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B;d]mi(4057, 미드바르)
광야, 황무지
미드바르(명남)는 다바르(rb'D; , 1696)에서 유래했으며, '광야, 황무지'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270회 나온다.
(a) 미드바르는 일반적으로 세 유형의 지역을 묘사하는데 사용된다: 목초지(수 2:22, 시 65:12, 렘 23:10); 사람이 살고 있지 않는 땅(신 32:10, 욥 38:26, 잠 21:19, 렘 9:1); 오아시스 혹은 도시와 읍이 여기저기에 존재하는 넓은 지역, 유다의 광야에는 그 안에 적어도 6개의 도시가 있었다. 요르단의 광야(충적의 평야)에는 도시들이 존재하며 시내 광야에는 그 지역 안에 많은 오아시스들이 있다. 미드바르는 또한 비유적으로 사용된다(호 2:5, 렘 2:31).
(b) 미드바르로 불리우는 가장 넓은 지역은 시내, 네겝, 요단 골짜기와 아라비아 광야이다.
특별한 광야 지방은 다음과 같다: 브엘세바(창 21:14); 바란(창 21:21, 민 10:12, 민 12:16, 민 13:3, 민 13:26, 삼상 25:1); 신(출 16:1, 출 17:1, 민 33:11, 민 33:12); 시내(민 1:19 등, 출 19:1, 출 19:2, 레 7:38); 신 Zin(민 13:21 등, 신 32:51, 수 15:1); 벧아웬(수 18:12); 유다(삿 1:16, 시 63의 제목); 십(삼상 23:14, 삼상 23:24, 삼상 26:2); 마온(삼상 23:24, 삼상 23:25); 기브온(삼하 2:24); 다메섹(왕상 19:15); 에돔(왕하 3:8); 여루엘(대하 20:16); 수르(출 15:22, 출 16:1, 민 1:19 등); 에담(민 33:8); 그데못(신 2:26); 드고아(대하 20:20); 가데스(시 29:8); 애굽(겔 20:35).
(c) 이 광야는 가끔 포도, 샘, 물 웅덩이, 강, 즐거이 쉴만한 장소 등이 없다는 뜻의 부정적 의미로 묘사되며, 혹은 주목할 만한 진술, 즉 "하나님이 광야에서 능히 식탁을 준비하시랴"(시 78:19)라고 묘사된다.
「참고 - 미드바르는 70인역본의 용법에서 에레모스(2048)로 번역되었다. 에레모스는 고전 헬라어 문헌에서 헤로도투스에서부터 나타나며, 본래 '버림받음, 포기'를 뜻하며, 따라서 '적막하거나 사람이 별로 살지 않은 지역'을 의미하게 되었고, 그 다음 보다 엄격한 의미에서 '황무지, 광야'를 의미하게 되었다. 고대 세계에서 광야는 물과 식물이 없으므로, 주민이 살 수 없는 땅일 뿐만 아니라 또한 황폐하게 되어 주민이 이동한 지역, 버려진 혹은 목초지, 즉 유기된 지역이다. 고대 그레코 로마 세계에서 외딴 곳에서 신의 계시를 기다렸으며(e. g. Eur., Bacch. 874ff), 또한 귀신들의 거주지로서 광야를 무서워 했다(예를 들면, Lucian, Vitorum Auction 9).
(a) 70인역본에서 에레모스는 총 345회 나타나는 히브리어 미드바라(황야, 광야, 수목 없는 대 초원, 풀 없는 땅을 의미하기도 함, 창 37:22)의 역어로 241회 사용되었다. 또한 에레모스는 히브리어 어근 하레브(황량하게 되다, 황폐하게 되다)의 파생어들의 역어로 32회, 히브리어 샤멘(설득하게 되다, 유린당하다, 황폐하게 되다)과 이 단어의 파생어의 역어로 25회, 네게브(메마른 땅)의 역어로 10회 사용되고 있다. 에레모스의 사용 중 120회는 모세오경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출애굽기에서 신명기까지 (109회 증거됨)광야에서 이스라엘의 방랑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역시 시편(21회), 이사야(45회), 예레미아(28회)와 에스겔(38회)에서 에레모스는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b) 산과 물과 같이 구약성경에서 광야는 거룩한 곳의 이중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광야는 여호와께서 자신을 나타내시는 곳이며, 그러나 또한 귀신들의 거주지이며 이들은 불결한 것과 병과 죽음으로 인간들을 위협하고 있다.
① "거룩한 곳" 즉 광야에 주어지는 긍정적인 가치는 광야에서 하나님의 현현과 관계되는 수많은 기사에 의하여 나타나게 된다. 엘리야가 이세벨을 피하여 도망할 때 광야에서 천사가 음식으로 엘리야를 강건하게 하였다(왕상 19:4-6), 호렙(출 3:1이하; 황상 19:11-18)과 시내 (출 19)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심은 산에서 뿐만 아니라 광야에서도 현현하셨다.
이스라엘의 40년간 광야의 유랑(출애굽기에서 신명기까지; 참조: 신 8:2)은 특별히 하나님과 밀착되는 시간으로 간주되고 있다(호 9:10; 참조: 호 11:1; 호 12:10[호 12:9]; 호 13:4 이하); 특히 이러한 것은 시편, 예레미야, 이사야, 에스겔에서 나타난다. 광야에서 여호와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 민족의 불충실: 시 78[77]:17, 시 78[77]:40; 시 95[94]:7-11; 시 106[105]:13-33; 겔 20; 참조: 민 13 이하)을 배경으로 하는 권고적 언급들은 비교적 많은 지면을 차지 하고 있다(예를 들면, 시 78[77]:15, 시 78[77]:19, 시 78[77]:40, 시 78[77]:52; 시 95[94]:8; 시 106[105]:7-12; 사 48:21; 사 63:13; 렘 2:6; 겔 20:10-26; 겔 20:36).
종말론적 구원에 대한 소망은 또한 광야와 연관된 생각과 관계되고 있다(사 40:3; 렘 31[38]:2; 겔 34:25; 호 2:16-25). 여호와의 밀접한 생활을 하기를 원하는 자마다 어는 시대나 레갑 족속처럼 황량한 환경을 만들어 생활하는 것을 선택하는데 그 기원은 엘리야 시대의 예언적 부흥 운동에 있는 것이다. 그들은 집 대신에 천막에서 살았다(렘 35:7; 렘 35:9이하). 적어도 일년에 한번 모든 유대인들은 "천막"의 장막절을 기념할 때 광야에서 그들의 조상들이 한 것처럼 "천막"에서 생활한다(레 23:34-36, 레 23:42 이하: 신 16:13-17).
② 동시에 광야는 매우 위험한 곳이며 하나님과 분리된 곳이며 귀신 세력들이 있는 곳이다(신 8:15; 참조: 민 21:4-9; 사 30:6). 경작지와 광야의 차이는 가나안 땅과 애굽의 땅의 대조와 같다. 즉, "애굽"은특히(귀신이 사는) 광야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였다(토빗 8:3; 참조, 겔 20:36과 마 2:15; 또한 참조: 호 11:1). 여호와의 무서운 동풍은 인간의 말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바람 처럼 광야에서 일어난다(호 13:15). 속죄 염소는 귀신 아사셀을 위하여 광야로 보내졌다(레 16:10, 레 16:21 이하). 광야의 귀신들은 바벨론(사 3:21 이하)과 에돔(Edom),(사 34:13-15)의 파멸을 손에 쥐고 있다. 당시의 황폐함과 참혹함은 유린(황폐)으로 보여졌으며(예를 들면, 사 1:7; 사 54:3; 렘 2:15; 겔 19:13), 미래의 성읍들과 땅의 멸망은 적막한 유린 형태로 위협을 받고 있다(예를 들면, 사 5:9; 렘 4:26이하; 겔 5:14). 특히 물이 말라 사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사 37:25; 사 44:27; 사 51:10; 렘 51[28]:36; 겔 29:10; 겔 30:12).
귀신 신앙자의 조건을 근거로 하면 광야는 정확하게 에스겔 26:19이하의 "큰 물"과 마찬가지로 지하 세계를 묘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영원히 …황적한 곳" 겔 26:20JB). 우리는 여호와께서 광야에 거하는 귀신들을 처벌하시는 것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데(민 21:4-9) 그 때 여호와께서는 최종적으로 단 한번에 광야에서 그의 백성을 국문할 것이라고 위협하고 계신다(겔 20:35). 물론 이스라엘이 최종적으로 광야에서 구원을 얻는 것이 사실이다(참조, 겔 34:25; 호 2:16; 상기 2(a)참조). 그러나 이러한 것은 다만 광야가 영구히 제거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광야는 경작할 수 있는 땅이 될 것이며, 물은 광야에 넘칠 것이며 길은 개통될 것이며, 황폐되었던 성읍들은 재건될 것이다(사 32:15; 사 35:15; 특별히 후에 쓰인 이사야서에서 예를 들면, 사 41:18; 사 43:19f; 사 58:12; 사 61:4; 사 62:4; 렘 33[40]:10-12; 겔 36:10, 겔 36:33 이하; 겔 38:8, 겔 38:12; 단 9:27; 참조: 호 14:5-10). 이 문맥에는 사 40:3과 같은 한 구절이 속한다. 그곳에서 광야를 통해 길들이 트일 것이며(사 43:19), 여호와께서 주되심이 밝혀질 것이다. 하나님께서 역시 광야에서 자신의 영광을 나타내시기를 원하실지라도, 광야는 여전히 최후의 수단으로 하나님을 적대시 하는 장소 즉, 악한 귀신의 장소이다. 자신의 적과 자기 백성들의 적을 물리치신 하나님의 승리는 또한 광야를 제압하신 승리이다.
3. 성서 이후의 유대교
성서 이후의 유대교는 호세아의 황폐 예표설의 범위 내에서 연구하였을 때 광야로부터 유대인의 구속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SB I 85-88에서 랍비들의 증거). 이러한 뜻은 메시야께서 광야에서 오신다는 혼란의 이유가 되었다(Josephus, War 2, 258-63). 에세네파(Essenes)는 종말에 자기들이 쿰란의 광야로 옮겨가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주의 길을 예비한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생각했으며(참조, 1QS 8, 12이하; 9:19f.), 이와 같은 것은 세례(침례)요한에게도 적용된다(Josephus, Ant. 18, 116-119). 이와 비슷하게 이사야(사 2:8-11)의 순교에 의하면 선지자들 곧 이사야,미가와 다른 선지자들은 "황폐한 산"으로 가서 살았다고 한다. 유대교가 메시야를 광야와 관련하여 생각하는 것에서 특별히 중요한 것은 호 2:16; 12:10; 욥 30:4과 사 40:3과 같은 성구에 집착하는 것이며, 사 40:3은 세례(침례)요한과 마찬가지로 쿰란과도 관계 있다. 성전 파괴 후에 유대인들은 어려움 없이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광야로" 떠날 수 있도록 기도하였는데(Josephus, War)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특별히 광야에서 하나님과 가깝게 지내기 위해서 이다.
그러나 귀신들은 역시 광야에서 살고 있다. 베헤모트(Behemoth, 참조: 욥 40:15-24)는 에녹일서 60:8에 의하면 광야 귀신이다. 형벌을 받고 있는 악한 귀신들은 광야로 보내지는데 그곳을 거처로 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토빗 8:3; 에녹일서 10:4; 참조: 마 12:43. 병행구 눅 11:24). 광야 귀신들에 대한 두려움과 고도의 신학적 - 종말론적 관심이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쿰란 종파의 계속적으로 시행한 반 마귀적인 세정식에서, 기도와 금식으로(반 마귀적인) 정결을 위하여 싸운 이사야 순교 2:8이하에 나오는 선지자들의 세상과 분리에서 보여진다. 광야에서 수도자는 하나님이 나타나실 때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기 위하여 악한 영들과 투쟁한다.
4. 신약성경의 용법.
에레모스는 신약성경에서 37회 나타나며, '광야'를 뜻한다.
(a) 광야에 대한 신약성경의 평가는 구약성경과 유대교의 평가와 같다. 변함 없이 광야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40년 간의 방랑 생활은 하나님의 역사적 활동의 중요한 사실로서 생각되며(요 3:14; 요 6:31, 요 6:49; 행 7:30이하; 행 13:18; 고후 10:5; 히 3:8, 히 3:17), 광야에서 종말적인 운동이 시작된다는 사상은 여전히 살아 있다(마 24:26; 행 21:38). 여자가 광야로 도망하는 묵시(계 12:6, 계 12:14)는 이스라엘 백성의 시대가 광야에서 열려진다는 지대한 관심에서 설명되어 지지 않으면 안되며 동시에 메시야가 광야에서 올 것이라는 기대를 입증하여 준다(참조: 마 2:15; 호 11:1).
(b) 세례(침례)요한은 광야에 숨어 살았으며, 유대광야에서 효과적인 사역을 시작하였다. "유대 광야"는 삿 1:16에서 "아랏 남방"으로 표기되었다. 여리고에서 남쪽으로, 곧 사해의 서북 쪽에 있는 울퉁불퉁한 여러 지역들 - 십 황무지(삼상 23:14, 삼상 23:15), 마온 황무지(삼상 23:24), 엔게디 황무지(삼상 24:1), 여루엘 들(대하 20:16), 드고아 들(대하 20:20)을 통틀어 지칭한다. 이 모든 지역은 유다 영토에 속한다.
(c) 유대교에서와 마찬가지로 선지자들은 광야와 산에서 은거하였는데 그 이유는 수도자들에게 그곳이 적당한 장소이기 때문이며(Mare. 사 2:8-11), 그러므로 히 11:38은 구약 선지자들과 수도자들이 광야, 산, 토굴에서 은거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광야의 방랑자들과 구약성경의 광야 거주민을 새 이스라엘과 관련시켜 보면 새 이스라엘을 방랑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그 원형으로 이해할 수있다(히 3이하; 히 11:8-10; 히 12:18-24; 참조: 고전 10:1-13; 참조: E. Kasemann).
(d) 예수님의 의미가 선지자와 메시야로 묘사되는, 한 광야는 그 지역을 가지고 있다. 예수님께서는 광야에서 이스라엘 시대의 지도자 모습에 대한 선지자적 해석에서 모세와 닮은 것으로 나타나셨으나(행 3:22 이하; 행 7:37; 참조: 신 18:15), 그러나 물론 원형으로 모세를 능가한다(참조: 히 3:1-6). 예수님의 어린 시절에 대한 공관복음의 이야기는 초원과 외딴곳에 사는 사람들, 즉 들에 있는 목자들에게 선포한 메시야적 영광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으며(눅 2:8-14), 애굽으로 피신가는 것으로(마 2:13-15, 마 2:19-21) 애굽의 광야로부터 메시야가 오셨다고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호 11:1에 대한 마 2:15의 메시야 해석; 토빗에서 애굽은 광야를 의미). 예수님께서 사람의 유혹을 물리치신 것은 광야에서 일어났으며(마 4:1-1 병행구 막 1:12 이하, 눅 4:1-13; → 유혹하다 tempt), 예수님께서 이적으로(참조: 왕하 4:42-44 엘리야와 더불어) 자기를 따르는 자들에게 먹이신 것도 광야에서 일어났다(마 14:13 병행구 막 6:32; 또한 눅 9:12; 마 15:33 병행구 막 8:4). 여러 번 예수님께서 광야로 가시어 기도하셨고 금식하셨으며(마 4:1이하 병행구 눅 4:1 이하; 참조: 막 1:35, 막 1:45 병행구 눅 4:42; 눅 5:16), 특별히 하나님과 가깝게 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또한 마귀들의 세력을 붕괴시키기 위해서다(막 1:12이하 병행구). 광야는 여전히 환상을 보기에 적합한 장소이다(계 17:3; 참조: 행 8:26). 바울이 아라비아 사막을 찾은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었던 것 같다(갈 1:17). 그렇지만 단순히 적대자의 압제를 피하기 위해서 그렇게 했을 수도 있다(참조: 왕상 19:3 이하; 그리고 계 12:6).
(e) 광야 세대의 죄와 허물(위의 구약성경 그를 참조)이 언급되어 있는 곳에서는 사막이 부정적으로만 기록된다(행 7:41-43; 고전 10:5; 히 3:8, 행 3:17). 사막에는 악마적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후 11:26; 참조: 눅 15:4). 왜냐하면 그 곳에는 귀신(마 12:43 병행구. 눅 11:24, 막 1:12이하)과 귀신들린 자들(눅 8:29)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원인론적인(aetiological) 악마 전설은 사막 지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행 1:18-20; 참조: 시 69:26[그 밖에, 마 27:3-10]; 참조: Papias, Frag. 3).(참조: W. L. Liefeld; G. Kittel).
|