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02 · 선현기청善現起請 | 수보리, 법을 청하다
Section 2: Elder Subhūti opens the question
Chapter 2. Subhuti's Question
At the time, the venerable(장로, 長老) Subhuti who was in the assembly, rose from his seat, uncovered his right shoulder, put his right knee on the ground, and respectfully joined his palms together and, bowing to the Buddha, said to Him. "World Honoured One, it is most rare, indeed, to find someone like you. How well the Tathagata protects and takes care of all the bodhisattvas. How well He entrusts all the bodhisattvas." "World Honoured One, when good men or good women wish to develop the mind of Anuttara Samyak Sambodhi, how should their minds be kept and how should they be subdued?" The Buddha replied, "Excellent, excellent, Subhuti! As you say, the Tathagata well protects and takes care of bodhisattvas and well entrusts bodhisattvas. Now, please, listen with all of your attention and the Tathagata will naturally respond to your question. If the virtuous men and women wish to develop the mind of Anuttara Samyak Sambodhi, they should keep and subdue their mind in the following way." "Oh, Lord, we are so happy to listen your teachings."
제 02 · 선현기청善現起請 | 수보리, 법을 청하다
제 2 선현이 법을 청하다
그 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계시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서 웃옷 을 바른쪽 어깨에 벗어 매고 바른쪽 무릅을 땅에 꿇고 합장공경하면서 부 처님께 사뢰었다. “희유하시옵니다.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살펴 주시고 모든 보살 들에게 잘 당부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선녀인의 아뇩다라삼먁삼보 리심을 일으킨 이는 깨달은 마음을 어떻게 머물며 번뇌의 마음을 어떻게 항복받아야 하겠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갸륵하고 갸륵하도다. 수보리야 너의 말과 같이 여래가 모든 보살을 잘 보살피고 잘 당부하나니라. 너희들은 이제 자세히 들으라, 이제 마땅히 너희들을 위하여 연설하리라. 선남자-선녀인이 아뇩다라사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마땅히 깨달은 마음을 이와 같이 머물고 그 번뇌의 마음을 이와 같이 항복받을지니라.”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바라건대 듣고자 하나이다.”
<2> 善現起請分
Section Ⅱ.Subhuti Makes a Request
Now in the midst of the assembly was the Venerable Subhuti. Forthwith he arose, uncovered his right shoulder, knelt upon his right knee, and, respectfully raising his hands with palms joined, addressed Buddha thus: World-honoured One, it is most precious how mindful the Tathagata is of all the Bodhisattvas, protecting and instructing them so well! World-honoured One, if good men and good women seek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by what criteria should they abide and how should they control their thoughts? Buddha said: Very good, Subhuti! Just as you say, the Tathagatha is ever-mindful of all the Bodhisattvas, protecting and instructing them well. Now listen and take my words to heart: I will declare to you by what criteria good men and good women seeking the Consummation of Incomparable Enlightenment should abide, and how they should control their thoughts. Said Subhti: Pray, do, World-honoured One. With joyful anticipation we long to hear.
제2장 선현기청분 - 선현 장로가 일어나 부처님께 가르침을 청하다
그때 장로 수보리가 무리 속에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손을 모아 공경하며 부처님께 여쭙기를,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을 좋게 여겨 보살피시고 모든 보살이 좋게 여겨 의지할 수 있게 합니다. 세존이시여,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한 남자와 선한 여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수보리야. 네 말처럼 여래는 모든 보살을 좋게 여겨 보살피고 모든 보살이 좋게 여겨 의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네가 청하니 마땅히 너를 위해 말하리라.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한 남자와 선한 여인은 이와 같이 살아야 하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예, 세존이여! 기쁘게 듣고자 합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요약 붓다의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 무상정변지(無上正遍智) ·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아뇩다라(阿耨多羅)’는 무상(無上)을 뜻하고, ‘삼먁삼보리(三藐三菩提)’는 정변지(正遍知) · 정등각(正等覺)을 뜻한다. 산스끄리뜨어 아누따라삼약삼보디(anuttara-samyak-sambodhi)를 음사한 것으로 무상정변지(無上正遍智) ·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 무상정진도(無上正眞道) 등으로 한역한다. 빠알리 원어(anuttara sammasambodhid)도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이라 번역된다. 한문의 음사표기는 ‘아누다라삼막삼보제(阿耨多羅三藐三菩提)’이지만, 속화된 발음의 변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로 읽는다. 그 이상의 것이 없으며[無上], 완전히 평등하며[正等], 완전히 모든 것을 포괄하는 正遍 지혜라는 뜻으로 부처님의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킨다.
『금강경』의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에서 ‘붓다가 말씀하신 뜻을 제가 이해하기로는, 붓다는 연등불에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습니다.(如我解佛所說義, 佛於然燈佛所, 無有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는 구절을 볼 수 있다. 『아함경(阿含經)』 계열의 『초전법륜경(初轉法輪經)』에서 붓다가 사성제를 통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설한 장면을 비롯해서 경전에서 무수히 언급되고 있다.
완전한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縟多羅三貘三菩提)는 범어로 아눗타라 삼먁 삼보디 (anuttara samyak sambodhi)를 한자로 음사 표기한 것이다. 범어의 뜻을 풀어 번역하면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을 의미한다.
아뇩다라는 무상(無上), 삼먁(三藐)은 ’바름(正等)‘이고, 삼보리(三菩提)는 ’참된 깨달음(正覺)‘을 뜻한다. 이를 한 마디로 ’무상정등정각‘의 뜻이 된다. 이를 줄여서 무상정변지(無上正遍智), 무상정각, 정각(正覺), 보리(菩提)라고도 한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가장 높고 바른 완전한 깨달음‘을 뜻하며, 부처님의 깨달음, 또는 부처님이 깨달은 모든 진리를 가리킨다. 즉 깨달음의 완전무결한 상태를 이르는 것이다. 한 순간의 깨달음이 아니라 영속적인 위없는 깨달음을 ’무상정각‘이라고 말한다.
“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기에 이것을 이름하여 ‘가장 높고 바른 완전한 깨달음’이라 하느니라.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이 온갖 선법을 닦으면 곧 ‘가장 높고 바른 완전한 깨달음’을 얻게 되느니라.”
<금강경. 제23 정심행선분>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은 줄여서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하며, 이는 가장 높고 바른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어 부처가 되겠다는 서원을 담고 있다. 간단히 발보리심(發菩提心) 또는 발심(發心)이라 한다. “모든 부처님과 모든 부처님의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은 모두 이 경에서 나왔다.”
<금강경. 제8 의법출생분>
이러한 부처님의 말씀은 모두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 채워 보시하거나 항하의 모래 수 만큼의 몸으로 보시하는 복덕도 많겠지만, 이 경을 수지 독송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해주는 복덕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집착 없는 보시행을 통해 마침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될 것을 설하고 있다. 경에서 설하고 있듯, 삼세의 모든 부처님은 바로 이 보편 타당하고, 더 없이 높은 경지를 터득하고 무상정등정각에 오르신 것이다 완전한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불교의 핵심 개념 이해하기 쉽게 정리아뇩다라삼먁삼보리란 무엇일까요? 불교의 핵심 개념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범어로 "아눗타라 삼먁 삼보디"(anuttara samyak sambodhi)를 한자로 음사 표기한 말입니다. 쉽게 말해 **"가장 높고 바른 완전한 깨달음"**이라는 뜻으로, 부처님의 깨달음 또는 부처님이 깨달은 모든 진리를 의미합니다. 즉, 깨달음의 완벽하고 영원한 상태를 지칭하는 말이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의미:
아뇩다라(無上): 더 이상 이를 뛰어넘는 것이 없는 최고의 깨달음
삼먁(三藐):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 모든 법의 진리를 통찰하는 지혜
삼보리(三菩提): 참된 깨달음, 진리에 눈뜨는 궁극적인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특징:
영원하고 변함없는 깨달음: 순간적인 깨달음이 아닌 영원히 지속되는 깨달음
모든 법의 진리를 통찰하는 지혜: 모든 존재와 현상의 진실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지혜
자비와 연민으로 가득 찬 깨달음: 중생을 제도하고 모든 존재를 이롭게 위한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방법:
발보리심(發菩提心): 부처가 되겠다는 다짐과 서원
수행과 실천: 끊임없는 노력과 정진을 통한 깨달음 추구
보시행: 집착 없는 마음으로 베풀어주는 행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관련된 불교 용어:
무상정변지(無上正遍智):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부처님의 지혜
무상정각(無上正覺): 부처님의 깨달음
정각(正覺): 참된 깨달음
보리(菩提):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이며, 모든 불교 신도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입니다. 이 글을 통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불교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