명효율이 크고 경제적이지만 강한 음영으로 불쾌감을 주다.
② 간접조명: 음영이나 현휘도 생기지 않으나 조명 효율이 낮고, 설비 유지비가 다소 비싸 다.
(2) 인공조명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
① 조도는 작업상 충분할 것
② 광색은 주광색에 가까울 것
③ 유해 가스가 발생되지 않을 것
④ 취급이 간편하고 염가이 것
⑤ 폭팔 발화의 위험이 없을 것
⑥ 조도는 균등할 것
⑦ 광원은 작업상 간접조명이 좋으며 좌상방에서 비치는 것이 좋다.
(4) 부적당한 조명에 의한 건강 장애
① 가성근시 ② 안정피로 ③ 안구진탕증 ④ 전광성 안염, 백내장 ⑤ 작업능률 저하 및 재 해발생
5. 온도조절
실내외의 온도차는 5 룰 벗어나지 않는 것이 좋다.
* 적당한 실내온도
거실, 사무실, 경작업실, 학교, 소아실: 18 20
침실(온돌방): 14 16
욕실, 병실: 20 22
강당, 집회장, 경작업실: 16 18
중작업실, 체조장: 10 15
대합실, 사원, 외출의 착용장소: 10 15
1) 적정 실내온습도
일반적으로 18 2 의 범위이고 침실의 적정온도는 15 1 이며 실내습도는 40 70%의 범위가 가장 적당하다.
2) 난방방법
중앙난방법에는 ① 공기조절법 ②온수난방법 ③증기난방법 ④ 지역난방법 등이 있다.
3) 냉밥압법
국소냉방법에는 room cooler, air conditioner, 선풍기 등이 있으며, 중앙냉방법에는 carrier system이 있다.6. 공중위생시설의 관리
2) 공중위생시설의 환경기준
먼지(0.15mg/㎥), 이산화탄소(0.1%), 일산화탄소(0.01%), 상대습도(40 70%), 조명(100룩 스), 온도(10 28%)
7. 의복
2) 적정한 의복
의복에 의해 기온을 조절할 수 있는 외기온도의 범위는 10 26 (18 8 )
쾌감을 줄 수 있는 조건은 ① 안정시는 온도가 32 1 이고, 습도는 50 10%이며, 기류는 10cm/sec일 때이고, ② 보행시는 평균기온 30 1 , 습도 45 10%, 기류 40cm/sec일 때 이 다.3) 의복의 열전도율과 방한력
(2) 방한력과 보온력의 관계
단위는 CDO, 기온 21 (70 F), 기습 50% 이하, 기류 10cm/sec에서 피부온도가 33 (9 2 F)로 유지될 때이다. 방한력이 가장 좋은 것은 4CDL이고, 방한화 2.5CDL, 방한장갑 2CDL, 보통작업복 1CDL이다.
4) 의복과 건강의 관계
침상의 기온은 33 44 , 습도는 40 50 가 적당하나 잠옷을 입으면 2 3 낮은 편이 좋 다.
Ⅸ. 구충, 구서
1) 구충, 구서의 일반적인 원칙
구충, 구서의 4가지 원칙
① 구제 대상 동물의 발생원 및 서식처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대책이다
② 발생초기에 구제하는 것
③ 대상동물의 생채, 습성에 따라서 실시
④ 구충, 구서는 광범위하게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1. 위생해충
1) 위생해충의 종류
해충이란 인간에게 직접, 간접으로 피해를 주는 모든 곤충을 총칭한다.
2. 위생해충의 생태
1) 파리
(2) 파리의 생채 및 생활관
집파리는 음식물을 즐기며, 금파리, 쉬파리는 생선을 즐기고 쇠파리는 동물의 피를 흡혈한 다.
2) 모기
(1) 전염병 매개 모기의 종류
① 중국얼룩날개모기는 말라리아를 매개하고, ② 작은빨간집모기는 일본뇌염을 매개하며, ③ 토코숲모기는 말레사상충을 매개한다.
(2) 모기의 구제와 관리방법
① 유충 구제방법
유충구제는 석유를 수표면에 도포하고 살충제로는 permethrin, S-biollin, fenitrothin, dieldrin 등이 사용된다 ② 성충 구제방법
속효성 살충제인 pyrethrin, allethrin, DDVP, lindane 등이 사용된다.
3) 바퀴
(1) 바퀴의 생태 및 생활환
가주성이며 야간활동성이고 잡식성, 질주성이고 군거생활을 한다.
(2) 바퀴의 구제방법
① 유인제에 의한 접착제 사용법
② 독제에 의한 독이법: 붕산(40%) 또는 아비산석회(5%), 불화소오다(20%)
③ 서식처 제거
④ 살충제
3. 쥐의 특성과 구제법
(1) 쥐가 전파할 수있는 질병
① 세균성 질병: 페스트, 와일씨 병, 서교열, 살모넬라증
② 리켓치아성 질병: 발진열, 쯔쯔가무시병
③ 바이러스성 질병: 유행성 출혈열
④ 기생충 질병: 아메바성 이질, 선모충증
(2) 쥐의 구제법
① 환경적 방법 ② 포서기 이용법 ③ 천적 이용법 ④ 살서제 이용법
Ⅹ. 소독
2) 소독과 멸균의 차이
소독: 미생물의 생존환경이나 생명현상을 크게 변화시키는 조작
멸균: 강한 살균력을 작용시켜, 모든 미생물의 영양형은 물론 포자까지도 멸살 또는 파괴시 키는 조작
방부: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작용을 저지 또는 정지시켜 부패나 발효를 방지하는 조작
작용의 강도 순서: 멸균>소독>방부
1. 이학적 소독법
(1) 건열멸균법
① 화염멸균법: 불꽃 속에 20초 이상 접촉시키는 방법
② 건열멸균기를 이용 보통 170 에서 1 2시간 처리한다. (2) 습열멸균법
① 자비소독법
② 고압증기멸균법: 포자 형성균의 멸균에 제일 좋은 방법으로,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 가 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고압증기멸균기이며 주로 초자기구, 의류, 고 무제품, 자기류, 거즈 및 약액 등의 멸균에 사용된다.
③ 유통증기(간헐)멸균법: 고압증기멸균으로 부적당한 경우에 사용되며, 100 를 30 60분 간 가열하는 방법이다. ④ 저온소독법: 결핵균, 유산균, 살모넬라균 등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세균이 멸균을 위해 서 사용되는 방법
⑤ 초고온순간멸균법: 멸균처리기간의 단축과 영양물질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2) 무가열멸균법
(1) 자외선멸균법
태양광선의 자외선이 의한 소독이나 자외선살균등을 이용하는 방법
주로 무균실, 수술실, 제약실 등에서 공기, 물, 식품, 기구, 용기 등의 소독에 이용되며, 결 핵균, 디프테리아균 등에서 2 3시간이면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전류 및 방사선 이용 방법
균체가 함유하고 있는 sodium, chloride ion을 유리시킴으로써 살균작용을 하며 이때 살생 된 열도 살균작용을 하는데, 하수에 해수를 첨가하여 전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소독을 하 기도 한다. 최근에는 방사선을 식품에 처리하는데 인체 유해여부 논쟁이 있기도 하다.
2. 화학적 소독법
1) 소독약의 종류별 특성
(1) 석탄산
장점: 살균력이 안정하고 유기물에도 소독력이 약화되지 않는다.
단점: 피부점막에 자극성이 강하고 금속부식성이 있고 냄새와 독성이 강하다.
소독대상물: 환자의 오염의류, 용기, 오물, 실험대, 배설물, 토사물 등의 소독에 사용된다.
(2) 크레졸
소독력이 강해서 석탄산 계수는 2이며, 주로 손, 오물, 객담 ㄷ의 소독에 사용하며, virus 에는 소독효과가 적으나 세균소독에는 효과가 크고, 냄새가 강한 단점이 있다. (3) 승홍
맹독성이고 식기구나 피부소독에는 적당하지 않으며, 금속부식성이 강하고, 단백질과 결합 하여 침전이 일어나므로 주의를 요한다.
(4) 생석회
분변, 하수, 오스, 오믈, 토사물 등이 소독에 적당하다.
2) 소독대상물에 따른 소독방법
① 대소변, 배설물, 토사물: 석탄수, 그레졸수, 생석회 분말
② 의복, 침구류, 모직물: 일광소독, 증기소독, 자비소독
③ 초자기구, 목죽제품, 도자기류: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포르말린
④ 고무제품, 피혁제품, 모피, 칠기: 석탄산수, 크레졸소, 포르말린수
⑤ 변소, 쓰레기통, 하수구: 생석회,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
⑥ 병실: 석탄산수, 크레졸수, 포르말린수
⑦ 환자 미치 환자 접촉자: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역성비누
⑧ 석탄산수, 크레졸수, 승홍수, 알콜
제 3장 환경보전
Ⅰ. 환경보전과 오염
1. 환경오염문제의 대두
1) 환경오염과 공해
① 공해: 특정 또는 비특징의 원인에 의하여, 일반공중 또는 비특정 다수인에게 생명, 안 전, 재산에 위해를 끼치고, 공중의 공동권리행사를 방해하는 것 ② 사해: 특정의 원인에 의하여 특정인 또는 비교적 소수인에게 생활방해를 하는 것
2. 환경보전 노력
1) 국제적 환경보전 노력
① 유엔인간환경회의 개최: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세계 최초의 인간환경회의를 개 최 인간환경선언의 4대원칙
② 유엔환경개발계획 설치: 유엔환경계획(UNEP)
유엔환경개발회의 개최
리우선언: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① 환경영향평가제도 ② 환경오염자부담원칙 ③ 유해물질 국경이동금지
의제 21: ① 지구환경피해에 대한 선진국의 책임 ② 환경보호를 구실로 일방적 무역 규제를 하지 않도록 ③ 개발도상국가에 대한 선진국의 재정지원
Ⅱ. 대기오염
1. 대기오염(오탁)의 개념
1)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1) 입자상 물질
① 분진: 매연, 회분, 철분, 연, 비소, 마그네슘
② 증기상 물질: ZnO, MgO, NH4Cl, pb
③ 액체상 물질: SO2, H2S, NH3, Cl
(2) 가스상 물질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3) 악취물질
황솨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3) 대기오염의 유형
(1) 오염물질에 따른 오염유형
① 매연 분진이 주가 되는 도시형: 석탕을 원료, 연료, 난방용으로 하는 공업도시나 소비 도시에서 잘 발생
② 황산화물이 주가 되는 도시형: 석유를 주로 사용하는 도시에서 잘 발생
③ 매연 분진+황산화물이 주가 되는 도시형: 석탄, 석유를 사용하는 공업도시에서 발생
④ 매연 분진+황산화물+자동차 배기가스가 주가 되는 도시형: 과밀공업도시에서 발생
(2) 시간적 요인에 따른 오염유형
① 추운 해, 겨울철에는 Ⅰ형(매연, SO2, NO2, CO 등), 더운 해, 여름철에는 Ⅱ형 (aldehyde, oxidant, O3)의 발생이 많다 ② Ⅰ형은 오전과 오후 8시에, Ⅱ형은 정오경에 오염의 극대치를 나타낸다.
(3) 지리적 요건에 따른 오염유형
지리적 요건에 따라서도 대기오염의 유형이 달라진다.
(4) 대기오염의 지배요인
① 인구의 증가와 집중현상이 클수록, ② 산업장의 집결과 시설이 확충될수록, ③주민의 관심이 낮을수록, ④ 풍력이 낮을수록, ⑤ 기온이 낮을수록, ⑥연료소모가 많을수록
2. 대기의 환경기준
1) 대기환경기준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오존(O3)
2) 배출허용기준
(1) 대기환경오염물질의 종류
특정유해물질: 가드뮴, 시안화수소, 납, PCB, 크롬화합물, 비소, 수은 구리, 염소, 석면, 니 킬, 염화비닐, 불소화합물, 디옥신, 페놀, 베릴륨
(2) 배출허용기준
① 가스상 물질의 배출허용: 가스상 물질은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염화수소, 황산화물, 질 소화합물, 황화수소에 대하여 배출허용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② 입자상 물질의 혀용 기준: 매연의 경우는 링겔만 비탁표 2도 이하로 규정
3. 대기의 오염과 기후변화
1) 기온역전
(1) 기온 역전의 발생 기전
지상고도에 따라 대류권의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2) 대기역전의 종류
① 방사성 역전 ② 전선성 역전 ③ 침강성 역전
2) 광학적 오염
(1) 광화학 오염의 발생 기전 대기오탁의 발생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된 것을 1차 오염물질이라 하고, 이것이 태양광선의 에너지와 대기층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인자들에 의해서 새로운 오염물질을 형성한 경우는 2차 오염물질이라 하는데, 이런 오염현상을 광화학적 오염이라 한다. 광학적 스모그는 2단계에 걸쳐서 형성된다.
(2) 오존 경보제도
① 오존 농도와 경보제도: 정상공기 중에 0.02ppm일 때 호흡곤란, 0.5ppm 이상일 때 심한 호흡곤란상태 ② 오존 농도 상승 원인물질: 휘발유, LP가스
자동차 주유는 휘발성이 높은 대낮 시간의 주유를 줄이고, 가정용이나 자동차용 LP가 스의 누출을 최소화하며, 유성 페인트의 사용이나 헤어스프레이의 사용도 자제해야 한 다.
③ 오존 피해 방지 노력: 오후 3시경이 최대가 되고, 차량통행이 많은 도심지나 공장지대 에서 높다.
3) 산성우
pH 5.6 이하의 산도로 내리는 비
4) 오존층의 파괴
(1) 오존 홀 형성 원인: CFC에 의 함
(2) 오존층 파괴 물질: Halon, 사염화탄(CCl4)
7. 대기오염의 실례
① Belgium의 Meuse Valley의 좁은 계곳에 공장 및 가정배기 가스
② 펜실베니아주 Donor 분지
③ 영국 London에서는 1960년대까지 난방용 석탄가스로 대기오탁에 의해 많은 인명피해 발생
④ 1954년 미국 Los Angeles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피해 ⑤ Mexico의 Poza Rica의 한 공장에서 대량의 황화수소가스가 누출
⑥ 소련의 체르노빌 핵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사고
⑦ 우리나라의 황사현상
8. 대기오탁피해
1) 인체의 피해
① 황산화물: 벙커C유나 석탄 연소 과정 및 공장이나 자동차배기가스 등에서 발생
② 일산화탄소: 물질의 불완전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다. CO-Hb생성으로 Hb와 O2의 결합 및 운반 저해, 폐포에서 CO-Hb의 해리저해와 O2의 부족초래, 체내의 호흡효소의 결합, 혹은 반응으로 두통, 현기증, 질식 등의 각종 생리지능장애를 일으킨다. ③ 질소산화물: 자동차 배기가스나 질산을 사용하는 표면처리 과정에서 발생 변성 Hb를 생성하고 호흡기계장애(폐색성 폐질환)를 일으킨다.
④ 탄화수소: 눈, 상기도의 점막에 자극하고 폐기능을 저하시킨다.
⑤ 부유분진: 호흡기계 질병의 원인
⑥ 오존: 피부 및 눈을 심하게 자극한다.
⑦ 납: 납중독이 되면 신경염 및 두통이나 현기증 등을 발생
2) 식물(농작물) 피해
So2, HF: 농작물을 고사, 성장장애
Cl가스: 야채의 변색이나 위축
3) 재산 및 경제적 손실
SO2, So3: 금속물질의 변질과 피혁제품의 강도 저하 CaCO3계 건축자재의 손상
9. 대기오염 방지대책
공공기관의 대책: ① 도기계획의 합리와 대책 ② 대기오탁의 정확한 실태 파악 대책 ③ 대 기오탁 측정기술의 발전 대책 ④ 공해방지기술의 개발 대책 ⑤ 대기오 탁방지의 강력한 법적 규제와 계몽 등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Ⅲ. 수질오염
1. 수질오염의 특성
(1) 수질오탁(오염) 도시하구, 생활하수, 공장폐수
2. 수질오염에 의한 피해내용
1) 인체에 대한 피해
① 미나마다 병: 수은폐수가 원인이고 뇌나 중추식경계에 영향을 주어 마비를 일으킨다.
② 이다이 이다이 병: 카드뮴 중독이 원인 전신권태, 피로감, 신장기능장애, 요통, 골연화 증, 보행곤란이 증상이며 심한 전신통증을 일으킨다.
2) 경제적 손실
① 수산업 피해: 물고기 서식을 위해서는 BOD 5ppm 이하, DO 5ppm 이상일 바람직하며, 연어나 송어 등의 산란기는 BOD 2 3ppm 이하, DO 6 7ppm 이상이 필요하다.
4. 수질오염기준
1) 수질환경기준
(1) 수질기준 항목
하천의 수질환경 기준: 수소이온농도(pH),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부유 물질량 (SS), 용존 산소량(DO), 대장균군수(MPN/100ml) 검출되어서는 안되는 것: 시안(CN), 수은(Hg), 유기인, 포리크로리네이티드비폐닐(PCB)
호소의 수질환경 기준: 수소이온농도(pH), 화학적 산소 요구량(첑), 부유물질량(SS), 용존 산소량(BO), 대장균군수(MPN/100ml), 총인(T-P), 총질소(T-N)
(2) 수질의 등급 구분
상수원급: Ⅰ Ⅱ급 수산용수:Ⅱ Ⅳ급 공업용수: Ⅳ Ⅴ급 농업용수: Ⅳ
Ⅳ. 소음 및 진동
소음과 진동의 환경기준: 주간은 50 70dB, 야간은 45 65dB로 규제
소음의 측정단위는 dB(decibel), phone, sone
제 4장 식품위생
Ⅰ. 식품위생의 개념
1) 식품위생
식품의 재배, 생산, 제조로부터 유통과정과 인간이 섭취하는 과정까지의 모든 단계에 걸 쳐 식품의 안전성, 건강성, 및 완전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든 수단
2) 식품위생관리의 3대 접근요소
① 식품의 안전성 ② 완전 무결성 ③ 건강의 확보
Ⅱ. 식품과 전염병
1) 식품관련의 전염성 질환
인간에 감염될 수 있는 세균성 전염병: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파라티푸스, 콜레라
virus성 전염병: 소아마비, 전염성 설사증, 유행성 간염
2) 인축공통전염병의 종류
① 결핵: 우형 결핵균이 원인 병원체
② 탄저: 소, 말, 돼지, 양으로부터 피부의 상처로 감염되거나, 경구적으로 침입되며, 호흡 기계로 흡입
③ 브룻ㄹ라병: 소의 우유, 요를 통하여 감염
④ 야토병: 야토나 설치류에서 볼 수 있으며 토끼와의 접촉으로 피부점막이나 경구적으로 감염
⑤ 돈단독: 돼지로부터 점막감염으로 이루어짐
3) 경구전염병 대책
① 감염원 대책: 조기 발견, 조기격리
② 감염결로 대책: 수도, 우물의 위생적 관리나 소독이 필요하며, 하수와 변소의 윗ㅇ적 관리가 필요
③ 숙주 대책: 건강관리와 위생적 식생활과 예방접종
Ⅲ. 식품과 기생충질병
1) 식품관련의 기생충질병의 종류
① 수육과 관계 있는 기생충병
쇠고기: 무구조충
돼지고기: 유구조충, 선모충
② 민물고기와 관계 있는 기생충병
⒜ 담수산 게, 참게, 가제: 폐디스토마
⒝ 담수어(참붕어 등): 간디스토마
⒞ 은어, 숭어: 요꼬가와 흡충, 이형흡충
③ 바다생선과 관계 있는 기생충병 대구, 생태, 고등어, 오징어, 조기: 아나사키스증
④ 야채와 관계 있는 기생충병
회충, 구충, 편충, 동양모양선충, 유구낭충증, 이질마메바, 람블편모충
Ⅳ. 식중독
1) 식중독 발생의 역학적 특성
① 급격히 집단적으로 발생, ② 발생지역이 국한, ③ 여름철이 많다, ④ 일반적으로 20 40세 사이에 많으며, ⑤ 남자가 많다.
2) 식중독의 분류
①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독소형)
②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③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동물성 및 식물성 자연독)
Ⅴ. 세균성 식중독
1) 세균성 식중독의 종류
감염형(제1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 살모넬라균속, 장염비브루균, 병원성 대장균
독소형(제2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 보툴리나스균, 포도상구균
1. 감염형 식중독
1) 살모넬라 식중독
① 원인균: 장염균, 쥐티푸스균, 돼지콜레라균
② 잠복기: 12 48시간, 평균 20시간
③ 증상: 발열로 34 48 , 두통, 복통, 설사, 구토
④ 감염결로: 이환 또는 보균 조수류의 고기를 먹거나 환자, 보균자, 가축, 쥐들의 소변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음으로서 감염된다.
2) 호염균 식중독
① 원인균: 장염비브리오균
② 잠복기: 8 20(평균 12)시간 전후
③ 증상: 복통, 설사, 구토, 혈변, 발열은 37.5 38.5 로서 고열은 없다.
④ 감염경로: 어패류가 주가 되며, 오염음식물은 주로 511월(주로79월) 사이가 많이 발생 한다. ⑤ 예방대책: 생어패류의 생식에 유의
3) 병원성 대장균
E. coil O157, 장출혈성 대장균(O 157균)
2. 독소형 식중독
1) 포도상구균
① 원인균: 황색포도상구균
② 잠복기: 1 6(평균 3)시간
③ 증상:타액분비, 구토, 복통, 설사
④ 감염경로: 김밥, 도시락, 떡 종류가 원인심품, 발생은 늦은 봄과 가을에 많다.
⑤ 예방대책: 식품오염의 방지, 식품 및 식기구의 멸균, 저온저장, 화농된 사람의 조리 금 지, 취사장의 청결 2) 보퉆리나스균 식중독
① 원인균: Clostridium botulinum
② 잠복기: 12 36시간이나, 2 4시간에도 신경증상이 나타난다.
③ 증상: 복시, 동공산대, 실성, 연하곤란, 호흡곤란
④ 감염경로: 통조림, 소시지 등과 야채, 과일, 식육, 어육, 유제품
⑤ 예방대책: 음식물의 가열처리, 통조림 및 소시지 등의 위생적 보관과 위생적 가공
3) 웰치균 식중독
enterotoxin에 의한 독소형 식중독
Ⅵ.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1. 불량 첨가물 및 과량 사용에 의한 식중독
1) 유해감미료
① Cyclamate(sodium cyclamate, calcium, cyclamate)
② p-Nitro-o-toluidine
③ Dulcin
2) 인공착색료
anramin(단무지), p-nitroaniline, 녹색계는 malachite blue(해조, 완두콩), 청색계는 methylen blue, 적색계는 rhodanine B(과자류, 빙과류) 3) 보존료, 살균제
① 붕산, fomaldehyde, methanol, 불소화합물 ② 표백료에는 rongalite, trichoride
2. 오용, 우연히 첨가된 유독물에 의한 식중독
유해금속물질
① 비소: 고토, 구기, 연하곤란, 설사
② 납
③ 카드뮴: 이다이 이다이병
Ⅶ.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1. 동물성 자연독 1) 복어 식중독
① 독성분: tetrodotoxin(C11H17O8N3)
② 증상: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에 대한 신경독을 일으킨다.
2) 조개류 식중독
① 독성분: 모시조개, 바지락, 굴의 독성분은 venerupin, 섭조개의 독성분은 mytilotoxin
② 증상: 전신권태, 구역, 구토, 변비, 두통 등이 있으며 배, 목, 다리 등의 피하에 출혈반 점이 생기며, 중증에서는 피하출혈, 토혈, 혈변, 혼수 등이 나타난다.
2. 식물성 자연독
1) 독버섯의 독소
주요 독성분: muscrin, muscridine, cholin, neurin phalin
부교감신경의 말초를 흥분시킨다.
2) 감자의 독소
soladin
3) 맥각균의 독소
ergotamine, ergotoxin, ergometrin
4) 곰팡이류 식중독 독소
aflatoxin, citreoviridin(황변미독), ergotoxin(맥각균독), mycotoxin 5) 기타 식물성 식중독 종류
덜 익은 청매의 amygdalin
Ⅷ. 식품의 변질
식품의 부패와 변패의 차이
부패: 미생물에 의하여 단백질이 분해되어 아미노산이 되고, 다시 분해되어 amine이나 ammonia가 생성되어 악취를 발생하게 되는 것
변패: 질소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유기화합물로서 당질이나 지방질도 미생물에 의해 변질 을 일으키는 것
Ⅸ. 식품의 보존방법
미생물의 번식과 관계되는 요소: ① 온도, ② 습도, ③ 영양분, ④ pH
1. 물리적 보전법
1) 가열법
2) 냉장 및 냉동법
3) 건조법 탈수법
4) 자외선 및 방사선 이용법
2. 화학적 보존법
1) 방부제 첨가법
① 독성이 없고, ② 미량으로 효과가 있어야 하며, ③무미 무취해야 한다.
Ⅹ. 식품의 위생관리
1) 식품위생행정 강회
(2) 식품위생행정의 과학화
HACCP제도의 개발: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적용하는 노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HACCP제도의 장점: ① 식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② 식품산업의 국제적 경쟁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③ 식품산업의 과학화와 질적 향상
④ 식품의 안전 사고도 최소화 할 수 있다.
2) 식품위새관리 주요 내용
① 식품제조 시설 및 식품영업소의 위생관리
② 식품위생 감시 및 대민 홍보사업의 강화
③ 계속적인 식품위생검사 및 연구기능의 활성오하
⑤ 부정식품의 근절 및 불량식품 유통의 관리 등 법의 강제적 집행과 자발적인 실행의 장 려
⑥ 식품의 위생관리를 위한 규격과 성분규격의 제정 및 관리
⑦ 식품제조업소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품질관리 및 종업원의 위생관리를 위한 위생관리인 제도의 강화
⑧ 수입식품의 철두철미한 검역활동 및 위생검사의 철저
제 5장 산업보건
Ⅰ. 산업보건의 개념
1. 산업보건학
WHO의 정의 : 모든 사업장의 직업인들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최고도로 증 진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산업보건학은 모든 산업장의 근로자들이 건강한 심신으로 높은 작업능률ㅇ르 유지하면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근로자의 근로 및 생활조건을 어떻게 관 리, 정비해 나갈 것인가를 연구하는 과학이다.
2. 산업보건관리의 중요성
산업보건은 노동력을 보존하여 기업의 손실을 방지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관리하 는 인도적인 견지에서 산업보건의 중요성이 인정되어진다.
Ⅱ. 산업장 보건관리
산업보건에서 다루어야 할 기초적인 과제
① 장업환경의 정비, ② 산업의 합리화, ③ 산업심리, ④ 근로자의 영양관리, ⑤ 여성과 소 년근로자의 보호, ⑥ 산업피로와 산업재해 대책, ⑦ 직업병관리와 공업중독 대책, ⑧ 보호 구 문제, ⑨ 근로자보건관리
1. 산업장의 환경관리
1) 공자의 3대 입지조건
① 안전과 보건의 문제 ② 근로능력향상 문제 ③ 생산성향상 문제 4) 근로강도에 따른 작업합리화
육체적 근로강도의 지표로서 에너지 대사율이 1 이하는 경노동, 1 2는 중등노동, 2 4는 강노동, 4 7은 중노동, 7 이상은 격노동으로 구분한다.
* RMR= 작업시 소비 에너지- 동시간의 안정시 소비에너지/기초대사량= 근로(작업)대사 량/기초대사량
5. 여성 및 연소근로자의 보호
1) 여성근로자의 특성 및 보호
여성근로자의 특성: ① 젊고 미숙련 근로자가 많고, ② 여성 생리현상이 작업능률에 영향 하며, ③ 기혼여성은 처(가사), 모(육아), 근로자(직장)로서 3중부담을 가지게 된다.
여성근로자의 차별화: RMR 2.0 이하로 한다.
2) 연소 근로자의 특성 및 보호
(1) 보호연령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에서는 13세 미만자는 근로자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였다.
(2) 근로기준법상의 보호규정
1일 8시간, 1주 44시간을 기준한다.
6. 산업피로 관리
회복되지 않고 축적되는 피로
1) 산업피로 인다
① 작업조건의 불량에 기인하는 작업적 인자, ② 근로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③ 심리적 갈등으로 발생되는 피로인자
(1) 작업적 인자
① 근로시간 및 작업시간의 연장, ② 휴식시간, 휴일의 부족, ③ 주야근무의 연속이나 수 일간 연속, ④ 작업강도의 과대 및 근무시간 중의 에너지 대사율의 과대, ⑤ 작업조건(자 세, 속도, 운반방법 등)의 불량, ⑥ 작업환경(조도, 소음, 환기온 습도)의 불량
(2) 신체적 인자
① 약한 체력(연소자와 고령자), ② 체력저하(수면부족, 과음, 여성의 생리현상, 임신), ③ 신체적 결함(시력, 청력, 신체결함), ④ 불건강(고혈압, 심장병, 결핵, 설사, 장염)
7. 상업재해 방지
1) 재해 원인
재해란 원하지 않는 사건을 총칭하는 말
3) 재해지표
① 건수율= 재해건수/평균실근로자수 1,000
② 도수율= 재해건수/연근로시간수 1,000,000
③ 강도율=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수 1,000 ④ 재해일수율= 연재해일수/연근로시간수 100
5) 재해 방지 대책
(1) 재해관찰과 사례조사
재해의 비율은 현성재해: 불현성 재해: 잠재성 재해= 1: 29: 300
Ⅲ. 직업병 관리
1. 직업병의 개념 및 발생원인
1) 직업병
그 직종을 가지고 있는 특정한 요인으로 그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특정 의 질환
2. 물리적 작업환경에 기인하는 직업병
1) 고온, 고열환경에 기인하는 직업병 (1) 열중증의 발생 환경 및 원인
고열환경에서 장시간 작업시는 열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① 열경련, ② 열허탈증, ③ 울열증 등 급성 열중증과 만성 열중증인 ④ 열쇠약증 등 4가지로 구분
열중증의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 ① 체온부조절, ② 순화기능의 실조, ③ 수분, 염분 손실 (혈중의 염분농도 저하)
(2) 열중증이 종류와 특성
① 열경련 원인: 체내수분 및 염분의 손실이 직접적인 발새원인
② 열허탈증
원인: 말초혈액순환의 부전으로 혈관신경의 부조절, 심박출량 감소, 피부혈관의 환장 탁 수
③ 울열증
원인: 체온조절의 부조화로 뇌온상승에 의한 중추신경자애가 원인
④ 열쇠약증
원인: 만성적 체열 소모로 발생되므로 만성 열중증이라 한다.
2) 이상저온작업에 기인하는 직업병
동상, 동창, 참호족염
1도 동상: 발적, 종창이 일어난 상태
2도 동상: 수포형성에 의한 삼출성 염증상태
3도 동상: 국소조직의 괴사상태
대책: 방한구의 착용과 고지방식이 필요하며, 혈액순환을 위해 계속 움직이는 것도 유효
3) 불량조명에 기인하는 직업병
① 안정피로 ② 근시 ③ 안구진탕증
6) 오압작업에 기인하는 직업병
(2) 잠함병
고령자, 비만자, 순환기 장애자 등에서 호발
잠함병의 4대증상: ① 피부소양감, 사지관절통, ② 척추의 전색증 및 마비, ③ 내이 및 미 로의 장애, ④ 뇌내 혈액순환장애 및 호흡기계 장애
8) 소음장애
(2) 소음성 난청의 음역: 일상생활의 음역은 300 3,000Hz(특히 500 2,000)인데, 소음성 난청은 일반적으로 3,000 6,000Hz의 고음역이다.
9) 진동에 기인하는 병
레이노드씨병
3. 작업장의 진애에 기인하는 직업병
1) 진폐증
산업장에서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발생되는 폐포의 병적 변화
2) 규폐증
유리규산(free silica, Sio2)의 분진 흡입으로 폐에 만성섬유증식을 일으키는 질환
(3) 주요 증상
자각증상이 없으며, 주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흉통이 있고 규폐 말기에는 결핵을 합병하 는 혼합형인 규폐성 폐결핵이 발생할 수 있다.
4) 금속열
금속산화물의 증기를 다량 흡입했을 때 생기는 일시적인 발열현상
Ⅳ. 공업중독 관리
2. 공업중독의 종류
1) 연중독
(1) 중독우려가 있는 작업
① 연의 소결, 용광, 소성하는 작업, ② 연을 용해 또는 주입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③ 연 을 분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④ 축전지의 연 도포작업, ⑤ 활자의 문선, 식자 또는 조판 작업, ⑥ 연안료를 사용하는 작업, ⑦ 연용접을 하는 작업등에서 잘 발생한다.
(4) 연중독의 4대 증상
① 연빈혈, ② 연연, ③ 염기성 과립적혈구수의 증가, ④ 소변의 corproporphyrin 검출
2) 수은 중독
(1) 장애우려가 있는 작업
① 수은광산의 갱내작업, ② 수은의 정련, 증류작업, ③ 계기, 수은등, 정류기 등의 수은 봉입작업, ④ 수은을 전극으로 전해하는 작업
3) 크롬 중독 증상
비염, 인두염, 기관지염, 특히 비중격천공
4) 카드뮴 중독
(1) 중독우려가 있는 작업
① 가드뮴 정련가공, 도금작업, ② 카드뮴 합금제조 및 가공작업, ③ 카드뮴 전지 및 화 합물 제조작업, ④ 합성수지, 도료, 안료 등의 제조공정작업
(2) 카드뮴 중독증상
만성중독의 3대 증상 ① 폐기종, ② 신장기능장애, ③ 단백뇨
5) 벤젠 및 그 유도체의 중독
주로 흡입에 의한 중독을 일으키는데, 급송 중독은 주로 신경계의 장애가 있으며, 만성 중독은 혈과, 혈액, 간장에 중독을 일으키고, 피부에 접촉되면 직업성 피부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 6장 역학
Ⅰ. 역학의 개념
1) 역학의 정의
① 인간집단을 대상으로, ② 질병의 발생이나 분포 및 유행경향을 밝히고, 그 원인을 규명 함으로써, ③ 그 질병에 대한 예방대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 학문
2) 역학의 역할
(1) 질병발생의 원인 규명 역할
(2) 질병발생과 유행의 감시 역할
(3) 보건사업의 기획과 평가자료 제공 역할
(4) 질병의 자연사를 연구하는 역할
(5) 임상분야에 활용하는 역할
Ⅱ. 질병 발새의 역학적 인자
1) 3대 요인설(삼각형 모형설)
① 병인적 인자, ② 숙주적 인자, ③ 환경적 인자
(1) 병적인 인자
① 생물학적 인자인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과 ② 물리적 인자인 계절, 기상, 대기, 수질 및 각종 유독성 물질, ③ 미지의 어떤 요인 (2) 숙주적 인자
① 생물학적 인자로서 성별, 연령별 특성과, ② 인구집단의 사회적 요인 및 형태적 요인으 로 종족, 직업, 사회적경제적 계급, 결혼 및 가족상태 등의 특성과 ③ 숙주의 체질적 요인 으로 선천적 인자, 면역성 및, 영양상태
(3) 환경적 인자
Ⅲ. 역학적 조사방법
1. 기술역학적 조사
기술역학이란 인간집단을 대상으로 질병의 발생분포나 발생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집단의 특성에 따라 사실적 현상 그대로를 기록하는 1단계적 역학이다. 기술역학조사에는 ① 인적 특성(Who: 연령, 성별, 인종, 결혼이나 경제적 상태, 직업이나 가족상태), ② 지역 적 특성(Where: 국가나 지역사회의 특성), ③ 시간적 특성(When: 질병 유행의 주기적, 계 절적 변화), ④ 질병발생의 원인적 특성(What), 등이 기록되어야 한다.
2. 분석역학적 조사 분석역학이란 기술역학의 결과를 바탕으로 질병 발생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에 대 한 Why 를 규명하려는 2단계적 역학이다.
1) 단면 조사 연구
단면조사방법은 일정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특정한 시점이나 시간 내에 그 질병과 그 인구집단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의 관계를 찾아내는 연구조사방법이다.
2) 전 후향성 조사 연구
전향성 조사 연구간 현재의 어떤 요인, 현상, 원인 등이 향후 어떤 결과를 초래하게 딜 것인지를 알고자 하는 연구방법이며, 후향성 조사 연구는 현재 나타난 형상이나 결과가 과 거 어떤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 것인지를 밝히고자 하는 발생의 원인 규명을 위한 조 사방법이다. 3) 환자-대조군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는 질병에 이환되어 있는 환자군과 질병이 없는 건강한 대조군을 선정 하여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 보는 속성이나 요인이질병과 어떤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를 규명하는 방법이다.
4) 코호트 연구 Cohort란 동일한 특성을 가진 인구집단이란 뜻이다.
코호트 조사란 질병발생의 원인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특정 Cohort 인구집단과, 관련이 없는 인구집단간의 질병발생률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이다.
(1) 전향성 코호트 조사
현재의 원인을 가지고 장래의 결과를 알고자 하는 조사
(2) 후향성 코호트 조사
과거의 원인을 가지고 현재의 결과를 알고자 하는 조사
3. 실험역학적 조사
연구대상에 어떤 자극이나 실험조작을 가하여 그 반응이나 결과를 보는 방법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4. 이론역학적 정리
이론역학이란 전염병의 발생 모델과 유행현상을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유행법 칙이나 현상을 수식화하는 3단계 역학이라 할 수 있다.
(1) 시간적 현상
시간적 현상에는 ① 추세변화(장기변화), ② 순화변화(단기변화), ③ 계벌적 변화, ④ 불규 칙변화 등이 있다.
추세변화: 장티푸스, 디프테리아와 같이 수십년을 한 주기로 유행이 반복되는 현상
주기변화: 홍역(2 3년), 백일해(2 4년), 유행성 일본뇌염(3 4년) 등과 같이 수년을 한 주기로 유행이 반복되는 단기적 변화현상
(2) 지리적 현상
지리적 특성에 따라, 지역적으로 유행하는 질병 종류가 다른 것
(3) 생물학적 현상
연령, 성별, 종족별 특성에 따라 질병의 유행양상이 다른 것
(4) 사회적 현상
사회적 특성에 따라서 질병으 유행이 다른 것
Ⅳ. 질병 발생의 위험도 및 역학조사의 오차방지
1. 질병 발생의 위험도 측정방법
(1) 비교위험도 측정목적과 방법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에 폭로된 사람의 발병률과 위험에 폭로되지 않은 사 람의 발병률을 비교조사하는 방법
(2) 귀속위험도 측정목적과 방법
질병발생의 원인이 되는 어떤 위험인자로 인해서 초래되는 결과를 측정하는 방법
제 7장 전염병관리
Ⅰ. 전염병
1) 전염병
한 환자 또는 일정 전염원으로부터 새로운 환자를 만들 수 있는 질병을 전염병이라 하 며, 환자로부터 다른 건강인에게 전파하지 않으며, 전염원으로서 작용하지도 않는 질병 을 비전염성 질병이라 한다.
Ⅲ. 전염병 유행의 3대 요인
1) 유행의 3대 요인
① 전염원(병원체를 내포하는 모든 것), ② 전염경로(병원체 전파수단이 되는 모든 환경 요인), ③ 감수성 숙주
(1) 전염원과 병원소
전염원: 전염병의 병원체를 내포하고 있다
(2) 전염경로
전염원으로부터 감수성 보유자에게 병원체가 운반되는 과정
① 접촉전염(직접 및 간접 접촉), ② 공기전파(비말전파), ③ 전파동물 전파, ④ 개달물(전 파체)에 의한 전파
(3) 감수성 숙주
전염병에 대해 저항성이나 면역성이 없어서 감염이 잘 되는 숙주
2) 변염병의 유행 3대 조건
① 전염원으로서 질적 양적으로 충분한 병원체를 내포하고 있어야 하며,
② 전염경로는 전염원과 숙주를 연결시키는 전파체가 많이 존재해야 하고,
③ 감수성이 높은 숙주집단이 클 때 크게 유행하게 된다.
Ⅳ. 전염병의 생성과정
전염병 유행의 6대 요소
① 병원체 ② 병원소 ③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④ 전파 ⑤ 새로운 숙주의 침입 ⑥ 감수성 숙주인 감염
1. 병원체
1) 병원체의 종류
① 세균: 콜레라,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결핵, 나병, 백일해 등
② 바이러스: 소아마비,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일본뇌염, 광견병, AIDS, 유행성 간염 등
③ 리케치아: 발진티푸스, 발진열, 양충병 등
④ 기생충: 회충, 구충, 간디스토마, 유구조충, 이질 아메바, 말라리아, 사상충 등
2. 병원소
병원체가 증식하면서 생존을계속하여 다른 숙주에 전파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저장되는 일 종의 전염원
1) 환자
(1) 환자의 역학적 의미
환자란 병원에에 감염되어 자각적, 타각적으로 임상증상이 있는 모든 사람
(2) 전염병의 감염형태
감염이란 미생물이 생물체내에 침입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경우을 말한다.
현성감염: 임상적 증세가 있는 감염상태
불현성감염: 임상증세가 없는 감염상태
혼합감염: 2종 이상의 병원균이 함께 침입되어 있는 경우
중감염: 감염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일 병원균이 다시 침입한 경우
자가감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병원균에 의해 자기자신이 다시 감염되는 겨우
2) 보균자
(1) 보균자의 역학적 의미
보균자란 자각적으로나 타각적으로 임상증상이 없는 병원체 보유자로서 전염원으로 작용 하는 감염자를 말한다. 즉 ① 보균자는 자유로이 활동하기 때문에 전염시킬 수 있는 영역 이 넓으며, ② 자타가 경계하지 않기 때문에 전파기회가 많고, ③ 보균자 수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수보다 많기 때문에 보균자는 전염원으로서 크게 작용하는 것이다.
(2) 보균자의 종류와 해당 전염병
① 병후 보균자( 회복기 보균자): 전염성질환에 이환되었다가 그 임상증상이 완전히 소실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병원체를 배출하는 보균자로서 세균성이질, 디프테리아 감염자 등이 그 경우이다.
② 잠복기 보균자
③ 건강 보균자
3) 동물 병원소
동물이 병원체를 보유하고 있어 인간숙주에게 ■■■염시키는 전염원을 동물 병원소라 하며, 이들 전염병을 인출(수)공통전염병이라 한다.
소: 결핵, 탄저, 파상열, 살모넬라증
돼지: 살모넬라증, 파상열, 탄저, 일본뇌염
양: 탄저, 파상열
개: 광견병, 톨소프라스마증
말: 탄저, 유행성뇌염, 살모넬라증
쥐: 페스트, 발진열, 살모넬라증, 렙토스피라증, 양충병
고양이: 살모넬라증, 톡소프라스마증
3.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경로
① 호흡기계 탈출: 호흡기계 전염병이 주가 되는데, 해부학적으로는 코, 비강, 인후, 기도, 기관지, 폐가 중심이 되며, 역학적으로는 입도 포함되어야 한는데, 그 이 유는 기침, 재채기, 담화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② 장관 탈출: 소화기계 전염병의 경우, 분변을 통해 탈출하거나 토사물로 탈출한다.
③ 비뇨기관 탈출: 성병은소변이나 성기 분비물로 탈출한다.
④ 개방성소로 직접 탈출: 화농성 질병은 체표의 농양 등 상처부위로 직접 탈출될 수 있다.
⑤ 기계적 탈출: 말라리아, 사상충증 등은 곤추으이 흡혈에 의한 탈출, 주사기를 통한 탈출 등이 있다.
4. 전파방법
1) 직접전파
성병, 나병 및 피부질환 등과 같은 환자로부터 탈출한 병원체가 전파체의 중간역할 없이 감수성 보유자에게 직접 전파함으로써 전염이 성립되는 경우 2) 직접전파
각종 병원체에 의하여 전파된으로써 성립되는 경우
(1) 간접전파의 성립요건
① 병원체를 옮기는 전파체가 존재해야 하며, ② 병원체가 병원소 밖으로 탈출하여 일정 기간 생존능력이 있을 때
(2) 전파체(매개체)의 종류
① 활성전파체란 매개역할을 하는 생물
② 비활성전파체란 물, 식품, 공기, 생활용구, 완구, 수술기구 등 무생물 전파체
손수건, 완구, 의복, 헌책 등은 매개물 또는 개달물이라 한다.
3) 공기전파 비말전파: 재채기, 기침, 대화 때에 전염원인 환자의 입과 코에서 비산한 비말의 수분이 증발하면, 그 미소잔류물이 공기중에 부유하는데, 이것을 흡입함으로써 감염이 성립되는 경우를 공기전파라 한다.
4) 절지동물 전파
(1) 기계적 전파
아무런 변화 없이 전파하는 경우
(2) 매개곤충내에서 일정 기간 발육 또는 증식하는 등 생물학적으로 변화를 거쳐 전파되는 경우
① 증식형 전파: 곤충체내에서 세균, 바이러스 등이 수적으로 증식한 후 곤충이 피부 교자 시 감염되는 전염형태로서, 페스트는 벼룩, 맹구열과 황열은 모기, 재귀열 은 이가 전파한다. ② 발육형 전파: 곤충내에서 수적 증식은 없지만 생활환의 일부를 경과하면서 발육하여 전파하는 형태로서, 사상충증은 모기, 로아 사상충증은 흡혈성치파리가 전파한다.
③ 발육증식형 전파: 곤충체내에서 생활환의 일부를 거치면서 수적 증식을 하여 전파되는 형태로서, 말라리아는 모기, 수면병은 Tse-tse 파리가 전파한다.
④ 배설형 전파: 병원체가 곤충체내에서 증식한 후 장관을 거쳐 배설물로 배출된 것이 피 부의 상처부위나 호흡기계 등으로 전파되는 형태로서 발진티푸스는 이, 발진열과 페스트는 벼륙이 전파한다.
⑤ 경란형 전파: 곤충의 난자를 통해 다음 세대까지 전달되어 전파되는 경우로서 로키산 홍반열과 재귀열은 진드기가 경란형 전파를 한다.
6. 숙주의 감수성과 면역성
1) 감수성 지수
Gottstein은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는 급성 호흡기계 전염병에 있어서는 감수성 보유자가 감염되어 발병하는 율이 대체적으로 일정하다고 하여 이를 감수성 지수(접촉감염지수)라고 하였으며, De Rudder는 이를 %로 표시하였는데, 두창 95%, 백일해 60 80%, 성홍열 40%, 디프테리아 10%, 폴리오(소아마비) 0.1%로서 두창과 홍역이 가장 높다고 하였다.
4) 능동 면역과 수동 면역
(1) 능동면역
어떤 항원의 자극에 의하여 항체가 형성되는 상태
항원: 어떤 물질 또는 생균이나 사균제제에 의해 신체를 자극하여 항체를 산출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말하여, vaccine은 생균이든 사균이든 균 자체가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2) 수동면역
다른 곳에서 면역체를 가져와서 면역력이 생기는 것
자연수동면역은 모체로부터 태반이나 수유를 통하여 받는 면역이다. 수동면역은 인공능 동면역에 비해 면역효력이 빨리 나타나는 반면에 효력 지속기간이 대개 2개월 미낭으로 짧다.
* 인공능동면역방법과 질병
생균: 두창, 탄저, 광견병, 결핵, 황열, 폴리오, 홍역
사균: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콜레가, 백일해, 일본뇌염, 폴리오 순화독소: 디프테리아, 파상풍
* 자연능동면역되는 질병
1. 한번 이환하면 두 번 이환하는 일이 드믄 전염병(영구면역이 잘 되는 종류): 두창, 홍역, 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백일해, 성홍열, 발진티푸스, 장티푸흐, 페스트, 콜레라
2. 불현성 감염에 의해서 강한 면역이 형성되는 전염병(영구면역이 잘 되는 종류): 일본 뇌염, 폴리오
3. 이환되어도 약한 면역만 형성되는 것: 디프테리아, 폐렴, 인플루엔자, 수막구균성수막 염, 세균성 이질
4. 감염면역만 형성되는 것: 매독 임질, 말라리아
Ⅴ. 전염병의 유행 유형
2. 유행의 유형
1) 공통매개체의 전파
① 단순노출전파: 식중독과 같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감염되는 경우
② 복수노출전파: 많은 사람이 계속 노출되어 발생되는 경우
(1) 수인성 전염병의 유행 특성
① 환자의 발생은 폭발적이어서 2 3일내에 환자 발생이 급증하며, 2차감염자가 적다
② 환자 발생은 급수구역내에 한정되어 있고, 급수시설에 오염원이 있다.
③ 연령, 성별, 직업, 빈부의 차 등에 의해서 이환율의 차가 없고, 이환율과 치명률은 낮은 것이 통례이다.
④ 계절과 관계없이 발생하고, 가족 집적성은 일반적으로 낮다.
(2) 우유계 전염병의 유행 특성
① 환자발생이 우유의 배달지역과 일치하며,
② 잠복기가 비교적 짧고,
③ 발병률과 치명률이 높은 것이 수인성 전염병과 다른 점이다.
2) 연쇄전파
환자로부터 새로운 환자를 발생시키는 전파형식
Ⅵ. 전염병 유행의 관리대책
전염병의 접근방법: ① 전염원 및 전염경로 대책: 전염병의 국내침입 방지와 같은 근본 적인 방법과 전염원을 중심으로 한 전파예방 및 전파경로 차단 등 전 염원 및 전염경로 대책
② 숙주 대책: 숙주의 전염병 감염 방지 및 면역증강 등 감수성 숙주 대책 ③ 환자대책: 예방되지 못한 환자의 격리, 치료 및 악화 방지를 통한 환자대책
1. 전파 예방(전염원 및 전염경로 대책)
1) 전염병의 국내침입 방지(검역) 대책
(1) 검역과 격리의 차이
유행성 일본뇌염, 파상풍, 발진티푸스(이의 구제후), 파상열, 양충병, 기생충병 등은 격리 하여 관리할 필요는 없는 전염병이다. (2) 검역 전염병의 관리방법
검사기간: 콜레라:120시간 페스트 및 황열: 144시간
2) 전염병의 전파 예방 대책
(1) 병원소의 제거 및 격리
① 인축공통전염병(광견병, 우형결핵, 페스트, 탄저 등)은 감염된 가축을 제거함으로써 전 파를 예방할 수 있다.
② 인간이 병원소인 전염병(결핵, 나병, 콜레라, 페스트, 디프테리아,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등)은 격리하거나 치료함으로서 예방이 된다. 3) 행정적 관리
(1) 법정전염병의 분류와 관리
가) 제1군 전염병: 유행 즉시 환자격리 등 예방 대책을 수립해야만 하는 전염병, ① 콜레 라 ② 페스트 ③ 세균성이질 ④ 장티푸스 ⑤ 파라티푸스 ⑥ 장출혈성 대장감염증(O157)
나) 제2군 전염병: 예방접종으로 예방 또는 관리가 가능한 종류로 예방접종대상, ① 디프 테리아 ② 백일해 ③ 파상풍 ④ 홍역 ⑤ 유행성이하선염 ⑥ 풍진 ⑦ B형 간염 ⑧ 폴리 오 ⑨ 일본뇌염 다) 제3군 전염병: 발생 감시와 방역대책의 수립도 요구되는 전염병, 말라리아, 결핵, 발 진열, 성병, 성홍열, 수막구균성 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티푸스, 발 진열, 쯔쯔가무시병, 렙토스피라증, 부르셀라증, 탄저,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 혈열), 인풀루엔자,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라) 제4군 전염병: 신종 전염병이나 유행이 종식되었다가 제출현하는 전염병 또는 해외에 서 유행되어 유입 가능한 전염병
마) 지정전염병: 1-4군 이외의 전염병 중 유행 여부에 대한 감시활동이 요구된다고 보건 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전염병
* 소아표준 예방접종
기본접종- 4주 이내: 결핵(BCG)
2개월: 경구용 소아마비(OPV),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DPT), B형 간염
4개월: 경구용 소아마비, DPT, B형 간염
6개월: 경구용 소아마비, DPT, B형 간염
12 15개월: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MMR)
추가접종- 15 18개월: DPT
3세: 일본 뇌염
4 6세: 경구용 소아마비, DPT, MMR
예방접종 금기 대상자: 1. 열이 높은자
2. 심장, 신장, 간장 질환자
3. 알러지 또는 경련성 환자
4. 임신부 5. 병약자
제 8장 급만성 전염병관리
급성전염병이란 발생률이 높고 유병률이 낮은 것이 특성이며, 만성전염병을 발생률이 낮 고 유병률이 높은 것이 역학적 특성
Ⅰ. 소화기계 침입 전염병
환자나 보균자의 대변으로 배설된 병원체가 음식물이나 식수에 오염되어 경구적으로 침입됨으로써 감염이 성립되는 수인성 전염병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콜레라, 세균성 및 아메바성 이질, 폴리오, 유행성 간염 등이 있다. 1) 장티푸스
장티푸흐는 일종의 열병으로 제 1군전염병 중 가장 많이 발생되는 전염병이다.
① 병원체: Slmonella typhy
② 병원소 및 전염원: 병원소는 보균자, 전염원은 오염 음식물 및 물
③ 전파: 배설되어 음식물 및 물을 통하거나, 바리 바퀴 등의 곤충매개로 전파되고 잠복기 는 1 3주 전후이다.
④ 감수성 및 면역성: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높으며, 병쾌 후에는 일반적으로 영속면역을 얻지만 화학용법으로 치료된 자는 영속면역을 얻기가 힘들며, 인공능동면역은 사균 vaccine이 이용된다.
2) 콜레라(cholera)
위장장애와 전신증상을 호소하는 1군 급성 법정전염병으로 발병이 빠르고 구토, 설사, 탈 수, 허탈 등의 증세를 일으킨다.
① 병원체: Vibro cholera
② 병원소 및 전염원: 병원소는 환자, 전염원은 대변 및 오염수, 오염음식물 및 오염식기
③ 전파: 분변이나 토사물로 배출된 병원체가 오염수 및 오염음식물로 전파, 잠복기는 12 48시간
④ 감수성 및 면역성: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높다.
⑤ 예방대책: 예방접종은 방어효과가 50% 미만이어서 시행되고 있지 않다.
3) 세균성 이질
제 1군 전염병으로서 발열, 점액성 혈변을 혈으킨다.
① 병원체: Shigella dysenteriae, Sh. flexneri, Sh. boydii, Sh. sonnei
② 병원소 및 전염원: 병원소는 환자, 전염원은 오염수 및 오염음식물, 잠복기간은 2 7일
③ 전파: 파리나 불결한 손을 통하여 음식물 등으로 경구침입
④ 감수성 및 면역성: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높다.
⑤ 예방대책: 장치푸스와 같은 관리가 필요하며, 예방접종은 실시되지 않는다.
4)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 O157)
5) 폴리오(급성회백수염: poliomyelitis)
소아에게 주로 발생되는 우리나라 제 2군 전염병이다.
① 병원체: Polio virus로 면역학적으로 Ⅰ형, Ⅱ형, Ⅲ형의 3종이 있다.
② 병원소: 병원소는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이고, 음식물이 전염원이다.
6) 파라티푸스
제 1군 전염병으로 B형의 유행이 많다.
Ⅱ. 호흡기계 침입 전염병
호흡기계로 전염되는 전염병은 환자나 보균자의 객담, 콧물, 담화나 재채기 등으로 배출되 어 전파되는 비말감염이나 포말로 전파된다. 질병 감염자의 담화나 재채기 등으로 배출 되 는 비말을 비말핵이라 한다.
1) 디프테리아
제 2군 법정 전염병
① 병원체: Corynebacterium diphtheriae
② 병원소: 환자 및 보균자
③ 전파: 콧물, 인후 분비물, 기침 또는 피부의 상처
④ 감수성 및 면역성: 병쾌 후 일반적으로 약한 면역을 얻는다.
2) 백일해
제 2군 전염병으로 5세 이하에 다발한다.
① 병원체: Hemophilus pertussis
② 병원소: 환자
③ 전파: 호흡기계를 통한 비말감염으로 전파되며, 잠복기는 1주간 전후
④ 감수성 및 면역성: 영구면역을 얻는다.
3) 홍역
제2군 법정전염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전염병이며, 일반적으로1 2세 많은 감염이 된 다.
4) 천연두
5)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제2군 전염병으로 생식선의 감염에 주의를 요한다.
6) 풍진
제2군 전염병
Ⅲ.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페스트(벼룩), 발진티푸스(이), 일본뇌염(모기), 발진열(벼룩), 말라리아(모기), 사상충증(모 기), 양충병(진드기), 황열(모기), 유행성출혈열(진드기) 1) 페스트
제 1군 법정전염병
2) 발진티푸스
발열, 근육통, 전신신경증상, 발진(장미진)등을 나타내는 제3군 급성전염병
3) 말라리아
① 병원체: Prasmodium vivax, P. falciparum, P. malariae, P. ovalae, 간 조직에서 잠복기 간은 3년 간
② 병원소: 환자, 보충자
③ 전파: 학질모기(중국얼룩날개모기)가 매개 전파
4) 유행성 일본뇌염
제 2군 전염병으로 작은 빨간집모기의 발생시기 및 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본다.
① 병원체: Japanese encephalitis B virus
② 병원소: 돼지
③ 잠복기간은 5 14일
5) 신증후군 출혈열
제3군 급성전염병으로 유행성 출혈열로 불린다.
① Hanthan virus
② 병원소:Apoodemus agrarius
③ 전파: 즐쥐의 배설물과 들쥐에 기생하는 좀진드기
Ⅳ. 동물 매개 전염병
광견병, 탄저병, 광우병, 렙토스피라증, 결핵, 부루셀라증, 살모넬라증 및 돼지 단독
1) 광견병
제3군 법정전염병
2) 탄저
병원소: 소, 양, 산양,말
3) 렙토스피라증
① 병원체: Leptospiria interohaemorrhagiae
② 병원소: 들쥐
③ 전파: 주요 발생지역은 동남아시아와 극동지역이며, 9 10월에 다발
Ⅴ. 만성전염병
BCG 접종사업의 보건학적 의미
출생 4주 이내 BCG 0.05mg을 기본 접종한다. Tuberculin test(OT 및 PPD test)의 의미
결핵균 감염 유무 및 감수성의 유무를 간접적으로 아는 방법
2) 한센병
(1) 한센병의 특성과 발생현황
밀초신경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제3군 전염병이다.
(2) 한센병의 전파와 관리
전파: 잠복기간은 2 10년이다.
예방대책: BCG 접종과 lepromin반응검사의 반복으로 결핵예방
3) 성병
① 보통 성병이라고 하는 것은 ① 세균성 매독, 임질, 연성하감 등이 있으나 임질, 매독이 대표적인 성병이다. ② 바이러스성인 벙병은 AIDS, 음부포진 등이 있고, ③ 곰팡이류는 칸 디다 질염이 있으며, ④ 원충성인 것은 질 트리코모나스증, 아메바성 요도염 등이 있다.
(1) 매독
중추신경계, 심장혈관계 및 기타 장기나 조직 등에 침입
(2) 임질
생식기를 널리 침범하여 불임증이 될 수 있으며, 실명, 관절염, 결막염, 직장감염 등의 원 인이 되기도 한다.
4) 트라코마
각막과 결막의 급 만성 전염병
5) 간염
전파: 음식물을 통해서 감염되며 B형은 제 2군 전염병으로 수혈이나 오염된 주사기 및 모 체로부터 수직감염이 잘 된다.
6)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① 병원체: HIV
② 병원소: 환자
③ 전파: 혈액, 정액, 질 분배액, 눈물, 침, 모유, 소변, 척수액
제9장 기생충질환관리
Ⅰ. 선충류
1) 회충증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나타낸다.
① 병원에: Ascaris lumbricoides
② 전파: 경구침입
③ 감염증: 전신증세, 권태, 미열
2) 구충증
감병증: 손, 발 등의 노출된 피부로 침입하는데, 침입부위는 소양감, 작열감을 일으킨다.
3) 요충증
집단감염이 잘 되는 기행충
전파: 경구적으로 침입되어 직장 내에서 기생한다가 45일 전후면 항문 주위에 나와 산란 다.
4) 말레이사상충증
제주도에 많이 유행되었다.
Ⅱ. 흡충류
1) 간흡충증
전파: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 제2중간숙주인 잉어, 참붕어, 피래미, 모래무지 등의 피하조 족에서 피낭유충이 된다.
2) 폐흡충증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
전파: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 제2중간숙주인 가제, 게
감염증: 이소적 기생부위에 따라
Ⅲ. 조충류
1) 유구조충증(갈고리춘충)
돼지고기를 생식하는 지역 주민에 많이 있으며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난다.
2) 무구조충증(미촌충)
3) 광절열두충증(간촌충)
주로 북반구에 많아.
전파: 제1중간숙주인 물벼룩, 제2중간숙주인 송어, 연더
Ⅳ. 원충류
1) 이질아메바증
감염증: 점혈변을 배설하며 심한 복통을 호소한다.
제10장 보건행정
Ⅰ. 보건행정의 개념
(1) 보건행정
보건행정이란 국민의 수명연정, 질병예방 및 육체적 정신적 효율의 증진 등 공중보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공의 책임하에 수행하는 행정활동이다.
W.G Smilie의 정의: 공공기관 또는 사회적인 기관에 의해서 사회복지를 위하여 공중보건 의 원리와 기법을 응용하는 학문이다.
(2) 행정활동의 기본 요소
① 조직, ② 인사, ③ 예산, ④ 법적 규제
(3) 일반행정과 보건행정의 차이
대인관계를 통하여 보건학 및 의학 등의 지식과 기술을 행정면에 적용시켜야 하는 기술행 정
Ⅱ. 한국의 보건행정사
1. 삼국시대(AD 935년 이전)
고구려: 시의제도
백제: 의박사, 채약사, 약사주
신라: 승의의 활동, 내공봉의사, 공봉의사
2. 고려시대(AD 936 1392)
의육을 시도, 대의감, 상약국, 혜민국
3. 조선시대(1392 1910)
의녀제도, 동의보감, 전형사, 내의원, 전의감, 혜민서, 활인서, 중듀규칙이 공포, 공중보건적 활동의 시작
4. 한일합병시대(1910 1945)
5. 8.15 해방 이후(1945 1948)
위생국 설치, 보건후생국 설치
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1948년 이후)
사회부 설치 2) 보건복지부의 외청과 소속기관
(3) 보건복지부 소속 기관의 주요 역할
① 국립의료원: 진료활동 이외의 의료의 질적 수준과 의료기술의 향상을위한 조사연구, 의 료요원의 훈련 및 환자의 영양에 관한 사항을 등을 관장
② 국립정신병원: 정신과환자의 진료를 비롯해서 정신과질환에 관한 조사 연구와 정신과 의료요원의 훈련에 관한 사항을 관장
③ 국립소록도병원: 나환자의 수용 보호, 진료, 교도 및 자활 정착을 위한 직업 보도와 나 병에 관한 연구업무를 관장
④ 국립결핵병원: 결핵환자의 구호 및 요양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마산과 목포 에 국립결핵병원을 두고 있다.
⑤ 국립보건원: 국민 보건 향상을 이한 보건요원의 훈련, 전염병 및 특수질환의 연구, 조 사 평가 및 보건관련 국가시험업무를 관장
⑥ 국립재활원: 장애인의 북지증진을 위한 진료, 상단.지도, 재활훈련, 재활전문요원의 훈 련, 보장구의 연구개선, 재활 조사 연구사업 및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사업에 관한 업무를 관장
⑦ 국립검역소
Ⅲ. 우리나라 보건행정
1. 중앙보건행정
1) 중앙중심보건행정의 장단점
(1) 장점
① 전염병관리와 같이 지역단위만으로는 불가능하거나 의미가 없는 것이 있으며, ② 정부 각 부처간의 조직이나 기술인력의 협력이 없이는 불가능한 보건사업이 있기 때문이다. 또 한 ③ 보건사업의 중첩을 피하고, ④ 법적 규제만으로는 불가능한 보건사업들이 있기 때문
(2) 단점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사업을 할 수 없다.
① 부처간에 협력을 요하는 보건사업이나, ② 이역단위로만은 의미가 없거나 불가능한 것 을 담당하며, ③ 지방의 특성적 발전이나 특정지역에만 국한되어 있는 보건사업을 지방정 부가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2. 지방보건행정
2) 시 도 보건행정
(1) 보건소 제도의 발전과정
보건소 활동의 효시: 영국의 Liverpool시에서 William Rathborn에 의하여 계획하여 1862 년에 Liverpool시에 방문간호원을 1명씩 배치하여 모자보건상담과 보건지도사업을 시작한 것이 처음이다.
(2) 보건요원제도
질벼의 치료 및 예방활동 등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보건관리를 해 나가는 제 도
3) 우리나라의 보건소제도
(1) 우리나라 보건소제도의 변천과정
① 보건소의 명칭 사용: 1946년 10월에 서울에 시범보건소 설치가 최초의 보건소
② 보건소법의 제정: 1962년부터 시작
Ⅳ.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개념 및 영역
사회조장의 중요 영역: 궁핍, 질병, 무지, 재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① 의료보장 을 위한 보건의료시설 및 의료수혜의 확충, ② 교육기회의 보장을 위한 교육기회의 균등 부여 및 기회 확대, ③ 소득보장을 위한 실업대책 및 궁핌 해결, ④ 각종 재해대책 등이 사 회보장제도에 포함되어야 할 최소한의 영역이며, 노인, 아동복지, 장애자보호 등 사회서비 스도 사회보장의 영역이 되어야 한다.
2. 사회안전망 구축
3) 사회 서비스
국민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국민복지증진 서비스 활동을 의미
4.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발전과정과 방향
1) 사회보장제도의 발저노가정
60년대 사회보장행정이 필요성이 발생, 1963년 11월에는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
1973년 12월에는 국민복지연금법이 제정, 1977년 1월부터 영세민을 대상으로 의료보호 제도가 실시, 1977년 7월부터는 의료보험제도가 처음으로 실시
5.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종류
4대 공공 사회보험제도: ① 사회보장기본법을 비롯해서 ② 의료보험제도 ③연금제도 ④고 용보험제도 ⑤산재보험제도
2) 의료보험제도
(1) 의료보험사업의 발전과정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사업은 의료보험법(1963. 12)과 동 시행령(1964. 6)의 제정으로 정식 출범하게 되었으며, 1964년부터 특정사업의 소수인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해오던 것을 1977년부터는 5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의료보험을 실시하였고, 1979년부 터는 공무원과 사립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던 것을 군인가족 및 퇴직연금수급자에 까지 적용하였다. 1988년 7월부터는 5인 이상 사업장까지 직장의보를 확대하였으며, 1989년 7월에는 지역의료보험사업(군단위)의 시작으로 전국민에 적용하게 되었다.
Ⅵ. 국제보건관계기구
1) 세계보건기구
(1) WHO의 설치과정
1946년 6월 19일부터 7월 22일까지 New York에서 개최된 극제보건회의의 결의에 의하 여, WHO 헌장이 제정되고, 1948년 4월 7일 국제연합의 보건전문기관으로서 세계보건기구 (WHO)가 정식으로 발족되었다.
우리나라는 1949년 8월 17일 65번째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되었다.
(3) WHO의 주요 기능
① 국제적인 보건사업의 지휘 및 조정, ② 회원국에 대한 기술지원 및 자료공급, ③ 전물 가 파견에 의한 기술자문활동
(4) WHO의 조직
지역삼국의 본부가 위치한 국가와 도시
① 동지중해지역(본부:Alexandria, Egypt ), ② 동남아시아지역(New Delhi, India)-북한, ③ 서태평양지역(Manila, Philippines)-한국, ④ 남북아메리카지역(Washington D.C., USA), ⑤ 유럽지역(Copenhagen, Denmark), ⑥ 아프리카지역(Brazzaville, Congo).
제 11장 인구와 보건
Ⅰ. 인구의 개념
인구란 일정한 기간에 일정 지역에 생존하는 인간집단을 말한다.
국민은 국적 공동체, 민족은 정신적 문화적 공동체, 인종은 유전적 공동체
Ⅱ. 인구론의 발전
지역사회 인구의 정채적 특성이나 동태적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인구분석학이란 인구의 구성이나 크기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Jhon Graunt: 출생과 사망에 대한 인구의 수량적 분석을 시작한 인구학의 시조
Thmas R. Malthus: 인구론을 독립적으로 논의한 사람
1. 말더스 주의
도덕적 억제(성순결, 만혼)가 필요하다고 주장
2. 신 말더스 주의 피임에 의한 산아조절을 주장
Ⅲ. 인구조사
2. 국세조사
(1) 국세조사의 의미
국세조사를 최초로 실시한 나라는 스웨덴, 근대적 의미로 국세조사를 실시한 최초의 국가 는 미국
Ⅳ. 인구성장
1. 인구성장론
C.P. Backer의 인구성장단계별 분류
① 제1단계(고위 정지기): 고출생률과 고사망률인 인구정지형: 인구증가 잠재력이 큰 후진 국형 인구 구조
② 제2단계(초기 확장기): 저사망률에 고출생률인 인구 증가형: 인구증가가 계속되는 경제 개발 초기단계국가의 인구구조
③ 제3단계(후기 확장기): 저사망률에 저출생률의 경향을 나타내는 인구성장둔화형: 한국, 중미지역국가 등 개발도상국가의 인구구조
④ 제4단계(저위 정지기): 사망률과 출생률이 최저에 달하는 인구성장정지형: 선진국형의 인구구조
⑤ 제5단계(감퇴기): 출생률이 사망률보다도 낮은 인구 감소경향형: 수웨덴, 유럽의 여러나 라
2. 인구증가
재생산률: 여자가 일생동안 낳은 여자아이의 평균수
Ⅴ. 인구문제
1. 인구의 양과 질의 문제
3P(population, poverty, pollution),와 3M complex(malnutrition, morbidity, mortality)를 문제로 제기 될 수 있다.
2. 부양능력과 인구의 노령화 문제
부양비(율)= 비생산층 인구 생상층 인구 100
Ⅵ. 인구구성
3. 연령별 구성
연령별, 성별 구성의 5대 기본형
① 피라밓형: 인구가 증가할 잠재력을 많이 가지고 있는 형으로 출생률은 높고, 사망률을 낮은 형
② 종형: 인구정지형으로 출생률과 사망률이 다 낮은 형
③ 항아리형: 평균수명이 높은 선진국가에서 볼 수 있는 형으로 인구가 감퇴하는 형
④ 벌형: 생상연령인구 많이 유입되는 도시지역의 인구구성
⑤ 기이타형: 벌형과 반대형
Ⅶ. 생명표
1) 생명표
인구집단에 있어서 출생과 사망에 의한 생명현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생존수, 사망수, 생존율, 사망률, 사력,평균여면 등 6종의 생명함수로 표현하는 것 1) 6종의 생명 함수
(1) 생존수(l )
일정한 출생수(10만녕)가 어느 연령에 도달했을 때까지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수
(2) 사망수(d )
세의 사람 중 +1 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한 자의 수
(3) 생준율(P )
세의 사람 중 +1세에 도달할 수 있는 자의 비율을 세에서의 생존율
(4) 사망률(q )
세의 사람 중 =1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율
(6) 평균여명 세의 생존자수가 세 이후 생존할 수 있는 연수의 평균
Ⅶ. 가족보선
1. 가족계획의 개념
1) 가족계획의 의미
알맞는 수의 자녀를 알맞는 터울로 낳아서 잘 양육하여 가족구성원 모두가 잘 살 수있도록 하자는 것
2. 가족계획의 필요성
1) 모자건강과 여성인권의 존중을 위해서 필요하다.
(1) 여성인권 신장을 위해
2) 가정의 경제생활 향상과 생활양식 개선을 위해서 필요하다.
3) 윤리도덕관의 시대적 변천에 부응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제12장 보건영양
Ⅰ. 보건영양의 개념
1) 보건영양학의 개념
지역사회 전 주만의 건강을 위해서 음식물(영양)과 인간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Ⅲ. 영양소의 작용
1. 영양소의 작용
1) 5대 영양소
생물의 성장과 생활을 계속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
열량소에는 에너지원이 되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질등이 있고, 조절소에는 무기질과 비타민이 있다.
2) 영양소의 3대 작용
① 신체의 열량 공급작용
② 신체의 조직구성
③신체의 생리기능 조절
2. 열량소의 작용
1) 단백질
(1) 단백질의 작용과 결핍증
① 신체의 주요 구성분 ② 칼로리원 ③ 효소와 호르몬으 ㅣ성분 ④ 질병에 대한 면역체와 항독물질의 주성분
단백질이 부족하면 ① 발육정지, ② 신체손모, ③ 부종, ④ 빈혈, ⑤ 전염병에 대한 저항력 감소
3. 조절소의 작용
1) 무기염류의 작용과 필요량
(1) 식염: 열중증의 원인
(2) 칼슘: 뼈, 치아의 주성분
(3) 철분: 혈액성분의 구성성분
(4) 인: 뼈, 뇌신경의 주성분이며 부족하면 저항력의 약화를 초래한다.
(5) 요오드: 갑상선 기능 유지
2) 비타민의 작용과 결핍증
(1) 비타민 A
(2) 비타민 B
①B1의 부족시는 각기증상, 식욕부진, 피로감을 초래하고 ② B2의 부족 시는 성장정지, 식용감퇴, 체중감소, 구순염, 설염 등을 초래 ③ Niacin, Niacinamide의 결핌시는 pellagra를 일으키며 ④ B6의 결핍은 피부염, ⑤ B12의 결핍은 빈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3) 비타민 C
결핍시 괴혈병
(4) 비타민 D
결핍시 구루병
(5) 비타민 E, F
비타민 E 결핍은 생식기능 장애로 불임증 및 유산의 원인이 되며, F의 결핍시는 지방대사장애 및 피부가 건조해지고 발육저기가 있을 수 있는데, 비타민, E는 육류, 계란, 간, 생성, 식물성 기름 등에 많이 함유되고, 비타민 K는 간, 녹황색, 야채, 버터 등에 많이 함유된다.
Ⅴ. 특수시기의 영양 임산부의 필요영양소: 평상시보다 단백질 15mg, 칼슘 300mg, 철 8 12mg, 정도의 추가 공급이 필요하며, 비타민A 및 B군도 평상시보다 많은 공급이 필요하고 수유부는 비타민A, 및 B군과 칼슘의 공급이 임신기 보다도 더 많이 공급되어야 한다.
Ⅶ. 영양상태 판정
2. 객관적 판정법
영유아기부터 학령전반기까지는 Kaup index" 사용, 학령기 이후의 소아에게는 Rohrer index가 사용, 성인의 비만증 판정에는 Broca index"가 사용
Ⅷ. 영양장애와 국민영양개선
1. 영양장애의 유형
1) 열량 단백직 실조증
① Marasmus증: 모유나 인공영양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비위생적인 수유로 인해서 설사가 계속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 근육이 소모되어 뼈만 남게 되며, 부종이나 지방간이 되는 형상
② Kwashiorkor증: 단백질과 무기질이 부족한 음식물을 장기적으로 섭취함으로써 발생
제13장 모자보건
Ⅰ. 모자보건관리
1) 모자보건관리가 중요한 이유 ① 태아로부터 영양까지의 시기는 모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시기 ② 미래주인공을 건 강하게 기른다는 면과 ③ 모성보건관리대상(15 49세)의 인구집단이 크다.
2) 모자보건관리의 목적
① 모성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②건강한 출산과 양육을 통하여 영유아의 사망을 저하 시키며, ③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정서적 발달 을 유지 증진시키고, ④ 유전적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보건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Ⅱ. 모성보건관리
생식기로부터 폐경기에 이르는 모든 여성(15 49)에 대한 보건관리, 협의로 보면 임신, 분만, 수유기의 여성(20 40세)을 대상으로 한다.
1) 모성사망(임산부사망)의 주요 원인
(1) 모성사망
임신, 분만, 산욕에 관계되는 특윻란 질병 또는 임신 합병증 때문에 일어난는 사망
(2) 모성사망의 주요원인
① 고혈압성 질환(임신중독증, 자간증), ② 출혈성 질환, ③ 자궁외 임신(유산), ④ 감염증( 폐혈증, 산욕열) 2) 모성의 중요 질병과 이상
(2) 유산, 조산, 사산의 원인과 대책
유산은 임신 7개월(28주)까지의 분만을 말하며 조산이란 임신 제28주부터 제38주 사이의 분만을 말하는 것이고 사산이란 죽은 태아를 분만하는 경우를 말하고, 정기산이란 제39주부터 제42주 사이의 4주간 사이의 분만 과기산은 임신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4) 모자보건지도 3대 사업
(1) 성교육과 혼전지도
① 성교육
② 혼전지도 (2) 임신 및 출산지도
건강진단: 제28주까지는 매월 1회, 제29주 36주까지는 주 2회, 제37주 이후는 매주 1회 수검
Ⅲ. 영유아보건관리
1. 영우아보건관리
1) 영유아기의 특성
출생 1주까지는 초생아, 4주까지는 신생아, 1년까지는 영아, 학교입학 전 4세 이하를 유아라 한다.
3. 영유아의 중요 질병과 이상
1) 발육이상
(1) 조산아
조산아의 보호내용
① 체온보호, ② 전염병 전염 방지, ③ 영양보급, ④ 호흡관리
(2) 과기산의 문제 및 비만아 출산의 원인
① 과기산이란 43주 이후의 출생아와 체중 4Kg 이상자로서, 산소부족증이나 난산을 초래 할 수 있으며, 중추신경자애가 있을 수 있다.
4. 영유아 보건대책
2) 신생아 보건대책
(1) 질병 관리
영양관리(모유, 인공영양)가 중요
3) 영아 보건대책
예방접종과 전염병 감염예방이 가장 중요
4) 유아 보건대책
불의의 사고
제14장 성인 및 노인보건
Ⅰ. 성인보건
1) 성인병과 만성질병
성인병이란 생리적 조건이나 장기간의 부적절한 생활 습관의 지속에 의해 발생되는 비전 염적 만성 질병을 총칭
2) 성인병의 증가 원인
(1) 우리나라 성인병 발생현황
가. 남여별 사망원인: 남자의 경우 ① 뇌혈관 질환, ② 심장질환, ③ 간질환, ④ 운수사고, ⑤ 위암 여성의 경우 ① 뇌혈관질환, ② 심장질환, ③ 당뇨병, ④ 위암, ⑤ 운수사고의 순
나. 연령별 사망원인: ① 영아의 경우 선천성이상, ② 1세부터 39세까지는 불의의 사고, ③ 40세부터 69세까지는 악성신생물, ④ 70세 이상에서는 뇌혈관질환
(2) 성인병의 주요 발생원인
① 지나친 흡연 및 음주, 잘못된 식습관, 지나친 스트레스 축척, 각종 유해 환경에 반복적 노출, ② 내분비계통의 이상 변화 및 ③ 면역학적 기전의 변화, ④ 노령화
Ⅱ. 성인병의 종류
1. 고혈압증
① 저혈압은 최고 혈압 100mmHg와 최저혈압 60mmHg 이하이고, ② 적정 또는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 130, 이완기 혈압이 80 85mmHg, ③ 경계역 고혈압은 90 95, 140 160mmHg, ④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인 최고혈압이 160mmHg 이상, 확장기혈압인 최저혈압이 95mmHg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4. 악성신생물
암질환 발생현황
(1) 발생원인은 주로 흡연, 음주, 유독물질의 섭식, 바이러스, 곰팡이류의 감염이며, (2) 성별로 다발하는 발생연령은 남자는 50 59, 여자는 46 49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병하고 연령별 암 발생률은 주로 40 60대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3) 성별 암의 종류는 남자는 ① 위암, ② 간암, ③ 폐 및 기관지암, ④ 백혈병, ⑤ 식도암의 순서이고 여자는 ① 위암, ② 자궁암, ③ 간암, ④ 폐 및 기관지암, ⑤ 백혈병, ⑥ 유방암의 순서로 다발한다.
(4) 민족별 다발 암 종류: 우리나라에는 위암이 많고, 미국이나 영국에는 폐암, 전립선암, 유방암이 많고 피부암은 백인에 많다.
Ⅲ. 노인보건관리
주요 노화현상: 순환기능 저하, 호흡기능 저하, 소화기능 저하, 신경기능 및 정신기능 저하
Ⅳ. 성인의 건강관리
3. 체중관리
(1) 이상적 체중
장수할 수 있는 체중
제13장 학교보건
Ⅰ. 학교보건의 개념
1) 학교보건의 목적
구성원 모두의 건강관리 목적과 교육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교육적 목적
2) 학교보건이 중요한 이유
① 학생인구가 전 인구의 약 1/4이나 되는 큰 집단 ② 학교는 지역사회의 중심이 되며, 학생을 통한 지역사회 및 가족에게 간접적 보건교육 을 실현해 갈 수 있다.
③ 학생은 배우려는 의욕이 있기 때문에 보건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호적기이다.
④ 학교 교육의 교육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Ⅱ. 학교보건관리
교육 유해 환경관리: 학교 출입문으로부터 50m 이내를 절대 정화구역, 200m 이내를 상대 정화구역으로 규정
Ⅲ. 학교보건사업의 주요 내용
① 학교보건봉사 ② 학교환경위생 ③ 학교보건교육 ④ 학교급식관리 ⑤ 학교정신보건
⑥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1. 학교보건봉사
정기건강평가: 매년 1회 실시하는데, 4월부터 6월 사이에 학생과 교직원을 함께 실시
2. 학교환경위생관리
(1) 학교환경위생의 관리목표
① 학생의 건강유지 향상 ② 심신의 안전 ③ 학습능률의 향상 ④ 질병발생방지 ⑤ 편리 하고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2) 교지의 환경 조건
① 충분한 면적 ② 통학에 편리하고 한적한 장소 ③ 위험하지 않고 안전한 장소 ④ 공기 가 맑고 일광이 풍부한 곳 ⑤ 좋은 수질을 얻을 수 있고, 배수가 잘 되는 곳 ⑥ 주변에 주 점, 극장, 교도소, 도축장, 묘지, 철도 등 비교육적 시설이나 교육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 는 시설물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3. 학교보건교육
(2) 학교보건교육 계획시 고려할 사항
① 모든 교육활동 및 교육내용의 일부로서 계획되어야 하며
② 학교와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고
③ 전 교직원과 학생의 참여와 지역사회의 협조를 얻을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하며
④ 보건교육을 주도해 가는 사람이 있도록 계획하고, 행동양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 록 계획되어야 한다.
⑤ 초 중 고교의 학년간 보건교육 내용은 수직적으로 연계되고, 각 학년별로는 각 학과 목간에 수평적으로 관련성을 지닐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4. 학교급식
2) 학교급식의 목적
① 성장기 어린이의 발육과 심신의 발달 및 건강증진
② 올바른 식생활습관 및 식생활의 예절 교육
③ 편식의 교정 및 결핍증 예방
④ 질서의식과 협동정신 함양
⑤ 영양에 관한 지식 및 식품의 생산과 소비에 관한 지식
⑥ 학력향상 등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학교급식의 목적이 있다.
제16장 보건교육
Ⅰ. 보건교육의 개념
1) 보건교육과 건강교육의 개념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 많이 쓰여지고, 건강교육은 학교교육에서 잘 쓰여진다.
2) 보건교육의 정의
R. Grout의 정의: 건강에 관한 지식을 교육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개인, 집단 또는 지역사 회 주민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어 놓는 것 우리나라 건강증진법에서의 정의: 보건교육은 개인 또는 집단으로 하여금 건강에 유익한 행위를 자발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교육
보건교육은 지역사회 모든 주민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회화될 수 있 도록 돕는 활동이다.
Ⅱ. 보건교육의 목적과 중요성
1) 보건교육의 목적
개인, 집단, 지역사회 주민 모두가 자기들의 보건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스스로 인식하고 자발적 행동을 통하여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그들의 건강을 자기들 스스로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데 보건교육의 목적이 있다.
Ⅳ. 보건교육의 방법
1) 개인접촉방법
(1) 개인접촉 적용대상과 장단점
노인층이나 저소득층에 적합한 방법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많은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2) 집단접촉방법
경제적인 방법이지만 개별접촉방법만큼의 효과는 없지만 능률적인 방법
3) 대중접촉방법
무제한의 대중을 위한 교육방법
4) 일방적 교육방법
전문적 지식이 없는 자에게 실시되는 방법
5) 왕래식 보건교육방법
어느 정도의 지식이 있다고 보고, 상호 의견을 교환하면서 정리하고 같이 행동하면서 교 육하는 방법
6) 절충식 보건교육방법
(1) 단체활동을 통한 보건교육방법
"Brainstorming": 특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체의 협동적 토의방법
Symposium": 여러 사람의 전문가가 제각기의 입장에서 어떤 일정 주제에 관하여 발표하는 것
Panel discussion" 몇 명의 전문가가 청중 앞에서 자기들 끼리 대화를 진행하는 형식
6-6법 과 buzz session(분단토의) : 제한된 연사가 제한된 시간에 발표하게 하는 것
(2) 연극적 활동을 통한 보건교육 방법
제17장 정신보건
Ⅰ. 정신보건의 개념
① 정신질환이 없고, ② 자기자신의 행동에 정신적 갈등을 갖지 않으며, ③ 자기자신의 일에 만족할 만한 근로능력이 있고, ④ 존경하는 마음, 사랑하는 마음과 윤리 도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상태
Ⅱ. 정신장애의 원인과 종류
정신장애 발생의 주요 원인
① 유전적 요인, ② 심리적 요인, ③ 사회, 문화, 환경적 요인, ④ 신체적 요인 및 이들의 ⑤ 복합적 요인
Ⅲ. 정신질환
1) 정신분열증
정신병 환자 중에서 가장 많으며, 대개는 청년기에 발병해서 만성적으로 진행되는데, 20 40세 인구에 다발하는 정신질환이다.
Ⅳ. 발육단계별 정신건강관리 1) 영유아기의 정신건강관리
모친의 영향을 받아 장래의 인격형성을 좌우하는 기초가 성립되는 시기이므로 정신보건관 리상 중요한 시기이다.
2) 학령기의 정신건강관리
인경형성에 큰 영향을 받는 시기
Ⅴ. 정신보건관리
(1) 정신보건관리 목표
모든 국민의 정신질환을 예방하고, 건전한 정신기능을 유지, 증진하는데 있다.
① 정신장애의 예방, ② 건전한 정신기능의 유지 증진, ③ 정신병의 조기발견, ④ 치료자 의 사회복귀 등을 실현
(3) 정신보건관리활동
① 정신장애자 조기발견, 조기치료, ② 정신장애의 특수예방, ③ 폐질방지 및 보호, ④ 성 신질환 치료 후 사회복귀, ⑤ 일반적 건강증진, ⑥ 재가환자의 지도와 치료 등의 활동
제18장 보건통계
Ⅳ. 인구통계
1. 출산통계
(1) 조출생률
보통출생률이라고도 하며, 여기서 말하는 출생이란 사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2) 일반출생률
가임여자인구의 출생률
2. 인구의 재생산 통계
1) 합계생산율
한 여성이 일생동안 몇 명의 아기를 낳는가를 나타내는 것
2) 총재생산율
한 여성이 일새이동안 몇 명의 여아를 낳는가를 나타내는 것
3) 순재생산율
세의 연령에 도달할 때까지의 생존율을 곱한 것
3. 사망통계
2) 영아사망률
국가사회나 지역사회의 보건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① 조사망률은 연령수성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만 영아사망률은 12개월 미만의 일정 한 연령군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아 통계적 유의성이 크고, ② 영아사망 률은 환경위생 불량, 질병관리 및 모자보건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환경악 화나 비위생적 생활환경에 예민하게 영향받기 때문이다.
3) 보정영아사망률
보정영아사망률은 어떤 특정한 연도에, 특정사유가 있을 때 이를 고려하여 어느 해 출생 한 영아들이 각각 1년 미만에 사망하는 사망률을 계산하는 것
* 신생아사망률= (연간신생아사망수(생후 28일 미만)/연간의 출생아수) 1,000
영가기간 중 신생아사망이 영아사망이 전부라면 보건수준은 대단히 높은 상태이다.
* -index= 어느 해의 영아사망수/어느 해의 신생아 사망수
영아사망자 중 신생아 사망비를 보는 법 -index가 1에 가까워질수록 신생아기 이후의 사망이 없다는 뜻
5) 모성사망률
임신, 분만, 산욕과 관계되는 질병 및 이의 합병증에 의한 사망만을 의미
7) 주산기 사망률
임신중독, 출생시 손상, 난산, 조산아 무산소증 및 저산소증, 조기파수 등이 주요 원인
8) 유아 사망률
보건수준이 낮은 나라에서는 주로 감염증, 영양실조 등이 원인이 되나 선진국은 사고가 그 주원인이 된다.
13) 비레사망지수
연간 인구의 사망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수를 백분율(%)로 표시한 지수이다. 비례사 망지수가 낮은 경우는 낮은 평균수명에 기인하는 것이며, PMI 값이 크다는 것은 건강수준 이 높고 장수인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Ⅴ. 질병통계
1) 발생률
일정기간에 새로 발병한 환자수를 그 지역의 인구로 나눈 값
2) 발병률
감염에 폭로될 수 있는 제한된 인구만을 분모로 한다.
3) 이환율
이환률= 연간 환자수/연앙인구 10
4) 유병률
발생률은 일정기간 중에 발생한 신환자수를 모집단으로 나눈 것이고 유병률은 발생시기와 관계없이 현존하는 환자 전원을 분자로 하는 것이다.
6) 감수성지수
주로 습성호흡기계 전염병에 적용되는 통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